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509A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509A
KR20200069509A KR1020180156622A KR20180156622A KR20200069509A KR 20200069509 A KR20200069509 A KR 20200069509A KR 1020180156622 A KR1020180156622 A KR 1020180156622A KR 20180156622 A KR20180156622 A KR 20180156622A KR 20200069509 A KR20200069509 A KR 20200069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re
scroll
motor
typ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922B1 (ko
Inventor
김주형
권오창
임남식
임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70Use of multiplicity of similar components;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버터와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부; 상기 권선과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와 결합되며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 {Scroll-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버터와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스크롤이 고정되고, 이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 등의 유체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스크롤형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유체의 흡입, 압축 및 토출 과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 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크롤형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인버터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모터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 및 이 고정자에 결합되어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이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자 조립체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에 결합되는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와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은 절연 및 내외부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요건일 수 있다.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 모터와 인버터 사이 연결되는 기밀단자는 절연과 기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병렬로 구비되는 3개 전원 핀(주로 일렬로 형성된다)과 절연물,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에 삼상 기밀단자가 조립되는 구조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CO2와 같이 고압의 냉매를 사용할 경우 케이싱의 크랙 문제도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뢰성이 향상된 인버터와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에 대한 케이싱의 신뢰성이 증가할 수 있고,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부; 상기 권선과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와 결합되며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삼상에 해당하는 상기 권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접촉부, 제2접촉부 및 제3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모터가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기밀시키는 분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분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보다 반경이 큰 기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분리부에 밀착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2코어; 및 상기 제2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3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코어, 상기 제2코어 및 상기 제3코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코어와 상기 제2코어 사이를 절연하는 제1절연부; 상기 제2코어와 상기 제3코어 사이를 절연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3코어의 외측을 절연하는 제3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자는 암 단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암 단자 형상에 결합되는 수 단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부; 상기 권선과 연결되며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는 동축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모터가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기밀시키는 분리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단자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분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보다 반경이 큰 기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분리부에 밀착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2코어; 및 상기 제2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3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기밀단자의 형상을 제1단자와 제2단자로 구비함으로써 조립 및 상대 조립물의 형상을 단순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자 연결구조는 제1단자와 제2단자, 그리고 분리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로 인한 압축기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고, 전체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압에 대한 케이싱의 신뢰성이 증가할 수 있고,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볼트 등을 삭제할 수 있어 전체 부품 개수가 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조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연결 핀의 개수 감소로 인한 조립 공차 완화 및 진동 내구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부, 제1단자 및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단자가 분리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100)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110) 내에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110) 내에, 모터(200), 회전축(300), 서로 맞물리는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 그리고 회전축(300)이 설치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10)은 횡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에는 냉매의 출입을 위한 흡입구(111) 및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터(200)의 회전자(210)와 결합되는 회전축(3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300)은 선회 스크롤(600)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200)는 회전축(300)을 통하여 선회 스크롤(600)이 선회 운동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00)의 일측에는 프레임(4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메인 프레임으로서 주철과 같은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레임(400)에는 고정 스크롤(500)이 결합되어 압축 공간(5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10)에는 이러한 압축 공간(501)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101)을 포함하고, 토출구(112)는 이 토출실(101)에 구비되어, 토출실(101)의 냉매는 토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실(101)에서 오일은 냉매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하측에 분리된 오일은 오일픽업(113)을 통하여 흡입되어 회전하는 각 부분에 공급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흡입구(111) 측에는 별도의 인버터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인버터 공간에는 인버터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터 공간은 