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510A -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510A
KR20200068510A KR1020180155566A KR20180155566A KR20200068510A KR 20200068510 A KR20200068510 A KR 20200068510A KR 1020180155566 A KR1020180155566 A KR 1020180155566A KR 20180155566 A KR20180155566 A KR 20180155566A KR 20200068510 A KR20200068510 A KR 20200068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veyor belt
magnetic sensor
groove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510B1 (ko
Inventor
권진현
김희수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우
Priority to KR102018015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5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with provision for safeguarding the apparatus, e.g. against abnormal operation, against break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3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10)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25)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breakage of magnetic sensor }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력전달용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력이나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를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라 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에는 기어, 컨베이어 벨트, 캠과 링크, 체인과 스프로킷 등이 이용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납작한 띠 모양이나 V자 모양의 벨트(belt)를 풀리(pulley)에 감아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풀리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요소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와 풀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풀리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사행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는 구동 중에 힘의 불균형 또는 무게 중심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서 회전하는 사행(斜行, snaking)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가 사행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은 물론, 구조물의 변형, 적재물의 낙하 등으로 인한 비용의 손실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사행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교정하게 된다.
즉, 도 1을 살펴보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교정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20) 및 마그네틱 센서(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마그네틱 센서(50)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마그네틱(25)과 이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25)이 회전하면서 사행이 발생하여 일측의 자기 센서(30)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마그네틱(25)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에 의해 상기 자기 센서(30)에 전기가 흐르게 됨으로서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 운전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기 센서(30)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에 대한 감지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실린더(32)는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로드(31)를 전, 후진 동작하여 회전축(21)의 위치를 변경하여 줌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을 교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를 관통하는 관통공(15)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5)에 마그네틱(25)을 위치시킨 후, 상기 관통공(15)의 상부 및 하부를 테프론 접착 테이프(40)로 접착하여 밀봉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부 및 하부가 돌출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도 2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의 상하부를 테프론 접착 테이프(40)를 이용하여 밀봉하게 되면, 상기 밀봉된 부위가 돌출되어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와 풀리(20)가 회전시 풀리(20)와 완전 밀착되지 않는다. 즉,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25)은 대부분 직육면체 형상의 마그네틱(25)을 사용하게 되나, 곡선형을 갖는 풀리(20)의 표면에 완전히 밀작되지 아니하여, 회전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시 진동이 크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내부에 삽입된 마그네틱(25)의 파손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에 의해 도 3과 같이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도 함께 손상받게 된다.
이러한 센서의 파손 방지를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21781호(1998. 07. 15.)에는 반도체 압력자기 센서에 원하지 않은 과대 압력이 인가되어 다이어프램에 과대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손방지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압력자기 센서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8070호(2000. 10. 02.)에는 라미네이팅중 필름이 롤러에 말릴 경우 라미네이팅을 중지하고 말린 필름을 수작업으로 풀어낼 때 자기 센서에 외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자기 센서를 반사판 내측으로 설치하도록 구성된 라미네이터 온도 자기 센서 파손 방지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통상적인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로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마그네틱(25)과 컨베이어 벨트(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는 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마그네틱(25)이 삽입된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과 풀리(20)의 표면 사이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마그네틱(25)과 컨베이어 벨트(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 말단부에 구비되되, 일측에 개방부(48)를 갖는 요홈(45); 상기 요홈(45)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 상기 요홈(48)의 개방부(48)를 밀봉하는 테프론 접착 테이프(40); 및 상기 마그네틱(25)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풀리(20)와 접촉면 측에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틱(25)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25)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고정된 금속판(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그네틱(25)의 두께는 0.5 ~ 1.5 mm이며, 너비는 10 ~ 60 mm이며, 길이는 10 ~ 2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일측에 마그네틱(25)이 삽입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풀리(20) 간의 밀착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고속 회전시 진동과 충격의 발생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운전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25)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25)의 교체 시기를 연장하며, 또한 마그네틱(25)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예방되며, 이를 교체하기 위한 노동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가동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제고되며, 종래의 마그네틱 센서(50) 대비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 운전에 대한 검출 감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방지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마그네틱(25) 삽입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고속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10)에서 마그네틱(25) 삽입 부분이 파손된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기 센서(30)의 파손 방지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따른 자기 센서(30)의 파손 방지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마그네틱(2)의 크기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고속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방지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마그네틱(25) 삽입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고속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10)에서 마그네틱 삽입 부분이 파손된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기 센서(30)의 파손 방지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따른 자기 센서(30)의 파손 방지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마그네틱(2)의 크기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 말단부에 구비되되, 일측면에 개방부(48)를 갖는 요홈(45); 상기 요홈(45)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를 밀봉하는 테프론 접착 테이프(40); 및 상기 마그네틱(25)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0)에 사용되는 마그네틱 센서(50)를 살펴보면, 상기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50)는 마그네틱(25)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하는 대상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도체에 가까이 가져가면 전압이 발생하는 자기유도작용의 원리를 이용하는 센서이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50)는 특히 회전축 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 등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50)는 자기장을 검출하여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 부품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센서(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물체의 위치 마커로 사용되는 마그네틱(25)과 상기 마그네틱(25)의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 말단부에 구비되되, 일측면에 개방부(48)를 갖는 요홈(45); 상기 요홈(45)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를 밀봉하는 테프론 접착 테이프(40); 및 상기 마그네틱(25)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30);
