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844A -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844A
KR20200069844A KR1020180157368A KR20180157368A KR20200069844A KR 20200069844 A KR20200069844 A KR 20200069844A KR 1020180157368 A KR1020180157368 A KR 1020180157368A KR 20180157368 A KR20180157368 A KR 20180157368A KR 20200069844 A KR20200069844 A KR 2020006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ile
weight
styren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3379B1 (en
Inventor
정우철
남승백
손종석
장우경
신지희
노형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5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79B1/en
Publication of KR2020006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and a tile compri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lates to a film with minimal dimensional change under heating conditions, including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mineral oil, and a tile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reduced gap opening, reduced curling, and improved eco-friendliness,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에 관한 것으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여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 변화가 최소화된 필름 및 이를 포함하여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틈 벌어짐, 컬링 및 친환경성이 개선된 타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and a tile comprising the same, a film having a minimal dimensional change under heating conditions, including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a mineral oil,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including the same, opening, curling, and eco-friendly It's about improved tile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일은 백색시트 상에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층을 제조한 후 투명층으로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여 외관을 표현하고, 제품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서 상기 인쇄층 하부에 베이스층 및 밸런스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되었다.The commonly used tiles are gravure printing or transfer printing on a white sheet to prepare a printing layer, and then protect the printing layer with a transparent layer to express the appearance and base layer under the printing layer for product structural stability And it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balance layer.

이 때, 상기 투명층으로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수지를 이용하는데, 종래의 타일에는 유연성 및 성형성을 위해 가소제를 다량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용되었다.At this time, a polyvinyl chloride (Poly Vinyl Chloride) resin is used as the transparent layer. In the conventional tile, a transparent fil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 plasticizer is applied for flexibility and moldability.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32460호에서는 인쇄층 상부에 중합도 1,000 내지 1,300인 염화비닐수지 100 중량부, 디옥틸프탈레이트 35 중량부, 바륨-아연계 화합물 3 중량부, 에폭시수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된 바닥타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2460,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resin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1,000 to 1,300 on the top of the printed layer, 35 parts by weight of dioctylphthalate, 3 parts by weight of barium-zinc compound, 3 parts by weight of epoxy resin Disclosed is a floor tile in which a transparent film including parts is lamin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명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15-20℃로 난방 조건(15-45℃) 보다 낮기 때문에 난방 조건에서 치수가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상기 투명필름을 투명층으로 적용한 타일은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고, 틈 벌어짐 및 컬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film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15-20°C, which is lower than the heating condition (15-45°C), so the dimensions change in the heating condition, and accordingly, the tile applied the transparent film as a transparent lay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mensional stability was lowered, and the gaps were opened and curling occurred.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명필름은 내분비교란물질, 소위 환경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다량 포함하므로, 상기 투명필름이 타일에 적용될 경우 상기 가소제가 용출되어 인체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film as described above contains a large amount of phthalate-based plasticizers, which are widely known as endocrine disruptors, so-called environmental hormones, and when the transparent film is applied to tiles, the plasticizer elutes and adversely affects human safety. There was.

따라서,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 변화가 최소화된 투명필름 및 이를 포함하여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틈 벌어짐, 컬링 및 친환경성이 개선된 타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ransparent film with minimal dimensional change under heating conditions and a tile having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including improved clearance, curling, and eco-friendliness.

10-2007-0032460 A(2007.03.22)10-2007-0032460 A (2007.03.2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 변화가 최소화된 필름 및 이를 포함하여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틈 벌어짐, 컬링 및 친환경성이 개선된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 film having minimal dimensional change under heating conditions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improved clearance, curling, and eco-friendliness. d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되,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25% 이하인 것인 필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a mineral oil, and having a rate of change in the dimensional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heating at 80 (±2)° C. for 6 hours is 0.25% or less. .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는 타일로, 상기 투명층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되,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25% 이하인 필름인 것인 타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le comprising a balance layer, a base layer, a printing layer and a transparent layer from bottom to top, the transparent layer comprising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mineral oil, but at 80 (±2)° C. for 6 hours It provides a tile that is a film having a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heating for 0.25% or less.

본 발명의 필름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여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 변화가 최소화되고, 이를 포함하는 타일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틈 벌어짐, 컬링 및 친환경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mineral oil to minimize dimensional change under heating conditions, and the tile comprising the same ha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improved clearance, curling, and eco-friendliness.

도 1은 본 발명의 타일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되,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25% 이하인 것인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comprising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mineral oil, wherein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heating at 80 (±2)° C. for 6 hours is 0.25% or less.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using a styrene-based monomer and a butadiene-based monomer.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단량체 외의 다른 공단량체를 더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Optionally,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urther using a comonomer other than a styrene-based monomer and a butadiene-based monomer.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4-시클로헥실스티렌, 4-도데실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및 4-(페닐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styrene-based monomers are styrene, α-methylstyrene, 2-methylstyrene, 3-methylstyrene, 4-methylstyrene, 4-propylstyrene, 4-cyclohexylstyrene, 4-dodecylstyrene, and 2-ethy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benzyl styrene and 4-(phenylbutyl) styrene. In a specific example, the styrene-based monomer may be styrene.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일례로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2,3-디메틸-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부타디엔일 수 있다.The butadiene-base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adiene, isoprene and 2,3-dimethyl-1,3-butadiene. In a specific example, the butadiene-based monomer may be butadiene.

