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507A -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 Google Patent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507A
KR20200069507A KR1020180156620A KR20180156620A KR20200069507A KR 20200069507 A KR20200069507 A KR 20200069507A KR 1020180156620 A KR1020180156620 A KR 1020180156620A KR 20180156620 A KR20180156620 A KR 20180156620A KR 20200069507 A KR20200069507 A KR 2020006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moving
wheel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2852B1 (en
Inventor
조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볼트
Priority to KR102018015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52B1/en
Publication of KR2020006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61D45/001Devices for fixing to wall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comprises: a rail unit positioned at a plan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provided with side moving slit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moving slit and a lower moving slit formed on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de moving cart unit having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stalled on a side portion thereof and placed on the side moving slits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an upper moving cart unit having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placed on the upper moving slit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The side moving cart unit and the upper moving cart unit can move along the same rai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slits are formed on multiple surfaces of a single rail. Therefore, moving carts moving on respective moving slits can move in a front and a rear direc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moving carts, thereby minimizing work time.

Description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d rails{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본 발명은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레일에 다수의 이동대차가 서로 간섭 없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configured to move a plurality of mobile trucks on one rail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일반적으로 물류 시스템은 운반물을 적재한 이동대차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반한다. 다시 말해서 예정된 경로에 레일이 먼저 설치되고 다수의 이동대차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반물을 운반하게 된다.In general, a logistics system transports a transport truck loaded with transported goods while moving along a rail. In other words, the rails are first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ath, and a plurality of mobile trucks move along the rails to transport the packages.

그러나, 종래의 물류 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일은 다수의 이동대차가 순차적으로 이동 즉, 다수의 대차 모두가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어느 하나의 이동대차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레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rail used in the conventional logistics system has a rai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oving carts are sequentially moved, that is, all of the plurality of trucks are movable only in one direction and only one moving cart cannot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have.

즉, 다수의 이동대차가 중 어느 하나가 역방향으로 이동을 할 때에는 다른 모두의 이동대차가 역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차 지점을 통해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지연된다는 불편함이 있다.That is,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moving carts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 is a inconvenience in that the work speed is delayed because all of the other moving carts can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or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turn point.

한편, 레일은 금속재료를 가열하여 해머로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단조작업에 의해 제조되는데, 단조작업의 경우 금속조직이 균질하고 강도가 높은 반면에 단련작업이 추가됨으로 인해 규격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il is manufactured by a forging operation in which a metal material is heated to beat or press with a hammer. In the case of the forging operation, the metal structure is homogeneous and high in strength, whereas the standard is not uniform due to the addition of the anneal operation. have.

상기와 같이 균일하지 못한 단조잡업의 특성으로 인해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대차와 레일 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 및 진동 등에 따른 주행의 불안함을 야기하는 불편함이 있다.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forg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scomfort that causes anxiety of driving due to noise and vibration due to a play between the moving cart and the rail traveling on the rail.

따라서, 동일한 레일 상에서 다수의 이동 대차가 서로간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이동대차의 이동 시 레일과의 유격발생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f multiple moving carts on the same rail can move freely without mutual interference, and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occurrence of clearance with the rail are minimized when moving the moving car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the logistics system using rails. to be.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일의 다면에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슬릿에 서로 다른 이동대차가 간섭 없이 이동 가능한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to provide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 rail that is formed with a moving slit on the multi-side of the rail and that different moving carts can move on each moving slit without interference. .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폭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레일과 이동대차의 바퀴가 서로 밀착되도록 간격을 조절 가능한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rail if the spacing is adjustable so that the rails and the wheels of the moving car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if the width of the rails is not constan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지면으로부터 예정된 높이에 위치되고, 양 측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측부이동슬릿과 상부 및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이동슬릿 및 하부이동슬릿이 설치되는 레일유닛; 측부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부재가 상기 측부이동슬릿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이동대차유닛; 및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부재가 상기 상부이동슬릿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이동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 상기 상부이동대차유닛은 동일한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각각 이동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multi-faced 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side movement slit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side and a length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 rail unit in which an upper moving slit and a lower moving slit formed along the direction are installed; A side moving cart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stalled on the side is seated on the side moving slit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movable slit, to mov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an upper movable cart unit, wherein the side movable cart unit is mounted on the same rail unit. Each can be moved alo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상부 및 하부이동슬릿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이동슬릿; 및 상기 제1 이동슬릿보다 좁은 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이동슬릿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이동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slit, a first movement slit formed in a groove shape toward the in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movement slit having a line width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movement slit and formed in a groove shape toward the inside from the first movement sl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은,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가 설치된 일측이 상기 레일유닛의 측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부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movement bogie unit may include a side plate member on which one side on whic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is installe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of the rai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는,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movement bogie uni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the side movement sl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 fix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 which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where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cludes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The clearance between the wheel members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의 높이가 상기 레일 유닛의 상부보다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is formed with a height equal to or low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rai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대차유닛은,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가 설치된 일측이 상기 레일유닛의 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vable cart unit may include an upper plate member on which one side on whic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is installe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대차유닛은, 상기 상부이동슬릿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상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상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vable cart uni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the upper movable sl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 fix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 which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ovement slit, where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cludes the upper movement slit and the The clearance between the wheel members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 결합공은,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간격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wheel engaging holes formed in the clearance adjusting piece may be arranged to deviat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ral axi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wheel engaging holes.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하부이동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거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wer movable slit, the other side may include a mounting unit that is installed to extend outward of the rai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예정된 높이에서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 상부이동슬릿과 하부이동슬릿 및 양측 각각에 측부이동슬릿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유닛; 하부 양 측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상부이동슬릿에 안착되는 다수의 바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대차유닛;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부이동슬릿 각각에 안착되는 다수의 바퀴부재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대차유닛; 및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부이동슬릿에 안착되는 다수의 바퀴부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제3 이동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대차유닛은 동일한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서로 간섭 없이 이동가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as long as the upper movement slits and the lower movement slits and the side movement slit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side of each A pair of rail units;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mounted on a pair of the upper moving sli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the first moving bogie unit moving along the rail unit;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seated in each of the side movement slits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 along the rail unit; And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seated on the side movement sli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is formed on one side, and includes a third mobile bogie unit to move along the rail unit, the first to The third moving cart unit may be movable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long the same pair of rail uni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일유닛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상기 레일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cart unit may include a first plate member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ir of rail uni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상부이동슬릿 각각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상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상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bogie uni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each of the pair of upper moving slits,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 fix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 which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ovement slit, where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cludes the upper movement slit and the The clearance between the wheel members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편은,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차유닛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퀴 결합공과 상기 유격조절편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rst bogie unit corresponding to any one rail of the pair of rail units, or the wheel coupling hole an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측부이동슬릿 각각과 마주보는 양측에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vable bogie unit, side walls are formed on both sides facing each of the pair of side movable sli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able slits and connecting between the respective side walls. The support plate may include a second plate member exten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측부이동슬릿 각각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vable bogie uni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each of the pair of side movement slits,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 fix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 which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where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cludes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The clearance between the wheel members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대차유닛은,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mobile bogie uni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the side movement sli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fixedly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 number of wheel joiners for;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 which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where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ncludes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The clearance between the wheel members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 결합공은,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간격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wheel engaging holes formed in the clearance adjusting piece may be arranged to deviat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ral axi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wheel engaging hol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동슬릿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바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이동슬릿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거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moving slit includes a wheel that is moved,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heel and the other side further includes a mounting unit on which a mounting plate is formed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lower moving slit. Can be.

