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62A -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ue 위치 보고 - Google Patents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ue 위치 보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62A
KR20200070262A KR1020207011592A KR20207011592A KR20200070262A KR 20200070262 A KR20200070262 A KR 20200070262A KR 1020207011592 A KR1020207011592 A KR 1020207011592A KR 20207011592 A KR20207011592 A KR 20207011592A KR 20200070262 A KR20200070262 A KR 2020007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node
control signal
repetitiv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547B1 (ko
Inventor
리차드 융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10)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에, UE 디바이스(30)에 의한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통신(11)하는 단계; 및 통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로부터 네트워크 노드(40)에,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통신(13)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 및 네트워크 노드(40)는 방법(1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50)은 UE 디바이스(30) 및 네트워크 노드(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UE 위치 보고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에서 단말 위치들의 보고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각각 구성된 대응하는 단말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단말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다양한 서비스들, 특히 위치-기반 서비스들, 또는 사물 인터넷(IoT) 콘텍스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먼저, 이는, 단말이 예를 들어, LTE 무선 신호들의 삼각측량에 의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기반 위치설정을 통해,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기반 위치설정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수반한다. 둘째, 네트워크는 단말을 검색, 즉, 측정된 위치를 획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오버 더 톱(over the top)" 접근법에서, 단말은 인터넷-기반 위치 서버에 자신의 측정된 위치를 개시할 수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전송 계층, 예를 들어 흐름 제어를 위한 TCP/IP, 프라이버시를 위한 TLS 등 상에서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들을 수반할 수 있고, 서버가 그에 따라 응답할 때까지 단말이 활성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을 수 있어서 과도한 시그널링 및 단말의 과도한 전력 소비를 수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의 위치 서버에 의한 대응하는 위치 요청에 응답하여 이러한 서버에 자신의 측정된 위치를 개시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들에서, 이는 LTE 네트워크의 비-접속 계층(NAS) 상에서 LTE 위치설정 프로토콜(LPP)과 같은 3GPP 제어 평면 프로토콜들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2017년 3월의 3GPP 기술 규격 24.171 버전 14.0.0은, 서버에 의한 위치 요청을 네트워크가 개시하는지 또는 단말이 개시하는지에 따라,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 뿐만 아니라 "모바일-발신 위치 요청"으로 공지된 2개의 이러한 접근법들을 정의한다.
명백하게, 효율적인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낮은 에너지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솔루션의 경우, 3GPP-기반 접근법들은 수반되는 시그널링 절차들에서의 더 적은 오버헤드로 인해 오버 더 톱 솔루션들에 비해 우수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그널링 부하 및 단말 전력 소비는 여전히 상당하다.
상기 관점에서, 상기 요구들 중 일부를 다루는 단말들의 효율적인 위치 보고를 위한 계속적인 요구가 본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특히 단말들의 더 적은 시그널링 및 더 적은 전력 소비를 수반하는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본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시스템들에 대한 요구가 본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본적 목적들 각각은 독립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기술된다.
