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829A -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29A
KR20200071829A KR1020180153108A KR20180153108A KR20200071829A KR 20200071829 A KR20200071829 A KR 20200071829A KR 1020180153108 A KR1020180153108 A KR 1020180153108A KR 20180153108 A KR20180153108 A KR 20180153108A KR 20200071829 A KR20200071829 A KR 2020007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wasps
harmful
image
attr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실
Original Assignee
이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실 filed Critical 이진실
Priority to KR102018015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829A/ko
Publication of KR2020007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H04L29/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Zo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벌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말벌 유인 포획기; 상기 말벌 유인 포획기에 포획된 말벌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말벌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 및 전송된 영상을 판독하여 유해성 말벌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말벌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IoT system for monitering a wasp}
본 발명은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 생태계에서 꿀벌은 하우스시설, 과수 등의 농업에 필요한 꽃가루 수정과 화분, 꿀 등의 양봉에 꼭 필수적인 곤충이나 말벌에 의해 공격을 당하여 잡아 먹히거나 말벌 새끼들의 먹이가 되고 있다. 전 세계의 기후온난화와 무역 증대로 인하여 등검은말벌이라는 외래종이 새로 유입되었는데, 국내에 존재하고 있는 토종 말벌들과의 활동 패턴이 다르고 천적이 없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벌통 주변에 등검은말벌집이 있으면 두세 시간 안에 꿀벌을 전멸시킬 수 있으며 사람을 죽일 수 있을 정도의 독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양봉인들은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벌통에 접근하는 말벌을 파리채 같은 도구로 타격하여 죽이거나 끈끈이와 같은 부착식, 말벌 접근 방지를 위한 그물망 설치, 유인제를 이용한 유인식 포획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말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곤충을 유인물질로 유인한 후 포획통을 이용해 포획하는 기술의 예로, 등록특허 10-1438976호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유해 곤충의 유인제를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외부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되는 유인제수납통을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에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역이동방지 게이트를 설치하며, 상기 유인제수납통의 상부측에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로용 망체를 씌우고, 이동로용 망체의 주위를 포위하는 포획망체와 고정덮개로 구성되는 유해곤충류 유인 친환경 포획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포획기는 유인제의 휘산을 촉진하는 기능이 없고, 시각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수단이 없어 말벌을 유인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외래종 등검은말벌의 습성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아 등검은말벌을 포획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822029호에서는 뚜껑이 개방된 꿀벌통, 상기 개방된 꿀벌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꿀벌의 출입을 차단하고 벌통의 냄새와 소리를 상부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벌통에 사용된 소비와 유인제가 담긴 유인제 케이스가 수용되며, 측면에 말벌출입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계상통, 상기 계상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포획통 결합홀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계상통 뚜껑, 하부에 상기 계상 뚜껑과 결합되는 테두리가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 밑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바닥이 막히고, 상기 바닥 주변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 측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포획통, 상기 포획통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구, 상기 포획통 상부의 타측에 형성된 탈출구 및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삽입되는 리브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리브에는 상기 연통구와 탈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 개폐관과 탈출구 개폐관이 연장 형성되어 커버를 돌려놓는 위치에 따라 연통구와 탈출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포획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포획기는 꿀벌통을 이용함으로써 꿀벌통의 표준적 사이즈 이상의 크기로 제작되어 소형화가 어려우며, 꿀벌통을 하나 희생시킴으로써 생기는 경제적 손실과 말벌의 시각적인 습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한편, 양농농가 주변에 말벌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면, 즉각적이고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말벌 유인 포획기를 이용하여 주변의 말벌을 유인, 포획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즉각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으므로, 양봉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말벌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말벌 유인 포획기; 상기 말벌 유인 포획기에 포획된 말벌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말벌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 및 전송된 영상을 판독하여 유해성 말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말벌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말벌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 촬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말벌 유인 포획기는, 윗면에 연결용 고리가 형성된 