본 발명에 있어서, 운반체가 적재되기 위한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대차유닛은, 상기 레일유닛과 반대하는 일측면에 상기 바스켓의 저면 일부가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바스켓 안착홈; 및 상기 바스켓 안착홈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나사의 조임 동작에 따라 상기 바스켓 안착홈에 위치된 상기 바스켓의 저면 일부를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ket further includes a basket for loading the carrier, and the first to third mobile cart units are formed with grooves for seat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on one side opposite to the rail unit. Seating groove; And it is screwed with the basket seating groove, it may include a fixing means for pressing and fix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located in the basket seating groove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screw.

본 발명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은 하나의 레일에 이동슬릿이 다면에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이동슬릿을 이동하는 이동대차가 다른 이동대차의 간섭 없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ing slit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ails, the moving carts moving the respective moving slits can be moved back and forth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other moving carts, thereby minimizing working tim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이동대차의 바퀴와 레일의 이동슬릿과의 유격을 최소화 함으로써, 이동대차의 이동 시 소음과 진동을 최소활 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play between the wheels of the moving cart and the moving slits of the rail, thereby minimizing noise and vibration when moving the moving cart and stably mov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이동대차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이동대차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제1 이동대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제1 이동대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제3 이동대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유격조절편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moving cart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eleva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ving cart of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t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t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bile truck unit of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bile truck unit of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mobile truck unit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the clearance control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us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dentifi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일유닛(100)에 다수의 이동슬릿이 형성되어 다수 이동대차가 하나의 레일에서 이동 가능한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to provide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rail if a plurality of moving slits are formed on the rail unit 100 so that multiple moving carts can move on one rai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이동대차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이동대차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면도 이다.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mobile cart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mobile cart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the bottom slope for.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레일유닛(100)과 측부이동대차유닛(200) 및 상부이동대차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ail unit 100, a side moving cart unit 200 and an upper moving cart unit 300. have.

먼저, 레일유닛(100)은 작업장의 바닥 또는 벽면 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레일유닛(100)은 직선의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곡선의 형태로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유닛(100)은 후술할 이동대차유닛들(200, 30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First, the rail unit 100 may be installed spaced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r wall or floor of the workshop. The rail unit 1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or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urved form as necessary. The rail unit 100 may serve to guide the mobile truck units 200 and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 레일유닛(100)은 저면에 지지된 지지대(S)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예정된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ail unit 1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by a support (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레일유닛(100)의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레일유닛(100)은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부 각각에 상부이동슬릿(110), 하부이동슬릿(110) 및 측부이동슬릿(1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일유닛(100)은 4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면에 대한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일유닛(100)의 면에 대한 폭은 동일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Looking at the shape of the rail unit 100, the rail unit 10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movement slit 110, a lower movement slit 110 and a side movement slit 110 on the upper, lower, and side portion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rail unit 100 may be formed of four surfaces, and the width for each surface may be formed identically. However, the width of the rail unit 100 is not limited to the same.

참고로, 이하에서는 상부이동슬릿(110), 하부이동슬릿(110) 및 측부이동슬릿(110)은 모두 동일한 형태이고 레일유닛(100)의 배치 방향에 따라 상부 측부 및 하부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hereinafter, the upper moving slits 110, the lower moving slits 110 and the side moving slits 110 are all of the same shape, an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For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상부이동슬릿(110), 하부이동슬릿(110) 및 측부이동슬릿(110)은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대표로 측부이동슬릿(1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upper moving slits 110, the lower moving slits 110 and the side moving slits 110 may all be formed in the same form, and the side moving slits 110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s. .

