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974A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974A
KR20200069974A KR1020180157601A KR20180157601A KR20200069974A KR 20200069974 A KR20200069974 A KR 20200069974A KR 1020180157601 A KR1020180157601 A KR 1020180157601A KR 20180157601 A KR20180157601 A KR 20180157601A KR 20200069974 A KR20200069974 A KR 2020006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ot
stand
pedestal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686B1 (ko
Inventor
이의진
Original Assignee
이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진 filed Critical 이의진
Priority to KR102018015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바퀴에 편향된 하중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조향축에 설치된 조향 바퀴를 좌우로 회동시켜 화분 받침대의 진행방향을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서랍식 물받이 없이 종래의 것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을 받아줄 수 있고, 중공의 투명 튜브를 통해 화분 받침대에 고인 물의 양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물빼기 작업이 수월하며, 화분 받침대 바닥과 화분의 저면이 이격되므로 화분 저면과 받침대 본체의 상면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슬지 않는 회분 받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 저면에 설치된 3개 이상의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조향축 설치부 및 상기 조향축 설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저부에 상기 복수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조향 바퀴로 장착하기 위한 바퀴 장착부가 형성된 조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Description

화분 받침대{Pot stand}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 시 탑재된 화분을 필요한 장소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퀴가 설치된 화분 받침대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화분 받침대 중에는 화분을 올려 둔 상태로 필요한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퀴를 장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기존의 화분 받침대에 설치되는 바퀴는 이동 시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바퀴로 하중을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화분 받침대에 바퀴가 설치된 관련 종래기술로는 등록번호 10-0441076호(발명의 명칭: 이동구를 갖는 화분받침대, 발명자: 양재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양재춘 발명은 화분받침 하단에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한 이동구를 설치하여 무겁고 큰 화분이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이동설치가 가능한 이동구를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원판형상의 중앙에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화분받침과, 상기 화분받침 하단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화분다리와, 상기 화분다리에 설치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고정받침편과, 상기 화분다리사이로 설치되어 고정받침편 상부에 설치되는 물받이와, 상기 고정받침편의 결합구에 설치되는 이동구로 이루어지며, 이동구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퀴는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부품에 큰 힘이 작용하므로 철 등의 금속재로 만든다. 이러한 바퀴로는 별도로 제작되어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바퀴의 단가는 매우 높다.
상부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된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무거운 화분 등을 올려놓으면 바퀴 축이 한쪽으로 큰 힘을 계속 받다보니 바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무거운 화분을 이동시킬 때 힘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화분 받침대 또는 화분 받침대에 탑재된 화분을 한쪽 정방향으로 밀어도 바퀴가 방향을 잡기 전의 초기에는 화분 받침대가 이리저리 좌우로 쏠리면서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 축이 설치된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다보니 모멘트 작용으로 축부의 하중을 바퀴 축에 절단하는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크다.