인버터부(120)를 모터(200)가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기밀시키는 분리부(27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모터(200)는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220) 및 이 고정자(224)에 결합되어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230)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220) 및 이 고정자 조립체(22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자 조립체(2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224)와 이 고정자(224)에 결합되는 절연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체(230)는 원통각(spherical shell)형상(또는 실린더 형상)을 이루는 고정자(224)의 내측면에 결합되는데, 이 고정자(224)의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원통각형의 고정자(224)의 중심방향(즉,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인버터 공간에 설치되는 인버터부(120)는 모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20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인버터부(120)는 모터(200)의 고정자(224)에 감긴 권선(240; 도 2 참조)과 연결되어 모터(2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권선(240)은 동축형의 제1단자(25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제1단자(250)에는 인버터부(120)와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26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200)의 권선(240)은 이 권선(240)과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1단자(250) 및 일측이 제1단자(250)와 결합되며 타측이 인버터부(120)의 기판(121)과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260)을 통하여 인버터(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단자(250) 및 제2단자(260)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3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케이싱(100)의 내측 단부측에도 베어링(320)이 설치되어 회전축(30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500)에 결합되어 이 고정 스크롤(500)에 대하여 선회 운동을 하는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스크롤(600)은 회전축(300)에 연결되며, 회전축(300)의 중심과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스크롤(500) 프레임(400) 사이에는 원형을 이루는 탄성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100)에서는, 선회 스크롤(600)과 고정 스크롤(500)의 사이에 압축실(501)이 형성되어, 선회 스크롤(600)과 프레임(400)의 사이에 배압실(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압실(401) 내에는 선회 스크롤(600)의 선회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700)는 회전축(300)에 설치되고, 회전축(300)의 편심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의 연결 관계를 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는 동축형 단자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자(250)는 원통형의 암 단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260)는 암 단자 형상에 결합되는 수 단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224)의 내측을 따라 다수 블록의 권선이 감기게 되는데, 이러한 권선(240)은 U상, V상 및 W상의 삼상에 따라 분리되어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자(224)의 내측을 따라 권선(240)의 블록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권선(240)은 U상, V상 및 W상의 삼상에 따라 분리되어 순서대로 감길 수 있다.
이러한 U상, V상 및 W상으로 구분되는 권선(240)은 제1단자(250)의 서로 절연된 접촉부(251, 252, 25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U상, V상 및 W상으로 구분되는 권선(240)은 각각 서로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제1단자(250)의 제1접촉부(251), 제2접촉부(252) 및 제3접촉부(25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단자(260)는,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261), 제1코어(261)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2코어(262) 및 제2코어(262)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3코어(2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자(250)의 제1접촉부(251), 제2접촉부(252) 및 제3접촉부(253)는 각각 제2단자(260)의 제1코어(261), 제2코어(262) 및 제3코어(26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단자(260)는, 제1코어(261)와 제2코어(262) 사이를 절연하는 제1절연부(264), 제2코어(262)와 제3코어(263) 사이를 절연하는 제2절연부(265) 및 제3코어(263)의 외측을 절연하는 제3절연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단자(260)는 인버터부(120)를 모터(200)가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기밀시키는 분리부(27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단자(260)와 분리부(270)는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단자(260)의 제3절연부(266)의 외측에는 분리부(270)의 나사산(271; 도 6 참조)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26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나사부(267)의 일측에는 나사부(267)보다 반경이 큰 기밀부(2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밀부(268)는 분리부(270)에 형성된 나사산(271)을 포함하는 구멍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기밀부(268)는 분리부(270)에 밀착되는 기밀부재(2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밀부재(269)로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링(O-ring)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단자(260)는 분리부(270)의 기밀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또는 더 향상시키면서 제1단자(250)를 통하여 인버터부(120)가 모터(200)와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자(250)의 제1접촉부(251), 제2접촉부(252) 및 제3접촉부(253)는 제1단자(250)의 중심부 측에서 외주부 측으로 계단 형상으로 서로 절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접촉부(251)가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단자(260)의 제1코어(261), 제2코어(262) 및 제3코어(263)는 중심부 측에서 외주부 측으로 각각 제1절연부(264), 제2절연부(265) 및 제3절연부(266)에 의하여 서로 절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코어(261)는 양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제2코어(262) 및 제3코어(263)는 이 제1코어(261)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는 원활하게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부, 제1단자 및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단자가 분리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부(270)에 형성된 나사산(271)에 제2단자(260)의 나사부(267)가 결합되고, 제2단자(260)와 분리부(270) 사이에는 오링(O-ring)과 같은 기밀부재(269)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자(250)는 고정자 조립체(2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는 동축 형태로 암 단자-수 단자 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분리부(270)에 제2단자(26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분리부(270)의 중앙측에는 베어링(32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베어링(320)이 설치된 부분의 주변측에는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히트싱크(heat sink) 형상(27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320)이 설치된 부분의 주변측 일측에는 제2단자(260)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분리부(270)에는 전원 커넥터(272) 및 통신 커넥터(273)가 위치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외부로 드러난 부분일 수 있다.