제1 양상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디바이스에, UE 디바이스에 의한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통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를 통신하는 단계; 및 통신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에,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어구 "통신하는"은 "송신하는" 또는 "수신하는"을 지칭한다. 즉, "송신기" 또는 "수신기"로서의 통신 엔드포인트의 역할은 통신의 방향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A로부터 B로의 통신에서, 엔드포인트 A는 "송신하는" 것으로 고려되고 엔드포인트 B는 "수신하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B에서 A로의 역방향 통신에서, 엔드포인트 B는 "송신하는" 것이고 엔드포인트 A는 "수신하는" 것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어구 "반복(적으로) 통신하는"은 반복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지칭한다. 즉, 특정 통신이 여러번 수행되어 복수의 각각의 통신들(또는 통신 액션들)을 도출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공간 주파수 할당에 따라 조직화되는 복수의 셀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접속성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들을 서빙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과의 통신은 단말이 특징 셀에 어태치되고 그 서빙 셀의 주파수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어댑터들을 구비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최종-사용자에 의해 직접 사용되는 임의의 단말을 지칭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 및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셀룰러 네트워크들, 뉴 라디오(NR), 5G 네트워크들, 롱 레인지 라디오(LoRa)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컴퓨터들,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디바이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UE 디바이스들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위치 정보는 특정 지리적 위치를 정의하는 지리적 좌표의 세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선택적으로 고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십진법 각도로서, 도, 분, 초로서, 또는 임의의 다른 표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및/또는 고도 정보의 정확도의 표시, 및/또는 위도, 경도 및/또는 고도 정보의 수명의 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방법은 단말들의 위치 보고의 공지된 표준화된 접근법들에 대해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킨다. 이는, 제1 제어 신호, 즉, 위치 요청의 단지 단일 인스턴스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 즉, 위치 보고들을 생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방법은 다수의 위치 요청들과 다수의 위치 보고들 사이의 관계를 N/N으로부터 1/N으로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통신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로부터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에,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의 개개의 통신은 UE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되는 복수의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 Tracking Area Update) 절차들의 개개의 TAU 절차의 트리거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 절차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제어 시그널링 절차를 지칭한다. 일례로서, 이러한 절차는 셀룰러 네트워크가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UE 디바이스의 변하는 위치를 대략적 레벨로 통지받게 하기 위해 유휴 상태인 UE 디바이스와 LTE 셀룰러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사이에서 있을 수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UE 디바이스가 어떠한 통신에도 활성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더라도, 필요한 경우 UE 디바이스를 어디에서 페이징할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TAU 절차는 통상적으로 반복적 패턴으로, 예를 들어, 타이머 값이 만료될 때 수행되기 때문에, TAU 절차는 또한 UE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서 여전히 이용가능한 것을(이는 예를 들어, UE가 여전히 가동중이고 여전히 통신할 능력을 가짐을 의미함)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TAU 절차는 또한 LTE 이외의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서 유사한 제어 시그널링 절차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U 절차는 본 명세서에서 3GPP NR 규격들에서 UE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의 반복된 상태 업데이트 절차를 지칭할 수 있다. TAU 절차는 하나 이상의 UE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서 반복된 UE 상태 업데이트 메시지를 추가로 지칭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방법은 단말들의 위치 보고의 공지된 표준화된 접근법들에 대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킨다. 이는,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안내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와 UE 디바이스 사이의 빈번한 제어 시그널링은 이미 존재하고, 네트워크 노드와 UE 디바이스 사이의 제어 시그널링에 비해 하위 통신 계층 상에서 수행된다. 위치 보고에 대해 하위 통신 계층 상에서 제어 시그널링을 재사용하는 것은 UE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수반된 노드의 더 적은 전력 소비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는 MME일 수 있고, UE 디바이스와 MME 사이의 필수적 제어 시그널링은 UE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되는 TAU 절차들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개의 통신은 UE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되는 복수의 TAU 절차들의 서브세트의 개개의 TAU 절차의 트리거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은 미리 결정된 발생 빈도에 따라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는 미리 결정된 발생 빈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방법은 단말들의 위치 보고의 공지된 표준화된 접근법들에 대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킨다. 이는, 제2 제어 신호들, 즉, 위치 보고들을 덜 빈번하게 생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UE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되는 복수의 TAU 절차들의 단지 서브세트만이 반복적 통신의 개개의 통신, 즉,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되고 있는 위치 보고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발생 빈도는 양의 정수 값 n > 1로 표현될 수 있어서, 제2 제어 신호의 반복적 통신, 즉, 위치 보고가 매 n번째 TAU 절차마다 발생할 수 있음을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는 개개의 TAU 절차를 개시하는 제3 제어 신호에 포함된다.