또한, 상부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쏠려 있어서 무거운 화분을 올려놓을 경우, 축부가 한쪽으로 휘어져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아 보다 튼튼하게 하기 위해 축부를 철로 만든 것을 사용해서 원가가 많이 비싸다는 문제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회분 받침대는 바퀴가 설치된 부분을 피해서 서랍식 물받이를 설치하다보니 물받이를 작게 만들 수밖에 없고, 물받이에 고인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물받이를 빼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물받이에 물이 많이 있는 경우, 물받이를 빼낼 때 물이 바닥에 흘러서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받쳐주는 화분의 바닥과 닿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화분 받침대 표면과 화분의 저면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슬어 냄새가 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 화분 받침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쏠려 있지 않으면서도 탑재된 화분을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저렴한 단가로 만들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과 받침대의 경계면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슬지 않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물받이 없이도 종래의 서랍식 물받이가 있는 것에 비해 많을 물을 받아 줄 수 있는 화분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 받침대에 있는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물 빼기 작업을 할 때 물을 흘릴 염려도 적은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 저면에 설치된 3개 이상의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조향축 설치부; 및 상기 조향축 설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저부에 상기 복수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조향 바퀴로 장착하기 위한 바퀴 장착부가 형성된 조향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세우거나 옆으로 눕힐 수 있게 상하로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3개 이상의 상기 바퀴들 중 상기 조향 바퀴 이외의 바퀴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 장착부에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회동될 수 없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의 중심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되는 바퀴 축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바퀴 장착부는 상기 바퀴 축의 양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바퀴 축 장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에 장착되는 화분의 하중을 상기 바퀴 축을 통해 상기 바퀴의 중앙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 본체의 내부에는 화분을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화분 이격 지지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판상의 돌출부 및 복수의 상기 판상의 돌출부의 안쪽 끝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판상의 돌출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받침대 본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받침대 본체 내부의 물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높이 확인구가 설치되고, 상기 물높이 확인구는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외주면에 패킹 장착홈이 형성된 중공의 장착부, 상기 패킹 장착홈에 장착된 고무 패킹 및 상기 중공의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공의 장착부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의 투명 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공의 투명 튜브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물높이 확인구는 상기 중공의 장착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공의 투명 튜브를 세워서 끼워둘 수 있도록 한쪽 측방이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된 튜브 지지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의 중심에 설치된 바퀴 축을 통해 상부 하중이 바퀴로 전달될 수 있게 하여 바퀴에 편향된 하중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조향축에 설치된 조향 바퀴를 좌우로 회동시켜 화분 받침대의 진행방향을 처음부터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에 하중을 전달하는 축부가 바퀴의 한쪽으로 쏠린 위치에 설치된 기존의 값비싼 바퀴를 사용하지 않고 바퀴의 중심에 설치된 바퀴 축으로 하중이 작용하도록 하는 바퀴를 사용하면서도 쉽게 화분 받침대의 방향을 조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서 화분 받침대의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부의 하중을 바퀴 축에 절단하는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작고, 서랍식 물받이 없이 종래의 것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을 받아줄 수 있고, 중공의 투명 튜브를 통해 화분 받침대에 고인 물의 양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물빼기 작업이 수월하고 물을 흘릴 우려도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 받침대 바닥과 화분의 저면이 이격되므로 화분 저면과 받침대 본체의 상면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슬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 화분 받침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화분 받침대의 저면 쪽에서 보아 나타낸 저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
도 5는 배수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된 받침대 본체에 조향축 및 바퀴가 장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바람직한 바퀴 장착 상태를 나타낸 후면도,
도 7은 배수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된 받침대 본체에 물높이 확인구와 조향축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물빼기를 하기 위해 물높이 확인구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화분을 올려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걸고리가 설치된 걸이봉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화분 받침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화분 받침대의 저면 쪽에서 보아 나타낸 저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는 화분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 본체(110)와 받침대 본체(110)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130)를 구비한다.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에는 화분을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화분 이격 지지부(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 본체(110)의 저면에는 바퀴 장착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화분 이격 지지부(111)는 화분의 바닥을 받침대 본체(110)의 바닥(113)에서 이격시켜 지지함으로써 화분의 바닥 저면으로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 본체(110)의 바닥(113)과 화분의 바닥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화분 이격 지지부(111)는 받침대 본체(110)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판상의 돌출부(111a) 및 복수의 판상의 돌출부(111a)의 안쪽 끝에 각각 형성되어 판상의 돌출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둥(111b)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111b)은 판상의 돌출부(111a)의 두께보다 큰 직경이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 실시 예에서, 판상의 돌출부(111a)의 길이는 받침대 본체(110)의 반경보다는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판상의 돌출부(111a)의 길이는 받침대 본체(110) 반경의 1/3~2/3 정도의 길이로 한다.