상기 다른 공단량체는 일례로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클로라이드, 비닐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other comonomer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propylene, vinyl chloride, vinyl fluoride, polyvinyl alcohol or vinyl acetate.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 형태는 일례로 직사슬형, 분기형 및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the bonding form of the styrene-based monomer and the butadiene-based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bonding form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ear, branched and radial forms. have.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중합 형태는 일례로 교대(alternating), 랜덤(random) 및 블록(bloc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In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the copolymerization form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ternating, random, and block.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구체적 일례로 캘린더 가공에 적절한 점탄성을 갖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be, for example, a block copolymer of styrene and butadiene having viscoelasticity suitable for calendering.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로 구성된 경질 블록(A)과 부타디엔계 단량체로 구성된 연질 블록(B)의 디(di) 또는 트리(tri)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트리 블록공중합체일 경우 일례로, A-B-A 또는 B-A-B 구조일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be a di (di) or tri (tri) block copolymer of a hard block (A) composed of a styrene-based monomer and a soft block (B) composed of a butadiene-based monomer. In the case of a tri-block copolymer, for example, it may be A-B-A or B-A-B structure.

또 다른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로 구성된 경질 블록(A)과 스티렌계 단량체와 부타디엔계 단량체의 랜덤공중합체로 구성된 연질 블록(B')의 디(di) 또는 트리(tri)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트리 블록공중합체일 경우 일례로, A-B'-A 또는 B'-A-B' 구조일 수 있다. 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a di(di) or tree of a hard block (A) composed of a styrene monomer and a soft block (B') composed of a random copolymer of a styrene monomer and a butadiene monomer. (tri) block copolymer. In the case of a tri-block copolymer, for example, it may have an A-B'-A or B'-A-B' structure.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블록공중합체인 경우, 경질 블록(A)의 유리전이온도(Tg)는 80 내지 120℃ 또는 90 내지 110℃일 수 있고, 상기 연질 블록(B, B')의 유리전이온도는 -40 내지 0℃ 또는 -30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a instrument Q10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When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a block copolym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hard block (A) may be 80 to 120°C or 90 to 110°C, and the glass transition of the soft block (B, B') The temperature may be -40 to 0°C or -30 to -10°C.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a instrument Q10.

이에 따라,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는 저온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탄성체 성질을 갖는 연질 블록과 고온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hard한 성질을 갖는 경질 블록을 포함하므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필름은 유연성이 있으면서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t low temperature, and thus includes a soft block having elastic properties and a hard block having hard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 so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The film comprising can be flexible and minimize dimensional changes under heating conditions.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50-90 중량% 또는 60-80 중량% 및 부타디엔 10-50 중량% 또는 20-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내 스티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PVC 수지와 같은 극성이 높은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치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include 50-90% by weight or 60-80% by weight of styrene and 10-50% by weight or 20-40% by weight of butadiene. When the styrene content in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compatibility with a highly polar resin such as PVC resin may be deteriorated and dimensional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Can be.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다른 공단량체를 더 이용하여 중합된 경우 상기 다른 공단량체 함량은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Further, optionally, when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further polymerized using another comonomer, the other comonomer cont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by weight or less, 5% by weight or less, or 1% by weight or less.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용융 체적 속도가 3-20cm3/10min 또는 5-15cm3/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체적 속도는 ISO 1133(200℃, 5kg)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용융 체적 속도가 상기 범위 외인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can be a melt volume rate of 3-20cm 3 / 10min or 5-15cm 3 / 10min. The melt volume rate may be measured by ISO 1133 (200 ℃, 5kg). When the melt volume rate of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outside the above rang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경도가 25-75, 30-70 또는 40-60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ISO 868로 측정한 쇼어(Shore D) 경도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필름의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필름이 단단해져 깨질 수 있다.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have a hardness of 25-75, 30-70 or 40-60. The hardness may be Shore D measured by ISO 868. When the hardness of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film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is more than the above range, the film may become hard and break.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굴곡강도가 1-40MPa, 3-35MPa 또는 10-30MPa 일 수 있다. 상기 굴곡강도는 ISO 178(23℃)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굴곡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필름의 권취가 어려워질 수 있다.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have a flexural strength of 1-40 MPa, 3-35 MPa, or 10-30 MPa. The flexural strength may be measured by ISO 178 (23°C). When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film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is more than the above range, winding of the film may be difficult as the flexibility of the film decreases.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200,000g/mol 또는 70,000-13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평균분자량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 may be 200,000g / mol or 70,000-130,000g / mol. When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moldability may deteriorate, and if it is more than the above range, processability and lightness may deteriorate. He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ns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btained by averaging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component molecular species of the polymer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by weight frac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75%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율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율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범위의 광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have a light transmittance at 550 nm of 75% or more, 80% or more, or 90% or more. The light transmittance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3. The upper limit of the light transmitta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0% or less, for example.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has a light transmittance in the above range, so that the film containing it can realize excellent transparency.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헤이즈가 7% 이하, 5% 이하, 또는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는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 또는 0.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범위의 헤이즈를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may have a haze of 7% or less, 5% or less, or 2% or less. The haze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3. The lower limit of the haz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 or more or 0.5% or more.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has a haze in the above range, so that the film containing it can realize excellent transparency.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의 다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styrene-butadiene copolymers.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필름 내에 70-90중량% 또는 75-88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범위로 포함되어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70-90% by weight or 75-88% by weight in the film It may be included.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to implement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상기 미네랄 오일은 연화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성형성 및 영률을 조절하고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mineral oil serves as a softening agent, and may be for controlling moldability and Young's modulus and realizing excellent workability.

