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713A -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713A
KR20200071713A KR1020200069307A KR20200069307A KR20200071713A KR 20200071713 A KR20200071713 A KR 20200071713A KR 1020200069307 A KR1020200069307 A KR 1020200069307A KR 20200069307 A KR20200069307 A KR 20200069307A KR 20200071713 A KR20200071713 A KR 2020007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vehicle
steering angle
storage unit
driving traj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476B1 (ko
KR102356476B9 (ko
Inventor
김제석
김정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393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6503B1/ko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4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476B1/ko
Publication of KR10235647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47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36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4Yaw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4Y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차량의 전진주행 시 생성한 주행궤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행궤적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지 또는 후진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차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차량의 전진주행 궤적을 생성하여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차량이 후진주행인 경우,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된 주행궤적 데이터 및 상기 자차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BACKWARD DRIVING ASSIST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진주행 시 저장된 주행궤적에 따라 후진주행 할 경우 추측항법을 통해 자차위치를 추정하여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고, 전진주행 시 설정거리마다 생성된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 매개변수 형태로 보간하여 저장하며, 후진주행 시 전진주행할 때 입력한 조향각 명령을 피드포워드 요소로 사용하여 수렴속도를 향상시킨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진주행 시 전진주행과 차량의 이동궤적이 상이해 운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운전자가 많다. 이는 차량의 후진주행 시 백미러와 사이드미러를 이용하더라도 사각지역이 있어 운전자는 빈번하게 후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장애물을 확인하고 다시 조향과 가속이나 감속 패달을 밟아 후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좁은 골목길에서 주행하거나 주차 공간이 협소한 주차장 등에서 주행 시 마주 오는 차량과 마주치는 등으로 인해 더 이상 앞으로 주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왔던 경로를 후진으로 주행하여야 하는데 초보 운전자나 운전 미숙자의 경우 이러한 협소한 공간에서의 후진 주행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을 느껴 전진하지도 후진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차된 차량이 많은 좁은 공간에서 회전 중 주차된 차량 혹은 벽에 차체 접촉이 발생 시 추가적인 차량 손상을 방지하려면 차량을 선회하던 경로를 따라 동일하게 후진시켜야 하는데 운전 미숙자의 경우 어찌할 바를 몰라 차량에 더 큰 손상을 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차량이 후진할 때 보조해 주는 장치로는 PAS(Parking Assist System)와 PGS(Parking Guide System) 및 후방 모니터 등이 있다.
후방 모니터의 경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좌우 측면을 모니터할 수 있는 시야 확보에 한계가 있으며, PAS 및 PGS의 경우 지속적인 경보음을 발생하므로 운전자에게 오히려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길에서의 후진 시에는 핸들이 조금씩 좌/우로 틀어지게 되어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PAS 및 PGS와 같은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후측방 경보 시스템은 주행 중 차선변경 시 일정거리(예를 들면, 7m) 이내에 후방 및 측방에서 차량의 존재 유무를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경보하여 주는 시스템으로, 골목길이나 협로에서 후진주행 시에 후진주행을 보조하는 장치로 이용하기에는 적당하지 못하며, 또한 레이더 센서와 같은 후측방 센서가 없이는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7823호(2015.07.08. 공개, 차량의 자동 후진 경로 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후진경로 제어 시스템에서는 전진주행 시 생성한 주행궤적 데이터를 일정거리 간격으로 순서대로 저장한 후 후진주행 시 전진 주행시 저장한 순서의 역순으로 주행궤적 데이터를 획득하여 후진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전진주행과 후진주행은 차량의 구성상 회전반경이 달라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만을 이용하여 전진주행 경로와 동일하게 후진주행 경로를 제어할 경우 오차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진주행 시 저장된 주행궤적에 따라 후진주행 할 경우 추측항법을 통해 자차위치를 추정하여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고, 전진주행 시 설정거리마다 생성된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 매개변수 형태로 보간하여 저장하며, 후진주행 시 전진주행할 때 입력한 조향각 명령을 피드포워드 요소로 사용하여 수렴속도를 향상시킨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차량의 전진주행 시 생성한 주행궤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행궤적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지 또는 후진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차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차량의 전진주행 궤적을 생성하여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차량이 후진주행인 