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센서(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0)의 양측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10)가 사행 운전하는 경우에 상기 마그네틱(25)을 감지하여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 운전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10)는 고온의 환경에서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하여 형태 안정성과 신축성 및 탄성이 있어야 하고, 내열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또한 회복력이 좋아야 한다. 또한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열이 컨베이어 벨트(10)의 내측으로 전달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하부에 배치되되, 아라미드 섬유 또는 폴리이미드 섬유 등으로 제조되는 고내열 부직포(11)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가 형태 안정성과 벨트 인장력을 갖도록 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등으로 제직되는 고내열성 직물(12)이 니들 펀칭 방법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벨트(10)는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양측 단부에 개방부(48)를 갖는 요홈(4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10)에 요홈(45)을 형성하는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좌우측 말단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부(48)를 갖는 요홈(45)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45)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히기 위하여 위치 마커로 사용되는 마그네틱(25)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0)와 접촉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를 통해 마그네틱(25)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마그네틱(25)을 요홈(45)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48)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봉부(48)의 밀봉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방부(48)의 밀봉시 테프론 접착 테이프(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프론 접착 테이프(40)는 일측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프론 테이프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를 기재로 사용하고, 강도, 신장율, 내화학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등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마찰 계수가 낮아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에 사용시 풀리(20)와의 접촉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열의 발생이 적어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10)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테프론 접착 테이프(40)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요홈(45)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은 고내열 마그네틱으로서, 최고사용온도가 600 ℃인 알니코(Alnico) 마그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니코 마그네틱은 Co 24%, Ni 14%, Al 8%, Cu 3%, 및 나머지 Fe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영구 마그네틱의 일종이다.
또한 상기 알니코 마그네틱(25)은 높은 자기 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으며, 안정적 온도 특성으로 고온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알니코 마그네틱은 현재 실용화된 마그네틱 중 산업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니코 마그네틱은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열에 강하고, 또한 충격에 강하다. 또한 상기 알니코 마그네틱은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높아 고속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 감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니코 마그네틱은 높은 보자력(保磁力, coercive force)을 갖는 주조 알니코 마그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조 알리코 마그네틱은 등방성과 이방성으로 나뉘는데,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25)의 한쪽 면에서만 자력이 나오는 등방성의 주조 알리코 마그네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마커로 사용되는 마그네틱(25)은 네오듐(Neodymium, NdFeB), 페라이트(Ferrite), 사마륨 코발트(Sm₂Co17)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별로 온도 특성, 자력, 강도 등의 특징이 상이하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요홈(45)의 내부로 삽입되는 마그네틱(25)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그 각각의 모서리부는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 처리된 마그네틱(25)이 요홈(45)에 삽임되어 회전하는 경우에 컨베이어 벨트(10)의 손상이 저감된다.
마그네틱(25)의 각 모서리가 날카롭게 형성된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25)이 요홈(45) 내부에서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요홈(45)의 내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틱(25)의 각 모서리부를 라운드 처리하여 고속 회전시 요홈(45)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25)은 컨베이어 벨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속하기 위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그네틱(250)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0.5 ~ 1.5 mm이며, 너비는 10 ~ 60 mm 이며, 길이는 10 ~ 20 mm 인 것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조건에서 자기 센서(30)에 대한 감도가 가장 우수하다.
즉, 상기 마그네틱(25)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 센서(30)는 근접 설정되는 감지영역 내에 자장이 투과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제조되는 센서의 일종이므로, 상기와 같은 크기를 갖는 마그네틱(25)인 경우에 자기장의 자속밀도 및 자장의 강도가 가장 우수하여 감도가 우수하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10)의 사행 운전시 상기 마그네틱(25)과 자기 센서(30) 간의 거리는 50 ~ 100 c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그네틱(25)의 표면자속밀도는 300 ~ 600 가우스(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풀리(20) 간의 밀착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고속 회전시 진동과 충격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운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홈(45)의 내부에서 상기 마그네틱(25)의 하부에 금속판(60)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판(60)은 마그네틱(25)에 의해 자화됨으로서, 상기 마그네틱(25)이 부착될 수 있는 철 또는 니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 및 장시간 사용에 따른 마그네틱(25)의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45)의 내부에서 마그네틱(25)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상기 파손된 마그네틱(25)이 자력에 의해 요홈(45)의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판(60)에 부착됨으로써, 고속 회전시 컨베이어 벨트(10)의 외부로 파손된 마그네틱(25)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풀리(20)와 접촉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요홈(45)의 내부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마그네틱(25)이 구비되되, 상기 마그네틱(25)의 하부에 금속판(60)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60)의 양측 단부는 요홈(45)의 양측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판(60)의 양측 단부가 요홈(45)의 양측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 회전시 상기 금속판(6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60)이 요홈(45)의 내부에 고정되면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회전시 상기 금속판(60)이 유동되지 아니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금속판(60)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10)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가 고속으로 회전시 상기 마그네틱(25)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손된 마그네틱(25)의 입자들이 요홈(45)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판(60)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고속 회전시에도 상기 마그네틱(25)의 파손된 입자들이 컨베이어 벨트(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요홈(45)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25)이 파손된 경우에도 급격하게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게 되며, 특히 파손된 마그네틱(25)의 교체시 파손된 마그네틱(325)의 입자들이 자력에 의해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그네틱(25)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마그네틱(25)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파손된 마그네틱(25) 입자들이 컨베이어 벨트(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요홈(45)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손된 마그네틱(25)의 교체가 용이하며, 또한 마그네틱(25)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에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벨트
20 : 풀리
25 : 마그네틱
50 : 마그네틱 센서
30 : 자기 센서
32 : 실린더
31 : 로드
21 : 회전축
40 : 테프론 접착 테이프
45 : 요홈
60 : 금속판