도 7에는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가 동축 형태로서 암 단자-수 단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에 의한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는 인버터부(120)와 모터(200)가 연결되는 효율적인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인버터부(120)와 모터(200)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은 절연 및 내외부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요건일 수 있다.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 모터와 인버터 사이 연결되는 기밀단자는 절연과 기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병렬로 구비되는 3개 전원 핀(주로 일렬로 형성된다)과 절연물,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에 삼상 기밀단자가 조립되는 구조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CO2와 같이 고압의 냉매를 사용할 경우 케이싱의 크랙 문제도 심각해질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밀단자의 형상을 제1단자와 제2단자로 구비함으로써 조립 및 상대 조립물의 형상을 단순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자 연결구조는 제1단자(250)와 제2단자(260), 그리고 분리부(27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로 인한 압축기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고, 전체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압에 대한 케이싱(110)의 신뢰성이 증가할 수 있고,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볼트 등을 삭제할 수 있어 전체 부품 개수가 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조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연결 핀의 개수 감소로 인한 조립 공차 완화 및 진동내구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압축기 110: 케이싱
120: 인버터부
200: 모터 210: 회전자
220: 고정자 조립체 224: 고정자
230: 절연체 250: 제1단자
260: 제2단자 270: 분리부
300: 회전축 400: 프레임
500: 고정 스크롤 600: 선회 스크롤
700: 밸런스 웨이트

Claims (15)

  1.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부;
    상기 권선과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와 결합되며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삼상에 해당하는 상기 권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접촉부, 제2접촉부 및 제3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모터가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기밀시키는 분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분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보다 반경이 큰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분리부에 밀착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2코어; 및
    상기 제2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3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코어와 상기 제2코어 사이를 절연하는 제1절연부;
    상기 제2코어와 상기 제3코어 사이를 절연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3코어의 외측을 절연하는 제3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암 단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암 단자 형상에 결합되는 수 단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1.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부;
    상기 권선과 연결되며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는 동축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모터가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기밀시키는 분리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단자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되는 동축형의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분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보다 반경이 큰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분리부에 밀착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2코어; 및
    상기 제2코어의 외측에 동축형으로 위치하는 제3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180156622A 2018-12-07 2018-12-07 스크롤형 압축기 KR10216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22A KR102163922B1 (ko) 2018-12-07 2018-12-07 스크롤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22A KR102163922B1 (ko) 2018-12-07 2018-12-07 스크롤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09A true KR20200069509A (ko) 2020-06-17
KR102163922B1 KR102163922B1 (ko) 2020-10-12

Family

ID=7140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22A KR102163922B1 (ko) 2018-12-07 2018-12-07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727B1 (ko) * 2012-08-08 2014-12-2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KR20170139394A (ko) * 2016-06-09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727B1 (ko) * 2012-08-08 2014-12-2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KR20170139394A (ko) * 2016-06-09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22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4334B2 (en) Compressor
KR102583934B1 (ko) 압축기
JP6156705B2 (ja) 電動圧縮機
US10707715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10914296B2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WO2008007542A1 (fr) Compresseur électrique
JP2006042409A (ja)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US11047385B2 (en) Electric compressor having compression portion and motor chamber communication via passage in flange of shaft support member
US8092199B2 (en) Scroll compressor including a plurality of shoulder sections
KR102163922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2006097557A (ja) モータ内蔵圧縮機の端子接続部構造
JP2005291004A (ja) 電動圧縮機
KR102171451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20200386230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KR102174639B1 (ko) 스크롤형 압축기
KR101986450B1 (ko) 전동 압축기
JP6760182B2 (ja) 電動圧縮機
JP2007192184A (ja) 電動圧縮機
WO2024084914A1 (ja) 電動圧縮機
JP7403336B2 (ja) 電動圧縮機
CN218162049U (zh) 一种马达接线盒的固定结构
WO2023013433A1 (ja) 電動圧縮機
US20200227959A1 (en) Mot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20200117703A (ko) 스크롤형 압축기
CN115459511A (zh) 一种马达接线盒的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