KR20200072792A -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792A
KR20200072792A KR1020180160771A KR20180160771A KR20200072792A KR 20200072792 A KR20200072792 A KR 20200072792A KR 1020180160771 A KR1020180160771 A KR 1020180160771A KR 20180160771 A KR20180160771 A KR 20180160771A KR 20200072792 A KR20200072792 A KR 2020007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ig data
server
biometric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식
장진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2792A/ko
Publication of KR2020007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 personal healthcare method using big data }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 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 장치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72817호의 체형측정·원샷케어영상교정에 따른 융합헬스케어 체형교정 관리장치 및 방법에는, 사용자의 체형 정보 및 자세 정보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가로와 세로의 격자무늬상에서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체정보데이터를 WiFi망을 통해 케어교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격자형 체형측정기기와, 상기 WiFi망을 통하여 상기 격자형 체형측정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들의 신체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맞는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원샷케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시키고, 원격지의 요가교정관리데이터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요가영상을 보면서 요가자세 교정 메세지를 재전송시키는 케어교정관리서버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화면상에 요가 교정관리데이터를 표출시키는 어플형 요가 표출제어부와, 스마트 TV와 연결되어 화면상에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표출시키는 스마트TV형 요가 표출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케어교정관리서버로부터 각각 수신된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맞는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원샷케어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어교정 관리서버는 격자형 체형측정기기로부터 측정된 체형자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인터페이스와, 입력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받은 체형자세정보를 평가하여 분석한 후, 맞춤형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해내는 체형자세연산부와, 체형자세연산부로부터 추출해낸 맞춤형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변환시킨 후, 압축해서 위치탐색이 완료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로 전송시키는 요가교정관리데이터전송부와, 사용자의 로그인정보, 회원가입정보, 체형자세정보, 체형 및 자세에 맞는 맞춤형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위치기반서비스(LBS)와 사용자 ID를 기준으로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전송시키고자 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의 위치를 탐색하는 위치탐색부와, 원격지의 원샷케어 영상교정모듈로부터 전송된 요가영상을 보면서 요가자세 교정메세지를 재전송시키는 요가자세 교정메세지 전송부와,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맞는 요가교정관리데이터에 관한 요가교정요금을 선입금 또는 후입금 되도록 안내메세지를 통보하는 요금안내메세지 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샷케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화면상에 요가교정 관리데이터를 표출시키는 어플형 요가 표출제어부와, 스마트 TV와 연결되어 화면상에 요가교정관리데이터를 표출시키는 스마트TV형 요가 표출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측정*원샷케어 영상교정에 따른 융합 헬스케어 체형교정 관리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62803호의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이갈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헬스케어 이어폰, 헬스케어 제어 장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에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센싱하는 근전도 센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헬스케어 제어 장치로 상기 센싱된 근전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헬스케어 제어 장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부;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진동의 발생 또는 음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이갈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헬스케어 이어폰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하는데 정확성이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을 통하여,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3D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장치(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300)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300)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200)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의 개념도
본 발명은 3D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장치(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300)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300)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200)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300)에 빅데이터로 저장된 요구 정보는 건강검진 일정, 건강검진 결과, 의료정보, 건강정보, 정책정보, 또는 헬스케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용장치(200)는 휴대폰 또는 개인 PC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3D 스캐너(100)를 통해 생체정보를 스캔하는 것으로, 스캔된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별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생체 아바타는 개인용장치(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300)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인용장치(200)는 휴대폰 또는 개인 PC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빅데이터는 정부, 보험회사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300)의 빅데이터를 통해 건강인증을 위한 요구 정보를 불러오되, 상기 서버(300)에 빅데이터로 저장된 요구 정보는 건강검진 일정, 건강검진 결과, 의료정보, 건강정보, 정책정보, 헬스케어정보 등인 것으로, 상기 서버(300)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200)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3D 스캐너
200 : 개인용장치
300 : 서버

Claims (3)

  1. 3D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스캔된 생체정보로 생체 아바타를 생성하여 개인용 장치(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300)에서 빅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300)는 빅데이터로 저장된 생체 아바타에 대한 요구 정보를 개인용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용장치(200)에서 요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사전에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에 빅데이터로 저장된 요구 정보는 건강검진 일정, 건강검진 결과, 의료정보, 건강정보, 정책정보, 또는 헬스케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장치(200)는 휴대폰 또는 개인 PC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KR1020180160771A 2018-12-13 2018-12-13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KR20200072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71A KR20200072792A (ko) 2018-12-13 2018-12-13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71A KR20200072792A (ko) 2018-12-13 2018-12-13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92A true KR20200072792A (ko) 2020-06-23

Family

ID=7113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771A KR20200072792A (ko) 2018-12-13 2018-12-13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2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59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aze-directed correction during a video conferencing session
KR20130100806A (ko) 운동량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서버
CN106454311B (zh) 一种led三维成像系统及方法
US20110144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services
US11601806B2 (e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KR20180044685A (ko) Hmd 디바이스
KR102662708B1 (ko) Hmd 디바이스
KR20180044686A (ko) Hmd 디바이스
US109326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health informa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JP2021051781A (ja) イベント監視システム、イベント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24301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and device thereof
KR20200072792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용 헬스케어 방법
KR101968417B1 (ko)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의 메시지 보안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685B1 (ko) Hmd 디바이스
JP5215625B2 (ja) 活動管理システム
US10881826B2 (en) Method of obtaining a 3D scan of a patients face
KR20180044687A (ko) Hmd 디바이스
KR101890115B1 (ko) 발통점에 의한 근육 통증의 치료를 보조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7516003A (zh) 动态问卷调查方法
CN114422265B (zh) 数据访问方法及服务器
US20220068450A1 (en) Integrating management of movement sessions with electronic record system reporting requirements
KR10167810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태아 정보 제공 시스템
AU2016379448A1 (en) Computer implemented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the gener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3d body scan data, including shared data access protocols and collaborative data utilisation, and identify verification for 3d environments
CN207424807U (zh) 一种用于vr显示眼镜的头部动作捕捉系统
CN106293560A (zh) 无线同步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