상기 미네랄 오일은 일례로 파라핀계, 나프텐계, 및 아로마틱계 오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미네랄 오일은 내후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파라핀계 오일일 수 있다. The mineral oil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affin-based, naphthenic-based, and aromatic oils. As a specific example, the mineral oil may be a paraffin-based oil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상기 미네랄 오일은 40℃에서의 동점도가 50-150mm2/s 또는 70-130mm2/s 일 수 있다. 상기 동점도는 ASTM D 445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의 동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mineral oil may have a kinematic viscosity at 40°C of 50-150 mm 2 /s or 70-130 mm 2 /s. The kinematic viscosity may be measured by ASTM D 445. If the kinematic viscosity of the mineral oil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mechanical properties may deteriorate,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flowability may deteriorate.

상기 미네랄 오일은 상기 필름 내에 3-25 중량% 또는 5-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영률이 지나치게 높아짐에 따라 필름이 단단해질 수 있고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미네랄 오일이 필름 표면 위로 블리딩(bleeding)될 수 있고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mineral oil may be contained in the film 3-25% by weight or 5-20% by weight. When the mineral oil is included below the above range, the film may be hardened and th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as the Young's modulus is too high, and when it is included above the above range, the mineral oil may be bleeded onto the film surface. Workability may deteriorate.

상기 필름은 선택적으로 산화방지제, 활제, 가공조제, 안정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lm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lubricants, processing aids, stabilizers and flame retardants, the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페놀계, 유황계 및 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antioxidant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ol-based, sulfur-based, and phosphorus-based antioxidants.

상기 활제는 일례로 친환경 활제에 해당하는 탄소수 18의 포화 고급지방산인 스테아린산 또는 이상의 고급 지방산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lubrica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tearic acid or higher fatty acids, which are saturated higher fatty acids having 18 carbon atoms, corresponding to eco-friendly lubricants.

상기 가공조제는 일례로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The processing aid may be, for example, an acrylic copolymer.

상기 안정제는 일례로 바륨-아연계 또는 칼슘 아연계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stabilizer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ium-zinc-based or calcium zinc-based thermal stabilizers.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 일례로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인계 난연제, 및 암모늄 피로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lame retarda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al hydroxide including aluminum hydroxide and magnesium hydroxide, a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 and ammonium pyrophosphate.

상기 필름은 두께가 0.01-2.0mm 또는 0.1-1.0mm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이 상기 범위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쉽게 마모되어 외관이 손상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의 두께를 가질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컬링이 발생할 수 있다.Th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0.01-2.0mm or 0.1-1.0mm. When the film has a thicknes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may be easily worn and the appearance may be damaged. If the film has a thickness outside the above rang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and curling may occur.

상기 필름은 80(±2)℃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25% 이하, 0.20% 이하, 또는 0.10% 이하일 수 있고, 폭 방향 치수 변화율이 0.09% 이하, 0.05% 이하, 또는 0.0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상기 범위의 치수 변화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름을 적용한 본 발명의 타일은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 변화가 최소화되고, 틈 벌어짐 및 컬링이 개선될 수 있다.The film may have a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0.25% or less, 0.20% or less, or 0.10% or less after standing at 80 (±2)° C. for 6 hours, and a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0.09% or less, 0.05% or less, or 0.03% or less. The film may hav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by having a rate of dimensional change in the above range. Accordingly, th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film is applied can minimize dimensional changes under heating conditions and improve gap opening and curling.

상기 필름은 영률이 길이 방향으로 15-25MPa 또는 17-23MPa, 폭 방향으로 14-22MPa 또는 16-20MPa일 수 있다. 상기 영률은 상온 하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UTM)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하였을 때, 길이/폭 방향으로 변형에 대한 힘의 비율을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영률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필름이 지나치게 단단해질 수 있다.The film may have a Young's modulus of 15-25 MPa or 17-23 MP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14-22 MPa or 16-20 MPa in the width direction. The Young's modulus may be a ratio of force to deformation in the length/width direction when the tensile test i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When the Young's modulus of the film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is more than the above range, the film may be too hard.

상기 필름은 헤이즈가 5 %이하 또는 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는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상기 범위의 헤이즈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film may have a haze of 5% or less or 4% or less. The haze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3. The lower limit of the haz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 or more.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excellent transparency by having a haze in the above range.

상기 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80 내지 120℃ 또는 90 내지 110℃로 측정되는 부분 및 -40 내지 0℃ 또는 -30 내지 -10℃로 측정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a instrument Q10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를 갖는 두 부분을 포함하여 유연하면서도 난방 조건에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The film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measured at 80 to 120°C or 90 to 110°C and a portion measured at -40 to 0°C or -30 to -10°C.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a instrument Q10. The film may be flexible, including two parts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above range, but may hav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under heating conditions.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타일을 제공한다. 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tile comprising a film according to the forego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일(1)은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10), 베이스층(30), 인쇄층(50) 및 투명층(70)을 포함하되, 상기 투명층(70)은 상기 전술한 필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ance layer 10, a base layer 30, a printing layer 50, and a transparent layer 70 from bottom to top, wherein the transparent layer 70 is It may be the above-described film.

