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025A -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025A
KR20200072025A KR1020180159728A KR20180159728A KR20200072025A KR 20200072025 A KR20200072025 A KR 20200072025A KR 1020180159728 A KR1020180159728 A KR 1020180159728A KR 20180159728 A KR20180159728 A KR 20180159728A KR 20200072025 A KR20200072025 A KR 2020007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ehicle
section
safe driving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095B1 (ko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95B1/ko
Priority to US16/433,749 priority patent/US10762783B2/en
Priority to CN201910542304.3A priority patent/CN111301430A/zh
Publication of KR2020007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은 차량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 단말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로구간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VEHICLE SAFETY DRIV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Information Technology,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도로교통 혼잡, 교통사고, 물류비용 등 기존 교통관련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시시각각 변하는 도로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 주행(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안전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안전 주행 속도를 안내(guide)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은 차량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 단말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로구간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정보는 상기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 제한속도, 신호등 존재유무, 신호 상태 정보, 및 정체 지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를 수집하여 평균 주행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주행속도를 안전 주행 속도로 하여 속도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각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오차 평균과 상기 안전 주행 속도를 이용하여 안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위험 구간의 최고속도 또는 최저속도를 벗어나는 구간을 충돌 위험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도로구간에 정체 지점 및 신호등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속도 변경 지점에서의 목표 속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신호등 위치를 상기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한 경우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의 속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속도계의 최저속도와 최고속도 사이를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목표 속도와 현재 차량 속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단말은 차량 위치로부터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속도 변경 지점까지 남은 거리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현재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신호 상태와 상기 신호 변경까지 남은 시간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은 차량 단말로부터 교통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로구간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 제한속도, 신호등 존재유무, 신호 상태 정보, 및 정체 지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를 토대로 안전 주행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주행 속도를 기준으로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각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오차 평균과 상기 안전 주행 속도를 이용하여 안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구간에 정체 지점 및 신호등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속도 변경 지점에서의 목표 속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등 위치를 상기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한 경우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의 속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속도계의 최저속도와 최고속도 사이를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차량 단말은 현재 차량 속도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목표 속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안전 주행 속도를 안내하므로, 시시각각 변하는 교통상황에 따라 안전한 주행속도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정보 표시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교통정보 제공장치(100) 및 차량 단말(200)과 상호 연결된다.
교통정보 제공장치(1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정보 제공장치(100)는 통신부(110), 데이터 수집부(120), 저장부(130) 및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차량 단말(20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통신부(110)는 텔레매틱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및/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망,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및/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인터넷망,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LTE-Advanced 등의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프로브차량(probe vehicle), 노변 단말(Road Side Equipment, RSE), 신호등 제어기 및 루프 검지기(loop detector) 등을 통해 도로구간별 교통정보(도로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교통정보는 프로브차량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주행속도(프로브 데이터), 도로구간에 지정된 제한속도, 도로 등급에 따른 제한속도(규정속도), 신호등의 위치 및 신호 상태, 및 정체 지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데이터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속도 산정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지도 정보 및 도로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처리부(140)가 기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40)는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부(14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차량 단말(200)로부터 교통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수집부(120)를 통해 차량 단말(200)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처리부(140)는 수집된 교통정보를 분석하여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40)는 교통정보 제공을 요청한 차량 단말(200)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에 의해 측정되는 주행속도(프로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프로브차량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점에 특정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특정 도로구간에 대한 프로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다.
처리부(140)는 동일한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들)에 의해 측정된 주행속도들의 평균값(안전 주행 속도)을 산출한다. 즉,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에 대한 실시간 평균 주행속도를 산출한다. 처리부(140)는 각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와 평균 주행속도의 편차(오차, 차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편차들의 평균 즉, 편차평균을 산출한다.
처리부(140)는 평균 주행속도 및 편차평균을 이용하여 안전 주행 가능한 속도 범위(안전 구간)을 산정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주행속도가 58.7km/h이고, 편차평균(오차 평균)이 12.3km/h인 경우, 처리부(140)는 46.4km/h부터 71km/h까지를 안전 주행 가능한 속도 범위(안전 구간)로 산정한다.
