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353B1 -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353B1
KR101437353B1 KR1020140048517A KR20140048517A KR101437353B1 KR 101437353 B1 KR101437353 B1 KR 101437353B1 KR 1020140048517 A KR1020140048517 A KR 1020140048517A KR 20140048517 A KR20140048517 A KR 20140048517A KR 101437353 B1 KR101437353 B1 KR 10143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unit
image
tablet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섭
Original Assignee
중원웰픽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웰픽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원웰픽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칠판에 판서하는 내용이 테블릿PC에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PC와 테블릿PC의 출력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성하여 전자칠판에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전자펜 또는 손으로 어느 화면을 터치하면 해당 화면이 큰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전자칠판의 전방 양측에 설치하여 사각이 없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판서하더라도 전자칠판에 판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전자칠판부재의 크기가변이나 곡면형 또는 구형 칠판부재에 대해서도 전자판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Electronic writte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칠판에 판서하는 내용이 테블릿PC에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PC와 테블릿PC의 출력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성하여 전자칠판에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전자펜 또는 손으로 어느 화면을 터치하면 해당 화면이 큰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전자칠판의 전방 양측에 설치하여 사각이 없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판서하더라도 전자칠판에 판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전자칠판부재의 크기가변이나 곡면형 또는 구형 칠판부재에 대해서도 전자판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판서 시스템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 1026738호가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 전자판서 시스템은 본체의 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제 1 내지 제 3 디스플레이부를 연달아 설치하고, 본체의 전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투광보드를 결합하여서 된 전자칠판부재와, 투광보드에 대고 판서할 때 적외선을 방사하는 전자펜과, 전자칠판부재의 전방 천정에 설치되어 전자펜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판서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영상처리제어수단에서 전송된 판서영상을 투광보드를 향해 조사하는 전자판서수단과, 멀티미디어기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제 1 내지 제 3 디스플레이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전자판서수단에서 감지되는 전자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판서영상을 생성하여 전자판서수단에 출력하며, 전자펜 또는 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을 원경제어하는 영상처리제어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전자칠판부재를 이루는 투광보드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전자판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마커펜을 이용하여 직접판서도 구현할 수 있고, 전자칠판 표면에 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자판서 또는 직접판서시 연속성있게 필기할 수 있으며, 전자판서시 전자펜의 위치를 전방에 설치된 전자판서수단에서 감지하여 전자판서가 구현됨에 따라 전체 전자칠판 영역에 대해 전자판서할 수 있고, 또한 전자칠판부재에 설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영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파노라마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고, 연결되어 있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전자칠판 전방 중앙에 1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자칠판의 양측 끝단 위치에서 판서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전자펜이 가려지면서 위치센서가 전자펜을 감지할 수 없게되어 전자판서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전자판서 시스템에서는 테블릿PC에서 전송되는 영상이 전자칠판에 출력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테블릿PC에서 사용자가 판서한 내용이 전자칠판에 표시되도록 구성하여 테블릿PC의 사용시 보다 편리하게 전자판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상적으로 학교 수업시 선생님은 전자칠판에서 판서 하면서 강의하고, 학생은 테블릿PC를 이용하여 강의내용을 보면서 질문사항이나 문제풀이를 테블릿PC 상에서 판서하면 그 테블릿PC에서의 판서내용이 전자칠판에 표시되어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자칠판에서 판서되는 내용이 테블릿PC에 표시되지 못함에 따라 학생들은 선생님의 판서내용을 별도의 노트에 적어 기록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 판서하는 내용이 테블릿PC에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PC와 테블릿PC의 출력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성하여 전자칠판에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전자펜 또는 손으로 어느 화면을 터치하면 해당 화면이 큰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전자칠판의 전방 양측에 설치하여 사각이 없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판서하더라도 전자칠판에 판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전자칠판부재의 크기가변이나 곡면형 또는 구형 칠판부재에 대해서도 전자판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본체(11)의 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를 설치하고, 본체(11)의 전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투광보드(12)를 결합하여서 된 전자칠판부재(1)와;
투광보드(12)에 대고 판서할 때 적외선을 방사하는 전자펜(2)과;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PC(3)와;
와이파이를 통해 데이타 교신기능을 갖고, 와이파이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테블릿PC(4)와;