특히, UE 디바이스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등록된 자신의 현재 추적 영역(TA: Tracking Area), 즉, 셀들의 세트를 떠난 것을 검출하면, UE 디바이스는 TAU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그 경우, UE 디바이스는 제3 제어 신호, 예를 들어, TAU 요청을 MME에 송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방법은 단말들의 위치 보고의 공지된 3GPP-기반 접근법들에 대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킨다. 이는,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안내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와 UE 디바이스 사이의 빈번한 제어 시그널링은 이미 존재하고, 네트워크 노드와 UE 디바이스 사이의 제어 시그널링에 비해 하위 통신 계층 상에서 수행된다. 위치 보고를 위해 하위 통신 계층 상에서 제어 시그널링을 재사용하는 것은 더 적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도출하는데, 이는, 위치 보고 자체가 어떠한 전용 세션 관리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 즉, MME 및 네트워크 노드, 즉, 위치 서버가 고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될 때,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에 제2 제어 신호를 포워딩하는 것은 덜 결정적이고 직접적이다. 이는, 예를 들어,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에서 제3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 제3 제어 신호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캡슐화해제하는 것, 네트워크 노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사용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캡슐화하는 것, 및 캡슐화된 제2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에 포워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은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는 미리 결정된 횟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time period) 동안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까지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인스턴트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1 제어 신호에서, 반복적 통신의 개개의 통신이 얼마나 자주 발생해야 하는지, 및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반복적 통신의 개개의 통신이 시간 차원에서 얼마나 오래 발생해야 하는지가 한번 특정될 수 있다. 이는 대응하는 프로비전들을 최소화하고 반복적 통신의 제어에 기여하고, 따라서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 즉, 위치 보고들에 대해 궁극적으로 단지 단일의 제1 제어 신호, 즉, 위치 요청만을 유지하는 방법의 제어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횟수는 단일의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될 제2 제어 신호들의 수를 정의하는 정수 카운터로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인스턴트는, 현재 네트워크 시간과 관련된 상대적 값으로서 또는 제2 제어 신호들의 반복적 통신이 중단해야 하는 절대 시간 값으로서 장래의 시점을 정의하는 시간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UE 디바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해제된 또는 비활성으로 고려되는 단절 상태(disconnected state)에서 UE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반복적 통신은 UE 디바이스를 단절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동안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절 상태는 EMM-등록(EMM-REGISTERED) 및 ECM-유휴(ECM-IDLE) 상태들의 조합을 가정하여 LTE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UE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절 상태는 LTE 또는 NR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동작 상태를 추가로 지칭할 수 있고, 여기서 UE 디바이스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별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UE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예를 들어, LTE 셀룰러 네트워크의 E-UTRAN에 대한 성공적 등록에 의해 EMM-등록 상태에 진입한다. 따라서, LTE 예에서, EMM-등록 상태에서, UE 위치는 적어도 추적 영역(TA) 입도로 셀룰러 네트워크에 공지된다. 또한, UE 디바이스는 그 RRC 접속이 해제되면 ECM-유휴 상태에 진입한다. 즉, ECM-유휴 상태에서, UE 디바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에 어떠한 제어 평면 시그널링 접속도 존재하지 않는다.
LTE 예를 여전히 참조하면, 단절 상태에서, 즉, EMM-등록 및 ECM-유휴 상태들의 특정 조합에서, UE 디바이스는 등록을 유지하고 MME가 UE를 페이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UE 디바이스에 의해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면 TAU 절차들을 개시할 것이다. TAU 절차들의 이러한 개시는 또한 예를 들어, 타이머 타임 아웃과 같은 상이한 이벤트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UE 디바이스를 단절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동안 반복적 통신이 수행되는 것은 UE 디바이스가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TA 정보보다 더 정확하지만, UE 디바이스는 임의의 사용자 평면 통신에 활성으로 참여하지 않고 따라서 네트워크 자원들을 최소로 사용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적 통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는 반복적 통신을 위해 UE 디바이스에 할당된 자원들을 재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1 제어 신호에서, 반복적 통신에 대해 UE 디바이스에 의해 어느 자원들이 사용될지는 한번 특정될 수 있다. 이는 대응하는 프로비전들을 최소화하고 반복적 통신의 제어에 기여하고, 따라서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 즉, 위치 보고들에 대해 궁극적으로 단지 단일의 제1 제어 신호, 즉, 위치 요청만을 유지하는 방법의 제어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자원들을 재발생시키는 것은, 단일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제어 신호들이 통신되기 위해 사용될 주파수 및/또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에서 공유되는 무선 자원들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은 UE 디바이스의 카테고리에 따라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UE 디바이스 카테고리는 조합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처리율 능력을 지칭한다. 즉, UE 디바이스 카테고리는 UE 디바이스에 승인되는 특정 데이터 체적과 관련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UE 디바이스에 승인되는 데이터 체적에 따라 통신의 조건부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반복적 통신에 요구되는 데이터 체적과 UE 디바이스에 승인되는 데이터 체적의 비교에 기초하여 반복적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은 UE 디바이스와 관련된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에 따라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가입 정보에 따라 통신의 조건부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예를 들어, 보수, 데이터 계획 제한들 등과 같은 가입의 양상들에 기초하여 반복적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UE 디바이스에 의해,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는 것은 네트워크가 필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 자주 그리고 필요한 만큼 오래 위치 보고들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들을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한 고려들은, 예를 들어, 정확한 위치 정보에 의존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상황에서 UE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통신을 개시할 때 적용된다.