또한, 처리부(140)는 평균 주행속도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 사이의 중간값(평균값)을 산출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차량 #3의 주행속도가 90km/h로 최고 속도인 경우, 처리부(140)는 평균 주행속도 58.7km/h와 최고 주행속도 90km/h의 중간값 74.4km/h를 과속 위험 구간(위험 구간)의 기준값으로 산정한다. 처리부(140)는 최고 주행속도 90km/h과 중간값 74.4km/h의 오차를 산출하여 평균 주행속도와 최고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최고 주행속도와 중간값의 오차를 기반으로 과속 위험 구간(위험 구간)을 산정한다. 즉, 처리부(140)는 71km/h부터 90.1km/h를 과속 위험 구간으로 결정한다.
처리부(140)는 평균 주행속도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 사이의 중간값(평균값)을 산출한다. 처리부(140)는 산출된 중간값과 최저 주행속도 간의 오차를 계산한다. 처리부(140)는 산출된 중간값과 오차를 이용하여 저속 위험 구간(위험 구간)을 산정한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프로브차량 #6의 주행속도가 30km/h로 가장 작은 경우, 처리부(140)는 최저 주행속도 30km/h와 평균 주행속도 58.7km/h의 중간값(평균값) 44.4km/h를 산출한다. 처리부(140)는 중간값 44.4km/h와 최저 주행속도 30km/h의 차이 14.4km/h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 14.4km/h와 중간값 44.4km/h에 근거하여 저속 위험 구간을 산정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과속 위험 구간의 최고 속도를 벗어나는 경우 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충돌 위험 구간)으로 결정하고, 저속 위험 구간의 최저 속도를 벗어나는 경우 후방 차량 충돌 위험 구간(충돌 위험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이상과 같이 안전 주행 속도(안전 속도)를 기준으로 차량최고속도와 차량최저속도 사이를 복수 개의 속도 구간 즉, 안전 구간, 위험 구간(고속/저속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전방차량/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각 속도 구간의 경계 속도(최저/최고속도)를 산정하고 산정된 속도 구간별 경계 속도를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도로구간 내 신호등 존재하는 경우, 신호등 위치,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를 고려하여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에 신호등이 존재하며 교통정보 제공을 요청한 차량(요청 차량)이 신호등에 매칭되는 정지선에 도달하는 시점의 신호 상태가 정지 신호인 경우 전방 속도 변경 지점을 신호등 위치에 매칭되는 정지선, 목표 속도를 0km/h로 결정한다. 처리부(140)는 요청 차량이 전방 속도 변경 지점에 목표 속도로 도달하기 위한 감속도 및 감속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140)는 도로구간 내 정체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주행속도가 설정된 속도(예: 30km/h) 이상으로 변화하는 지점(예: 정체 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지점을 전방 속도 변경 지점(속도 변경 지점)으로 결정한다. 또한, 처리부(140)는 정체 구간의 주행속도 즉, 변화(변경)된 주행속도를 목표 속도로 결정한다. 처리부(140)는 속도 변경 지점에 도달 시 차량의 주행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기 위한 감속도 및 감속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감속도 및 감속거리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을 산정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의 제한속도(최저제한속도 및 최고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안전 주행 구간), 과속 위험 구간 및 저속 위험 구간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제한속도는 도로구간에 지정된 제한속도이거나 또는 도로구간의 도로 등급에 따른 제한속도일 수 있다.
차량 단말(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로, 텔레매틱스 단말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단말(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표시부(230) 및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텔레매틱스, 이동통신 및/또는 V2X(Vehicle to Everything)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V2X 기술로는 차량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차량과 모바일 기기 간 통신(Vehicle-to-Nomadic Devices, V2N), 및/또는 차량 내 통신(In-Vehicle Network, IV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IVN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또는 X-by-Wire(Flexray) 등으로 구현된다.
메모리(220)는 처리부(2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SD 카드, RAM, SRAM, ROM, PROM, EEPROM, EP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처리부(240)의 동작에 따른 진행상태 및 결과를 시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터치스크린 및 클러스터(cluster)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와 같은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부(230)는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며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오디오 신호)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출력장치 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또는 터치 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처리부(240)는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에 주행 중인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에 교통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처리부(240)는 교통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현재위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리시버(receiver)와 같은 측위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처리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안전 주행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하여 속도계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속도 구간은 녹색, 위험 속도 구간은 황색, 충돌 위험 속도 구간은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차량에 탑재된 속도 센서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차량 속도가 분류된 속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처리부(240)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현재 차량 속도)가 속하는 속도 구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교통정보에 포함되는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속도계의 최저속도와 최고속도 사이를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현재 차량 속도에 따라 속도계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운전자)는 바늘의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현재 차량 속도가 안전 구간의 속도 범위 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의 처리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S110). 차량 단말(200)은 교통정보 제공 요청 시 차량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차량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교통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 수집여부를 확인한다(S120). 처리부(140)는 교통정보 제공을 요청한 차량(요청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들)의 주행속도를 수집한다. 처리부(140)는 요청 차량과 동일한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를 수집할 수 없다.
