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212A -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 Google Patents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212A
KR20200068212A KR1020180154911A KR20180154911A KR20200068212A KR 20200068212 A KR20200068212 A KR 20200068212A KR 1020180154911 A KR1020180154911 A KR 1020180154911A KR 20180154911 A KR20180154911 A KR 20180154911A KR 20200068212 A KR20200068212 A KR 2020006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ase
tape measure
eraser
pencil
cas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338B1 (ko
Inventor
조시환
Original Assignee
조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시환 filed Critical 조시환
Priority to KR102018015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통에 지우개를 구비한 줄자의 구성을 일체로 적용하여 다양한 필기구를 일괄적으로 소지하면서 지우개 사용이 간편하며 항시 측정용구를 효율적으로 소지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필기구 수납을 위한 수장공간 및 상부가 개방된 인출구를 형성하는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인출구에 대응하여 일단이 연결 형성되고, 상기 필통본체와의 접촉단부 둘레를 따라 지퍼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통뚜껑과; 상기 필통뚜껑의 내측에 감긴 상태로 내장하고, 상기 필통뚜껑의 외부로 일단이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줄자를 구비하는 줄자조립체와; 상기 줄자조립체의 줄자 일단에 연결 설치되고 지우개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는 지우개장착구;를 포함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The Pencil Case having a Multipurpose Function}
본 발명은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통에 지우개를 구비한 줄자의 구성을 일체로 적용하여 다양한 필기구를 일괄적으로 소지하면서 지우개 사용이 간편하며 항시 측정용구를 효율적으로 소지하는 것이 가능한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은 연필이나 볼펜, 샤프와 같은 필기구 및 지우개 등을 수장하여 보관이나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서, 금속이나 합성수지, 천, 가죽 등의 재질로부터 다양한 형상의 필통을 구분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통은 사용자가 학습 및 개인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필통의 내부에 수장된 필기구나 지우개 등을 인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의 필통뚜껑을 구비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필통의 수납공간 내 다양한 유형의 필기구와 함께 지우개 및 자 등의 용구가 무분별하게 수용된 채 보관 및 휴대하기 때문에 여러 필기구 및 수납용구들이 쉽게 흐트러져 사용자가 특정 용구를 인출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2749호(2011.08.18.)에는 저면이 닫힌 원통형의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와 자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통뚜껑 및 상기 필통본체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필기구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홀더들을 부착한 필기구 장착부로 구성됨에 따라 불규칙한 흔들림에도 필기구들이 흐트러지지 않는 고정홀더가 부착된 원통형 필통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2216호(2001.05.16.)에는 통형 필통 상단에 소형용기와 뚜껑을 착탈하게 되는 통상의 필통에 있어서, 상기 소형용기는 필통 상단 개구부 내로 체결되는 삽입부와 외향된 턱을 가지는 투명 수지재로 구성함과, 뚜껑은 고리와 일체로 고정된 체인에 의해 필통에 연결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용품을 서로 분리 수납하여 사용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소형물품 수납부를 구비한 필통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모두 필기구와 지우개를 필통 내 수납공간에 구분 수납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통뚜껑을 열고 난 후에야 지우개를 꺼낼 수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급한 용무로 인한 지우개 사용시 필통을 열고 닫는 시간이 소요되어 용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측정을 위한 용구인 자를 소지하기 위해서는 필통 내 소형의 방안자만이 수납가능하며 그 외 측정용구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소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측정용구에 대한 휴대가 매우 불편하고 필통 내 측정을 위한 측정용구가 부재하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749호 (2011.08.18.)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216호 (2001.05.