PC(3)와 테블릿PC(4)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하며,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천정에 설치되어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판서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판서영상을 구성하여 투광보드(12)를 향해 조사하며, 판서영상을 테블릿PC(4)로 송신하여 전자판서 내용이 테블릿PC(4)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판서제어수단(5);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칠판에 판서하는 내용이 테블릿PC에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PC와 테블릿PC의 출력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성하여 전자칠판에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전자펜 또는 손으로 어느 화면을 터치하면 해당 화면이 큰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전자칠판의 전방 양측에 설치하여 사각이 없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판서하더라도 전자칠판에 판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자판서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
도 2 와 도 3 은 본 발명의 전자판서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서 전자칠판의 판서내용이 테블릿PC에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서 멀티화면 표시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 는 본 발명에서 2개의 위치센서를 설치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서 전자칠판부재의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체(11)의 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를 설치하고, 본체(11)의 전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투광보드(12)를 결합하여서 된 전자칠판부재(1)와;
투광보드(12)에 대고 판서할 때 적외선을 방사하는 전자펜(2)과;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PC(3)와;
와이파이를 통해 데이타 교신기능을 갖고, 와이파이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테블릿PC(4)와;
PC(3)와 테블릿PC(4)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하며,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천정에 설치되어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판서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판서영상을 구성하여 투광보드(12)를 향해 조사하며, 판서영상을 테블릿PC(4)로 송신하여 전자판서 내용이 테블릿PC(4)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판서제어수단(5);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칠판부재(1)는 교실의 전방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본체(11)의 내부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13)가 설치되고, 본체(11)의 전면에는 전체적으로 투광보드(12)를 설치한다.
투광보드(12)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실내의 학생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자판서제어수단(5)은,
테블릿PC(4)와 와이파이 무선교신하여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입력부(52)로 출력하는 와이파이모듈(51)과,
PC(3)와 테블릿PC(4)를 포함한 멀티미디어기기로 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입력부(52)와,
디스플레이부(13)로의 영상출력 및 전자판서, 멀티화면출력 기능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56)와,
상기 입력부(56)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처리부(53)와 영상출력부(54)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전자판서 기능 및 멀티화면 출력시 각 해당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57)와,
영상입력부(52)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영상출력부(54)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53)와,
영상처리부(5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에 공급하는 영상출력부(54)와,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천정에 케이스(67)를 설치하되, 케이스(67)의 저면부에 전자펜(2)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자펜의 위치정보를 위치판독부(63)로 출력하는 위치센서(61)와;
위치센서(61)로 부터 공급되는 전자펜 위치정보를 통해 투광보드(12)에서의 사용자 지시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62)와,
상기 위치판단부(62)에서 판단된 지시위치에 전자판서용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판서영상을 구성하여 프로젝터(64)로 출력하는 판서영상구성부(63)와,
상기 판서영상구성부(63)에서 출력된 판서영상을 투광보드(12)를 향해 조사하여 투광보드(12)에 전자펜(2)의 움직임을 추종하여 판서내용이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젝터(64)와,
판서영상구성부(63)에서 출력된 판서영상을 와이파이모듈(51)을 통해 테블릿PC(4)로 송신하는 송신부(65)
로 구성한다.
또한, 멀티화면구성을 위하여
제어부(57)의 제어에 따라 영상입력부(52)를 통해 입력되는 PC(3)와 테블릿PC(4)의 영상으로 멀티화면을 구성하여 영상처리부(53)로 출력하는 멀티화면구성부(65)와;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감지하여 위치판단부(62)로 출력하는 3차원 움직임센서(66)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7)는 멀티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출력된 상태에서 위치판단부(62)로 부터 전자펜(2) 또는 사용자의 손이 멀티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영역이 터치된 것이 입력될 경우 해당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 상에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양측에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위치센서(61a,61b)를 설치하여 사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위치판단부(62)는 2개의 위치센서(61a,61b) 중 어느 하나로 부터 전자펜(2) 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감지신호로 전자펜(2)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칠판부재(1)가 구형이거나 휘어진 형태, 또는 전자칠판부재의 크기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위치센서가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자판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판서 기능을 설명한다.