경우,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된 주행궤적 데이터 및 상기 자차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차륜의 휠펄스를 카운트하여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센서, 조향휠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 센서 및 주행 시 상기 차량의 기울어진 요레이트값을 측정하는 요레이트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진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속센서의 상기 휠펄스 카운트와 상기 조향각 센서의 상기 조향각과 상기 요레이트 센서의 상기 요레이트값을 매칭시켜 자차위치를 추정하고, 설정거리 간격으로 생성한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후진주행 시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고, 상기 목표 조향각을 MDPS 제어부로 출력하여 상기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는, 링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3차 곡선함수로 보간한 후 곡선함수 파라미터를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고, 상기 조향각과 상기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여 상기 절대 변화량과 상기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상기 자차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와 상기 자차위치를 기반으로 PID 제어를 수행하면서 전진주행 시 입력된 상기 조향각을 피드포워드(FeedFoward)하여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센서의 상기 휠펄스 카운트와 상기 조향각 센서의 조향각과 상기 요레이트 센서의 상기 요레이트값을 매칭시켜 상기 자차위치를 추정하는 자차위치 추정부; 전진주행하는 동안 설정거리 간격으로 상기 자차위치 추정부로부터 추정된 상기 자차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가 설정개수 이상으로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상기 곡선함수의 파라미터와 함께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진궤적 관리부; 후진주행 시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산출하는 오차 산출부; 및 상기 오차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로부터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는 경로 추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궤적 관리부는,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가 가득차면 가장 오래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최신 위치 데이터로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차량이 전진주행인지 또는 후진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 경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부에서 자차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추정된 자차위치 데이터를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후진주행인 경우,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된 주행궤적 데이터 및 상기 자차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어부에서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차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차속센서의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조향각 센서의 조향각과 요레이트 센서의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절대 변화량과 상기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상기 자차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정된 자차위치 데이터를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설정거리 간격으로 생성한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해서 MDPS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해서 MDPS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와 상기 자차위치를 기반으로 PID 제어를 수행하면서 전진주행 시 입력된 조향각을 피드포워드(FeedFoward)하여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진주행 시 저장된 주행궤적에 따라 후진주행 할 경우 추측항법을 통해 자차위치를 추정하여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고, 전진주행 시 설정거리마다 생성된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 매개변수 형태로 보간하여 주행궤적 데이터를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저장하며, 후진주행 시 전진주행할 때 입력한 조향각 명령을 피드포워드 요소로 사용하여 수렴속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이한 후진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에서 주행궤적 저장부를 나타낸 링버퍼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전진주행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후진주행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에서 주행궤적 저장부를 나타낸 링버퍼 구조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는, 차속센서(10), 조향각 센서(20), 요레이트 센서(30), 주행궤적 저장부(6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속센서(10)는 차륜의 휠펄스를 카운트하여 차속과 이동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휠펄스 카운트를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조향각 센서(20)는 차량의 조향휠이 회전한 조향각을 측정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요레이트 센서(30)는 주행 시 차량의 기울어진 요레이트값을 측정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횡방향 변화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궤적 저장부(60)는 전진주행 시 생성한 주행궤적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주행궤적 저장부(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버퍼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링버퍼가 가득차면 다시 처음 위치부터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가장 오래된 데이터부터 최신 데이터로 갱신되어 저장된다.