제2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UE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UE 디바이스에 의한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에,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 디바이스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기술적 효과들 및 이점들은 대응하는 특징들을 갖는 UE 디바이스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UE 디바이스에 의한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로부터, UE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기술적 효과들 및 이점들은 대응하는 특징들을 갖는 네트워크 노드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제4 양상에 따르면,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기술적 효과들 및 이점들은 UE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를 통합함으로써 대응하는 특징들을 갖는 시스템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지정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들의 컷아웃들이다.
도 8 및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시그널링 콘텐츠를 예시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UE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를 각각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도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수정된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가 특정 적용 분야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적용 분야로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상이한 실시예의 특징은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은 개략적인 표현들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도면들에 예시된 요소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다양한 요소들은 그 기능 및 범용 목적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도록 표현된다.
도 1 및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법(10)이 도시되어 있다. 방법(10)은 통신(11) 단계 및 반복적 통신(13)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에, UE 디바이스(30)에 의한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통신(11)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즉, 네트워크 노드(40)는 UE 디바이스(30)에 송신(11)하고, 결국 UE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UE 디바이스(30)에 의해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수신(11)한다.
제1 제어 신호(12)는 아래의 도 9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제2 단계는, 통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로부터 네트워크 노드(40)에,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통신(13)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달리 말하면, UE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40)에,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의 수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송신(13)한다.
결국, 네트워크 노드(40)는 UE 디바이스(30)로부터 그리고 UE 디바이스(30)로의 송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수신(13)한다.
제2 제어 신호(14)는 아래의 도 8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반복적 통신(13)은 복수의 개개의 반복적 통신(13) 단계들을 수반하여, 제1 제어 신호(12)를 포함하는 하나의 통신(11) 단계가 제2 제어 신호(14)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개의 반복적 통신(13) 단계들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반영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방법(10)은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를 또한 예시함으로써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방법(10)의 제2 단계는, 통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로부터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40)에,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통신(13)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즉, UE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 노드(40)에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를 통한 수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송신(13)한다.
결국, 네트워크 노드(40)는 UE 디바이스(30)로부터, UE 디바이스(30)로의 송신(11)에 응답하여,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를 통해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수신(13)한다.
따라서, UE 디바이스(30)는 제2 제어 신호(14)를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에 반복적으로 송신(13)하고, 그로부터 제2 제어 신호(14)는 네트워크 노드(40)에 포워딩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들의 컷아웃들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개개의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 절차들의 복수의 트리거 이벤트들(15)이 UE 디바이스(30)에 진입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개의 TAU 절차들은 다양한 이유들로,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30)가 자신이 셀룰러 네트워크의 새로운 추적 영역(TA)에 진입한 것 또는 주기적 T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된 것을 검출할 때 UE 디바이스(30)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도 3은 각각의 개개의 반복적 통신(13)이 UE 디바이스의 개개의 TAU 절차의 트리거 이벤트(15)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개개의 통신(13)은 UE 디바이스(30)에 의해 개시되는 복수의 TAU 절차들의 서브세트의 개개의 TAU 절차의 트리거 이벤트(15)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즉, UE 디바이스(30)의 복수의 TAU 절차들의 단지 서브세트만이 제2 제어 신호(14)의 개개의 반복적 통신(13)을 트리거링한다.