측부이동슬릿(110)은 레일유닛(100)의 어느 한 측면에서 내측을 향하는 홈 형태로 레일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부이동슬릿(110)의 양측 내벽은 내측으로 곡선의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측부이동슬릿(110)에는 후술할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의 바퀴부재(W1)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side movement slits 11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in the form of a groove facing inward from any one side of the rail unit 100. Both inner walls of the side movement slits 11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 a curved shape inward. The wheel member W1 of the side moving cart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on the side moving slits 110 and moved.

측부이동슬릿(110)의 내측에는 고정슬릿(1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슬릿(120)은 측부이동슬릿(110)으로부터 레일유닛(100)의 중심을 향해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슬릿(120)은 측부이동슬릿(110)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고정슬릿(120)의 양측 내벽은 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슬릿(120)에는 레일유닛(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S) 등과 같이 특정 대상체가 고정결합 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A fixed slit 120 may be formed inside the side movement slit 110. The fixed slits 120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from the side movable slits 110 toward the center of the rail unit 100. In addition, the fixed slit 120 may have a line width small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side movement slit 110. Both inner walls of the fixed slits 12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The fixed slit 120 may be used as a space for a specific object to be fixedly coupled, such as a support S for supporting the rail unit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시스템의 상부이동슬릿(110)과 측부이동슬릿(110)과 하부이동슬릿(110)은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유닛(100)의 회전에 따라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이동슬릿(110)과 측부이동슬릿(110)과 하부이동슬릿(110)이 결정될 수 있다.The upper movable slit 110 and the lateral movable slit 110 and the lower movable slit 110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the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form. That is, the upper movement slit 110 and the side movement slit 110 and the lower movement slit 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l unit 100 is dispo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예컨대, 다면을 가지는 레일유닛(100)에 이동슬릿(110)과 고정슬릿(120)이 분리되지 않으면 레일유닛(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S)를 이동슬릿(11)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지지대(S)의 설치과정에서 이동슬릿(110)이 휘어지거나 나사에 의해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추후에 레일유닛(100)의 해당 이동슬릿(110)에 이동대차유닛(200, 300)이 안착되면 바퀴부재(W1)와 레일유닛(100)간의 유격이 발생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ovable slit 110 and the fixed slit 120 are not separated from the rail unit 100 having multiple faces, the support S for supporting the rail unit 100 must be installed in the movable slit 11. At this time.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S), the movable slit 110 may be bent or a hole may be formed by a screw. That is, later, when the moving cart units 200 and 300 are seated on the corresponding moving slits 110 of the rail unit 100, a play between the wheel member W1 and the rail unit 100 occurs, and noise and vibration may be generated. Can be.

그러나, 본 발명의 상부이동슬릿(110)과 측부이동슬릿(110) 및 하부이동슬릿(110) 각각은 이동슬릿(110)과 고정슬릿(120)이 분리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레일유닛(100)에 고정하기 위한 대상체를 결합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이동슬릿(110)의 파손우려가 없다.However, each of the upper moving slit 110 and the side moving slit 110 and the lower moving sl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ail unit 100 because the moving slit 110 and the fixed slit 120 are separately provided. Even if the object for fixing is combined, there is no fear of damage to any one of the moving slits 110.

본 실시예에서 레일유닛(100)의 하부방향에 위치된 하부이동슬릿(110)의 고정슬릿(120)에는 지지대(S)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upport (S)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slit 120 of the lower moving slit 110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본 실시예에서 레일유닛(100)의 면은 4 면이 아닌 3 면 또는 5 면 등의 다각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유닛(100)이 3 면으로 형성될 경우 레일유닛(100)의 단면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rail unit 100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surface, such as 3 or 5, rather than 4. For example, when the rail unit 100 is formed in three sides,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unit 10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레일유닛(100)에 형성된 상부이동슬릿(110) 및 측부이동슬릿(110)에는 상부이동대차유닛(300) 및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이 각각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An upper moving cart unit 300 and a side moving truck unit 200 may be seated and moved on the upper moving slits 110 and the side moving slits 110 formed on the rail unit 100, respectively.

상부이동대차유닛(300) 및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이동대차유닛(300)은 상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이동하고,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측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표로 측부이동대차유닛(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Both the upper movable cart unit 300 and the side movable cart unit 200 may be formed in the same form, and the upper movable cart unit 300 moves along the upper movable slits 110 and the side movable cart unit 200 ) May be moved along the side movement slit 110. In order to avoid duplicate descriptio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de mobile cart unit 200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레일유닛(100)의 측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부플레이트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플레이트부재(220)는 작업물이 수납되는 바스켓(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으며 해당 바스켓을 레일을 따라 이송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ide moving cart unit 200 may include a side plate member 220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of the rail unit 100. The side plate member 220 may be combined with a basket (not shown) in which the work is stored, and may serve to transport the corresponding basket along a rail.