상기 밸런스층(10)은 최하부에 위치하여 타일(1)에 휨 밸런스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The balance layer 10 may be positioned at the bottom to serve to impart a warpage balance to the tile 1.

상기 밸런스층(10)은 밸런스층(10)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PVC 수지 30-50 중량% 또는 35-45 중량%, 충전제 30-50 중량% 또는 35-45 중량% 및 가소제 1-15 중량% 또는 5-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ance layer 10 is produced by molding the composition for the balance layer 10, for example, 30-50% by weight or 35-45% by weight of PVC resin, 30-50% by weight or 35-45% by weight of filler, and Plasticizer 1-15% by weight or 5-10% by weight.

상기 밸런스층(10)은 두께가 0.1-2.0mm 또는 0.4-1.6mm일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1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에 휨 밸런스를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The balance layer 10 may have a thickness of 0.1-2.0mm or 0.4-1.6mm. The balance layer 10 may have an excellent effect of imparting a warpage balance to the tile 1 by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상기 베이스층(30)은 상기 밸런스층(10) 상부에 위치하여 타일(1)에 볼륨 및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The base layer 3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balance layer 10 to serve to give volume and strength to the tile 1.

상기 베이스층(30)은 베이스층(30)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PVC 수지 5-20 중량% 또는 10-15 중량%, 충전제 65-85 중량% 또는 70-80 중량% 및 가소제 1-15 중량% 또는 3-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base layer 30 is produced by molding the composition for the base layer 30, for example, 5-20% by weight or 10-15% by weight of PVC resin, 65-85% by weight or 70-80% by weight of filler, and It may be a plasticizer containing 1-15% by weight or 3-10% by weight.

상기 베이스층(30)은 두께가 0.5-5.0mm 또는 1.0-4.0mm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3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에 볼륨 및 강도를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The base layer 30 may have a thickness of 0.5-5.0mm or 1.0-4.0mm. The base layer 30 may have an effect of giving volume and strength to the tile 1 by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상기 인쇄층(50)은 상기 베이스층(30) 상부에 위치하여 타일(1)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50 may be located on the base layer 30 and may serve to give various effects to the tile 1 in terms of appearance and design.

상기 인쇄층(50)은 단색필름 표면에 일례로, 전사 인쇄, 그라비아 인쇄 및 스크린 인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쇄 방법을 통해 인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50 may be manufactured by printing on one surface of a monochromatic film through one or more printing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fer printing, gravure printing, and screen printing.

상기 단색필름은 흰색 또는 그 밖의 다른 색상을 띄는 층으로, 단색필름용 조성물을 성형하에 제조되는 것이며, 일례로 PVC 수지 60-80 중량% 또는 65-75 중량%, 충전제 5-20 중량% 또는 10-15 중량%, 가소제 1-20 중량% 또는 5-15 중량% 및 안료 0.001-5 중량% 또는 0.01-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monochromatic film is a layer having a white or other color, and is prepared by molding the composition for the monochromatic film, for example, 60-80% by weight or 65-75% by weight of PVC resin, 5-20% by weight of filler, or 10 -15% by weight, 1-20% by weight or 5-15% by weight of the plasticizer and 0.001-5% by weight or 0.01-3% by weight of the pigment.

상기 인쇄층(50)은 두께가 0.01-2.0mm 또는 0.05-1.0mm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5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50 may have a thickness of 0.01-2.0mm or 0.05-1.0mm. The printing layer 50 may have various appearances and design effects to the tile 1 by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상기 투명층(70)은 상기 인쇄층(5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층(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layer 7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rinting layer 50 to protect the printing layer 50.

상기 투명층(70)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위에서 설명한 필름과 동일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The transparent layer 70 is a film containing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a mineral oil, which is the same as the film described above, and repeated substrates are omitted.

상기 투명층(70)은 두께가 0.01-2.0mm 또는 0.1-1.0mm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7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의 하부의 인쇄층(50)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layer 70 may have a thickness of 0.01-2.0mm or 0.1-1.0mm. The transparent layer 70 may have an excellent effect of protecting the printed layer 50 under the tile 1 by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상기 타일(1)은 선택적으로 내오염성,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투명층(70) 상부에 표면처리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le 1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on the transparent layer 70 to selectively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ai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상기 표면처리층은 표면처리층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45-85 중량% 또는 50-80 중량% 및 광개시제 0.1-15 중량% 또는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rface treatment layer is prepar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the surface treatment layer and then curing, for example, 45-85% by weight or 50-80% by weight of ultraviolet curing urethane acrylate and 0.1-15% by weight or 0.1-10% by weight of the photoinitiator It may be to include.

상기 표면처리층은 두께가 0.001-0.5mm 또는 0.01-0.1mm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오염성,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001-0.5mm or 0.01-0.1mm.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have excellent thickness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by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의 타일(1)은 일례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 및 돌부로 구성되는 T&G(Tongue & Groove), 클릭(Click) 시스템 또는 커넥터에 의한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본 발명의 타일(1)은 시공 시 접착제가 필요 없는 클릭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nection structure by a T&G (Tongue & Groove), a Click system, or a connector, which is composed of grooves and protrusions to be mutually coupled, for example. As a specific example,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lick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an adhesive during construction.