제어부(50)는 변속레버 감지부(40)로부터 변속레버의 위치를 판단하여 전진주행인 경우, 전진주행하는 동안 차속센서(10)의 휠펄스 카운트와 조향각 센서(20)의 조향각과 요레이트 센서(30)의 요레이트값을 매칭시켜 자차위치를 추정하고 설정거리 간격으로 생성한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곡선함수의 파라미터와 함께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50)는 변속레버 감지부(40)로부터 변속레버의 위치를 판단하여 후진주행인 경우, 주행궤적 저장부(60)로부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며, 목표 조향각을 MDPS 제어부(7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자차위치 추정부(52), 전진궤적 관리부(54), 오차 산출부(56) 및 경로 추종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자차위치 추정부(52)는 차속센서(10)의 휠펄스 카운트와 조향각 센서(20)의 조향각과 요레이트 센서(30)의 요레이트값을 매칭시켜 자차위치를 추측항법(Dead Reckoning)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추측항법에서는 측정값의 변화량을 적분하여 위치를 추정하기 때문에 이동거리가 늘어날수록 오차가 더 많이 누적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고, 조향각과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여 절대 변화량과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자차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누적오차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진궤적 관리부(54)는 전진주행하는 동안 설정거리 간격으로 자차위치 추정부(52)로부터 추정된 자차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저장하고, 위치 데이터가 설정개수 이상으로 주행궤적 데이터가 생성되면 주행궤적 데이터를 3차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곡선함수의 파라미터와 함께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이산적인 주행궤적 데이터를 3차 곡선함수로 보간함으로써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실제 차량의 궤적을 최소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전진궤적 관리부(54)는 주행궤적 저장부(60)가 도 2와 같이 링버퍼 구조를 갖고 있어, 링버퍼가 가득차면 가장 오래된 위치 데이터(P5)로부터 최신 위치 데이터(Pn+1)로 갱신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오차 산출부(56)는 후진주행 시 주행궤적 저장부(60)로부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산출한다.
경로 추종부(58)는 오차 산출부(56)에서 산출된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주행궤적 데이터로부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여 MDPS 제어부(70)로 출력한다.
여기서 경로 추종부(58)는 주행궤적 데이터와 자차위치를 기반으로 PID 제어를 수행하면서 전진주행 시 입력된 조향각을 피드포워드(FeedFoward)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함으로써 후진주행 시 주행궤적 데이터와 자차위치에 따른 방향각 오차를 0으로 빠르게 수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MDPS 제어부(70)는 목표 조향각에 따라 구동모터(미도시)를 작동시켜 조향휠(미도시)을 회전시켜 후진주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에 따르면, 전진주행 시 저장된 주행궤적에 따라 후진주행 할 경우 추측항법을 통해 자차위치를 추정하여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고, 전진주행 시 설정거리마다 생성된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 매개변수 형태로 보간하여 주행궤적 데이터를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저장하며, 후진주행 시 전진주행할 때 입력한 조향각 명령을 피드포워드 요소로 사용하여 수렴속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이한 후진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전진주행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어부(50)가 변속레버 감지부(40)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를 입력받아 전진주행인 경우 설정거리 간격으로 자차위치를 추정한다(S30).
여기서 제어부(50)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차속센서(10)의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고, 조향각 센서(20)의 조향각과 요레이트 센서(30)의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여 절대 변화량과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자차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함으로써 추측항법(Dead Reckoning)에서 이동거리가 늘어날수록 오차가 더 많이 누적되는 누적오차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자차위치를 추정한 후 제어부(50)는 추정된 자차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S32).
예를 들어, 주행궤적 저장부(60)가 도 2와 같이 링버퍼 구조를 갖는 경우, 제어부(50)는 링버퍼가 가득차면 가장 오래된 위치 데이터(P5)로부터 최신 위치 데이터(Pn+1)로 갱신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S32 단계에서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위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제어부(50)는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저장된 위치 데이터가 설정개수 이상으로 주행궤적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산적인 주행궤적 데이터를 3차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표현한다(S34).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이산적으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3차 곡선함수로 보간함으로써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표현하면서 실제 차량의 주행궤적을 최소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S34 단계에서 3차 곡선함수로 주행궤적 데이터를 보간한 후 제어부(50)는 곡선함수의 파라미터와 함께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저장한다(S36).
이와 같은 과정은 전진주행하는 동안 계속해서 주행궤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주행궤적 저장부(60)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후진주행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어부(50)가 변속레버 감지부(40)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를 입력받아 후진주행인 경우 주행궤적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하고 주행궤적 저장부(60)로부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온다(S40).
S40 단계에서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온 후 제어부(50)는 차속센서(10), 조향각 센서(20) 및 요레이트 센서(30)로부터 각각 휠펄스 카운트, 조향각 및 요레이트값을 입력받아 자차위치를 추정한다(S42).