받침대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된 바퀴 장착부(112)는 바퀴(130)의 설치 방향이 고정되는 고정 바퀴(130b)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대 본체(110)의 바닥(113)에는 이웃하는 두 판상의 돌출부(111a) 사이로 배치된 배수로(115)가 형성되어 있고, 배수로(115)의 바깥쪽 끝 부분에 배수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116)에는 받침대 본체(110) 내부의 물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높이 확인구(150)가 설치된다. 물높이 확인구(150)는 배수구(116)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외주면에 패킹 장착홈(152)이 형성된 중공의 장착부(151)와 패킹 장착홈(152)에 장착된 고무 패킹(155) 및 중공의 장착부(15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중공의 장착부(151)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의 투명 튜브(157)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바람직하게, 중공의 투명 튜브(157)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물높이 확인구(150)는 중공의 장착부(15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 본체(110)에 고인 물의 높이를 확인하여 배수의 필요가 있는 경우 물높이 확인구(150)를 중공의 장착부(151)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중공의 투명 튜브(157) 상단으로 물을 빼내면 된다. 중공의 투명 튜브(157)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물을 외부로 흘릴 염려도 없다. 이러한 중공의 투명 튜브(157)에는, 바람직하게,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눈금(SC)이 표시된다.
물높이 확인구(15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받침대 본체(110)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중공의 투명 튜브(157)를 세워서 끼워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끼움홈(118a)이 형성되어 있는 튜브 지지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끼움홈(118a)은 한쪽 측방이 개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본체(110)의 테두리(119) 바깥쪽에 조향축 설치부(120)가 형성된어 있다. 이 조향축 설치부(120)는 테두리(119)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하로 관통된 통공(121)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는 조향축 설치부(120)에 좌우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조향축(170)을 가진다. 이러한 조향축(170)은 축부(171)와 축부(171) 저부에 설치된 바퀴 장착부(173)를 가진다. 그리고 축부(171)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의 축홈(175)과 상하방향의 걸림홈(176)이 형성되어 있다. 바퀴 장착부(173)에는 조향을 위한 조향 바퀴(130a)가 장착된다. 조향축(170)을 좌우로 회동시키면, 조향 바퀴(130a)도 조향축(170)과 함께 좌우로 회동되어 받침대 본체(110)의 이동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조향축(17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178)가 상하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178)는 상방으로 세우거나 옆으로 눕힐 수 있다. 이 손잡이(178)는 링형상을 하고 있으며, 한쪽 측부에, 바람직하게, U자형태의 홈(178a)을 형성하고, 홈(178a)의 내측 양 측면에 축부(171) 상단에 형성된 축홈(175)에 끼워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돌기(179)와 걸림홈(176)에 삽입되어 손잡이(178)를 상방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177)가 형성된다.
받침대 본체(110)의 저면에는 2개의 바퀴 장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퀴 장착부(112)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바퀴 장착부(112)는 고정 바퀴(130b)들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장착되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향 바퀴(130a) 이외의 바퀴(130)는 받침대 본체(11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 장착부(1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될 수 없게 설치된다.
바퀴 장착부(112, 173)들은 바퀴(130)의 중심부에 설치된 바퀴 축(132)을 통해 각각 바퀴(130)를 장착하기 위한 바퀴 축 장착홈(SG)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바퀴 축 장착홈(SG)은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바퀴(130)를 장착하기가 쉽다.