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통의 뚜껑에 측정용구를 일괄구성하면서 지우개가 외장 휴대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지우개의 사용이 간편하면서 측정용구의 휴대성과 함께 필통의 기능성을 다양화할 수 있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 수납을 위한 수장공간 및 상부가 개방된 인출구를 형성하는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인출구에 대응하여 일단이 연결 형성되고, 상기 필통본체와의 접촉단부 둘레를 따라 지퍼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통뚜껑과; 상기 필통뚜껑의 내측에 감긴 상태로 내장하고, 상기 필통뚜껑의 외부로 일단이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줄자를 구비하는 줄자조립체와; 상기 줄자조립체의 줄자 일단에 연결 설치되고 지우개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는 지우개장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통뚜껑에는 상기 줄자조립체를 내장할 수 있게 수용하는 내장공간과, 상기 줄자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상기 내장공간의 일측 벽면에 절개 형성되는 절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줄자조립체는 상기 줄자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 돌출 형성된 지지축을 구비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줄자가 권취되고 상기 몸체케이스 내 상기 지지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가이드와, 상기 인출가이드 내 위치복원을 위한 탄성작용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줄자조립체에는 상기 인출가이드 상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몸체케이스 상에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상에 걸림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인출가이드의 회전을 지지 고정하는 인출조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에 의하면 필기구 수장공간과는 구분하여 필통뚜껑 내 줄자가 일체로 내장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별도 측정용구의 휴대가 불필요한 채 일괄적으로 휴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필통과 함께 항시 측정용구를 소지 가능하여 학습 또는 업무상 꼭 필요한 시점에 사용상의 탄력성 및 실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은 필통뚜껑 상에 지우개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한 채 외부보관형으로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필통뚜껑을 열지 않고도 지우개를 사용가능하여 지우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학습 또는 업무상 급한 용무에 따른 사용상의 신속성을 도모하면서 학습 또는 업부상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필통 상에 지우개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우개의 사용위치를 연장하여 가변가능하므로, 지우개 분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줄자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지우개장착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본 발명은 내부에 필기구 수납을 위한 수장공간 및 상부가 개방된 인출구를 형성하는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인출구에 대응하여 일단이 연결 형성되고, 상기 필통본체와의 접촉단부 둘레를 따라 지퍼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통뚜껑과; 상기 필통뚜껑의 내측에 감긴 상태로 내장하고, 상기 필통뚜껑의 외부로 일단이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줄자를 구비하는 줄자조립체와; 상기 줄자조립체의 줄자 일단에 연결 설치되고 지우개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는 지우개장착구;를 포함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통본체(10)와, 필통뚜껑(20)과, 줄자조립체(30)와, 지우개장착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통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필통뚜껑(20)을 비롯한 상기 줄자조립체(30) 및 상기 지우개장착구(40)가 위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필통본체(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다양한 필기구(연필, 볼펜, 샤프 등)를 수납하여 보관가능한 영역을 이루는 수장공간(11)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필기구을 인출시킬 수 있는 인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필통본체(10)는 합성수지나 천, 가죽과 같은 유연한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필통본체(10)의 하부는 평탄한 평면을 이루며 폐쇄되어 상기 수장공간(11) 내 인입된 여러 필기구를 지지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필통본체(10)의 하부에는 다양한 형상을 부가 적용(도면에서는 연필형상)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필통본체(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필통본체(10)의 전체적인 소재와 동일 소재(합성수지나 천, 가죽 등)로 적용하면서 단순히 디자인을 목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필통본체(10)의 소재와는 다른 섬유질 고무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소지중인 지우개가 전혀 없는 유사상황에서 지우개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통본체(10)에는 상기 수장공간(11)을 구분 구획하여 다양한 필기구별로 구분 수납시킬 수 있는 격벽(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통뚜껑(20)은 상기 필통본체(10)와는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필통본체(10)의 인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필통뚜껑(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통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인출구에 대응하여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게 형성한다.