여기서 자차위치는 제어부(50)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차속센서(10)의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고, 조향각 센서(20)의 조향각과 요레이트 센서(30)의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여 절대 변화량과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추정할 수 있다.
S42 단계에서 자차위치를 추정한 후 제어부(50)는 주행궤적 데이터와 자차위치의 방향각 오차를 산출한다(S44).
S44 단계에서 방향각 오차를 산출한 후 제어부(50)는 주행궤적 데이터와 자차위치를 기반으로 PID 제어를 수행하면서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고, 여기에 전진주행 시 입력된 조향각을 피드포워드(FeedFoward)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여 방향각 오차를 0으로 빠르게 수렴하도록 한다(S46).
S46 단계에서 생성된 목표 조향각에 대해 제어부(50)가 MDPS 제어부(70)로 출력함으로써 MDPS 제어부(70)에서 목표 조향각에 따라 구동모터(미도시)를 작동시켜 조향휠을 회전시켜 후진주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S4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전진주행 시 저장된 주행궤적에 따라 후진주행 할 경우 추측항법을 통해 자차위치를 추정하여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고, 전진주행 시 설정거리마다 생성된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 매개변수 형태로 보간하여 주행궤적 데이터를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저장하며, 후진주행 시 전진주행할 때 입력한 조향각 명령을 피드포워드 요소로 사용하여 수렴속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이한 후진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속센서 20 : 조향각 센서
30 : 요레이트 센서 40 : 변속레버 감지부
50 : 제어부 52 : 자차위치 추정부
54 : 전진궤적 관리부 56 : 오차 산출부
58 : 경로 추종부 60 : 주행궤적 저장부
70 : MDPS 제어부

Claims (15)

  1. 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차량의 전진주행 시 생성한 주행궤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행궤적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지 또는 후진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차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차량의 전진주행 궤적을 생성하여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차량이 후진주행인 경우,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된 주행궤적 데이터 및 상기 자차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륜의 휠펄스를 카운트하여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센서, 조향휠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 센서 및 주행 시 상기 차량의 기울어진 요레이트값을 측정하는 요레이트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진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속센서의 상기 휠펄스 카운트와 상기 조향각 센서의 상기 조향각과 상기 요레이트 센서의 상기 요레이트값을 매칭시켜 자차위치를 추정하고, 설정거리 간격으로 생성한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후진주행 시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고, 상기 목표 조향각을 MDPS 제어부로 출력하여 상기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는, 링버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3차 곡선함수로 보간한 후 곡선함수 파라미터를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고, 상기 조향각과 상기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여 상기 절대 변화량과 상기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상기 자차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와 상기 자차위치를 기반으로 PID 제어를 수행하면서 전진주행 시 입력된 상기 조향각을 피드포워드(FeedFoward)하여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센서의 상기 휠펄스 카운트와 상기 조향각 센서의 조향각과 상기 요레이트 센서의 상기 요레이트값을 매칭시켜 상기 자차위치를 추정하는 자차위치 추정부;
    전진주행하는 동안 설정거리 간격으로 상기 자차위치 추정부로부터 추정된 상기 자차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가 설정개수 이상으로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상기 곡선함수의 파라미터와 함께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진궤적 관리부;
    후진주행 시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산출하는 오차 산출부; 및
    상기 오차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로부터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는 경로 추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진궤적 관리부는,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가 가득차면 가장 오래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최신 위치 데이터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11. 제어부에서 차량이 전진주행인지 또는 후진주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전진주행인 경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부에서 자차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추정된 자차위치 데이터를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후진주행인 경우,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된 주행궤적 데이터 및 상기 자차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어부에서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장치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차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차속센서의 휠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기준위치에서의 절대 변화량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조향각 센서의 조향각과 요레이트 센서의 요레이트값으로부터 횡방향 변화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절대 변화량과 상기 횡방향 변화량을 누적하여 상기 자차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추정된 자차위치 데이터를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설정거리 간격으로 생성한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곡선함수로 보간하여 주행궤적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의 