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315A -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315A
KR20200068315A KR1020180155143A KR20180155143A KR20200068315A KR 20200068315 A KR20200068315 A KR 20200068315A KR 1020180155143 A KR1020180155143 A KR 1020180155143A KR 20180155143 A KR20180155143 A KR 20180155143A KR 20200068315 A KR20200068315 A KR 2020006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lock
input
motion
motion system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500B1 (ko
Inventor
류제규
최혁
김선욱
유재림
변광열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시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5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5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상이한 자유도를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일부 동작 모듈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신호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장부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은 평면 상에서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 및 상기 동작부와 상기 전장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Motion system with connecting block}
본 발명은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상이한 자유도를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일부 동작 모듈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신호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장부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모션(motion)을 모사하는 모션 플랫폼은, 예컨대 자동차나 전동차 또는 항공기나 탱크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체의 움직임을 반복 재현하는 장치로서,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동작체에 탑승한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션 플랫폼에 관한 기술은, 예컨대, 군사, 산업,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분야에 이미 넓게 적용되고 있다. 가령, 영화, 엔터테인먼트, 비행 조종훈련, 특수장비 전문가 양성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가상현실 기술과 접목되어 사실적인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9198호에 개시된 종래의 모션 플랫폼은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모터와, 이러한 모터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링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모션 플랫폼은 그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모션 플랫폼을 결합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와 같은 구조의 모션 플랫폼은 다른 모션 플랫폼과 결합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다수의 모션 플랫폼을 결합 배치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실제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9198호(2011.07.14.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이러한 동작부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가 각각 별개로 구비되어 상호 연결 가능한 모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호 상이한 자유도를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할 수 있는 모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복수의 동작 모듈 중에서 필요에 따라 일부 동작 모듈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모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은 평면 상에서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 및 상기 동작부와 상기 전장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작부는 1 이상의 자유도로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복수의 상기 동작 모듈 중 두개의 동작 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블록에는 상기 전장부에서 제공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제1 입력면과 제1 출력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전장부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제1 입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1 입력면 및 상기 제1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어 신호 및 전원이 출력되는 제1 출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1 출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동작 모듈 중 상기 연결 블록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전장부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입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2 입력면 및 상기 제2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어 신호 및 전원이 출력되며, 상기 제1 입력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2 출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동작 모듈 중 상기 연결 블록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제1 출력면에 설치된 제1 출력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입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3 입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 블록에는 상기 연결 블록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동작부와 상기 전장부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입력면과 상기 제1 출력면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 모듈은, 상호 직교하는 X축과 Y축을 따라 동작가능한 제 1 동작 모듈; 피칭(pitching) 모션, 롤링(rolling) 모션, 승강 모션으로 3자유도로 동작가능한 제 2 동작 모듈 및 평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가능한 제 3 동작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 다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은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이러한 동작부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가 각각 별개로 구비되므로 이들 각각을 운반하는 것이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서 간단하게 연결이 가능하므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상이한 자유도를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자는 다양한 움직임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의 동작 모듈 중에서 필요에 따라 일부 동작 모듈을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일부 동작 모듈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일부 동작 모듈을 분리하더라도 모션 시스템의 전체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시트와 같은 전체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와 연결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와 연결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블록을 분해해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와 연결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와 연결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와 연결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블록을 분해해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와 연결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시스템은 평면 상에서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1)와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부(1)와 전장부(10)는 상호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동작부(1)와 전장부(10)가 각각 별개로 구비되므로 운반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와 전장부(1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블록(100)가 구비되므로 설치 장소에서 간단하게 동작부(1)와 전장부(10)를 연결할 수 있고, 따라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동작부(1)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상호 상이한 자유도를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듈(20, 30, 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동작 모듈(20, 30, 40)은 독립적으로 동작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구성 및 제어 방식이 상호 연결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동작 모듈(20, 30, 40)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동작 모듈(20, 30, 40)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를 구성할 경우 제1 동작 모듈(20), 제2 동작 모듈(30) 및 제3 동작 모듈(40)을 순차적으로 적층해서 모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듈(20)은 평면 상에서 상호 직교하는 X축과 Y축을 따라 동작하면서 전후 좌우의 수평 움직임을 표현하게 되고, 제2 동작 모듈(30)은 평면 상에서 3자유도를 따라 동작하면서 피칭(pitching) 모션, 롤링(rolling) 모션, 승강 모션을 표현하게 되며, 제3 동작 모듈(40)은 평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면서 요잉(yawing) 모션을 표현하게 된다.