PC(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영상입력부(52)로 출력되고, 테블릿PC(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와이파이 모듈(51)로 전송되어 영상입력부(52)로 출력된다.
전자판서 기능시 사용자는 PC(3) 또는 테블릿PC(4)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전자칠판부재(1)에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은 입력부(56)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부(56) 조작에 의해 PC(3) 또는 테블릿PC(4)의 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5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영상처리부(53)로 출력되도록 영상입력부(52)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동작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영상처리부(53)로 출력되고, 영상처리부(53)는 입력되는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영상출력부(54)로 출력하고, 영상출력부(54)는 신호처리되어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하여 전자칠판부재(1)에 표시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전자펜(2)을 투광보드(12)에 대고 판서하면, 전자펜(2)으로 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위치센서(61)가 감지하여 위치판단부(62)로 출력하고, 위치판단부(62)는 위치센서(61)에서 감지된 전자펜(2)의 움직임 위치정보로서 전자펜(2)의 움직임위치정보를 판서영상구성부(63)로 출력하며, 판서영상구성부(63)는 움직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펜(2) 판서영상을 구성하여 프로젝터(64)로 출력하므로서, 프로젝터(64)가 판서영상을 투광보드(12)로 투사함에 따라 전자판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테블릿PC(4)에서 전송된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테블릿PC(4) 사용자가 테블릿PC(4) 내에 직접 판서를 하게되면 그 판서내용이 그대로 와이파이모듈(51)을 통해 영상입력부(52)로 전송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자펜(2)을 이용하여 전자칠판부재(1)에 판서할때 그 판서내용은 테블릿PC(4)에 표시될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칠판부재(1)에 판서되는 내용이 그대로 테블릿PC(4)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펜(2)으로 판서하게되면, 판서영상구성부(63)에 의해 판서영상이 구성되어 프로젝터(64)를 통해 투광보드(12)에 뿌려지게되는데, 이때, 판서영상구성부(63)에서 구성된 판서영상이 송신부(65)로 출력되고, 송신부(65)가 입력되는 판서영상을 와이파이모듈(51)을 통해 테블릿PC(4)로 전송함에 따라 테블릿PC(4)에 전자판서 내용이 도 4 와 같이 그대로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전자판서 내용이 테블릿PC(4)에 그대로 표시됨에 따라 테블릿PC(4)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별도로 판서내용을 적어두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로다른 운영체제(OS)로 작동하는 PC(3)와 테블릿PC(4)의 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성하여 한번에 전자칠판부재(1)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부(56) 조작에 의해 멀티화면 구성이 선택되면, 제어부(57)는 영상입력부(52)로 입력되는 PC(3)와 테블릿PC(4)의 출력영상이 모두 멀티화면구성부(55)로 공급되도록 하고, 멀티화면구성부(55)는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멀티화면을 구성하여 영상처리부(53)로 출력하므로서, 멀티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멀티화면이 도 5와 같이 A,B,C,D 화면으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펜(2) 또는 손으로 어느 하나의 화면영역을 터치하게되면, 전자펜(2)의 터치상태는 위치센서(61)에 의해 감지되어 위치판단부(62)로 출력되고, 손의 터치상태는 3차원움직임센서(66)에 의해 감지되어 위치판단부(62)로 출력되며, 위치판단부(62)는 위치센서(61) 또는 3차원 움직임센서(66)로 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로 터치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하며, 제어부(57)는 위치판단부(62)로 부터 전송되는 터치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멀티화면 중 어느 화면을 터치했는지를 판단한 후 해당 화면이 도 5 와 같이 전체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도 5 와 같이 A,B,C,D의 4개의 화면영역으로 멀티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펜(2) 또는 손으로 D 화면영역을 터치하게되면 제어부(57)가 현재 D화면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한 후 D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커지도록 제어하므로서, 사용자는 다른 기종의 영상기기로 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성하여 전자칠판부재에 화면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멀티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전체화면으로 크게 확대하여 출력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로서 PC(3)와 테블릿PC(4)가 사용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실물화상기, DVD, TV, VCR과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기기를 영상입력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화면 구현시 여러대의 테블릿PC(4)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멀티화면으로 