바람직하게, 바퀴(130)의 바퀴 축(132)은 바퀴(130)의 중심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된다. 이 바퀴 축(132)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바퀴 장착부(112, 173)에 형성된 바퀴 축 장착홈(SG)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 본체(110) 위에 놓이는 화분의 하중은 바퀴 축(132)을 통해 바퀴(130)의 중앙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에서는 화분 받침대(110) 상부의 하중이 바퀴 장착부(112, 173)에 장착된 바퀴(130)의 바퀴 축(132)을 통해 바퀴(130)에 전달되므로, 바퀴(130)의 중심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고, 편향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 본체(110)를 구성하는 경우, 중심부에 양 측방으로 돌출된 바퀴 축(132)을 가지는 바퀴(130)를 플라스틱 사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어서 바퀴(130) 사용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의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바퀴(130)로는 조향 바퀴(130a)를 포함하여 최소한 3개 설치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큰 화분을 위한 것인 경우 5개 이상의 바퀴(13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배수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된 받침대 본체에 조향축 및 바퀴가 장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바퀴 장착 상태를 나타낸 후면도, 도 7은 배수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된 받침대 본체에 물높이 확인구와 조향축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조향축(170)은 바퀴 장착부(173) 위쪽 외주면에 조향축 설치부(120)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부(172)가 형성되고, 조향축 설치부(120)의 통공(121)을 통과하여 테두리(119)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손잡이(178)가 연결되어 있다. 이 손잡이(178)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좌우로 회전시키면 조향축(170)의 축부(171)와 조향축(170)의 바퀴 장착부(173)에 설치된 조향 바퀴(130a)도 함께 좌우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화분 받침대(100)의 방향을 전환하여 끌고 갈 수 있다. 축부(171)가 바퀴(130)의 중심으로 상부 하중을 전달하므로 이동 초기에도 화분 받침대(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퀴 장착부(112, 173)는 바퀴 축 장착홈(SG)이 형성되는 내벽(IW)과 내벽(IW)을 둘러싸는 외벽(OW)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퀴 장착부(112, 173)의 바퀴 축 장착홈(SG)은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은 바퀴 축(132)을 억지 끼움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바퀴 축(132)이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바퀴 축(132)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화분 이격 지지부는 기둥 없이 또는 기둥을 가지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손잡이는 축부(171)에서 이탈된 상태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높이 확인구(150)는 중공의 장착부(151) 외주면에 형성된 패킹 장착홈(152)에 링 형태의 고무 패킹(155)이 장착되어 물이 새지 않도록 않다.
도 8은 물빼기를 하기 위해 도 1의 화분 받침대에서 물높이 확인구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물빼기 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중공의 장착부(150)를 중심으로 물높이 확인구(150)를 회동시켜 투명 튜브(157)의 개구가 배수구(115) 하단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인 상태에서 물빼기 작업을 하면 된다.
물빼기 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시 물높이 확인구(15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의 투명 튜브(157)를 튜브 지지부(158)의 끼움홈(118a)에 끼워두면 된다.
화분 받침대(100)를 이동시키지 않는 평상시에는 손잡이(178)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세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화분을 올려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걸고리가 설치된 걸이봉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도면을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는 걸고리(192)가 설치된 걸이봉(190)을 이용하는 경우 더욱 편리하게 필요한 장소로 끌고 다닐 수 있다. 화분(10)을 받침대 본체(110) 상면의 화분 이격 지지부(111) 위에 올려두고, 화분 받침대(100)의 손잡이(178)에 걸고리(192)를 걸고 걸이봉(19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선 상태로 이동방향을 조정하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걸고리(192)가 설치된 걸이봉(190)으로는 화분 받침대 전용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각 가정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옷걸이봉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는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때에 따라, 걸고리(192)가 설치된 걸이봉(190) 대신에 끈이나 줄을 손잡이(178)에 묶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바퀴를 가지는 화분 받침대, 받침대 상면과 화분 저면에 물때가 끼지 않고 곰팡이가 슬지 않지 않는 화분 받침대, 화분 받침대에 고인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면서도 물빼기 작업이 용이한 화분 받침대를 만드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화분 받침대 110: 받침대 본체
111: 화분 이격 지지부 112, 173: 바퀴 장착부
113: 바닥 115: 배수로
116: 배수구 118: 튜브 지지부
118a: 끼움홈 120: 조향축 설치부
121: 통공 130: 바퀴
130a: 조향 바퀴 130b: 고정 바퀴
132: 바퀴 축 150: 물높이 확인구
151: 중공의 장착부 152: 패킹 장착홈
155: 고무 패킷 157: 중공의 투명 튜브
170: 조향축 171: 축부
178: 손잡이 190: 걸이봉
192: 걸고리

Claims (9)

  1. 화분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 저면에 설치된 3개 이상의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조향축 설치부; 및