제1 동작 모듈(20)의 내부에는 X축 및 Y축 리니어 가이드 및 X축 및 Y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구동 모터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동작 모듈(30) 내에는 3 자유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작동 링크들 및 작동 링크들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동작 모듈(40)에는 요잉 모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지의 구동부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 동작 모듈 내부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조합하여 작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동작 모듈(20, 30, 40)을 모두 적층할 경우 6자유도 따른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전술한 복수의 동작 모듈(20, 30, 40) 중 일부 동작 모듈을 분리하고, 나머지 동작 모듈만으로 동작부(1)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동작 모듈(20)과 제2 동작 모듈(30)을 적층해서 5자유도에 따른 움직임을 표현하거나, 제2 동작 모듈(30)과 제3 동작 모듈(40)을 적층해서 4자유도에 따른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동작 모듈(20)과 제3 동작 모듈(40)을 적층해서 3자유도에 따른 움직임을 표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특성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동작 모듈(20, 30, 40)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동작 모듈(20, 30, 40) 사이의 결합은 체결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를 구성할 경우 제1 동작 모듈(20)과 제3 동작 모듈(40)을 적층해서 모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동작 모듈(30)을 분리하고, 나머지 동작 모듈(20, 40)만으로 동작부(1)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2 동작 모듈(30)을 분리하더라도 모션 시스템의 전체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모션 시스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시트(S)가 구비되는데, 제2 동작 모듈(30)을 분리했을 때 모션 시스템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모션 시스템 상부에 구비된 시트(S)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모션 시스템의 하부 구조와 시트(S)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모션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서 모션 시스템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모듈(30)을 분리하더라도 모션 시스템의 전체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동작 모듈(20, 40) 사이에는 연결 블록(1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 블록(100)은 동작 모듈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연결 블록(100)은 6면체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별도의 구동 부재가 내장되지 않는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연결 블록(100)의 높이는 분리되는 제2 동작 모듈(3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제2 동작 모듈(30)을 분리하더라도 모션 시스템의 전체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트(S)와 같은 전체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100)은 모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작 모듈과 결합되지만, 다른 동작 모듈이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상이하게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되지 않고, 외형만 동작 모듈과 유사하게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동작 모듈과 연결될 때에 연결 블록(100) 자체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연결 블록(100)과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동작 모듈 사이의 제어 케이블 혹은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 혹은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100)은 복수의 동작 모듈(20, 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S) 하부에 복수의 동작 모듈(20, 40)을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 블록(100)을 배치하게 되면 복수의 동작 모듈(20, 40)을 통한 다양한 움직임을 시트(S)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시트(S)와 복수의 동작 모듈(20, 40)의 사이에 연결 블록(100)이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듈(20, 40)을 통한 움직임이 연결 블록(100)을 통해 시트(S)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 블록(100)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부(10)와 복수의 동작 모듈(20, 40) 사이에 연결 블록(100)이 배치되므로 이러한 연결 블록(100)이 복수의 동작 모듈(20, 40)과 전장부(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블록(100)에는 전장부(10)에서 제공되는 케이블(L1, L2)이 관통하는 관통홀(111, 121)이 각각 형성된 제1 입력면(110)과 제1 출력면(1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10)에서는 제1 동작 모듈(2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케이블(L1)이 제공되고, 제2 동작 모듈(3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케이블(L2)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1 케이블(L1)은 제1 동작 모듈(20)의 제2 입력면(21)에 형성된 제2 입력홀(21a)을 관통하여 제1 동작 모듈(20)에 제공되고, 제2 케이블(L2)은 제3 동작 모듈(4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2 출력면(22)에 형성된 제2 출력홀(22a)을 관통하여 연결 블록(100)으로 제공된다.
