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954A - 코딩교육장치 - Google Patents

코딩교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954A
KR20200071954A KR1020180159591A KR20180159591A KR20200071954A KR 20200071954 A KR20200071954 A KR 20200071954A KR 1020180159591 A KR1020180159591 A KR 1020180159591A KR 20180159591 A KR20180159591 A KR 20180159591A KR 20200071954 A KR20200071954 A KR 20200071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block
control unit
block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316B1 (ko
Inventor
유준배
Original Assignee
유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배 filed Critical 유준배
Priority to KR102018015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3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는 다수의 코딩블록이 배치되는 코딩판, 상기 코딩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딩판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상기 코딩판 및 상기 제어유닛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로봇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딩판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을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은 코딩 블록의 형상이 제공되는 상형 코딩창,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되는 코딩 내용이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블록 코딩창, 상기 블록 코딩창의 내용을 상기 로봇이 수행하는 명령어인 텍스트 형식의 언어로 제공하는 텍스트 코딩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딩교육장치{DEVICE FOR CODING TRAINING}
본 발명은 코딩교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블록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는 코딩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교육이 논리력과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소프트웨어를 코딩하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함에 있어서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 보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어떠한 논리적 흐름으로 전개되는지를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다양한 카드들을 배치하고 이를 검출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논리 이해를 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단순한 카드의 배치만으로는 어린 아이가 쉽게 흥미를 잃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깊은 이해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 특정 기능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만 학습이 가능하므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그러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10-2016-0105824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여러 개의 코딩블록을 적절히 배치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논리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코딩교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그래밍 코드가 시각화된 블록을 배치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코딩교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는 다수의 코딩블록이 배치되는 코딩판; 상기 코딩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딩판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상기 코딩판 및 상기 제어유닛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로봇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딩판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을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은 코딩 블록의 형상이 제공되는 상형 코딩창,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되는 코딩 내용이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블록 코딩창, 상기 블록 코딩창의 내용을 상기 로봇이 수행하는 명령어인 텍스트 형식의 언어로 제공하는 텍스트 코딩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딩판은 코딩블록들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블록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와, 상기 기능블록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블록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가 행마다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코딩블록들의 상면에 그려진 그림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은 상기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블록 영역 및 코딩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코딩 영역은 코딩판에 배치된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와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코딩 포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영역에 배치된 블록을 드래그하여 상기 코딩 영역에 배치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로봇에 상기 코딩 영역에 배치된 블록의 코딩 정보를 상기 로봇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 코딩창에는 상기 블록 코딩창에 표시된 해당 코딩 내용이 FORTRAN, COBOL, C, C++, JAVA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블록은 상면에 개구가 형성된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능블록의 상면에는 음표가 그려지며, 상기 휠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에 다른 숫자들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면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논리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코딩교육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손쉽게 블록들을 배치하여 로봇을 제어할 수 있고, 제작한 코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가시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코딩블록을 포함하는 코딩교육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의 제어유닛과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에서 코딩판과 제어유닛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코딩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의 코딩판과 각각의 블록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의 코딩판과 기능블록들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독특한 형태의 기능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에서 제공받는 코딩 정보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이 각 층, 영역, 구조물들의 "상/위"에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와 "하/아래"는 "직접" 또는 "다른 층, 영역 또는 구조물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두께나 크기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는 다수의 코딩블록(41,42)이 배치되는 코딩판(10); 상기 코딩판(10)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딩판(10)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41,42)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20); 및 상기 제어유닛(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로봇(30)이 포함되고, 상기 코딩판(10)은 코딩블록들(41,42)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블록(41)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상기 기능블록(41)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블록(42)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가 행마다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코딩블록들(41,42)의 상면에 그려진 그림을 감지하는 카메라(21)와, 상기 카메라(21)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을 검출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전송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30)은 상기 전송부(23)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 또는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코딩판(10)의 일측에는 실행버튼(13)과 제어유닛 장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11)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유닛(20)의 하측에는 제1 연결단자(27)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11)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연결단자(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2)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20)이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11)에 위치될 때 상기 실행버튼(13)에 전원이 연결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능블록(41)의 하면에는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에 대응하는 기능볼록 가이드 홈(41b)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블록(42)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에 대응하는 제어블록 가이드 홈(42b)이 형성된다.