개개의 반복적 통신(13)을 트리거링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복수의 TAU 절차들의 서브세트는 예를 들어, 아래의 도 9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논의되는 접근법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반복적 통신(13)은 미리 결정된 횟수(18)만큼 수행된다. 예로서, 트리거 이벤트들(15)의 좌측으로, 각각의 트리거 이벤트(15) 시에 더 좁아지는 수직 막대에 의해 정수 카운터 변수의 카운트다운이 도식적으로 표시된다. 비-양수 값으로의 카운트다운은, 어떠한 추가적인 반복적 통신(13)도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음을 표시한다. 이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운영자가 반복적 통신(13)의 발생에 대한 상한을 부과할 수 있게 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반복적 통신(13)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19) 동안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인스턴트(20)까지 수행된다. 예로서, 트리거 이벤트들(15)의 좌측으로, 시간에 따른 실수 변수의 카운트다운이 표시된다. 비-양수로의 카운트다운은, 어떠한 추가적인 반복적 통신(13)도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음을 표시한다. 이는 운영자가 이전의 상한에 추가로 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반복적 통신(13)의 실행 지속기간에 대한 추가적 상한을 부과할 수 있게 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방법(10)은 추가적 동작(16)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적 단계에서, UE 디바이스(30)는, UE 디바이스(30)와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해제되는 단절 상태에서 동작(16)되고, 반복적 통신(13)은 UE 디바이스(30)를 단절 상태에서 동작(16)시키는 동안 수행된다. 이는 운영자가 어떠한 사용자 평면 통신에 활성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더라도 UE 디바이스(30)로부터 위치 보고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 8 및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의 시그널링 콘텐츠를 예시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는 개개의 TAU 절차를 개시하는 제3 제어 신호(17)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3 제어 신호(17)는 UE 디바이스(30)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에, 그리고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의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도시되지 않음)에 송신되는 TAU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는 다수의 정보 요소들(18-2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제어 신호(12)는 반복적 통신(13)이 수행될 미리 결정된 횟수(18)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제어 신호(12)는, 반복적 통신(13)이 수행될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19) 또는 반복적 통신(13)이 최대로 수행될 미리 결정된 인스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들(18, 19 및 20)이 전혀 없다면, 반복적 통신(13)은 추가적 통지까지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운영자 선호도들에 따라 전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신호(12)는 반복적 통신(13)에 대해 UE 디바이스(30)에 할당되는 자원들(21)을 재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재발생 자원들(21)은 주파수 및/또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에서 공유되는 무선 자원들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신호(12)는 그에 따라 반복 통신이 수행되는 미리 결정된 발생 빈도(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 빈도(22)는 정수 값 n > 1으로 정의되어, 반복적 통신(13)을 매 n번째 TAU 절차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들이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10)은 네트워크 노드(40)와 상이한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45)에 의해 통신(11)을 개시(23)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0)는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를 대신하여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수집 및 유지하는 위치 서버(40)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서버(40) 이외의 셀룰러 네트워크의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45)는 TA 입도 뿐만 아니라 더 정확한 지리적 위치의 관점에서 UE 디바이스를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 통신(11)을 잠재적으로 개시(23)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 11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10)은 UE 디바이스(30)에 의해 통신(11)을 개시(24)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UE 디바이스(30)는 자신의 최신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더 정확한 지리적 좌표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정확하게 추적되기 위해 통신(11)을 잠재적으로 개시(24)할 수 있다.
개시(23, 24)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노드(40)에 의해 발생할 때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송신 기술들로 인해 및/또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의 수반으로 인해 개개의 구성요소의 관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들에서, 통신(11)은 UE 디바이스(30)의 카테고리에 따라 및/또는 UE 디바이스(30)와 관련된 가입 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UE 디바이스(30) 및 네트워크 노드(40)를 각각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도들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UE 디바이스(30)는 무선 인터페이스(31); 메모리(32) 및 프로세서(33)를 포함한다. 제1 단계에서, 프로세서(33)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UE 디바이스(30)에 의한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수신(11)하도록 구성된다. 제2 단계에서 프로세서(33)는 네트워크 노드(40)에, 수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송신(13)하도록 구성된다.