덮개(150); 상기 덮개(1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이격볼트(210)에 의해 상부가 결합되고, 육각뿔대통 형상의 상부에 말벌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턱이 형성된 상부 포획통(200); 상기 상부 포획통(200)의 외측에 부착된 꿀벌이미지와 렌티큘라 필름(230); 상기 말벌유입구에 결합되어 유인된 말벌의 탈출을 방지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깔때기형 탈출방지 콘1(250); 상기 상부 포획통(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연통관(320)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육각뿔대통이 뒤집힌 형상의 하부 포획통(300); 상기 하부 포획통(300)의 외측에 형성된 연통돌기(550)에 착탈으로 결합되고, 측방에 다수의 탈출공(530)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530)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하는 다수의 선별채집통(500); 상기 하부 포획통(300)의 내부에 충전된 유인제; 및 상기 유인제의 상부에 부유되도록 설치되는 익사방지구(700)로 이루어져 말벌이 유인제의 냄새, 벌통과 유사한 온도 및 렌티큘라 필름에 나타나는 동적인 꿀벌이미지에 현혹되어 내부로 유인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에 따르면, 말벌 유인 포획기를 이용하여 주변의 말벌을 유인, 포획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즉각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으므로, 양봉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 및 추가적 효과에 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유인 포획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유인 포획기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덮개와 상부 포획통이 결합된 윗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덮개와 상부 포획통이 결합된 아랫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 포획통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익사방지구의 위와 아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별채집통의 설명도
도 8은 상부포획통의 측면에 부착된 렌티큘러 이미지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은 말벌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말벌 유인 포획기; 상기 말벌 유인 포획기에 포획된 말벌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말벌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 및 전송된 영상을 판독하여 유해성 말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말벌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말벌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 촬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유인 포획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유인 포획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유인 포획기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덮개와 상부 포획통이 결합된 윗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덮개와 상부 포획통이 결합된 아랫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 포획통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익사방지구의 위와 아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선별채집통의 설명도이고, 도 8은 상부포획통의 측면에 부착된 렌티큘러 이미지이다.
벌의 눈은 홑눈이 수천 개가 모인 겹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각이 특히 발달해 노랑, 녹색, 파랑, 자외선 등을 구별할 수 있으며, 물체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발명은 벌이 사물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을 이용해 꿀벌집에 앉아 있는 꿀벌의 사진 위에 렌티큘러 필름을 부착하여 꿀벌의 이미지가 보는 각도에 따라 움직이게 보이도록 하여 꿀벌의 허상을 이용해 말벌을 유인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크게 덮개(150), 상부 포획통(200), 하부 포획통(300), 하부 포획통(300)의 측면에 결합된 다수의 선별채집통(500)과 하부 포획통(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익사방지구(7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말벌유인 포획기를 지지하고, 우천시 비를 막아주기 위한 육각 판 형상의 덮개(150)가 상부에 있으며, 덮개(150)의 상부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된 연결용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말벌유인 포획기를 걸어두기 위한 연결줄이 결합된다. 본 발명은 렌티큘라 이미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약간씩 흔들리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연결줄을 기둥이나 나무줄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흔들릴 수 있는 상태로 걸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5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160)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열선(280), 센서, 콘트롤유닛(270)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한다.
덮개(150)의 하부에는 상부 포획통(200)이 3 ~ 4개의 이격볼트(210)에 의해 결합된다. 이격볼트(210)는 일정한 길이의 원통의 상하부에 볼트가 각각 고정된 것으로 상하부에는 각각 고정너트(170)에 의해 부착되는 물건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고정할 수 있다.
상부 포획통(200)은 육각뿔대통의 형상의 상협하광으로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부면은 착륙판(220)으로 말벌이 내부에 들어가기 위해 착륙하는 장소이고, 가운데에는 말벌 유입구가 형성된다. 말벌 유입구의 주변에는 유인액을 넣어 두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말벌을 널리 유혹하는 유인제가 투입된다. 상부 포획통(20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하부 포획통(300)과 결합을 위해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볼트 등에 의해 하부 포획통(300)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포획통(200)의 외측에 있는 6개의 면에는 말벌을 시각적으로 유인하기 위애 벌집에 앉은 꿀벌의 이미지가 부착되고 그 외부에는 렌티큘라 필름이 부착되어 보는 각도에 따라 꿀벌이 움직이는 것처럼 착시가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착륙판(220)의 말벌유입구에는 유인된 말벌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깔대기형 탈출방지 콘1(250)이 결합된다. 포획통에 진입한 말벌은 탈출방지 콘1의 출구가 좁아 날아서 탈출할 수도 없고, 매끄럽고 좁은 탈출방지 콘1의 돌출부분에 앉을 수도 없게 된다.