상기 기능블록(41)의 측면에는 제어블록 결합홈(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블록(42)의 측면에는 상기 제어블록 결합홈(41a)에 결합되는 기능블록 결합돌기(42a)가 형성되어 상기 기능블록(41)과 상기 기능블록(41)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블록(42)이 결합된다.
상기 기능블록(41)은 상면에 개구(41e)가 형성된 휠(41d)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능블록(41)의 상면에는 음표가 그려지며, 상기 휠(41d)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41e)에 다른 숫자들이 노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의 제어유닛과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에서 코딩판과 제어유닛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코딩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는 코딩판(10)과, 상기 코딩판(10)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코딩블록들(41,42), 상기 코딩판(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코딩블록들(41,42)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20)과, 상기 제어유닛(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로봇(30) 및 상기 제어유닛(20)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상기 코딩판(10)은 사각형 형태의 홈이 형성된 블록삽입홈(14)과, 상기 블록삽입홈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이격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는 다수의 행으로 배치되는데 각각의 행마다 번갈아 가면서 배치된다. 도 3에서는 제1,3,5행에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가 형성되고, 제2,4,6행에 상기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가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딩판(10)의 일측에는 실행버튼(13)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상기 실행버튼(13)을 누름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20)이 동작하고 그에 따라 상기 로봇(3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딩블록들(41,42)은 기능블록(41)과 제어블록(42)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블록(41)은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결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어블록(42)은 상기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와 결합하여 배치된다. 상기 기능블록(41)은 상기 로봇(30)에게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딩블록이고, 상기 제어블록(42)은 상기 기능블록(41)이 지시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코딩블록이다. 상기 기능블록(41) 및 제어블록(42)의 상면에는 각각 수행하는 기능 및 제어에 대한 그림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실행버튼(13)으로부터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5)와, 상기 수신부(25)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블록삽입홈(14)에 배치된 코딩블록들(41,42)을 감지하는 카메라(21)와, 상기 카메라(21)에서 감지한 신호로부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에서 생성한 신호를 상기 로봇(30)에 전송하는 전송부(23)와,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코딩판(10)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유닛 장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어유닛(20)의 하측에는 제1 연결단자(27)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 장착부(11)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연결단자(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단자(27)와 제2 연결단자(12)는 상기 실행버튼(13)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실행버튼(13)으로부터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상기 제1 연결단자(27)와 제2 연결단자(1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실행버튼(13)이 동작하는데 이는 상기 제어유닛(20)이 정위치(즉 상기 카메라(21)가 상기 코딩블록들(41,42)을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실행버튼(13)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카메라(21)는 상기 코딩블록들(41,42)의 상면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카메라(21)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을 검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2)는 사용자가 코딩블록들(41,42)을 통해 코딩한 프로그램의 순서를 제1행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을 따라 기능블록(41)의 순서대로, 제3행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을 따라 기능블록(41)의 순서대로, 제5행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을 따라 기능블록(41)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데, 만약, 제2행, 제4행, 제6행에 기능블록(41)과 결합된 제어블록(42)이 배치된 경우 해당 기능블록(41)의 동작을 제어블록(42)이 지정하는 동작방식에 따라 동작되도록 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30)은 상기 제어부(22)에서 생성한 동작신호를 상기 전송부(23)를 통해 전송받아 동작한다. 상기 로봇(3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전송부(23)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로봇(30)은 상기 제어부(22)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은 수신부(35)와 상기 수신부(35)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34)와, 상기 동작제어부(34)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31)와,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부(32)와,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LED 조명을 발생시키는 조명부(3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는 사용자가 코딩판(10)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블록들(41,42)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코딩하고 상기 실행버튼(13)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20)에서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신호를 상기 