측부플레이트부재(220)에는 바퀴 결합공(221)이 다수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퀴 결합공(221)은 레일유닛(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다수의 바퀴 결합공(2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바퀴 결합공(221)과 일직선 상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221 may be formed in the side plate member 220. The wheel coupling hole 221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For referen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221 may be formed to be out of line with the other wheel coupling hole 221,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측부플레이트부재(220)의 바퀴 결합공(221)들 각각에는 바퀴부재(W1)가 설치될 수 있다. 바퀴부재(W1)는 측부이동슬릿(110)의 내벽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퀴부재(W1)와 측부이동슬릿(110)은 서로 대응하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퀴부재(W1)가 측부이동슬릿(110)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el members W1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wheel coupling holes 221 of the side plate member 220. The wheel member W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side movement slit 110. For example, since the wheel member W1 and the side movement slit 110 are formed in a shape of a cur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 member W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ide movement slit 110.

본 실시예에서 바퀴부재(W1)는 3 개수로 도시되어 있지만 바퀴부재(W1)의 개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wheel members W1 is shown, but the number of wheel members W1 is not limited to any one.

측부플레이트부재(220)는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유격조절편(222)이 형성될 수 있다. 유격조절편(222)은 위에서 언급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2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바퀴 결합공(221)의 인접한 둘레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격조절편(222)은 측부플레이트부재(220)에서 해당 바퀴 결합공(221)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Side plate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 gap control piece 222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may be formed on a part of an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wheel engaging hole 221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heel engaging holes 221 mentioned abov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an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corresponding wheel coupling hole 221 in the side plate member 220.

이와 같이 형성된 유격조절편(222)은 측부이동슬릿(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유격조절편(222)의 탄성 정도는 바퀴 결합공(221)의 인접한 둘레에 절개된 부분의 절개 폭만큼일 수 있다.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110. Here,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may be equal to the incision width of the incision around th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wheel coupling hole 221.

다시 설명하면, 유격조절편(222)은 특정 바퀴 결합공(221)의 둘레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면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절개된 부분이 휘어지고 다시 복원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pecific wheel coupling hole 22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incised part may be bent and restored again. .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편(22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 결합공(221)은 다수의 바퀴 결합공(221)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간격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유격조절편(222)에 설치된 바퀴부재(W1)는 다른 바퀴부재(W1)들을 연결하는 중심선에서 벗어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격조절편(222)에 설치된 바퀴부재(W1)는 유격조절바퀴(W2)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d, as shown in Figure 3, at least one wheel engaging hole 221 formed 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is to be arranged to deviat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wheel engaging hole 221 Can be. That is, the wheel member W1 installed on the clearance adjusting piece 222 may be installed to deviate from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other wheel members W1. For referen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wheel member W1 installed 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will be described as a clearance adjustment wheel W2.

예컨대, 측부이동슬릿(110)의 폭은 바퀴부재(W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이 이동하게 되면 측부이동슬릿(110)과 바퀴부재(W1)의 유격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유격조절편(222)은 다수의 바퀴부재(W1)와 측부이동슬릿(110) 사이 간격을 유격조절바퀴(W2)를 통해 조절하여 유격을 최소화 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ide movement slits 110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wheel member W1. At this time, when the side moving cart unit 200 moves, noise and vibration may occur due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side moving slits 110 and the wheel member W1.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noise and vibration by minimizing the clearanc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and the side movement slits 110 through the clearance adjustment wheel W2.

측부플레이트부재(220)에는 다수의 체결홀(2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23)에는 바스켓을 상부플레이트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끼워질 수 있다. 체결홀(223)의 개수 또는 형태는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홀(223)은 측부플레이트부재(220)의 둘레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3 may be formed through the side plate member 220.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nut for fastening the basket to the upper plate member may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3. The number or shape of the fastening holes 223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and shapes.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hole 22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plate member 220.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부이동대차유닛(200)과 상부이동대차유닛(30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레일유닛(100)에 설치될 때 레일유닛(100)의 최상단을 넘지 않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레일유닛(100)에 상부이동대차유닛(300)과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이 이동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기 위함이다.As mentioned above, the side moving cart unit 200 and the upper moving cart unit 30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be formed in the same form. However, the side moving cart uni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that does not exceed the uppermost end of the rail unit 100 when installed in the rail unit 100. This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moving cart unit 300 and the side moving truck unit 200 are moved on the same rail unit 100.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거치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유닛(400)은 바퀴 및 거치플레이트(920)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unit 400. The mounting unit 400 may be made of a wheel and a mounting plate 920.

거치유닛(400)의 바퀴는 위에서 설명한 이동대차들의 바퀴부재(W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이동슬릿(110)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유닛(400)의 바퀴는 레일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슬릿(120)에 고정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거치유닛(400)의 바퀴의 형태는 고정슬릿(120)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wheel of the mounting unit 4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wheel member W1 of the mobile trucks described above and seated on the lower moving slit 110. In this embodiment, the wheel of the mounting unit 4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slit 1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unit 100.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wheel of the mounting unit 4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ed slit 120.

거치유닛(400)의 바퀴에는 거치플레이트(420)가 결합될 수 있다. 거치플레이트(42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바퀴에 결합되고 타단이 레일유닛(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거치플레이트(920)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도구 등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mounting plate 420 may be coupled to the wheel of the mounting unit 400. The mounting plate 4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wheel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outside of the rail unit 100. The mounting plate 920 may serve to mount a work tool or the like at the work si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레일유닛(100)은 작업현장에 예정된 경로로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레일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슬릿(120)에는 레일유닛(10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대(S)가 설치될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the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ail unit 100 may be installed in a straight or curved form as a predetermined path to the work site. For reference, a support (S) for separating the rail unit 100 from the floor may be installed on the fixing slit 1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ail unit 100.