UE 디바이스(3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 메모리(42) 및 프로세서(43)를 포함한다. 제1 단계에서, 프로세서(43)는 UE 디바이스(30)에, UE 디바이스(30)에 의한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송신(11)하도록 구성된다. 제2 단계에서 프로세서(43)는 UE 디바이스(30)로부터 그리고 송신(11)에 응답하여,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수신(13)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40)는 특히 위치 서버(40)이고, 셀룰러 네트워크 대신에 UE 디바이스들(3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 디바이스(30) 및 네트워크 노드(40)는 하나 이상의 중간적 노드들,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셀룰러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노드(44)를 통해 서로 통신(11) 및 반복적으로 통신(13)할 수 있고, 이들은 기본적 송신 기술들의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수반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관점에서 통신(11) 및 반복적 통신(13)을 변환하도록 배열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시스템(50)은 앞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UE 디바이스(30) 뿐만 아니라 또한 앞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40)를 포함한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이다.
도 15의 예에서, 위치 보고의 각각의 인스턴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어 신호들의 시퀀스를 수반한다.
초기에,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의 MME 노드에 의한 UE 디바이스(30)의 페이징은 관련된 TA 내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30)에 전달될 일부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면 페이징이 개시된다.
이어서, UE 디바이스(30) 및 네트워크는 업링크 방향에서 네트워크와 동기화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겪는다.
이어서, UE 디바이스(30)가 아직 네트워크에 어태치되지 않았다면, NAS 어태치 절차를 개시함으로써 이를 수행해야 한다. 이어서, 임의의 NAS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하기 NAS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네트워크로부터 요구되는 자원들을 요청하기 위해 담당 기지국과 미리 RRC 접속을 확립하도록 UE 디바이스(30)에 요구한다.
이어서, UE 디바이스(30)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MME 노드에서 UE 디바이스(30)에 대한 콘텍스트 뿐만 아니라 UE 디바이스(30)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PDN 게이트웨이 노드 사이의 IP 어드레스를 갖는 디폴트 베어러를 확립하는 NAS 어태치 절차를 개시한다.
획득된 IP 접속성에 기초하여, UE 디바이스(30) 및 네트워크, 특히 위치 서버(40)는 널리 공지된 LTE 위치설정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으로 공지된 방법의 코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의 위치 서버(40)는 UE 디바이스(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UE 디바이스(30)는 요청된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도 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들의 반복하는 블록들에 의해, 각각의 개별적인 위치 정보 질의는 앞서 설명된 전체 시그널링을 요구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수행하기 위해 수정된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을 예시하는 개략적 시그널링 도면이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위치 보고의 단지 제1 인스턴스만이 앞서 기술된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 접근법으로부터 공지된 제어 신호들의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수반한다.
특히, 참조 부호들(11 및 1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은,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UE 디바이스(30)에, UE 디바이스(30)에 의한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통신(11)하는 것을 수반하도록 수정된다.
초기 위치 응답은 LPP 프로토콜의 공지된 메시지 교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여전히 전달될 수 있지만,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후속 제어 신호들(14)은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도 16에 도시되지 않음),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의 MME를 통해 전달되며, 이는 UE 디바이스(30)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TAU 절차들에 수반된다. 후속 제어 신호들(14)은 개개의 TAU 절차를 개시하는 제3 제어 신호들(17)에 포함된다(도 8 참조).