로봇(30)에 전송하여 상기 로봇(30)이 사용자의 코딩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따라서, 어린 아이와 같은 사용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코딩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 PDA 태블릿 PC)일 수 있으며, 노트북, 데스크탑 PC와 같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은 상기 로봇(30), 제어유닛(20)와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은 인터페이스 모듈(51), 제어 모듈(52), 통신 모듈(53)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의 코딩판과 각각의 블록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51)은 사용자 단말기에 블록 영역 및 코딩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코딩 영역은 복수 개의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코딩 포인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딩 영역은 코딩판(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코딩판(10)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와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에 해당하는 코딩 포인트의 위치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을 터치한 상태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해 코딩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53)은 상기 로봇(3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51)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이 배치되면 소정의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 모듈(53)로부터 상기 로봇(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52)은 사용자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에 대한 설정행위가 수행될 경우, 상기 코딩행위에 상응하도록 상기 로봇(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로봇(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블록들은 로봇(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코드가 시각화된 UI일 수 있다. 여기서, UI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며,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매개가 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배치된 블록에 소정의 설정행위를 수행하여, 로봇(30)의 동작에 대한 프로그램을 코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코딩교육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로봇(30)이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블록을 배치하여 로봇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코딩교육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제어유닛(20)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사용자가 코딩판(10)에 직접 블록을 배치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에 포함된 카메라(21)는 사용자에 의해 배치된 블록을 인식한다. 상기 제어유닛(20)에 포함된 전송부(23)는 인식한 블록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배치한 블록 정보에 해당되는 코딩 정보가 여러가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코딩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으며, 어린 아이와 같은 사용자는 자기가 코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의 코딩판과 기능블록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코딩판(10)은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삽입홈(14)이 형성되는데, 상기 블록삽입홈(14)에는 기능볼록 가이드 돌기(15)와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가 형성된다.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5)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물방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는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16)보다 작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볼록(41)의 하면에는 상기 기능볼록 가이드 돌기(15)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기능블록 가이드 홈(41b)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블록(42)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16)가 삽입될 수 있는 제어블록 가이드 홈(4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코딩판(10)에 코딩블록들(41,42)을 배치할 때 기능블록(41)과 제어블록(42)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블록(41)은 상면에 음표가 그려진 미리 설정된 음악이 나오는 기능블록과 같이 측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아 제어블록(42)과 결합되지 않는 것과, 상면에 화살표가 그려진 직진 기능블록과 같이 측면에 제어블록 결합홈(41a)이 형성되어 제어블록(42)과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능블록(41)의 각 기능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블록(42)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블록(42)은 상기 기능블록(41)과 결합되도록 측면에 기능블록 결합돌기(42a)가 형성된다. 이는 결합되는 제어블록(4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블록임을 사용자가 직감케 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코딩블록들(41,42)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로봇(30)은 상기 기능블록(4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한 후 직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직진하는 동작은 상기 제어블록(42)에 따라 2회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독특한 형태의 기능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기능블록(41)은 특정 음을 출력하는 기능블록(41)을 포함한다. 기능블록(41)은 상면에 음표가 그려져 있고, 상면에는 휠(41d)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41d)에는 개구(41e)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41e)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기능블록(41)의 상면에는 숫자가 1에서 7가지 그려져 있는데, 상기 휠(41d)을 회전함에 따라 각각 다른 숫자가 상기 개구(41e)를 통해 노출된다.