그리고, 상부이동대차유닛(300) 및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각각 레일유닛(100)의 상부이동슬릿(110) 및 측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환경에 따라 상부이동대차유닛(300)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상부이동대차유닛(300)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moving cart unit 300 and the side moving cart unit 200 may be moved along the upper moving slits 110 and the side moving slits 110 of the rail unit 100, respectively.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the upper movable cart unit 300 may move forward and the side movable cart unit 200 ma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movable cart unit 300.

이 때, 측부이동대차유닛(200)은 상부이동대차유닛(300)과 별도로 구비된 측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이동대차유닛(300)의 이동 방향과 관계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ide shifting bogie unit 200 moves along the side shifting slit 11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p shifting bogie unit 300, it moves in a desired direction regardless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p shifting bogie unit 300. It may be possible.

또한, 레일유닛(100)의 하부이동슬릿(110)에는 작업도구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유닛(400)이 안착되거나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moving slit 110 of the rail unit 100 may be mounted or fixed to the mounting unit 400 for mounting a work tool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하나의 레일유닛(100)이 설치되더라도 다수의 이동대차 및 거치유닛(400)을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어느 하나의 이동대차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기 위해 다른 이동대차를 탈거하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logistics system using the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work because it can utilize a plurality of mobile carts and mounting units 400 even when one rail unit 100 is installed. In order to move the mobile cart toward the rear,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orking time since unnecessary movement for removing the other mobile truck is not required.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t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제1 이동대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제1 이동대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제3 이동대차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유격조절편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bile truck unit of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mobile truck unit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mobile truck unit, and FIGS. 10 to 12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the clearance control piece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the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한 쌍의 레일유닛(500)과 제1 이동대차유닛(600)과 제2 이동대차유닛(700) 및 제3 이동대차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5 to 12, a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fac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rail units 500, a first mobile truck unit 600, and a second mobile truck unit 700. ) And a third mobile cart unit 800.

먼저, 한 쌍의 레일유닛(500) 각각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레일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구성 및 형태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each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rail unit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form.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is omitted.

참고로, 도 5 내지 도 12의 이동슬릿(110) 및 고정슬릿(1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동슬릿(110)은 상부, 하부 및 측부 이동슬릿(110)을 포함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moving slits 110 and the fixed slits 120 of FIGS. 5 to 12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 to 4. Here, the moving slits 110 may include upper, lower and side moving slits 110.

한 쌍의 레일유닛(500)은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레일유닛(500) 중 어느 하나는 제1 레일(510)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는 제2 레일(520)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pair of rail units 500 may be installed in a spaced apart space in a parallel direction. Hereinafter, any one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is defined as the first rail 510 and the other is defined as the second rail 520.

그리고, 제1 레일(510)과 제2 레일(52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형성된 측부이동슬릿(110)은 내측부이동슬릿으로 정의하고, 내측부이동슬릿의 반대면에 형성된 측부이동슬릿(110)은 외측부이동슬릿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moving slits 110 formed inside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facing each other are defined as the inner moving slits, and the side moving slits 110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inner moving slits 110. Is defined as the outer moving slits and will be described.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이동슬릿(110)에는 제1 이동대차유닛(600)이 안착되어 레일유닛(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cart unit 600 is seated on the upper moving slits 11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and may be moved along the rail unit 100.

제1 이동대차유닛(600)은 제1 플레이트부재(620) 및 바퀴부재(W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bile cart unit 600 may include a first plate member 620 and a wheel member W1.

제1 이동대차유닛(600)의 제1 플레이트부재(620)는 제1 레일(510) 및 제2 레일(520)에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레일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620)의 상면에는 바스켓이 체결될 수 있고, 바스켓은 레일유닛(100)을 따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member 620 of the first mobile truck unit 600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Can be. A basket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620, and the basket may serve to transport along the rail unit 100.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는 하부 양측에 레일유닛(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바퀴부재(W1)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제1 플레이트부재(620)는 제1 레일(5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레일(5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바퀴부재(W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일(5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레일(5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바퀴부재(W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이동대차유닛(600)은 양측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부재(W1)가 각각 제1 레일(510) 및 제2 레일(520)에 안착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may be formed on the first plate member 62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on both lower sides. In other words, the first plate member 6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5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510. In addition,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5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510. That is, the first mobile truck unit 600 may move along the rails with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install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seated on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그리고,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는 다수의 바퀴부재(W1) 각각이 결합되기 위한 바퀴 결합공(6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는 유격조절편(62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heel coupling hole 621 for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to the first plate member 620 may be formed. In addition,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may be formed on the first plate member 620.

바퀴 결합공(621) 및 유격조절편(622)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퀴 결합공(221) 및 유격조절편(222)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wheel coupling hole 621 an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have the same shape as the wheel coupling hole 221 an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222 described in FIGS. 1 to 5,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는 바스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6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member 620 may include at least one fixing means 630 for fixing the basket.

고정수단(630)은 제1 플레이트부재(62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부재(620)보다 작은 면적은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 측에는 제1 플레이트부재(62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압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ans 63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late member 620 and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plate member 620. In addition, both sides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first plate member 620.

그리고 고정수단(630)은 나사부재를 통해 제1 플레이트부재(620)와 결합될 수 있다. 나사부재는 나사헤드(631)와 나사몸체(63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헤드(631)는 고정수단(630)을 관통하여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나사헤드(631)는 나사몸체(6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나사몸체(632)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And the fixing means 6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member 620 through a screw member. The screw member may include a screw head 631 and a screw body 632. The screw head 631 may be screwed to the first plate member 620 through the fixing means 630. The screw head 631 is for rotating the screw body 632 and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crew body 632.