또한, 연결 블록(100)으로 제공된 제2 케이블(L2)은 제1 입력면(110)에 형성된 제1 입력홀(111)과 제1 출력면(120)에 형성된 제1 출력홀(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3 동작 모듈(40)에 제공된다.
아울러 제3 동작 모듈(40)에 제공된 제2 케이블(L2)은 제3 입력면(41)에 형성된 제3 입력홀(41a)을 통해 제3 동작 모듈(4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장부(1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케이블(L1)과 제2 케이블(L2)을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연결 블록(100)은 전장부(10)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제1 입력 커넥터(112)가 설치된 제1 입력면(110) 및 제1 입력 커넥터(112)와 연결되어 신호 및 전원이 출력되는 제1 출력 커넥터(122)가 설치된 제1 출력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면(110)에 제1 입력 커넥터(112)를 구비하면 간단한 방식으로 제1 동작 모듈(20)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 및 전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신호 및 전원은 제1 입력 커넥터(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C100)을 통해 전달되며, 이러한 제1 연결 케이블(C100)은 제1 출력면(120)에 구비된 제1 출력 커넥터(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3 동작 모듈(40)에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동작 모듈(20, 40) 중 연결 블록(100)의 일측에 배치된 동작 모듈(20)은, 전장부(10)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입력 커넥터(21b)가 설치된 제2 입력면(21) 및 제2 입력 커넥터(21b)와 연결되어 신호 및 전원이 출력되며, 제1 입력 커넥터(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 커넥터(22b)가 설치된 제2 출력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10)에는 제1 동작 모듈(2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출력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이러한 출력 커넥터는 제1 동작 모듈(20)의 제2 입력면에 설치된 제2 입력 커넥터(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입력 커넥터(21b)를 통해 입력된 신호 및 전원은 제1 케이블(L1)을 통해 제1 동작 모듈(20)에 공급된다.
또한, 제1 동작 모듈(20)에는 제2 연결 케이블(C20)이 구비되며, 이러한 제2 연결 케이블(C20)은 전술한 제2 입력 커넥터(21b)를 통해 입력된 신호 및 전원이 제2 출력 커넥터(22b)를 통해 연결 블록(100)에 전달되고, 이러한 연결 블록(100)을 경유하여 제3 동작 모듈(4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연결 블록(100)의 제1 입력면(110)에 설치된 제1 입력 커넥터(112)는 전술한 제2 출력 커넥터(2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동작 모듈(20, 40) 중 연결 블록(100)의 타측에 배치된 동작 모듈(40)은 제1 출력면(120)에 설치된 제1 출력 커넥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입력 커넥터(41b)가 설치된 제3 입력면(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100)의 제1 입력 커넥터(112)를 통해 입력된 신호 및 전원은 제1 연결 케이블(C100)을 통해 제1 출력 커넥터(122)에 전달되고, 이러한 신호 및 전원은 제1 출력 커넥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입력 커넥터(41b)를 통해 제2 케이블(L2)에 전달되고, 이후 제3 동작 모듈(4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동작 모듈(20, 40)과 연결 블록(100)이 상호 간에 커넥터를 통한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이들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3 동작 모듈(40)에는 시트(S)와 연결되는 제3 출력면(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100)에는 연결 블록(10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부재(130)가 구비되면 연결 블록(100)의 내부에 별도의 부품을 보관할 수 있고, 또는, 모션 시스템과 관련된 제어부(미도시)를 추가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와 전장부(10)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제1 입력면(110)과 제1 출력면(120)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동작 모듈(20, 40)을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하지 않고, 일정 경사가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면(110)과 제1 출력면(120)이 상호 경사지게 배치된 삼각 기둥 형상의 연결 블록(10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블록(100)이 직육면체 형상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연결 블록(100)은 연결되는 동작 모듈의 접촉면의 형태에 따라 다각 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결 블록(100)의 제1 입력면(110)에는 제1 동작 모듈(20)이 연결되고, 제1 