예를 들어, 숫자 1이 노출된 경우 '도', 숫자 2가 노출된 경우 '레', 숫자 3이 노출된 경우 '미'와 같이, 숫자에 따라 서로 다른 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41d)의 회전에 따라 노출되는 숫자를 통해 다른 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작곡도 할 수 있고 새로운 흥미도 느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에서 제공받는 코딩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에서 설명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50)은 본 발명의 코딩교육장치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6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60)은 상형 코딩창(61), 블록 코딩창(62), 텍스트 코딩창(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형 코딩창(61)은 코딩 블록의 형상이 제공되는 창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형 코딩창(61)에 표시되는 코딩 블록의 형상을 통해 어떠한 제어가 이루어질지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코딩창(62)은 상기 상형 코딩창(61)에 표시된 코딩 블록에 대응되는 코딩 정보의 명령 내용이 제공되는 창일 수 있다. 상기 블록 코딩창(62)에는 한글 또는 해당되는 나라의 언어로 코딩 내용이 가시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블록 코딩창(62)을 통해서 코딩 내용을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코딩창(63)은 상기 블록 코딩창(62)의 코딩 내용을 로봇이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보여주기 위해 제공되는 창일 수 있으며, 상기 텍스트 코딩창(63)에는 코딩 내용이 FORTRAN, COBOL, C, C++, JAVA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형 코딩창(61)에 표시된 코딩 블록의 형상을 통해서 대략적인 코딩 내용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코딩창(62)에 표시된 코딩 내용을 통해 가시적으로 직접적인 코딩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텍스트 코딩창(63)에 표시된 텍스트 언어를 통해서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60)은 사용자가 만든 블록 배치에 따라 코딩 정보, 내용, 언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연속적인 사용에 따라 코딩 정보가 계속적으로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된 코딩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이전에 수행했던 코딩 정보에 따라 해당 블록을 재배치하여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딩교육장치는 코딩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코딩의 내용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제공되어 보여짐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의 학습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코딩판
20; 제어유닛, 21: 카메라, 22: 제어부, 23: 전송부, 24: 전원부, 25: 수신부
30; 로봇, 31: 스피커, 32: 구동부, 33: 종명부, 34: 동작제어부, 35: 수신부
41; 기능블록, 42; 제어블록
50: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51: 인터페이스 모듈, 52: 제어 모듈, 53: 통신 모듈
60: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 61: 상형 코딩창, 62: 블록 코딩창, 63: 텍스트 코딩창

Claims (5)

  1. 다수의 코딩블록이 배치되는 코딩판;
    상기 코딩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딩판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상기 코딩판 및 상기 제어유닛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로봇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딩판에 배치된 다수의 코딩블록을 감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코딩 정보 히스토리 화면은 코딩 블록의 형상이 제공되는 상형 코딩창,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되는 코딩 내용이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블록 코딩창, 상기 블록 코딩창의 내용을 상기 로봇이 수행하는 명령어인 텍스트 형식의 언어로 제공하는 텍스트 코딩창을 포함하는 코딩교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판은 코딩블록들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블록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와, 상기 기능블록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블록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가 행마다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코딩블록들의 상면에 그려진 그림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은 상기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코딩교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블록 영역 및 코딩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코딩 영역은 코딩판에 배치된 상기 기능블록 가이드 돌기와 제어블록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코딩 포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영역에 배치된 블록을 드래그하여 상기 코딩 영역에 배치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로봇에 상기 코딩 영역에 배치된 블록의 코딩 정보를 상기 로봇으로 전송하는 코딩교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코딩창에는 상기 블록 코딩창에 표시된 해당 코딩 내용이 FORTRAN, COBOL, C, C++, JAVA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시되는 코딩교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블록은 상면에 개구가 형성된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능블록의 상면에는 음표가 그려지며, 상기 휠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에 다른 숫자들이 노출되는 코딩교육장치.