예컨대, 고정수단(630)은 나사부재의 조임 동작에 따라 제1 플레이트부재(620)를 향해 압착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수단(630)과 제1 플레이트부재(620) 사이에 배치된 바스켓의 저면 일부는 고정수단(630)의 압착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means 630 may be pressed toward the first plate member 620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screw member. At this time,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disposed between the fixing means 630 and the first plate member 620 may be fixed through the pressing member of the fixing means 630.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630)은 제1 플레이트부재(620)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부재의 체결을 해제시켜 제1 플레이트부재(620)로부터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ans 63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late member 620, and may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plate member 620 by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screw member.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는 안착홈(640)이 형성될 수 잇다. 안착홈(640)은 제1 플레이트부재(620)의 내측을 향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640)은 고정수단(630)이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 체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seating groove 640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member 620. The seating groove 640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facing the inside of the first plate member 620. 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64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means 630 is fastened to the first plate member 620.

안착홈(640)에는 제1 플레이트부재(620)에 체결되기 위한 바스켓의 저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for fastening to the first plate member 620 may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640.

한편, 제1 이동대차유닛(600)에 형성된 유격조절편(622)은 다양한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formed on the first moving cart unit 600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directions.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편(622)은 제1 레일(510)에 해당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격조절편(622)은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may be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510. At this tim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s 622 may be formed to fac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다른 일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편(622)은 제1 레일(510)에 해당하는 위치에만 형성되며,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is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510, and all may be form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또 다른 일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편(622)은 제1 레일(510) 및 제2 레일(5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격조절편(622)과 바퀴 결합공(621)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일예에서 유격조절편(622)은 도 10 및 도 11처럼 동일한 방향을 가지거나 서로 반대하는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may be formed on both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At this tim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and the wheel coupling hole 621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is exampl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or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2 이동대차유닛(700)은 한 쌍의 레일유닛(500)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해당하는 측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second moving cart unit 700 may be moved along the side movement slit 11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제2 이동대차유닛(700)은 제2 플레이트부재(720) 및 다수의 바퀴부재(W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부재(7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1 레일(510) 및 제2 레일(5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부재(720)의 양 측에는 제1 레일(510) 및 제2 레일(5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720) 양 측에 형성된 측벽 각각은 제1 레일(510) 및 제2 레일(520)의 내측에 해당하는 측부이동슬릿(110)과 마주할 수 있다.The second mobile truck unit 700 may include a second plate member 720 and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Then, the second plate member 7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in the form of a plate. In addition, sidewall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member 7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Each of the side wal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member 720 may face the side movement slits 110 corresponding to the insides of the first rail 510 and the second rail 520.

제2 플레이트부재(720)의 측벽 각각에는 다수의 바퀴부재(W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레일(510)의 측부이동슬릿(110)과 마주하는 제2 플레이트부재(720)의 측벽과 제2 레일(520)의 측부이동슬릿(110)과 마주하는 제2 플레이트부재(720)의 측벽에는 레일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바퀴부재(W1)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may be formed on each sidewall of the second plate member 720. That is, the side plate of the second plate member 720 facing the side movement slit 110 of the first rail 510 and the side plate of the second plate member 720 facing the side movement slit 110 of the second rail 520. )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rail uni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제2 이동대차유닛(700)의 일측은 제1 레일(510)의 측부이동슬릿(110)에 바퀴부재(W1)를 통해 안착되고, 타측은 제2 레일(520)의 측부이동슬릿(110)에 바퀴부재(W1)를 통해 안착될 수 있다.Therefore,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cart unit 700 is seated on the side moving slit 110 of the first rail 510 through the wheel member W1, and the other side is the side moving slit of the second rail 520 ( 110) may be seated through the wheel member (W1).

제2 플레이트부재(720) 즉, 제2 플레이트부재(720)의 양 측벽에는 다수의 바퀴부재(W1)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6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62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유격조절편(622)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621 for coupling wit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W1 may b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second plate member 720, that is, the second plate member 720. In addition,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may be formed on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621.

제2 플레이트부재(720)에 형성된 바퀴 결합공(621) 및 유격조절편(622)은 위에서 설명한 바퀴 결합공(621) 및 유격조절편(622)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wheel coupling hole 621 an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form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720 have the same shape as the wheel coupling hole 621 an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described above, and thus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

제3 이동대차유닛(800)은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측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이동대차유닛(800)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측부이동대차유닛(200)과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third moving cart unit 800 may move along the side movement slit 1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Since the third mobile truck unit 8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ide mobile truck unit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예컨대, 제3 이동대차유닛(800)은 제1 레일(510)의 측부이동슬릿(110) 또는 제2 레일(520)의 측부이동슬릿(110) 각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동대차유닛(800)은 제1 레일(510)의 측부이동슬릿(110) 또는 제2 레일(520)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만 안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hird moving cart unit 800 may be mounted on each of the side moving slits 110 of the first rail 510 or the side moving slits 110 of the second rail 520. In addition, the third moving cart unit 800 may be seated on only one of the side movement slits 110 or the second rail 520 of the first rail 510.