    상기 조향축 설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저부에 상기 복수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조향 바퀴로 장착하기 위한 바퀴 장착부가 형성된 조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세우거나 옆으로 눕힐 수 있게 상하로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3. 제1항에서, 3개 이상의 상기 바퀴들 중 상기 조향 바퀴 이외의 바퀴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 장착부에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회동될 수 없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4. 제3항에서,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의 중심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되는 바퀴 축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바퀴 장착부는 상기 바퀴 축의 양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바퀴 축 장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에 장착되는 화분의 하중을 상기 바퀴 축을 통해 상기 바퀴의 중앙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5. 제1항에서, 받침대 본체의 내부에는 화분을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화분 이격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6. 제5항에서, 상기 화분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판상의 돌출부 및 복수의 상기 판상의 돌출부의 안쪽 끝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판상의 돌출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7. 제1항에서, 상기 받침대 본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받침대 본체 내부의 물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높이 확인구가 설치되고, 상기 물높이 확인구는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외주면에 패킹 장착홈이 형성된 중공의 장착부, 상기 패킹 장착홈에 장착된 고무 패킹 및 상기 중공의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공의 장착부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의 투명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8. 제7항에서, 상기 중공의 투명 튜브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물높이 확인구는 상기 중공의 장착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9. 제8항에서,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공의 투명 튜브를 세워서 끼워둘 수 있도록 한쪽 측방이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된 튜브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KR1020180157601A 2018-12-07 2018-12-07 화분 받침대 KR10218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601A KR102183686B1 (ko) 2018-12-07 2018-12-07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601A KR102183686B1 (ko) 2018-12-07 2018-12-07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974A true KR20200069974A (ko) 2020-06-17
KR102183686B1 KR102183686B1 (ko) 2020-11-26

Family

ID=7140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601A KR102183686B1 (ko) 2018-12-07 2018-12-07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6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959U (ja) * 1982-09-01 1984-03-08 西野 悦子 移動式植木受皿
JP2001301642A (ja) * 2000-04-18 2001-10-3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自走式キャリア
KR100441076B1 (ko) * 2003-09-06 2004-07-19 양재춘 이동구를 갖는 화분받침대
KR20160073794A (ko) * 2014-12-17 2016-06-27 (주)록키 수위표시관이 부착된 화분받침대
KR20160074150A (ko) * 2014-12-18 2016-06-28 조영운 다용도 화분받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959U (ja) * 1982-09-01 1984-03-08 西野 悦子 移動式植木受皿
JP2001301642A (ja) * 2000-04-18 2001-10-3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自走式キャリア
KR100441076B1 (ko) * 2003-09-06 2004-07-19 양재춘 이동구를 갖는 화분받침대
KR20160073794A (ko) * 2014-12-17 2016-06-27 (주)록키 수위표시관이 부착된 화분받침대
KR20160074150A (ko) * 2014-12-18 2016-06-28 조영운 다용도 화분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686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8282A1 (en) Water catching and draining saucer and complementary catch basin
PT794721E (pt) Sistema de transportes de artigos
US20080163544A1 (en) Transportable planter apparatus
DK2670229T3 (da) Vandingsindretning til montering i en dyrkningsbeholder, omfattende et selvstændigt reservoir
KR20200069974A (ko) 화분 받침대
AU2006201275A1 (en) Storage platform for storing and watering plants, and watering device
KR200466623Y1 (ko) 조립식 화분체
JP2014027909A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KR101533621B1 (ko) 벽면 부착형 화분
KR20130123002A (ko) 다용도 화분받침
KR20160074150A (ko) 다용도 화분받침
KR200488835Y1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KR101229172B1 (ko)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KR200442373Y1 (ko) 개량 화분받침대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101193733B1 (ko) 다용도 화분
KR20130004575U (ko) 다단식 화분대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US20150047255A1 (en) Cut Tree Watering Stand Device
KR0138307Y1 (ko) 이동이 자유로운 화분 받침대
CN219248661U (zh) 一种便于移动的陶瓷花盆
KR102199527B1 (ko)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JPH0233658Y2 (ko)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EP0842599A1 (fr) Poterie d'hort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