처리부(140)는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를 수집한 경우, 주행 도로구간 내 신호등 존재여부를 확인한다(S130). 처리부(140)는 지도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참조하여 요청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40)는 신호등이 설치된 위치 및 해당 신호등과 매칭되는 정지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신호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방 주행속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140). 처리부(140)는 요청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진행방향)에 차량들의 주행속도가 변화하는 지점(예: 정체 지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처리부(140)는 전방 차량들의 평균 주행속도가 설정된 속도(예: 30km/h) 이상으로 변화하는 지점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전방 주행속도에 변화가 없는 경우, 수집된 프로브차량들의 주행속도 분포를 분석하여 안전 주행 속도를 산출한다(S150). 처리부(140)는 프로브차량들의 주행속도의 분포를 분석하여 해당 도로구간의 안전 운행이 가능한 속도(안전 주행 속도)를 산출한다. 즉, 처리부(140)는 수집된 프로브차량들의 평균 주행속도를 안전 주행 속도로 산출한다.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의 위험도에 따른 속도 구간을 산정한다(S160). 처리부(140)는 안전 주행 속도를 기준으로 속도 구간을 안전 주행 구간, 위험 구간(고속 위험 구간 및 저속 위험 구간), 충돌 위험 구간(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 및 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속도 구간 정보를 교통정보로 차량 단말(200)에 전송한다(S170). 교통정보에 포함되는 속도 구간정보는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처리부(140)는 S140에서 전방 주행속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목표 주행속도 및 속도 변화 지점을 추출한다(S180). 여기서, 목표 주행속도는 변화된 주행속도이고, 속도 변화 지점은 주행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변화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후, 처리부(140)는 추출된 목표 주행속도 및 속도 변화 지점를 토대로 안전 구간을 산출하여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S170).
S120에서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가 수집되지 않은 경우, 처리부(140)는 도로구간 내 신호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90). 즉, 처리부(140)는 요청 차량의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신호등이 존재하는 경우, 요청 차량이 신호등 위치에 매칭되는 정지선에 도달하는 시점에 신호 상태가 정지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200). 처리부(140)는 신호 상태가 정지 신호이면, 목표 주행속도 및 속도 변화 지점을 추출한다(S180). 이때, 처리부(140)는 목표 주행속도를 0km/h, 속도 변화 지점을 신호등에 매칭되는 정지선 위치로 결정한다. 이후, 처리부(140)는 추출된 목표 주행속도 및 속도 변화 지점을 토대로 안전 구간을 산출하여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한다(S170).
S190에서 신호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S200에서 신호등에 매칭되는 정지선 도달 시점에 신호 상태가 정지 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에 지정된 제한속도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210). 이때, 처리부(140)는 지도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참조하여 도로구간의 제한속도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에 지정된 제한속도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을 산정할 수 있다(S220). 한편, 처리부(140)는 도로구간에 지정된 제한속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로구간의 도로 등급에 따른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을 산정할 수 있다(S230). 처리부(140)는 산정된 속도 구간 정보를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차량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S17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 단말(200)의 처리부(240)는 교통정보 제공을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에 요청한다(S310). 처리부(240)는 차량에 탑재된 측위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처리부(240)는 생성된 교통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한다.