후진주행을 어시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궤적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자차위치와의 방향각 오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해서 MDPS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방향각 오차를 보상하여 목표 조향각을 생성해서 MDPS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행궤적 데이터와 상기 자차위치를 기반으로 PID 제어를 수행하면서 전진주행 시 입력된 조향각을 피드포워드(FeedFoward)하여 상기 목표 조향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69307A 2017-07-25 2020-06-08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5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07A KR102356476B1 (ko) 2017-07-25 2020-06-08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31A KR102356503B1 (ko) 2017-07-25 2017-07-25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069307A KR102356476B1 (ko) 2017-07-25 2020-06-08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931A Division KR102356503B1 (ko) 2017-07-25 2017-07-25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13A true KR20200071713A (ko) 2020-06-19
KR102356476B1 KR102356476B1 (ko) 2022-02-03
KR102356476B9 KR102356476B9 (ko) 2023-05-11

Family

ID=8026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307A KR102356476B1 (ko) 2017-07-25 2020-06-08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7370A1 (zh) * 2020-12-15 2022-06-23 灵动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轨迹控制方法、装置、机器人及存储介质
CN116848037A (zh) * 2021-01-21 2023-10-03 戴姆勒卡车股份公司 驾驶支援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585A (ja) * 1996-07-19 1998-02-13 Hitachi Ltd 位置推定装置及び位置推定方法
JP2004175280A (ja) * 2002-11-28 2004-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輌用自動操舵装置
JP2006297121A (ja) * 1996-05-02 2006-11-02 Sega Corp ゲーム装置、その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8056173A (ja) * 2006-09-01 2008-03-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20060469A (ko) * 2010-12-02 2012-06-1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5950A (ko) * 2011-03-17 2012-09-26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061797A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121A (ja) * 1996-05-02 2006-11-02 Sega Corp ゲーム装置、その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H1038585A (ja) * 1996-07-19 1998-02-13 Hitachi Ltd 位置推定装置及び位置推定方法
JP2004175280A (ja) * 2002-11-28 2004-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輌用自動操舵装置
JP2008056173A (ja) * 2006-09-01 2008-03-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20060469A (ko) * 2010-12-02 2012-06-1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5950A (ko) * 2011-03-17 2012-09-26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061797A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7370A1 (zh) * 2020-12-15 2022-06-23 灵动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轨迹控制方法、装置、机器人及存储介质
CN116848037A (zh) * 2021-01-21 2023-10-03 戴姆勒卡车股份公司 驾驶支援装置
US11975774B2 (en) 2021-01-21 2024-05-07 Daimler Truck AG Driving assistan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476B1 (ko) 2022-02-03
KR102356476B9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0631B (zh) 用于车辆的低速横向控制的系统和方法
US10647322B2 (en) Backward driving assist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28366B (zh) 用于对拖曳车辆通过弯道提供校正的车道跟随路径的系统和方法
CN107128314B (zh) 用于牵引车辆的增强的车辆横向控制
CN112298353B (zh) 用于校准方向盘中性位置的系统和方法
US9229453B1 (en) Unified motion planner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avoiding the moving obstacle
US9227632B1 (en) Method of path planning for evasive steering maneuver
KR101558708B1 (ko) 차량의 자동 후진 경로 제어 시스템
US10597029B2 (en) Dynamic parking using an assistance system
CN109937169B (zh) 用于为倒车辅助系统提供校正迁移的控制单元和方法
KR102464484B1 (ko) 차량의 후진주행보조시스템 및 후진주행보조방법
US9227635B1 (en) Method and system of assisting a driver of a vehicle
US11299204B2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rajectory for a reversing assistance system
JP2018034540A (ja)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KR20200071713A (ko)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567936B2 (ja) 操舵支援制御装置
JP6607865B2 (ja) 経路制御システムおよび経路制御方法
CN112249014B (zh) 车辆横向控制方法、车辆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327701B2 (ja) 車両の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US1189106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ackup assistance system for a vehicle and a backup assistance system
JP2014135016A (ja) 車両走行支援装置
KR102356503B1 (ko)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99823B1 (ko) 차량의 후진주행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12360B2 (en) Vehicle control method,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US11939015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