본 발명의 타일(1)은 두께가 2.0-6.0mm 또는 3.0-5.0mm일 수 있다. 상기 타일(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강도가 저하되고 장기간 사용 시 닳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2.0-6.0mm or 3.0-5.0mm. When the thickness of the tile 1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strength is lowered and may be worn out for a long period of use, and if it is more than the above rang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본 발명의 타일(1)은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09% 이하 또는 0.07% 이하이고, 폭 방향 치수 변화율이 0.06% 이하 또는 0.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치수 변화율은 상기 타일(1)을 80(±2)℃ 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치수 변화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치수 변화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0.09% or less or 0.07% or less, and a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0.06% or less or 0.05% or less. The dimensional change rate may be measured after heating the tile 1 at 80 (±2)° C. for 6 hours. The lower limit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 or more.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by having a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above range.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틈 벌어짐 정도가 0.08mm 이하 또는 0.06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틈 벌어짐 정도는 80℃에서 6시간 동안 바닥 난방 후 타일(1) 사이의 틈 벌어짐 정도를 루페(Lup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틈 벌어짐 정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타일(1)는 상기 범위의 틈 벌어짐 정도를 가짐으로써 틈 벌어짐이 최소화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ap opening degree of 0.08 mm or less or 0.06 mm or less. The degree of gap opening may be measured by using a loupe to measure the degree of gap opening between the tiles 1 after heating the floor at 80° C. for 6 hours. The lower limit of the gap opening degre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 mm or more. The tile 1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gap opening by having a gap opening degree in the above range.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컬링 정도가 0.40mm 이하 또는 0.3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컬링 정도는 80℃에서 6시간 동안 바닥 난방 후 바닥으로부터 타일(1)의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컬링의 높낮이를 두께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컬링 정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타일(1)은 상기 범위의 컬링 정도를 가짐으로써 컬링이 최소화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urling degree of 0.40 mm or less or 0.35 mm or less. The degree of curling may be measured by using a thickness gauge to measure the height of curling occurring at the edge of the tile 1 from the floor after heating the floor at 80°C for 6 hours. The lower limit of the degree of curl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 mm or more. The tile 1 has an effect of minimizing curling by having a degree of curling in the above range.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가 0.1mg/m2h이하 또는 0.05 mg/m2h이하 일 수 있다. 상기 TVOC는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측정기를 사용하여 Small Chamber법에 의해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TVOC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mg/m2h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TVOC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친환경성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of 0.1 mg/m 2 h or less or 0.05 mg/m 2 h or less. The TVOC may be measured by the Small Chamber method using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meter. The lower limit of the TVO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 mg/m 2 h or more. The t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excellent eco-friendliness by having TVOC in the above ran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In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

1. 필름의 제조1. Preparation of film

<실시예 1><Example 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네랄 오일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1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가공조제 2 중량부, 안정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5mm인 실시예 1의 필름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comprising 10 parts by weight of mineral oil, 1 part by weight of an antioxidant, 0.5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2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and 2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kneaded at 160° C. and then 160-170 The film of Example 1 having a thickness of 0.5 mm was prepared by calendering molding at ℃.

<실시예 2><Example 2>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네랄 오일 20 중량부, 산화방지제 1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가공조제 2 중량부, 안정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5mm인 실시예 2의 필름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comprising 20 parts by weight of mineral oil, 1 part by weight of an antioxidant, 0.5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2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and 2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kneaded at 160°C and then 160-170 The film of Example 2 having a thickness of 0.5 mm was prepared by calendering molding at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34 중량부 및 열안정제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5mm인 비교예 1의 필름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comprising 34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5 parts by weight of a heat stabiliz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VC resin was kneaded at 160°C, and then calendered at 160-170°C to prepare a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thickness of 0.5 mm.

[참조예][Reference example]

<참조예 1><Reference Example 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네랄 오일 3 중량부, 산화방지제 1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가공조제 2 중량부, 안정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5mm인 참조예 1의 필름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comprising 3 parts by weight of mineral oil, 1 part by weight of an antioxidant, 0.5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2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and 2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kneaded at 160° C. and then 160-170 The film of Reference Example 1 having a thickness of 0.5 mm was prepared by calendering molding at ℃.

<참조예 2><Reference Example 2>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네랄 오일 40 중량부, 산화방지제 1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가공조제 2 중량부, 안정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5mm인 참조예 2의 필름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comprising 40 parts by weight of mineral oil, 1 part by weight of an antioxidant, 0.5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2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and 2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is kneaded at 160°C and then 160-170 The film of Reference Example 2 having a thickness of 0.5 mm was prepared by calendering molding at ℃.