상부 포획통(200)의 내부에는 상기 덮개(150)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전선으로 연결된 충전식 배터리(260)가 결합되고, 배터리의 양측에는 열선(280)과 온도센서(290)가 각각 설치되며, 온도센서(290)의 외기 온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주간에 외기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하일 때 열선(28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유닛(270)이 설치된다. 태양전지판과 배터리(260)를 연결하는 전선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이격볼트(210)의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포획통(300)은 상광하협의 육각뿔대통의 형상으로 말벌을 가두어 두는 곳으로, 말벌은 밝은 곳을 선호하므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포획통(300)의 상단에는 상부 포획통(200)의 결합턱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너트를 매립시켜두면 사용시 결합과 분리가 반복되더라도 결합턱의 훼손을 막을 수 있다.
상부 포획통(200)의 측면 상부에는 복수의 연통관(320)이 돌출 형성되어 병의 형상으로 말벌을 최종적으로 채집하기 위한 선별채집통(500)과 결합된다. 연통관(320)은 육각형의 하부 포획통(300)의 각 면에 6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집되는 말벌의 양에 따라 6개의 연통관(320)에 2개 내지 6개의 선별채집통(500)이 결합될 수 있고, 선별채집통(500)과 연결되지 않는 연통관(320)을 막아 두기 위해 연통관(320)의 상부에 가로슬롯(35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되는 선별채집통(500)을 고정하기 위해 “ㄱ”자형 세로슬롯(360)이 형성되어, 사용되지 않는 연통관(320)의 가로슬롯(350)에 별도의 차단판(400)을 삽입하여 출구를 막도록 하고, 선별채집통(500)의 주둥이 내부에 돌기(550)가 형성되어, 선별 채집통(500)을 연통구에 삽입한 후 돌려서 연통관(320)에 잠글 수 있도록 한다.
선별채집통(500)에 진입한 말벌이 포획통으로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상기 선별채집통(500)의 입구에는 깔때기 형상의 탈출방지 콘2(600)를 결합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별채집통(500)을 분리했을 때에도 탈출방지 콘2(600)가 말벌의 탈출을 막아 말벌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선별채집통(500)의 외측에는 말벌의 크기보다 작은 다수의 탈출공(530)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530)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되고, 작은 곤충들은 탈출공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탈출공(530)의 하부에는 꿀벌을 포함한 곤충이 착륙할 수 있는 착지판을 형성하여 선별채집통(500)에 진입한 곤충이 말벌을 피해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포획통(300)의 내부 바닥에는 환상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소량의 유인제가 담겨지는 컵형상의 유인액 접시부(380)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유인제는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을 말한다. 유인에는 산란 유인, 식물 유인, 성(性)유인의 3종이 있는데, 실제로는 그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즉 유인제와 살충제를 가한 모이로 유인 살충하거나 유인해서 트랩 등의 기계적 방법으로 포살할 수 있고, 식초와 설탕을 섞어 파리를 포살하는 것은 실제로 행해지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오이게놀과 게라니올이 사용되었다. 메틸오이게놀은 밀감파리를 유인할 수 있고, 지방산의 알코올에스테르에는 많은 곤충이 유인된다. 방향족 케톤도 유인성이 있다고 하며, 벼 속에서도 이화명충의 유인 물질이 발견되고 있고 과실을 습격하는 들벌레의 유인제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말벌의 유인제로는 흔히 페로몬이 사용되고 있다.