상기 필통뚜껑(20)은 상기 필통본체(10)와 서로 접하는 접촉단부에 외곽 둘레를 따라 개폐 조작가능하게 형성된 지퍼수단(25)을 구비한다. 즉 상기 필통뚜껑(20)은 상기 필통본체(10) 상에 상기 지퍼수단(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상기 지퍼수단(25)은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열림 또는 잠김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필통뚜껑(2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줄자조립체(30)를 내장할 수 있게 수용하는 내장공간(21)과, 상기 필통뚜껑(20) 상에 형성되되 상기 줄자조립체(30)의 줄자(31)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상기 내장공간(21)의 일측 벽면에 절개 형성되는 절개구(23)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구(23)는 상기 필통뚜껑(20) 내 위치한 상기 줄자조립체(30)의 줄자(31)가 외부로 인/출입될 수 있는 경로로서, 상기 절개구(23) 상에 마감재를 부착 구성하므로, 절개구(23)가 그 이상 찢어져 벌어지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줄자조립체(30)는 상기 필통뚜껑(20)의 내측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고, 사용자로부터 치수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 측정용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줄자조립체(30)에는 기본적으로 상기 필통뚜껑(20) 내 감긴 상태로 위치하되 상기 필통뚜껑(20)의 외부로 일단이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줄자(31)를 구비한다.
상기 줄자(31)는 상기 필통뚜껑(20) 내 한정된 공간에 내장하여 사용한다는 특성상 가늘고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베줄자나 유리섬유제 줄자를 사용한다.
상기 줄자(31)는 띠 형상을 이루며, 일면에 눈금을 새겨지되 눈금의 경우 형광안료를 사용함에 따라 야간사용시에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자조립체(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줄자(31)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케이스(33)와, 상기 몸체케이스(33) 내 상기 줄자(31)를 권취 상태로 지지하는 인출가이드(35)와, 상기 인출가이드(35)의 위치복원을 위한 탄성부재(37)를 구성한다.
상기 몸체케이스(33)는 상기 줄자조립체(3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필통뚜껑(20)의 내장공간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제작한다.
상기 몸체케이스(33)에는 상기 필통뚜껑(2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고정부재(38)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정부재(38)로는 상기 몸체케이스(33)의 바닥면을 상기 필통뚜껑(20) 상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테이프형태로 구성하거나, 상기 몸체케이스(33)와 상기 필통뚜껑(20)을 상호 걸림 연결가능한 연결고리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케이스(33)는 내부공간 내 상기 인출가이드(35)를 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지지축(34)을 형성한다.
상기 인출가이드(35)는 외주 둘레 면에 상기 줄자를 감김 상태로 권취하고, 상기 몸체케이스(33) 내 위치하되 상기 지지축(34) 상에 끼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인출가이드(35)는 상기 줄자(31)가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지지축(34)을 기준으로 정방향 회전하며 상기 줄자(31)가 풀리면서 인출될 수 있게 안내하고, 상기 인출가이드(35)는 상기 탄성부재(37)로부터 복원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지지축(34)을 기준으로 역방향 회전하며 다시 줄자(31)를 감으면서 인입시킬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인출가이드(35)에는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37)를 수용가능한 설치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인출가이드(35)의 설치영역 내 위치복원을 위한 탄성작용이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37)의 내측 일단은 상기 몸체케이스(33)의 지지축(34) 상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탄성부재(37)의 외측 일단은 상기 인출가이드(35) 상에 연결 결합되게 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인출가이드(35)의 위치복원 위한 탄성작용을 도모하여 상기 줄자(31)에 되감기 탄력을 생성시킨다. 즉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줄자(31)의 당김 작용에 따른 힘에 의해 감아지고, 상기 탄성부재(37)를 감았을 때 가지는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풀리려는 힘을 작용시키므로, 상기 인출가이드(35)에 대한 위치복원을 도모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가늘고 긴 띠 형태의 강을 태엽처럼 나선형으로 감은 스파이럴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줄자조립체(30)에는 상기 몸체케이스(33) 내 줄자(31)가 감긴 상기 인출가이드(35)의 회전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36) 및 인출조정수단(39)을 구성한다.