상기 실시예 1-2, 비교예 1 및 참조예 1-2의 필름의 조성을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The compositions of the films of Examples 1-2, Comparative Examples 1 and Reference Examples 1-2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 중량%weight% )) 실시예Example 1 One 실시예Example 2 2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참조예Reference example 1 One 참조예Reference example 2 2 SBCSBC 86.5886.58 79.6879.68 -- 92.1792.17 68.7368.73 PVCPVC -- -- 71.9471.94 -- -- 미네랄 오일Mineral oil 8.668.66 15.9415.94 -- 2.762.76 27.4927.49 가소제Plasticizer -- -- 24.4624.46 -- -- 산화방지제Antioxidant 0.870.87 0.800.80 -- 0.920.92 0.690.69 활제Glide 0.430.43 0.400.40 -- 0.470.47 0.350.35 가공조제Processing aid 1.731.73 1.591.59 -- 1.841.84 1.371.37 안정제stabilizator 1.731.73 1.591.59 3.603.60 1.841.84 1.371.37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 스티렌 60-80 중량% 및 부타디엔 20-40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용융 체적 속도 (ISO 1133(200℃, 5kg)) 5-15cm3/10min, 경도(Shore D(ISO 868)) 40-60, 굴곡강도(ISO 178(23℃)) 10-30MPa, 중량평균분자량 70,000-130,000g/mol, 550nm에서의 광투과율(ASTM D1003) 90% 이상, 헤이즈(ASTM D1003) 2% 이하-Styrene-butadiene copolymer (SBC): block copolymer of styrene and butadiene containing 60-80 wt% styrene and 20-40 wt% butadiene, melt volume rate (ISO 1133 (200°C, 5 kg)) 5-15 cm 3 /10min, hardness (Shore D (ISO 868)) 40-60, flexural strength (ISO 178 (23°C)) 10-30 MP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70,000-130,000 g/mol, light transmittance at 550 nm (ASTM D1003) 90% or more, haze (ASTM D1003) 2% or less

-미네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동점도(ASTM D445) 70-130mm2/s-Mineral oil: paraffin oil, dynamic viscosity (ASTM D445) 70-130mm 2 / s

-산화방지제: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Antioxidant: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활제: 스테아린산-Lubricant: stearic acid

-가공조제: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Processing aid: 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

-안정제: 바륨-아연계 열안정제-Stabilizer: Barium-zinc-based thermal stabilizer

-가소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Plasticizer: Dioctyl terephthalate

2. 타일의 제조2. Manufacturing of tiles

(밸런스층)(Balance layer)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 탄산칼슘(렉셈, S1000) 10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20 중량부 및 열안정제(CNA, BZ-011)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밸런스층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8mm인 밸런스층을 제조하였다.For balance layer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PVC resin (LG Chemical, LS080), 10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Lexem, S1000), 2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LG Chemical, DOTP) and 3 parts by weight of thermal stabilizer (CNA, BZ-011) The composition was kneaded at 160°C, followed by calendering at 160-170°C to prepare a balanc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8mm.

(베이스층)(Base layer)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렉셈, S1000) 55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32 중량부, 가공조제(LG화학, PA828) 9 중량부 및 열안정제(CNA, BZ-011)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3.1mm인 베이스층을 제조하였다.5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Lexem, S1000), 32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LG Chemical, DOTP), 9 parts by weight of processing aid (LG Chemical, PA828) and thermal stabilizer ( CNA, BZ-011) The base layer composition comprising 3 parts by weight was kneaded at 160°C, and then calendered at 160-170°C to prepare a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1 mm.

(인쇄층)(Print layer)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렉셈, S1000) 2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5 중량부, 열안정제(CNA, BZ-011) 2 중량부 및 안료(TiO2)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색필름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제조된 백색의 단색필름 표면에 전사 인쇄하여 두께가 0.10mm인 인쇄층을 제조하였다.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PVC resin (LG Chemical, LS080), 2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Lexem, S1000), 15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LG Chemical, DOTP), 2 parts by weight of heat stabilizer (CNA, BZ-011) and pigment ( TiO2) The composition for a monochromatic film containing 3 parts by weight was kneaded at 160°C, and then calendered at 160-170°C to transfer the printing on the surface of a white monochromatic film prepared to prepare a prin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10 mm.

(투명층)(Transparent layer)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1-2, 비교예 1 및 참조예 1-2의 투명필름을 투명층으로서 준비하였다.The transparent films of Example 1-2, Comparative Example 1 and Reference Example 1-2 described above were prepared as transparent layers.

(타일)(tile)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적층한 후 150℃에서 열 합판하여 두께가 4.5 mm인 실시예 1-2, 비교예 1 및 참조예 1-2의 타일을 제조하였다.After stacking the balance layer, the base layer, the print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lay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heat-plying at 150°C was performed to prepare tiles of Example 1-2, Comparative Example 1 and Reference Example 1-2 having a thickness of 4.5 mm. .

[시험예][Test Example]

1-1. 필름의 물성1-1. Film properties

<치수변화율><Dimension change rate>

각 필름을 200mm ⅹ 450mm(길이ⅹ폭)의 크기로 재단 후, 약 25℃의 상온에서 상기 각 재단된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초기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난방조건(15-45℃) 하에서 필름의 장기간의 치수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재단된 각 필름을 80(±2)℃에서 6시간 가열한 후, 상기 재단된 각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하기 <식 1>에 의하여 치수 변화율(%)을 도출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After cutting each film to a size of 200 mm ⅹ 450 mm (length ⅹ width), the initial dimensions of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of each cut film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of about 25°C. Subsequently, in order to confirm long-term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film under heating conditions (15-45° C.), each of the cut films was heated at 80 (±2)° C. for 6 hours, and t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idth of each cut film. The dimension of the direction was measured. Subsequently, the dimensional change rate (%) was deriv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shown in Table 2.