KR1020180159591A 2018-12-12 2018-12-12 코딩교육장치 KR10217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91A KR102175316B1 (ko) 2018-12-12 2018-12-12 코딩교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91A KR102175316B1 (ko) 2018-12-12 2018-12-12 코딩교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54A true KR20200071954A (ko) 2020-06-22
KR102175316B1 KR102175316B1 (ko) 2020-11-06

Family

ID=7114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91A KR102175316B1 (ko) 2018-12-12 2018-12-12 코딩교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3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64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레드브릭 블록 코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066764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비피 Diy 전자 키트를 통한 코딩 소스 교육 플랫폼 시스템
KR102416890B1 (ko) * 2021-02-09 2022-07-06 (주)브레인에이아이 코딩 및 인공지능 교육용 학습 키트
KR20220096040A (ko) * 2020-12-30 2022-07-07 정용비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KR102482841B1 (ko) * 2022-09-07 2022-12-30 주식회사 씨팩토리 인공지능 미러링 놀이 가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27B1 (ko) * 2014-05-07 2015-08-25 김진욱 블록을 이용한 알고리즘 교육 장치
KR101724230B1 (ko) * 2016-03-03 2017-04-06 전석주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JP6176870B2 (ja) * 2016-01-05 2017-08-09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コーディング玩具、ブロック、ステージ、形象体玩具及びコーディング方法
KR20170101402A (ko) * 2016-02-29 2017-09-06 씨어아이 주식회사 교육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037631A (ko) * 2016-10-04 2018-04-13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27B1 (ko) * 2014-05-07 2015-08-25 김진욱 블록을 이용한 알고리즘 교육 장치
JP6176870B2 (ja) * 2016-01-05 2017-08-09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コーディング玩具、ブロック、ステージ、形象体玩具及びコーディング方法
KR20170101402A (ko) * 2016-02-29 2017-09-06 씨어아이 주식회사 교육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724230B1 (ko) * 2016-03-03 2017-04-06 전석주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KR20180037631A (ko) * 2016-10-04 2018-04-13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64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레드브릭 블록 코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066764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비피 Diy 전자 키트를 통한 코딩 소스 교육 플랫폼 시스템
KR20220096040A (ko) * 2020-12-30 2022-07-07 정용비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KR102416890B1 (ko) * 2021-02-09 2022-07-06 (주)브레인에이아이 코딩 및 인공지능 교육용 학습 키트
KR102482841B1 (ko) * 2022-09-07 2022-12-30 주식회사 씨팩토리 인공지능 미러링 놀이 가방
WO2024054079A1 (ko) * 2022-09-07 2024-03-14 주식회사 씨팩토리 인공지능 미러링 놀이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316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1954A (ko) 코딩교육장치
JP6405392B2 (ja) ブロックを利用したアルゴリズム教育装置
CN101578568B (zh) 多指示笔注释系统
KR20180007199A (ko) 코딩교육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3092406A (zh) 用于触敏表面上的多压交互的系统和方法
CN102668390A (zh) 用于控制移动装置的输出的方法和系统
US20160034052A1 (en) Color input device and its application kit
WO2018180050A1 (ja) プログラミング装置及び記録媒体、プログラミング方法
US9459696B2 (en) Gesture-sensitive display
KR100679634B1 (ko) 아이콘 기반 로봇제어 프로그램 작성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168490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83091B1 (ko) 코딩교육장치
KR20170058339A (ko) 사물 인터넷 교육용 시스템
KR20160094102A (ko) 사물 인터넷 교육용 시스템
KR101697511B1 (ko)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US10824314B2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1216065A (ja) 入力装置、制御回路、電子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CN205388737U (zh) 一种钢琴手势识别操控系统
RU199838U1 (ru) Умная колонка с узлом для вывода визуа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повышенной четкости
KR1014245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37353B1 (ko)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KR102082919B1 (ko) 웹 기반 핵산 양가닥 절단 위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KR102543159B1 (ko) 전원 공급 및 위치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블록 및 이의 제어시스템
WO2020122171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
CN105446498A (zh) 具有提示功能的鼠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