처리부(240)는 교통정보 제공 요청 후 교통정보 수신여부를 확인한다(S320). 다시 말해서, 처리부(240)는 설정된 주기로 교통정보 제공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처리부(240)는 교통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차량 속도를 확인한다(S330). 처리부(240)는 속도 센서를 통해 차량의 현재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현재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교통정보에 포함된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S340). 처리부(240)는 현재 차량 속도가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 중 어느 속도 구간에 속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부(240)는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매핑하여 현재 차량 속도를 출력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정보 표시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차량 단말(200)은 교통정보 제공장치(10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면, 교통정보에 포함되는 속도 구간 정보(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각 구간을 상이한 색상으로 클러스터(230)의 속도계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 단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근거하여 0km/h~60km/h 및 120km/h~250km/h를 충돌 위험 구간, 60km/h~80km/h 및 100km/h~120km/h를 위험 구간, 80km/h~100km/h를 안전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40)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주행속도에 매핑되는 속도계의 눈금을 가리키도록 바늘(410)의 위치를 조정하여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40)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나타내는 바늘(410)이 포함된 구간을 더 진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가 95km/h로 안전 구간에 속하는 경우, 처리부(140)는 안전 구간의 색상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가 110km/h로 변경되면 처리부(140)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가리키는 바늘(410)이 위험 구간에 위치하므로, 안전 주행 구간의 색상 농도를 디폴트로 복귀시키며 해당 위험 구간의 색상 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처리부(140)는 특정 구간 내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해당 속도 구간의 색상을 점점 더 진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점멸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차량 속도가 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처리부(140)는 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의 색상 농도를 진하게 조정한다. 이후, 처리부(140)는 도 9와 같이 차량 속도가 계속 증가하면 해당 전방차량 충돌 위험 구간의 색상 농도를 더 진하게 조정할 수 있다.
차량 단말(200)은 교통정보 제공장치(100)로부터 전방 속도 변경 지점과 목표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차량 속도 및 목표 속도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단말(200)은 제1바늘(410)이 현재 차량 속도를 가리키도록 하고, 제2바늘(420)이 목표 속도를 가리키도록 한다. 또한, 차량 단말(200)은 전방 속도 변경 지점까지 남은 거리를 산출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출력(예: "500m 전방 주의!")할 수 있다.
차량 단말(200)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활용하여 현재 차량 속도를 가리키는 바늘(410)를 기준으로 목표 속도로 바늘이 이동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바늘(410)의 위치는 그대로 두고 다른 색상의 바늘(4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차량 속도와 목표 속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클수록 바늘(420)이 목표 속도에 대응하는 눈금 위치로 빠르게 이동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전방 교통 상황을 기준으로 안전 구간에 위치한 주행속도라면 2초에 걸쳐 속도 바늘(420)이 목표 속도까지 이동하도록 하고 위험 구간에 위치한 주행속도라면 0.5초에 걸쳐 목표 속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단말(200)은 신호등 위치와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 및 변경 주기를 제공받으면, 신호등 위치에 도달 시 신호 상태에 근거하여 목표 속도를 산출한다. 차량 단말(200)은 차량이 신호등 위치에 도달 시 신호 상태가 정지 신호이면 목표 속도를 0km/h로 결정한다. 차량 단말(200)은 제1바늘(410)로 현재 차량 속도를 표시하고, 제2바늘(420)로 목표 속도를 표시한다. 이때, 차량 단말(200)은 전방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예: 정지 신호) 및 해당 신호 상태가 변경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예: 20초)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통정보 제공장치
200: 차량 단말
110, 210: 통신부
120: 데이터 수집부
130: 저장부
140, 240: 처리부
220: 메모리
230: 표시부

Claims (25)

  1. 차량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 단말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로구간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상기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 제한속도, 신호등 존재유무, 신호 상태 정보, 및 정체 지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를 수집하여 평균 주행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주행속도를 안전 주행 속도로 하여 속도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각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오차 평균과 상기 안전 주행 속도를 이용하여 안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위험 구간의 최고속도 또는 최저속도를 벗어나는 구간을 충돌 위험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도로구간에 정체 지점 및 신호등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속도 변경 지점에서의 목표 속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신호등 위치를 상기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한 경우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의 속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속도계의 최저속도와 최고속도 사이를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목표 속도와 현재 차량 속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차량 위치로부터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속도 변경 지점까지 남은 거리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현재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신호 상태와 상기 신호 변경까지 남은 시간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15. 차량 단말로부터 교통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이 탑재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구간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로구간의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 제한속도, 신호등 존재유무, 신호 상태 정보, 및 정체 지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를 토대로 안전 주행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주행 속도를 기준으로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각 프로브차량의 주행속도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오차 평균과 상기 안전 주행 속도를 이용하여 안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고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주행 속도와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중간값 및 상기 중간값과 상기 프로브차량의 최저 주행속도의 오차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구간에 정체 지점 및 신호등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속도 변경 지점에서의 목표 속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등 위치를 상기 속도 변경 지점으로 추출한 경우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 및 신호 변경 주기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의 속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토대로 속도계의 최저속도와 최고속도 사이를 안전 구간, 위험 구간 및 충돌 위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차량 단말은 현재 차량 속도와 상기 안전 주행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목표 속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운행 지원 방법.