Claims (4)

  1.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양측 말단부에 구비되되, 일측에 개방부(48)를 갖는 요홈(45);
    상기 요홈(45)에 삽입되는 마그네틱(25);
    상기 요홈(48)의 개방부(48)를 밀봉하는 테프론 접착 테이프(40); 및
    상기 마그네틱(25)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30);
    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45)의 개방부(48)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풀리(20)와 접촉면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25)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25)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고정된 금속판(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50)의 파손 방지 구조(100).

KR1020180155566A 2018-12-05 2018-12-05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KR10216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66A KR102169510B1 (ko) 2018-12-05 2018-12-05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66A KR102169510B1 (ko) 2018-12-05 2018-12-05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510A true KR20200068510A (ko) 2020-06-15
KR102169510B1 KR102169510B1 (ko) 2020-10-23

Family

ID=7108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566A KR102169510B1 (ko) 2018-12-05 2018-12-05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5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790A (ja) * 2006-09-12 2008-03-27 Honda Motor Co Ltd Ipmモータのロータ
JP2011099190A (ja) * 2009-11-09 2011-05-19 Nitto Boseki Co Ltd ガラスチョップドストランドマットの製造方法
KR20170141675A (ko) * 2015-03-18 2017-12-26 하바지트 에이지 마그네틱 리니어 인코더 판독 가능한 마커들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790A (ja) * 2006-09-12 2008-03-27 Honda Motor Co Ltd Ipmモータのロータ
JP2011099190A (ja) * 2009-11-09 2011-05-19 Nitto Boseki Co Ltd ガラスチョップドストランドマットの製造方法
KR20170141675A (ko) * 2015-03-18 2017-12-26 하바지트 에이지 마그네틱 리니어 인코더 판독 가능한 마커들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510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017B2 (en) Electromagnetic lock monitoring system
ES2753132T3 (es) Un freno con un interruptor de lengüeta para indicar una condición de funcionamiento del freno
JPH07260413A (ja) 位置センサ
WO2011148456A1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US9509201B2 (en) Easy-to-start motor including a metallic induction member wrapped with a plastic member and a base thereof
JP2015122838A (ja) モータ
NL7907110A (nl) Gelijkstroommotor.
JP2011163831A5 (ko)
US20140062465A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JP4165229B2 (ja) 永久磁石温度センサ、永久磁石モータ、永久磁石モータの駆動システム
KR20200068510A (ko) 마그네틱 센서의 파손 방지 구조
EP1574861A3 (en) Combined sensor and bearing assembly
JP2012044946A5 (ko)
EP2372154B1 (en) Compressor with temperature sensor
US10180314B1 (en) Balanced multi-magnet sensor array
JP2012137451A5 (ko)
WO2019045133A1 (ko) 리프터용 영전자 자석의 안전도 검사장치 및 그 방법
RU2709190C1 (ru) Ротор
CN102192759A (zh) 霍尔传感器的圆周导磁结构
US11205546B2 (en) Switch
CN110361174A (zh) 状况监测
JP5995759B2 (ja) 温度計測機能を備えているロータ
TWI754598B (zh) 用於使用磁場偵測之裝置之延伸部件
WO2021133808A1 (en) Sensor arrangement having a dual magnet
JP5538704B2 (ja) 磁気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