출력면(120)에는 제3 동작 모듈(40)이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제3 동작 모듈(40)에 연결된 시트(S)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결 블록(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을 제3 동작 모듈(40)에 전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10)에서 제공되는 케이블(L1, L2)이 관통하는 관통홀(111, 121)이 각각 형성된 제1 입력면(110)과 제1 출력면(1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부(10)에서는 제1 동작 모듈(2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케이블(L1)이 제공되고, 제2 동작 모듈(3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케이블(L2)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1 케이블(L1)은 제1 동작 모듈(20)의 제2 입력면(21)에 형성된 제2 입력홀(21a)을 관통하여 제1 동작 모듈(20)에 제공되고, 제2 케이블(L2)은 제3 동작 모듈(4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2 출력면(22)에 형성된 제2 출력홀(22a)을 관통하여 연결 블록(100)으로 제공된다.
또한, 연결 블록(100)으로 제공된 제2 케이블(L2)은 제1 입력면(110)에 형성된 제1 입력홀(111)과 제1 출력면(120)에 형성된 제1 출력홀(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3 동작 모듈(40)에 제공된다.
아울러 제3 동작 모듈(40)에 제공된 제2 케이블(L2)은 제3 입력면(41)에 형성된 제3 입력홀(41a)을 통해 제3 동작 모듈(4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장부(1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케이블(L1)과 제2 케이블(L2)을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100)의 제1 입력면(110)에 제1 입력 커넥터(112)를 구비하면 간단한 방식으로 제1 동작 모듈(20)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 및 전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신호 및 전원은 제1 입력 커넥터(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C100)을 통해 전달되며, 이러한 제1 연결 케이블(C100)은 제1 출력면(120)에 구비된 제1 출력 커넥터(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3 동작 모듈(40)에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제1 동작 모듈(20)에는 제1 입력 커넥터(112)와 제1 출력 커넥터(122)가 구비되고, 제3 동작 모듈(40)에는 제3 입력 커넥터(41b)가 구비되어 전장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복수의 동작 모듈(20, 4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동작 모듈(20, 40)과 연결 블록(100)이 상호 간에 커넥터를 통한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이들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동작부 10 : 전장부
20 : 제1 동작 모듈 21 : 제2 입력면
21a : 제2 입력홀 21b : 제2 입력 커넥터
22 : 제2 출력면 22a : 제2 출력홀
22b : 제2 출력 커넥터 30 : 제2 동작 모듈
40 : 제3 동작 모듈 41 : 제3 입력면
41a : 제3 입력홀 41b : 제3 입력 커넥터
42 : 제3 출력면 100 : 연결 블록
110 : 제1 입력면 111 : 제1 입력홀
112 : 제1 입력 커넥터 120 : 제1 출력면
121 : 제1 출력홀 122 : 제1 출력 커넥터
130 : 개폐 부재 C100 : 제1 연결 케이블
C20 : 제2 연결 케이블 L1 : 제1 케이블
L2 : 제2 케이블 S : 시트

Claims (10)

  1. 평면 상에서 다자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 및
    상기 동작부와 상기 전장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
    을 포함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1 이상의 자유도로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복수의 상기 동작 모듈 중 두 개의 동작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에는 상기 전장부에서 제공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제1 입력면과 제1 출력면이 구비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전장부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제1 입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1 입력면; 및
    상기 제1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어 신호 및 전원이 출력되는 제1 출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1 출력면;
    을 포함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동작 모듈 중 상기 연결 블록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전장부에서 공급되는 신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입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2 입력면; 및