구현할 수 있고, 복수의 테블릿PC(4)로 판서영상을 전송하여 전자판서 내용이 복수의 테블릿PC(4)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양측에 위치센서(61a)(61b)를 설치하여 사각 없이 전자펜(2)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6 과 같이 위치센서(61a)(61b)를 양측에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전자펜(2)으로 판서할 때 전자칠판부재(1)의 양측 부분에서 판서하더라도 2개의 위치센서(61a)(61b) 중 어느 하나의 위치센서가 전자펜(2)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게되므로 사각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복수의 위치센서(61a)(61b)를 사용할때, 위치판단부(62)는 2개의 위치센서 중 어느 하나로 부터 적외선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전자펜(2)의 이동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자칠판부재(1)의 형상 변형에 관계없이 전자판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자칠판부재(1)를 이루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가변되거나 도 7a와 같이 전자칠판부재(1)의 형상이 중간부분이 오목하게 파여진 휘어진 형태이거나, 또는 도 7b와 같이 전자칠판부재(1)의 형상이 구형일 경우 종래에는 전자펜(2)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어서 전자판서를 구현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자칠판부재(1)에 접촉되는 전자펜(2)의 위치를 전방에 설치된 위치센서(61)에서 감지하는 것이므로 전자칠판부재(1)의 크기변형이나 휘어진 형상 또는 구형상에 관계없이 전자판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1: 전자칠판부재, 2: 전자펜,
3: PC, 4: 테블릿 PC,
11: 본체, 12: 투광보드,
13: 디스플레이부, 51: 와이파이모듈,
52: 영상입력부, 53: 영상처리부,
54: 영상출력부, 55: 멀티화면구성부,
56: 입력부, 57: 제어부,
61: 위치센서, 62: 위치판단부,
63: 판서영상구성부, 64: 프로젝터,
65: 송신부, 66: 3차원 움직임센서,
67: 케이스,

Claims (5)

  1. 본체(11)의 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를 설치하고, 본체(11)의 전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투광보드(12)를 결합하여서 된 전자칠판부재(1)와;
    투광보드(12)에 대고 판서할 때 적외선을 방사하는 전자펜(2)과;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PC(3)와;
    와이파이를 통해 데이타 교신기능을 갖고, 와이파이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테블릿PC(4)와;
    PC(3)와 테블릿PC(4)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하며,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천정에 설치되어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판서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판서영상을 구성하여 투광보드(12)를 향해 조사하며, 판서영상을 테블릿PC(4)로 송신하여 전자판서 내용이 테블릿PC(4)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판서제어수단(5); 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자판서제어수단(5)은,
    테블릿PC(4)와 와이파이 무선교신하여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입력부(52)로 출력하는 와이파이모듈(51)과, PC(3)와 테블릿PC(4)를 포함한 멀티미디어기기로 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입력부(52)와, 디스플레이부(13)로의 영상출력 및 전자판서, 멀티화면출력 기능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56)와, 상기 입력부(56)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처리부(53)와 영상출력부(54)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전자판서 기능 및 멀티화면 출력시 각 해당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57)와, 영상입력부(52)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영상출력부(54)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53)와, 영상처리부(5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에 공급하는 영상출력부(54)와,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천정에 케이스(67)를 설치하되, 케이스(67)의 저면부에 전자펜(2)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자펜의 위치정보를 위치판독부(63)로 출력하는 위치센서(61)와, 위치센서(61)로 부터 공급되는 전자펜 위치정보를 통해 투광보드(12)에서의 사용자 지시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62)와, 상기 위치판단부(62)에서 판단된 지시위치에 전자판서용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판서영상을 구성하여 프로젝터(64)로 출력하는 판서영상구성부(63)와, 상기 판서영상구성부(63)에서 출력된 판서영상을 투광보드(12)를 향해 조사하여 투광보드(12)에 전자펜(2)의 움직임을 추종하여 판서내용이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젝터(64)와, 판서영상구성부(63)에서 출력된 판서영상을 와이파이모듈(51)을 통해 테블릿PC(4)로 송신하는 송신부(65)로 구성하되,
    전자칠판부재(1)의 전방 양측에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위치센서(61a,61b)를 설치하여 사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위치판단부(62)는 2개의 위치센서(61a,61b) 중 어느 하나로 부터 전자펜(2) 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감지신호로 전자펜(2)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화면구성을 위하여