참고로, 제2 이동대차유닛(700) 및 제3 이동대차유닛(800)에 형성된 유격조절편(622)을 제1 이동대차유닛(600)처럼 다양한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622 formed on the second mobile cart unit 700 and the third mobile cart unit 800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directions like the first mobile cart unit 600.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이동슬릿(110)에는 거치유닛(900)이 결합될 수 있다. 거치유닛(900)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거치유닛(40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A mounting unit 9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moving slit 1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Since the mounting unit 900 has the same form as the mounting unit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예컨대, 거치유닛(900)은 제1 레일(510)에 해당하는 하부이동슬릿(110) 또는 제2 레일(520)에 해당하는 하부이동슬릿(110) 각각에 설치될 수 이다. 또는 제1 레일(510)에 해당하는 하부이동슬릿(110) 또는 제2 레일(520)에 해당하는 하부이동슬릿(11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ounting unit 90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lower moving slits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510 or the lower moving slits 1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520.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only in one of the lower moving slits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510 or the lower moving slits 1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520.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630)과 안착홈(640)은 제1 이동대차유닛(600)에만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630)과 안착홈(640)은 제2 이동대차유닛(700) 및 제3 이동대차유닛(800)에도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means 630 and the seating groove 640 are formed only in the first mobile cart unit 6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xing means 630 and the seating groove 640 may be formed also in the second mobile cart unit 700 and the third mobile cart unit 8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한 쌍의 레일유닛(500)은 작업현장에 예정된 경로로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하부 각각에 형성된 고정슬릿(120)에는 레일유닛(50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대(S)가 설치될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system using the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rail units 500 may be installed in a straight or curved form with a predetermined path to the work site. For reference, a support (S) for separating the rail unit 500 from the floor may be installed on the fixing slits 120 formed on each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그리고, 제1 이동대차유닛(600) 및 제2 이동대차유닛(700) 및 제3 이동대차유닛(800)은 각각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상부이동슬릿(110) 및 측부이동슬릿(110)을 따라 서로 간섭 없이 각각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oving cart unit 600, the second moving cart unit 700, and the third moving cart unit 800 each have a pair of rail units 500 with an upper movement slit 110 and a side movement slit ( 110).

또한, 한 쌍의 레일유닛(500)의 하부이동슬릿(110) 각각에는 작업도구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유닛(900)이 안착되거나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unit 900 for mounting a work tool or the like may be mounted or fixed to each of the lower moving slits 110 of the pair of rail units 50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은 한 쌍의 레일유닛(500)만 설치되더라도 다수의 이동대차 및 거치유닛(900)을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어느 하나의 이동대차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기 위해 다른 이동대차를 탈거하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logistics system using the multi-side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work because it is possible to utilize a plurality of mobile carts and mounting units 900 even if only a pair of rail units 500 are installed. In order to move the moving cart of the rear toward the rear, there is no need for an unnecessary operation for removing the other moving cart, which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orking tim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레일유닛
200: 측부이동대차유닛
300: 상부이동대차유닛
400: 거치유닛
S: 지지대
100: rail unit
200: side mobile cart unit
300: upper moving cart unit
400: mounting unit
S: Support

Claims (19)