상기 걸림턱(36)은 상기 인출가이드(35)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의 일단이 걸림 접촉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36)에는 상기 인출가이드(35)와의 접촉면과 직각을 이루어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이 걸림 접촉되는 지지면(36a)과 함께 상기 지지면(36a)으로부터 상기 인출가이드(35)의 접촉면 간에 기울어진 경사면(36b)을 형성하므로, 상기 줄자(31)의 당김 조작에 따른 상기 인출가이드(35)의 회전방향으로는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36)의 경사면(36b)에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고, 상기 줄자(31)에 당겨지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36)의 지지면(36a)에 접촉하여 회전정지상태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은 상기 인출가이드(35)의 회전 여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조작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은 상기 몸체케이스(3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케이스(33)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가능한 버튼형태의 누름단부(39a)를 구비하며, 반대편 타단은 상기 인출가이드(35)의 걸림턱(36) 상에 걸림 접촉하는 지지단부(39b)를 형성한다.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은 상기 누름단부(39a)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인출가이드(35)의 회전 여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은 상기 인출가이드(35)의 걸림턱(36)을 향해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줄자(31)가 당겨진 만큼 상기 인출가이드(35)가 회전한 후 상기 줄자(31)에 당겨지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걸림턱(36)이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의 지지단부(39b)에 걸린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7)에 의한 상기 인출가이드(35)의 회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의 누름단부(39a)를 누름 조작하면 상기 인출조정수단(39)이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36) 상에 걸린 상기 지지단부(39b)를 이탈시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7)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인출가이드(35)를 회전시켜 상기 줄자(31)가 상기 인출가이드(35) 상에 감기도록 제어한다.
상기 지우개장착구(40)는 상기 필통뚜껑(20)에 대응하여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지우개(45)를 고정 지지하는 외장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지우개장착구(4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줄자조립체(30) 중 상기 줄자(31)의 일단에 대응하여 연결 설치되고, 지우개(45)를 일체로 연결하되 사용자로부터 줄자(31)사용을 위해 파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지우개장착구(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 형성되고, 내측에 지우개(45)가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지우개(45)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한다.
상기 지우개장착구(40)는 시중에 생산되고 있는 지우개 중 소형 지우개의 면적에 대응하여 규격화되게 형성한다.
상기 지우개장착구(40)의 내면에는 지우개(45)가 수용되는 내측 결합공간으로 지우개(45)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끼움단부(41)를 구비한다.
상기 끼움단부(41)는 "V"자 또는 "W"자 단면형상을 이루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에 의하면, 필기구 수장공간과는 구분하여 필통뚜껑 내 줄자가 일체로 내장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별도 측정용구의 휴대가 불필요한 채 일괄적으로 휴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필통과 함께 항시 측정용구를 소지 가능하여 학습 또는 업무상 꼭 필요한 시점에 사용상의 탄력성 및 실효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필통뚜껑 상에 지우개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한 채 외부보관형으로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필통뚜껑을 열지 않고도 지우개를 사용가능하여 지우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학습 또는 업무상 급한 용무에 따른 사용상의 신속성을 도모하면서 학습 또는 업부상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필통 상에 지우개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우개의 사용위치를 연장하여 가변가능하므로, 지우개 분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필통본체 11 : 수장공간
20 : 필통뚜껑 21 : 내장공간 23 : 절개구
25 : 지퍼수단 30 : 줄자조립체 31 : 줄자
33 : 몸체케이스 34 : 지지축 35 : 인출가이드
36 : 걸림턱 36a : 지지면 36b : 경사면
37 : 탄성부재 38 : 고정부재 39 : 인출조정수단
39a : 누름단부 39b : 지지단부 40 : 지우개장착구
41 : 끼움단부 45 : 지우개

Claims (4)

  1. 내부에 필기구 수납을 위한 수장공간 및 상부가 개방된 인출구를 형성하는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인출구에 대응하여 일단이 연결 형성되고, 상기 필통본체와의 접촉단부 둘레를 따라 지퍼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통뚜껑과;
    상기 필통뚜껑의 내측에 감긴 상태로 내장하고, 상기 필통뚜껑의 외부로 일단이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줄자를 구비하는 줄자조립체와;