    제어부(57)의 제어에 따라 영상입력부(52)를 통해 입력되는 이종의 운영체제로 구동하는 PC(3)와 테블릿PC(4)의 영상으로 멀티화면을 구성하여 영상처리부(53)로 출력하는 멀티화면구성부(65)와;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위치를 3차원적으로 감지하여 위치판단부(62)로 출력하는 3차원 움직임센서(66)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7)는 멀티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출력된 상태에서 위치판단부(62)로 부터 전자펜(2) 또는 사용자의 손이 멀티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영역이 터치된 것이 입력될 경우 해당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 상에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칠판부재(1)가 구형이거나 휘어진 형태, 또는 전자칠판부재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크기 가변의 경우에도 위치센서가 전자펜(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자판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KR1020140048517A 2014-04-23 2014-04-23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KR10143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7A KR101437353B1 (ko) 2014-04-23 2014-04-23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7A KR101437353B1 (ko) 2014-04-23 2014-04-23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353B1 true KR101437353B1 (ko) 2014-09-04

Family

ID=5175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517A KR101437353B1 (ko) 2014-04-23 2014-04-23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845A (ko) 2015-03-31 2016-10-10 박재현 윈도우에 따라 자동 조정이 가능한 판서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82B1 (ko) * 2008-03-04 2009-10-13 주식회사 다날시스템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판서방법
KR101026738B1 (ko) * 2010-11-30 2011-04-08 중원웰픽스주식회사 전자판서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터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82B1 (ko) * 2008-03-04 2009-10-13 주식회사 다날시스템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판서방법
KR101026738B1 (ko) * 2010-11-30 2011-04-08 중원웰픽스주식회사 전자판서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터치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845A (ko) 2015-03-31 2016-10-10 박재현 윈도우에 따라 자동 조정이 가능한 판서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0831B2 (en) Mobile handwriting recording instrument and group lecture delivery and response system using the same
AU2013351959B2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struction system
KR20100136529A (ko) 다중-양상 학습 시스템
KR20150035323A (ko)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47498B1 (ko)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870139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with remote device thereof
KR20140000436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53047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026738B1 (ko) 전자판서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터치 제어 시스템
CN106462222B (zh) 透明白板显示器
KR101047290B1 (ko) 프로젝터 제어 기능이 부가된 펜트레이를 갖는 전자 칠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37353B1 (ko) 가변형 전자판서제어 시스템
JP2019133690A (ja) 物理的タイプの対話性を再現する通信のシステム及び方法
Cheong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kinect-based technology-enhanced teaching classroom
US11231850B1 (en) Hybrid digital and physical writing surface with transformational ink effects
KR100985197B1 (ko) 강사 추적 카메라와 전자 칠판을 이용한 수업 분석 시스템
Kudale et 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model based virtual whiteboard: A review
KR20120044057A (ko) 전자 칠판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칠판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 및 시스템
KR1020231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착탈식 터치 패널 장치
TWI476678B (zh) 互動式模擬球體顯示系統
WO2012002915A1 (en) Computer integrated presentation device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KR20170039345A (ko) 전자펜 시스템
JP7429831B2 (ja) マルチ電子ペンを活用した電子黒板
US20140375613A1 (en) Object location de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