    상기 제2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어 신호 및 전원이 출력되며, 상기 제1 입력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2 출력면;
    을 포함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동작 모듈 중 상기 연결 블록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제1 출력면에 설치된 제1 출력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입력 커넥터가 설치된 제3 입력면을 포함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에는 상기 연결 블록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와 상기 전장부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입력면과 상기 제1 출력면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상호 직교하는 X축과 Y축을 따라 동작가능한 제 1 동작 모듈;
    피칭(pitching) 모션, 롤링(rolling) 모션, 승강 모션으로 3자유도로 동작가능한 제2 동작 모듈 및
    평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가능한 제3 동작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 다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KR1020180155143A 2018-12-05 2018-12-05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KR10216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43A KR102161500B1 (ko) 2018-12-05 2018-12-05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43A KR102161500B1 (ko) 2018-12-05 2018-12-05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15A true KR20200068315A (ko) 2020-06-15
KR102161500B1 KR102161500B1 (ko) 2020-10-05

Family

ID=7108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143A KR102161500B1 (ko) 2018-12-05 2018-12-05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5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98B1 (ko) 2010-11-05 2011-07-14 주식회사 구산 뒤틀림 방지 및 수직 지지력이 보강된 시뮬레이터
KR20150115272A (ko) * 2014-04-03 2015-10-14 신동호 복수 인원 탑승용 회전식 시뮬레이터 및 그를 사용한 원형 구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80092489A (ko) * 2017-02-09 2018-08-20 (주)이노시뮬레이션 다자유도 모션플랫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98B1 (ko) 2010-11-05 2011-07-14 주식회사 구산 뒤틀림 방지 및 수직 지지력이 보강된 시뮬레이터
KR20150115272A (ko) * 2014-04-03 2015-10-14 신동호 복수 인원 탑승용 회전식 시뮬레이터 및 그를 사용한 원형 구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80092489A (ko) * 2017-02-09 2018-08-20 (주)이노시뮬레이션 다자유도 모션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500B1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714B2 (en) Virtual reality based pilot training system
US9953579B2 (en) Acousto-optic element arr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acousto-optic element array and method for driving an acousto-optic element array
EP2443618B1 (en) A motion platform system
US10410536B2 (en) Apparatus to simulate driving a land vehicle
US11711238B2 (en) Methods for operator control unit and payload communication
JP2013071731A5 (ko)
CN110058599A (zh) 无人驾驶运载器中的处理器虚拟化
CN110058517A (zh) 无人驾驶载具控制系统
TW201636267A (zh) 用於製作微型衛星的最佳化模組架構
CN108327926A (zh) 可在轨变构的模块化空间飞行器
KR102161500B1 (ko) 연결 블록이 구비된 모션 시스템
EP3605503B1 (en) Miniature, portable motion platforms for simulating flight movements
US2012022365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718413B2 (en) Cockpit pedestal and aircraft with a cockpit pedestal
KR102073081B1 (ko) 가상 체험용 시뮬레이션 의자
CN104700683A (zh) 实景双向互动式驾驶平台
CN112478125B (zh) 一种具备自主飞行能力的飞行阵列系统
TWI521294B (zh) 包含多彩顯示元件之顯示裝置
JP4664094B2 (ja) 船舶用電気推進装置
KR20230059585A (ko) 공연용 드론
CN108992934B (zh) 一种全空域姿态反馈系统
KR102133397B1 (ko) Xy축 모션 시스템
KR20170062905A (ko) 컨트롤러 수납케이스를 갖춘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구
CN204121774U (zh) 一种拼接玩具的动力模块
US10436820B2 (en) Signal switching device and te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