그 결과, 공지된 "네트워크-개시 위치설정 정보 전송" 접근법의 단지 소수의 제어 신호들의 시퀀스, 특히 무선 액세스 절차 및 RRC 접속 절차와 관련된 제어 신호들만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10), 디바이스들(30, 40) 및 시스템들(50)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수정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그리고 상기 배경 섹션에 표시된 "모바일-발신 위치 요청" 접근법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수행하기 위해 유사하게 수정될 수 있다. 게다가, NR 셀룰러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프로토콜들을 또한 시그널링하는 것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10)을 수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Claims (20)

  1.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에, 상기 UE 디바이스(30)에 의한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통신(11)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11)에 응답하여, 상기 UE 디바이스(3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40)에,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통신(13)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11)에 응답하여, 상기 UE 디바이스(30)로부터 추가적 네트워크 노드(44)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40)에,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통신(13)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통신(13)의 개개의 통신(13)은 상기 UE 디바이스(30)에 의해 개시되는 복수의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 절차들의 개개의 TAU 절차의 트리거 이벤트(15)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방법(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통신(13)은 상기 UE 디바이스(30)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복수의 TAU 절차들의 서브세트의 개개의 TAU 절차의 트리거 이벤트(15)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방법(1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14)는 상기 개개의 TAU 절차를 개시하는 제3 제어 신호(17)에 포함되는, 방법(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통신(13)은 미리 결정된 횟수(18)만큼 수행되는, 방법(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12)는 상기 미리 결정된 횟수(18)를 포함하는, 방법(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통신(13)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19) 동안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인스턴트(20)까지 수행되는, 방법(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12)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19)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인스턴트(20)를 포함하는, 방법(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 디바이스(30)를, 상기 UE 디바이스(30)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해제되는 단절 상태에서 동작(16)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복적 통신(13)은 상기 UE 디바이스(30)를 상기 단절 상태에서 동작(16)시키는 동안 수행되는, 방법(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통신(13)을 정의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12)는 상기 반복적 통신(13)을 위해 상기 UE 디바이스(30)에 할당된 자원들(21)을 재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11)은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카테고리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11)은 상기 UE 디바이스(30)와 관련된 가입 정보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40)와 상이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45)에 의해, 상기 통신(11)을 개시(23)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10).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 디바이스(30)에 의해, 상기 통신(11)을 개시(24)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10).
  16.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로서,
    무선 인터페이스(31);
    메모리(32); 및
    프로세서(33)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33)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로부터, 상기 UE 디바이스(30)에 의한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수신(11)하고;
    상기 수신(11)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40)에,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송신(13)하도록 구성되는, UE 디바이스(30).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E 디바이스(30)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1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 디바이스(30).
  18.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40)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
    메모리(42); 및
    프로세서(43)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43)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에, 상기 UE 디바이스(30)에 의한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위치 정보의 반복적 송신(13)을 정의하는 제1 제어 신호(12)를 송신(11)하고;
    상기 송신(11)에 응답하여, 상기 UE 디바이스(30)로부터, 상기 UE 디바이스(30)의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14)를 반복적으로 수신(13)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4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40)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1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40).
  20. 시스템(50)으로서,
    제16항 또는 제17항의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30), 및
    제18항 또는 제19항의 네트워크 노드(40)를 포함하는, 시스템(50).
KR1020207011592A 2017-09-29 2018-10-01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ue 위치 보고 KR102388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730267-0 2017-09-29
SE1730267 2017-09-29
PCT/EP2018/076653 WO2019063842A1 (en) 2017-09-29 2018-10-01 EFFECTIVE EU LOCATION NOTIFICATION IN CELLULAR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62A true KR20200070262A (ko) 2020-06-17
KR102388547B1 KR102388547B1 (ko) 2022-04-20

Family

ID=6378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592A KR102388547B1 (ko) 2017-09-29 2018-10-01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ue 위치 보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3413B2 (ko)
EP (1) EP3689009A1 (ko)
JP (1) JP7220209B2 (ko)
KR (1) KR102388547B1 (ko)
CN (1) CN111492676B (ko)
WO (1) WO201906384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167A (ja) * 2001-10-05 2003-04-18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装置、位置情報送信装置、移動通信端末、位置情報管理方法