지면으로부터 예정된 높이에 위치되고, 양 측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측부이동슬릿과 상부 및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이동슬릿 및 하부이동슬릿이 설치되는 레일유닛;
측부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부재가 상기 측부이동슬릿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이동대차유닛; 및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부재가 상기 상부이동슬릿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이동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 상기 상부이동대차유닛은 동일한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각각 이동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 rail unit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having side moving slit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side and an upper moving slits and lower moving slit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 side moving cart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stalled on the side is seated on the side moving slit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is seated on the upper movable slit and includes an upper movable bogie unit tha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The side shifting cart unit and the upper shifting cart unit are respectively moved along the same rail unit.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상부 및 하부이동슬릿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이동슬릿; 및
상기 제1 이동슬릿보다 좁은 선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이동슬릿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이동슬릿을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side movement slits and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slits,
A first moving slit formed in a groove shape toward the in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slits having a narrower line width than the first moving slits and formed in a groove shape toward the inside from the first moving slit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은,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가 설치된 일측이 상기 레일유닛의 측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부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moving cart unit,
One side on whic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re installed includes a side plate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of the rail unit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는,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mobile cart un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the side movement slit, and fixedly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part of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having elast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is include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djusts the clearance between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wheel member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이동대차유닛은,
상부의 높이가 상기 레일 유닛의 상부보다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moving cart unit,
Logistics system using a multi-sided rail if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is formed to be the same or low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rai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대차유닛은,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가 설치된 일측이 상기 레일유닛의 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moving cart unit,
One side on whic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is installed includes an upper plate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unit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대차유닛은,
상기 상부이동슬릿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상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상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moving cart un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the upper movable slit, and fixedly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includes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having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ovable slit,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djusts the clearance between the upper movable slit and the wheel member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 결합공은,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간격 벗어나도록 배치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or 7,
At least one wheel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rranged so as to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ral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하부이동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거치유닛을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wer moving slit, the other side includes a mounting unit that is installed to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rail unit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지면으로부터 예정된 높이에서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 상부이동슬릿과 하부이동슬릿 및 양측 각각에 측부이동슬릿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유닛;
한 쌍의 상기 상부이동슬릿 각각에 안착되는 다수의 바퀴부재가 하부 양 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대차유닛;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부이동슬릿 각각에 안착되는 다수의 바퀴부재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대차유닛; 및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부이동슬릿에 안착되는 다수의 바퀴부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제3 이동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대차유닛은 동일한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서로 간섭 없이 이동 가능한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A pair of rail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ground and extending in parallel directions, and a pair of rail units,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an upper movement slit, a lower movement slit, and a side movement slit on each s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seated on each of the pair of upper movable slits, the first moving cart unit being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moving along the rail unit;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seated in each of the side movement slits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 along the rail unit; And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seated on the side movement sli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is formed on one side, and includes a third mobile truck unit that moves along the rail unit,
The first to third mobile truck units can move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long the same pair of rail unit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일유닛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상기 레일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mobile cart unit,
It includes a first plate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ir of rail unit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상부이동슬릿 각각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상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상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mobile cart un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each of the pair of upper moving slits, and fixedly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includes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having elastic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ovable slit,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djusts the clearance between the upper movable slit and the wheel member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편은,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차유닛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퀴 결합공과 상기 유격조절편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It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rst bogie unit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rail units of the pair, or the wheel coupling hole and the clearance adjusting piece are sequentially arranged.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측부이동슬릿 각각과 마주보는 양측에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mobile cart unit,
A side plate is formed on both sides facing each of the pair of side movement sli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s, and includes a second plate member extending a support plate connecting between the side wall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대차유닛은,
상기 한 쌍의 측부이동슬릿 각각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mobile cart un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each of the pair of side movement slits, and fixedly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part of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having elast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is include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djusts the clearance between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wheel member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대차유닛은,
한 쌍의 상기 레일유닛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마주보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바퀴부재 각각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 결합공; 및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둘레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측부이동슬릿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유격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편은 상기 측부이동슬릿과 상기 바퀴부재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third mobile truck unit,
A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facing the side movement slits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 units, and fixedly coup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nd
A part of at least one adjacent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is cut off, and a clearance adjustment piece having elast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ovement slit is included,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djusts the clearance between the side movement slit and the wheel member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2항 또는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 결합공은,
상기 다수의 바퀴 결합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간격 벗어나도록 배치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2 or 15 or 16,
At least one wheel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learance adjustment piece,
Arranged so as to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ral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wheel coupling holes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동슬릿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바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이동슬릿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It includes a wheel that is seated and moved on the lower moving slit, and further includes a mounting unit o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heel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mounting plate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lower moving slit.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제10항에 있어서,
운반체가 적재되기 위한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대차유닛은,
상기 레일유닛과 반대하는 일측면에 상기 바스켓의 저면 일부가 안착되기 위한 홈 형태의 바스켓 안착홈; 및
상기 바스켓 안착홈에 나사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나사부재의 조임 동작에 따라 상기 바스켓 안착홈을 향해 압착되어 상기 바스켓의 저면 일부를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basket for loading the carrier,
The first to third mobile cart unit,
A basket seating groove in the form of a groove for seat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on one side opposite to the rail unit; And
A screw member is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basket seating groove, and is fixed to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by being pressed toward the basket seating groove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screw member.
Logistics system using multi-faceted rails.
KR1020180156620A 2018-12-07 2018-12-07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KR102132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20A KR102132852B1 (en) 2018-12-07 2018-12-07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20A KR102132852B1 (en) 2018-12-07 2018-12-07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07A true KR20200069507A (en) 2020-06-17
KR102132852B1 KR102132852B1 (en) 2020-07-13

Family

ID=7140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20A KR102132852B1 (en) 2018-12-07 2018-12-07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006B1 (en) 2020-11-30 2021-05-13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956A (en) * 1998-12-22 2000-07-11 Kiyoshi Takaura Slide device
KR20160089670A (en) * 2015-01-20 2016-07-28 김종순 Underslung monorail for the tunnel facilities inspection
KR20160134142A (en) * 2015-05-14 2016-11-23 조규오 Clearance adjustment possible device of the moving cart
KR20180107962A (en) * 2017-03-23 2018-10-04 송찬길 Linear sliding structure using square-prof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956A (en) * 1998-12-22 2000-07-11 Kiyoshi Takaura Slide device
KR20160089670A (en) * 2015-01-20 2016-07-28 김종순 Underslung monorail for the tunnel facilities inspection
KR20160134142A (en) * 2015-05-14 2016-11-23 조규오 Clearance adjustment possible device of the moving cart
KR20180107962A (en) * 2017-03-23 2018-10-04 송찬길 Linear sliding structure using square-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852B1 (en)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171864A1 (en) Storage grid column
US20080264755A1 (en) Roller Conveyor and a Roller Path System Therefor
US20150197369A1 (en) Holding Tool for Conveyer Belt Conveyance
US8157079B2 (en) Transpor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ssembly plant
KR102132852B1 (en)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US10351343B2 (en) Shuttle warehouse
US20210285163A1 (en) Rail system for a conveying vehicle and storage system
JP6750574B2 (en) Article support shelf
JP6730018B2 (en) Trolley for transportation
WO2021111674A1 (en) Traveling rail and article transport facility
US20060037833A1 (en) Conveyor flow track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JP5692507B2 (en) Trolley
KR20120073751A (en) Carrying cart
JP2005297682A (en) Vehicle body connecting method and device
KR102359823B1 (en) A battery stand
JP6771423B2 (en) Transport trolley
JP6367428B1 (en) Passenger conveyor
CN217971167U (en) Guardrail adjusting device and conveying structure
KR101514385B1 (en) Roller assembly for three-wheel type
JP2016132541A (en) Roller conveyor supporting carriage
CN214383440U (en) Bracket for bearing plate-shaped piece
JPH11292215A (en) Carriage structure for movable rack, movable rack and rack system
CN217146744U (en) Wood tray convenient to carry
KR20130099348A (en) Mast shaking reducation system of fork lift trucks
CN215793853U (en) Logistics trolley with buffer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