    상기 줄자조립체의 줄자 일단에 연결 설치되고 지우개를 교체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는 지우개장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통뚜껑에는 상기 줄자조립체를 내장할 수 있게 수용하는 내장공간과, 상기 줄자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상기 내장공간의 일측 벽면에 절개 형성되는 절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자조립체는, 상기 줄자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 돌출 형성된 지지축을 구비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줄자가 권취되고 상기 몸체케이스 내 상기 지지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가이드와, 상기 인출가이드 내 위치복원을 위한 탄성작용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줄자조립체에는 상기 인출가이드 상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몸체케이스 상에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상에 걸림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인출가이드의 회전을 지지 고정하는 인출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KR1020180154911A 2018-12-05 2018-12-05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KR10212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911A KR102127338B1 (ko) 2018-12-05 2018-12-05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911A KR102127338B1 (ko) 2018-12-05 2018-12-05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212A true KR20200068212A (ko) 2020-06-15
KR102127338B1 KR102127338B1 (ko) 2020-07-07

Family

ID=7108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911A KR102127338B1 (ko) 2018-12-05 2018-12-05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3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09Y1 (ko) * 2000-03-28 2000-08-16 김부용 휴대용 다기능 필기구
KR200232216Y1 (ko) 1999-05-28 2001-09-25 김기형 소형물품 수납부를 구비한 필통
KR200379044Y1 (ko) * 2004-12-15 2005-03-17 장종찬 필기구 부착이 가능한 원형 줄자
CN201102411Y (zh) * 2007-11-08 2008-08-20 陈泽 带橡皮擦的直尺
KR20080106615A (ko) * 2007-06-04 2008-12-09 장용석 멀티 룰러
KR20110092749A (ko) 2010-02-10 2011-08-18 박병규 고정홀더가 부착된 원통형 필통
KR101146256B1 (ko) * 2012-02-23 2012-05-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자
JP2018118139A (ja) * 2018-05-07 2018-08-02 株式会社リヒトラブ ペンケース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216Y1 (ko) 1999-05-28 2001-09-25 김기형 소형물품 수납부를 구비한 필통
KR200193009Y1 (ko) * 2000-03-28 2000-08-16 김부용 휴대용 다기능 필기구
KR200379044Y1 (ko) * 2004-12-15 2005-03-17 장종찬 필기구 부착이 가능한 원형 줄자
KR20080106615A (ko) * 2007-06-04 2008-12-09 장용석 멀티 룰러
CN201102411Y (zh) * 2007-11-08 2008-08-20 陈泽 带橡皮擦的直尺
KR20110092749A (ko) 2010-02-10 2011-08-18 박병규 고정홀더가 부착된 원통형 필통
KR101146256B1 (ko) * 2012-02-23 2012-05-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자
JP2018118139A (ja) * 2018-05-07 2018-08-02 株式会社リヒトラブ ペン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338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US20030145500A1 (en) Combination magnetic pen holder and cap
US5599123A (en) Combined pencil sharpener and pencil stowage apparatus
US20200001644A1 (en) Multi-purpose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US8966778B2 (en) Tape measure recording device
US9004792B2 (en) Eraser cap assembly for writing instrument
KR102127338B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KR200441250Y1 (ko) 다목적 필기구
US6974026B2 (en) Three-in-one art pack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JPH01128898A (ja) 複合文房具
US20070160413A1 (en) Pen
US20030072598A1 (en) Note pad holder with integrated writing instrument
KR20050031588A (ko) 지우개 교체형 필기구
KR20045690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필통
CN209898550U (zh) 一种多功能文具盒
JP7417685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US6658702B1 (en) Writing implement holder with clip
JP3140803U (ja) 筆入れ
KR200208274Y1 (ko) 연필꽂이
KR940007682Y1 (ko) 다용도 필기구
WO2006043845A1 (en) An improved pen
KR20110082991A (ko) 뚜껑이 없는 휴대용 필통
KR200389334Y1 (ko) 홀 고리 걸이 필기구
KR20210069242A (ko) 필기도구 수납 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