<식 1><Equation 1>

치수변화율(%) = [(후기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ⅹ100Dimensional change rate (%) = [(Late dimension-Initial dimension)/Initial dimension]ⅹ100

<영률><Young's modulus>

길이 60mm, 폭 10mm의 Doggy bone 형태의 시편을 상온하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UTM)을 사용하여 연신속도 50mm/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변형에 대한 힘의 비율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When tensile specimens with a doggy bone type of 60 mm in length and 10 mm in width were subjected to a tensile test under the condition of an elongation rate of 50 mm/min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t room temperature, the ratio of force to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was determined. It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헤이즈><Haze>

ASTM D1003에 따라 Haze Meter HM-150을 사용하여 각 필름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The haze of each film was measured using Haze Meter HM-150 according to ASTM D1003 and is shown in Table 2.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a instrument Q10을 이용하여 각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show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film using a Ta scanning Q10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2-1. 타일의 물성2-1. Tile properties

<치수변화율><Dimension change rate>

각 타일을 150mmⅹ1220mm(길이ⅹ폭)의 크기로 재단한 후, 약 25℃의 상온에서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초기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난방조건(15-45℃) 하에서 타일의 장기간의 치수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을 80(±2)℃에서 6시간 가열한 후,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하기 <식 2>에 의하여 치수 변화율(%)을 도출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After cutting each tile to a size of 150 mm ⅹ 1220 mm (length ⅹ width), the initial dimensions of the length direction and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cut tiles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of about 25°C. Subsequently, each tile was cut at 80 (±2)° C. for 6 hours to confirm long-term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tile under heating conditions (15-45° C.). After heating, the dimensions of the lengthwise and widthwise directions of each cut tile were measured. Subsequently, the dimensional change rate (%) was deriv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and shown in Table 2.

<식 2><Equation 2>

치수변화율(%) = [(후기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ⅹ100Dimensional change rate (%) = [(Late dimension-Initial dimension)/Initial dimension]ⅹ100

<틈 벌어짐><Gap apart>

각 타일을 50mmХ200mm(길이ⅹ폭)의 크기로 재단한 다음, 80℃에서 6시간 동안 바닥 난방 후 상기 재단된 각 타일 사이의 틈 벌어짐 정도를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Each tile was cut to a size of 50 mm x 200 mm (length ⅹ width), and then, after heating the floor at 80° C. for 6 hours, the degree of gap between each tile was measured using a tape measure and shown in Table 2.

<컬링><curling>

각 타일을 150mmⅹ1220mm(길이ⅹ폭)의 크기로 재단한 후, 80℃에서 6시간 동안 바닥 난방 후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의 가장자리가 바닥으로부터 컬링이 발생하는 높낮이를 두께 게이지로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Each tile After cutting to a size of 150 mm ⅹ 1220 mm (length ⅹ width), after heating the floor at 80° C. for 6 hours, the height at which the edges of each of the cut tiles curled from the floor were measured with a thickness gauge and are shown in Table 2.

<TVOC 방출량><TVOC emissions>

각 타일을 16.5mmⅹ16.5mm(길이ⅹ폭)의 크기로 재단한 후,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측정기를 사용하여 Small Chamber법에 의해 TVOC를 측정하였다. After each tile was cut to a size of 16.5 mm ⅹ 16.5 mm (length ⅹ width), TVOC was measured by the Small Chamber method using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meter.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실시예 1-2의 필름은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변화율이 낮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2의 타일은 치수변화율이 낮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틈 벌어짐, 컬링 및 친환경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t was confirmed that the film of Example 1-2 had a low dimensional change rate under heating conditions, and thu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excellent transparenc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iles of Examples 1-2 had a low dimensional change rate and thu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improved clearance, curling, and eco-friendliness.

한편, 비교예 1의 필름은 PVC와 가소제 등을 포함한 것으로서, 난방 조건 하에서 치수변화율이 높아 치수안정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비교예 1의 필름은 영률이 작아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의 타일은 상기 비교예 1의 필름을 투명층으로 적용하여 치수안정성 및 친환경성이 저하되고, 틈 벌어짐 및 컬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ed PVC and a plasticizer,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was deteriorated due to a high dimensional change rate under heat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a small Young's modulus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til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as a transparent layer, it was confirmed that dimensional stability and eco-friendliness were deteriorated, and gaps and curling occurred.

한편, 참조예 1의 필름은 미네랄 오일을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한 것으로, 실시예에 비해 영률이 높아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참조예 1의 타일은 상기 참조예 1의 필름을 투명층으로 적용하여 컬링이 발생하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film of Reference Example 1 contains mineral oil in a content range below, and the Young's modulus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ample, thereby deteriorating flexibility of the film. In addition, in the tile of Reference Example 1, the film of Reference Example 1 was applied as a transparent layer to generate curling, and the workability was deteriorated.