JP2007088772A (ja) * 2005-09-21 2007-04-05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11019227A (ja) * 2009-07-09 2011-01-27 Kotatsu Kokusai Denshi Kofun Yugenkoshi ロケーションサービス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れに関連する通信装置
EP2547127A1 (en) * 2009-06-22 2013-01-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of LCS-Related Messages for LTE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247A (ja) 2001-01-11 2002-07-26 Ntt Docomo Inc ロケーションレジスタ、位置登録システム及び位置登録方法
JP2003219455A (ja) * 2002-01-23 2003-07-31 Nec Corp 位置通知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位置通知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EP1728338A4 (en) * 2004-05-06 201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 RECEIVING TRANSMIT STATUS AND HAZARD CONDI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ACKAGE SERVICE IN UPWARD DIRECTION
KR100909609B1 (ko) 2005-08-11 2009-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역관련 위치 추적 방법
EP1860904A1 (en) * 2006-05-26 2007-11-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networks
AU2007202371A1 (en) * 2006-06-03 2007-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iggered location request service
US20080076425A1 (en) * 2006-09-22 2008-03-27 Amit Khetawat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US8668585B2 (en) * 2006-08-11 2014-03-11 Disney Enterprises, Inc. Location based gaming system
JP5116509B2 (ja) 2007-08-31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395777B1 (en) * 2009-02-04 2018-08-01 Nec Corporation Device for registering mobil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program
EP2628345B1 (en) 2010-10-11 2018-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ssociating tracking area lists with user equip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971924B2 (en) * 2011-05-23 2015-03-03 Apple Inc. Identifying and locating users on a mobile network
KR101860440B1 (ko) * 2011-07-0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 암호화 키 관리 방법, 장치 그리고 시스템
US9525965B2 (en) * 2012-05-14 2016-1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lization configuration to make loc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user equipment
KR101444434B1 (ko) 2012-07-10 2014-09-24 주식회사 케이티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방법, 페이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EP2888904B1 (en) * 2012-08-27 2018-0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assembling uplink data
CN102883270B (zh) 2012-10-22 2018-05-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定时发送地理定位信息的终端及方法
JP6311722B2 (ja) * 2013-12-16 2018-04-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及びその通信方法
US9369946B2 (en) 2014-07-02 2016-06-14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10772152B2 (en) * 2016-05-17 2020-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multaneous camping and paging coordination in two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6792519A (zh) 2016-12-06 2017-05-31 北京锐安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追踪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167A (ja) * 2001-10-05 2003-04-18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装置、位置情報送信装置、移動通信端末、位置情報管理方法
JP2007088772A (ja) * 2005-09-21 2007-04-05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EP2547127A1 (en) * 2009-06-22 2013-01-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of LCS-Related Messages for LTE Access
JP2011019227A (ja) * 2009-07-09 2011-01-27 Kotatsu Kokusai Denshi Kofun Yugenkoshi ロケーションサービス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れに関連する通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_1046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5100A1 (en) 2020-07-30
EP3689009A1 (en) 2020-08-05
US11363413B2 (en) 2022-06-14
CN111492676B (zh) 2022-08-02
JP2020535759A (ja) 2020-12-03
JP7220209B2 (ja) 2023-02-09
CN111492676A (zh) 2020-08-04
WO2019063842A1 (en) 2019-04-04
KR102388547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203B2 (en) Low power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early data transmission
US10952178B2 (en) Low power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control plane optimization
CN113473370B (zh) 用于物联网的定位的支持的方法及系统
CN111971980B (zh) 分布式定位管理功能
US11963127B2 (en) Location management component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585160B2 (en) Prioritizing location request of a certain type in a congestion situation
US20220120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of a user equipment in an inactive state
EP2606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services via a generic location session
CN114080829A (zh) 用于网络切片使用控制的网络节点、网络节点所用的方法、用户设备和用户设备所用的方法
AU2020208514A1 (en) Label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device
KR20220020813A (ko) 제어 평면 최적화를 사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저전력 주기적인 및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KR2022011548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8093998A1 (en) Location service based secure user plane location
KR102388547B1 (ko)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ue 위치 보고
WO2023165425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设备
WO2023279977A1 (en) Network nodes and methods therein for event monitoring
US202301167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erminal connection state for providing ultra-low-lat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45741A1 (zh) 定位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
CN112689317B (zh) 一种接入设备列表的确定方法、装置、网络节点及终端
CN11683061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识别服务区域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