양이 많은 액상의 유인제를 사용하여 장기간에 말벌을 포획할 경우에 말벌이 유인제에 빠져 죽어 사용가치가 없어질 수 있으므로, 유인액의 상부에 부유하는 익사방지구(7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방지구(70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는 복수의 뜰 수 있는 부유구(730)가 부착되고, 판의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휘산구멍(76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심지(750)가 결합되며, 심지(750)의 상부에는 심지(750)가 넓게 펴진 수술이 형성되어 유인제가 휘산구멍과 심지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부로 휘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말벌유인 포획기는 벌통에서 일하는 꿀벌의 생동감 있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렌티큘러 필름을 이용해 말벌에게 시각적 착오를 일으키고, 꿀벌통의 온도와 비슷한 온도를 만들어 꿀벌의 실물이 없어도 말벌을 속일 수 있으며, 유인제 수납용기의 확대와 채집통의 크기 및 개수를 가변할 수 있어 일시에 많은 말벌이 포획되더라도 수용이 가능하고, 실수로 함께 들어온 꿀벌이나 곤충이 채집통에 마련된 작은 구멍을 통해 나갈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양봉장에 많은 피해를 주는 말벌을 안전하고 손쉬우면서 친환경적으로 포획하여 건강보조식품 및 연구, 학술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말벌 포획기 150 : 덮개
160 : 태양전지 170 : 고정너트
180 : 연결고리 190 : 연결줄
200: 상부 포획통 210 : 이격볼트
220 : 착륙판 230 : 렌티큘러 필름
240 : 유인액 홈 250 : 탈출방지 콘1
260 : 충전식 배터리 270 : 콘트롤유닛
280 : 열선 290 : 온도센서
300 : 하부 포획통 320 : 연통관
350 : 가로슬롯 360 : 세로슬롯)
380 : 유인액 접시부 400 : 차단판
500 : 선별채집통 530 : 탈출공
550 : 돌기 600 : 탈출방지 콘2
700 : 익사방지구 730 : 부유구
750 : 심지 760 : 휘산구멍
780 : 수술부

Claims (3)

  1. 말벌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말벌 유인 포획기;
    상기 말벌 유인 포획기에 포획된 말벌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말벌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 및
    전송된 영상을 판독하여 유해성 말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말벌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말벌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이 감지된 경우에 촬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유인 포획기는,
    윗면에 연결용 고리가 형성된 덮개(150);
    상기 덮개(1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이격볼트(210)에 의해 상부가 결합되고, 육각뿔대통 형상의 상부에 말벌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턱이 형성된 상부 포획통(200);
    상기 상부 포획통(200)의 외측에 부착된 꿀벌이미지와 렌티큘라 필름(230);
    상기 말벌유입구에 결합되어 유인된 말벌의 탈출을 방지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깔때기형 탈출방지 콘1(250);
    상기 상부 포획통(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연통관(320)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육각뿔대통이 뒤집힌 형상의 하부 포획통(300);
    상기 하부 포획통(300)의 외측에 형성된 연통돌기(550)에 착탈으로 결합되고, 측방에 다수의 탈출공(530)이 형성되어 몸집이 상기 탈출공(530)보다 큰 해충만 선별하여 채집하는 다수의 선별채집통(500);
    상기 하부 포획통(300)의 내부에 충전된 유인제; 및
    상기 유인제의 상부에 부유되도록 설치되는 익사방지구(700)로 이루어져 말벌이 유인제의 냄새, 벌통과 유사한 온도 및 렌티큘라 필름에 나타나는 동적인 꿀벌이미지에 현혹되어 내부로 유인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KR1020180153108A 2018-11-30 2018-11-30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KR20200071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08A KR20200071829A (ko) 2018-11-30 2018-11-30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08A KR20200071829A (ko) 2018-11-30 2018-11-30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29A true KR20200071829A (ko) 2020-06-22

Family

ID=7114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108A KR20200071829A (ko) 2018-11-30 2018-11-30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18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3470A (zh) * 2020-08-11 2020-09-29 烟台市畜牧兽医工作站 一种活体蜜蜂的采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3470A (zh) * 2020-08-11 2020-09-29 烟台市畜牧兽医工作站 一种活体蜜蜂的采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486B1 (ko) 시각, 후각과 온도습성을 이용한 말벌유인 포획기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US5522171A (en) Insect trap
US6301827B1 (en) Japanese beetle trap
CN114097762B (zh) 诱卵器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20130069909A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Weinzierl et al. Insect attractants and traps
US5992087A (en) Whitefly trap
US6772556B1 (en) Insect trap
EP2375891B1 (en) Trapping device for frugivorous insects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WO2017077161A1 (es) Dispositivo capturador de avispas
KR20200071829A (ko)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US2024000845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est denial, apiary monitoring and management
KR20170139389A (ko) 땅 속 매립식 해충 포집기
KR102610579B1 (ko) 해충 포획장치
CA2073163A1 (en) Original winnipeg or canadian backyard mosquito trap
KR20070004278A (ko) 파리 유인 및 박멸용 트랩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0984632B1 (ko) 해충 유인 포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