한편, 참조예 2의 필름은 미네랄 오일을 함량 범위 초과로 포함한 것으로서, 영률이 낮아 치수안정성이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다소 저하되고, 필름 표면 위로 미네랄 오일이 블리딩되었다. 또한, 참조예 2의 타일은 상기 참조예 2의 필름을 투명층으로 적용하여 틈 벌어짐 및 컬링이 발생하고, 시공성이 저하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film of Reference Example 2 contains a mineral oil exceeding the content range, the Young's modulus is low,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slightly lower than in Examples 1 and 2, and the mineral oil is bleeding over the film surface. In addition, in the tile of Reference Example 2, the film of Reference Example 2 was applied as a transparent layer to cause gaps and curling, and the workability was deteriorated.

1: 타일 10: 밸런스층
30: 베이스층 50: 인쇄층
70: 투명층
1: Tile 10: Balance layer
30: base layer 50: printed layer
70: transparent layer

Claims (13)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되,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25% 이하인 것인 필름A film comprising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mineral oil, wherein the rate of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mension after heating at 80 (±2)° C. for 6 hours is 0.25%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영률(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이 길이 방향으로 15-25MPa, 폭 방향으로 14-22MPa인 것인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has a Young's modulus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of 15-25MP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14-22MPa in the width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헤이즈(ASTM D1003)가 5% 이하인 것인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has a haze (ASTM D1003) of 5%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80 내지 120℃으로 측정되는 부분 및 -40 내지 0℃으로 측정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is a film that includes a portion measured by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80 to 120 ℃ and a portion measured by -40 to 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공중합체인 것인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film is a block copolymer of styrene and butadien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50-90 중량% 및 부타디엔 10-50 중량%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인 필름.
The method of claim 5,
The styrene-butadiene copolymer film is a block copolymer comprising 50-90% by weight of styrene and 10-50% by weight of butadie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인 것인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mineral oil film is a paraffin-based o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70-90 중량% 및 미네랄 오일 3-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is a film comprising 70-90%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3-25% by weight of mineral oil.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은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름인 것인 타일. A tile comprising a balance layer, a base layer, a printing layer and a transparent layer from bottom to top, wherein the transparent layer is a film of any one of claims 1 to 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09% 이하인 것인 타일.
The method of claim 9,
The tile is a tile having a rate of dimensional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0.09% or less after heating at 80 (±2)° C. for 6 hour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에서 6시간 동안 바닥 난방 후의 틈 벌어짐 정도가 0.08mm 이하인 것인 타일.
The method of claim 9,
The tile is a tile having a degree of gap opening after heating the floor at 80° C. for 6 hours or les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에서 6시간 동안 바닥 난방 후 컬링 정도가 0.40mm 이하인 것인 타일.
The method of claim 9,
The tile is a tile having a curling degree of 0.40 mm or less after heating the floor at 80° C. for 6 hour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이(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가 0.1mg/m2h 이하인 것인 타일.
The method of claim 9,
The tile has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of 0.1mg / m 2 h or less.
KR1020180157368A 2018-12-07 2018-12-07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KR102443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368A KR102443379B1 (en) 2018-12-07 2018-12-07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368A KR102443379B1 (en) 2018-12-07 2018-12-07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44A true KR20200069844A (en) 2020-06-17
KR102443379B1 KR102443379B1 (en) 2022-09-14

Family

ID=7140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368A KR102443379B1 (en) 2018-12-07 2018-12-07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37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460A (en) 2005-09-16 2007-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Flooring tile producible by press and having three-dimensional effec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10014818A (en) * 2009-08-06 2011-02-14 전면근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decotile surface layer
KR20120120835A (en) * 2011-04-25 2012-11-02 (주)두일 Eco-friendly tile
KR20160131780A (en)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영우티피 Environment friendly resin composition for outer layer of decotile and decoti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97692A (en) * 2015-12-22 2018-08-31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Title: Flooring material containing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460A (en) 2005-09-16 2007-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Flooring tile producible by press and having three-dimensional effec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10014818A (en) * 2009-08-06 2011-02-14 전면근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decotile surface layer
KR20120120835A (en) * 2011-04-25 2012-11-02 (주)두일 Eco-friendly tile
KR20160131780A (en)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영우티피 Environment friendly resin composition for outer layer of decotile and decoti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97692A (en) * 2015-12-22 2018-08-31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Title: Flooring material containing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379B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3384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resin modifier and molded article
KR101297160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US10265929B2 (en) Cushion floor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44032B1 (en) Single layer sheet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30708B1 (en) Transparent film for floor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102294343B1 (en)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0109640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KR101930986B1 (en) an acylic elastomer resin composition and a a film manufactured by using the resin composition
KR102029386B1 (en) Deco sheet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KR102443379B1 (en) Film and tile comprising the same
CA2868775C (en) Polycarbonate blend articl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993703B1 (en) Composite sheet
JP4892194B2 (en) Base sheet for view selection sheet
KR20080083870A (en) Polyvinylcloride composition for decoration sheet and decoration sheet using the same
KR102483301B1 (en) Pvc flooring material
KR102497220B1 (en) Tile flooring material
JP2018115263A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composition
KR101943341B1 (en) Calendering process additives for improving smoothness
KR101382784B1 (en) Biodegradable sheet having an antistatic finishing property and excellent shock and heat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61599A (en) Single layer sheet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24900B1 (en) Single layer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60851A (en) Composite sheet, decorative sheet for furniture includ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sheet
JP5283245B2 (en)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for calendar molding
KR20220122617A (en) 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2342014B1 (en) Polyvinyl chloride tile flo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