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701A -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701A
KR20200067701A KR1020180170580A KR20180170580A KR20200067701A KR 20200067701 A KR20200067701 A KR 20200067701A KR 1020180170580 A KR1020180170580 A KR 1020180170580A KR 20180170580 A KR20180170580 A KR 20180170580A KR 20200067701 A KR20200067701 A KR 20200067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factory
modeling
object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477B1 (ko
Inventor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6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 상기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복수개의 통신 보드; 및 상기 통신 보드를 통해 통신객체 모델링, 공정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 training kit for building a CPS system of a smart factory,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to be practiced using the kit}
본 발명은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PS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통신객체 모델링과 공정제어를 통해 미니어처 구동체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교환하고 모니터링하며 CPS시스템 구축을 시뮬레이션 하는 교육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팩토리 및 CPS(Cyber Physical System) 개념으로의 교육용 키트는 존재하지 않으며, 표준통신플랫폼을 CPS 시스템의 통신주체로 하고, 공장의 객체들의 통신 모델링을 통하여 실습으로 실제 데이터를 교환하고 물리적 객체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교육용 키트는 존재하지 않았다.
(KR) 등록특허 10-167667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팩토리 표준통신플랫폼을 통한 CPS 시스템 구축 교육용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을 통해, 공장의 많은 객체들 (예컨대, 머신, 로봇, 센서, 디바이스 등)의 미니어처 구동체를 통해 통신 모델링을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 DDS)등을 이용하요 모델링할 수 있는 샘플과 에디터를 제공하여 실제로 통신객체와 CPS객체를 모델링 해 볼 수 있다. 또한 모델링한 결과를 실제 공장객체에 임베디드 통신보드에 이식해서 실시간 통신을 통해 중앙의 서버로 데이터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며, 원격 제어 및 공정 순서 제어를 실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 상기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복수개의 통신 보드; 및 상기 통신 보드를 통해 통신객체 모델링, 공정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장객체모듈은 로봇, 센서, 컨베이어, 서보모터 및 구동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통신 보드는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으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통신 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보드는 통신객체 모델링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상기 제어부는,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여 통신 보드에 이식하고, 통신객체 모델링된 통신 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객체 모델링부;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제어 순서 및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인터럽트를 설정하여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동작을 설정하는 공정제어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 및 상기 통신 보드에 대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부는, 모델링되지 않은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기존의 완성된 모델링과 비교하여 모델링 에러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상기 통신 보드에 전송하고 이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통신서버에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 보드에 연결된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를 국제표준통신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상기 공정제어부는, 통신객체 모델링이 기 등록된 공장객체모듈의 제어 프로세스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작동 횟수 또는 작동 순서에 관한 명령을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전송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공정을 정지시키는 인터럽트를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기 등록되지 않은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신하면, 공장객체모듈의 새로운 공정이 등록되는 오퍼레이션; 상기 새로운 공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부는, 통신객체 모델링 실습도구 및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 클라이언트가 결합되어,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델링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 실습도구를 통해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모델링되지 않은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기존의 완성된 모델링과 비교하여 모델링 에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상기 통신 보드에 전송하고 이식하는 동작;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통신서버에 등록하는 동작; 상기 통신 보드에 연결된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를 국제표준통신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통신객체 모델링이 기 등록된 공장객체모듈의 제어 프로세스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작동 횟수 또는 작동 순서에 관한 명령을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공정을 정지시키는 인터럽트를 설정하는 동작; 기 등록되지 않은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신하면, 공장객체모듈의 새로운 공정이 등록되는 동작; 상기 새로운 공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를 통해 현실감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를 이용하여 OPC UA 모델링을 통해 OPC UA의 통신 구조를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팩토리 통신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는 IT 부분에서도 통신서버, 클라이언트, TCP/IP 등 네트워크 기술과 OPC UA 기술 및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및 구조에 대한 실습교재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OPC UA 모델링 및 공정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OPC UA 모델링을 실습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시제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100), 각 공장객체모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통신 보드(200) 및 통신객체 모델링, 공정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장객체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미니어처 설비가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장객체모듈에 제1 로봇(101), 컨베이어(102), 서보모터(103) 및 제2 로봇(104)이 사용된다.