KR1020180159728A 2018-12-12 2018-12-12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58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28A KR102587095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16/433,749 US10762783B2 (en) 2018-12-12 2019-06-06 Vehicle safety driv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CN201910542304.3A CN111301430A (zh) 2018-12-12 2019-06-21 车辆安全驾驶引导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28A KR102587095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025A true KR20200072025A (ko) 2020-06-22
KR102587095B1 KR102587095B1 (ko) 2023-10-11

Family

ID=7107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728A KR102587095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62783B2 (ko)
KR (1) KR102587095B1 (ko)
CN (1) CN1113014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691A (ko) * 2021-01-20 2022-07-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을 이용하는 경제 운전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32775A (ko) * 2021-03-24 2022-10-04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가변속도표지정보를 가변속도구간정보로 구성하여 내비게이션이 가변속도 변경구간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1776B (zh) * 2020-12-09 2022-07-05 中铁建网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交通调度方法、装置及调度中心
CN113903186B (zh) * 2021-09-28 2022-12-09 福信富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大数据的通行速度引导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507A (ja) * 1996-03-18 1997-10-03 Aqueous Res:Kk 車両用表示装置
JP2010089691A (ja) * 2008-10-09 2010-04-22 Toyota Motor Corp 走行支援装置
JP2015097071A (ja) * 2013-10-11 2015-05-21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安全速度情報生成装置、安全速度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0165B2 (ja) * 2006-03-27 2011-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交通情報管理システム
US7973674B2 (en) * 2008-08-20 2011-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to-vehicle traffic queu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WO2011125185A1 (ja) * 2010-04-07 2013-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支援装置
KR101461880B1 (ko) * 2013-03-18 2014-11-1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298741B2 (en) * 2013-07-18 2019-05-21 Secure4Drive Communication Ltd.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in safe driving of a vehicle
EP2940672B1 (en) * 2014-04-29 2018-03-07 Fujitsu Limited Vehicular safety system
KR101626654B1 (ko) * 2014-06-23 2016-06-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60107054A (ko) * 2015-03-03 201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4373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송 장치 및 운송 장치 제어 방법
US10032379B1 (en) * 2017-04-03 2018-07-24 Nissan North America, Inc. Traffic cir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507A (ja) * 1996-03-18 1997-10-03 Aqueous Res:Kk 車両用表示装置
JP2010089691A (ja) * 2008-10-09 2010-04-22 Toyota Motor Corp 走行支援装置
JP2015097071A (ja) * 2013-10-11 2015-05-21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安全速度情報生成装置、安全速度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691A (ko) * 2021-01-20 2022-07-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을 이용하는 경제 운전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32775A (ko) * 2021-03-24 2022-10-04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가변속도표지정보를 가변속도구간정보로 구성하여 내비게이션이 가변속도 변경구간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095B1 (ko) 2023-10-11
US20200193828A1 (en) 2020-06-18
US10762783B2 (en) 2020-09-01
CN111301430A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920B2 (en) Traffic lane guidance system for vehicle and traffic lane guidance method for vehicle
KR102587095B1 (ko) 차량 안전운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6814203B2 (ja) 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サーバ、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36760B2 (en) Detection and estimation of variable speed signs
CN105608927B (zh) 警告装置
US20210089938A1 (en) Vehicle-to-everything (v2x)-based real-time vehicular incident risk prediction
US20160332570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s
KR20180078973A (ko) 목표차량의 운전패턴에 따른 협조 적응 순항 제어 시스템
US202001744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nomous vehicle
US20140272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and vehicle related assistance to a driver
JPWO2017168662A1 (ja) 走行計画生成装置、走行計画生成方法及び走行計画生成プログラム
JP2012164025A (ja) 渋滞判定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JP7418463B2 (ja) ファントム交通渋滞検出および回避
KR20200081570A (ko) 교통 상황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1286A (ko) 교통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959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collection system, and server
US20230126172A1 (en) Method of outputting prompt information, device, medium, and vehicle
JP2014106675A (ja) 所要時間算出装置及び所要時間算出方法
KR102086016B1 (ko) 교차로 충돌 방지 방법 및 그것을 수행하는 시스템
US10088322B2 (en) Traffic control device detection
KR20180124552A (ko) 지정차로 주행 가이드 장치
KR20110017815A (ko) 차량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01443A1 (en) Accident index calcul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ntent selection apparatus, insurance premium setting apparatus, accident index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KR20200027339A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123074A (ja) 違反検出装置、および違反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