각각의 공장객체모듈(100)은 통신 보드(200)에 연결되고, 통신 보드는 공장객체모듈로부터 획득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보드는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en Platform Communications Unified Architecture, OPC UA)으로 모델링된다. 다만, 통신객체 모델링 실습을 위해 1개는 OPC UA로 모델링되지 않는 상태이다.
모델링 되지 않은 설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모델링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에 기록될 수 있고, 이 프로그램은 각각의 통신 보드(200)를 통해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10)은 모델링되지 않은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기존의 완성된 모델링과 비교하여 모델링 에러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상기 통신 보드에 전송하고 이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통신서버에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 보드에 연결된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를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을 통해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퍼레이션은 통신객체 모델링이 추가된 설비의 데이터가 연동되는지 확인 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공정제어 프로그램도 더 포함하는데, 공정제어 프로그램은 선술한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1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제어 프로그램은 통신객체 모델링이 기 등록된 공장객체모듈의 제어 프로세스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작동 횟수 또는 작동 순서에 관한 명령을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전송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공정을 정지시키는 인터럽트를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기 등록되지 않은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신하면, 공장객체모듈의 새로운 공정이 등록되는 오퍼레이션, 상기 새로운 공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프로세스는 작동 횟수, 작동 순서, 반복 횟수, 인터럽트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3개의 공장객체모듈(설비)에는 기존의 공정모델이 등록되어 있고, 1개의 설비에 통신객체 모델링을 신규로 등록하고 공정도 등록하는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트는 1개의 긴급정지 신호가 발생하면, 공정을 긴급 정지한 후 재 가동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과 공정제어 프로그램은 교육용 키트뿐만 아니라, 원격의 PC 또는 노트북에 설치될 수 있으며, OPC UA 통신을 통해 키트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객체 모델링 프로그램과 공정제어 프로그램 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OPC UA 모델링 및 공정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제1 창(31)은 현재 OPC UA 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장비들의 연결 구조도를 나타낸다. 즉, 제1 창(31)은 어떠한 계층적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지 연결 구조를 시각화하여 표현한다. 오른쪽은 각 아이콘에 대한 명칭이며 아이콘이나 오른쪽 창에 있는 이름을 클릭하면 제2 창(32) 및 제3 창(33)을 열 수 있다.
제2 창(32)은 제1 창(31)에서 아이콘은 클릭했을 때의 모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 정보는 구성(configuration), xml, 그림(figures), 타입(type)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창에서 상기 구체적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제3 창(33)에서는 데이터 모델 설계자(data model designer)로 클릭한 아이콘(모듈)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의 형태와 데이터의 종류를 수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OPC UA 모델링을 실습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즉, OPC UA 실습 모델러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제1 창(41)은 프로젝트 탐색창이다. 프로젝트 탐색창은 OPC UA 서버에 접속하여 모델링 구조를 보는 창으로, 현재 모델링하고 있는 파일의 구조를 보는 창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 창(42)은 객체 탐색창으로, OPC UA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객체와 연결 구조 등을 표시한 창이다. 제2 창(42)에서는 해당 객체를 끌어오거나 참고하여 객체 노드를 추가할 EO를 사용한다.
제3 창(43)은 OPC UA 값(value) 창으로, 접속된 OPC UA 서버의 노드 변경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4 창(44)은 OPC UA 노드(node) 속성 창으로, 모델링을 참조하는 OPC UA 서버의 노드 속성 값을 표시한다.
제5 창(45)은 OPC UA 노드(node) 속성 모델링창으로, 제4 창(44)에서 참조하는 모델을 참고하여 현재 모델링하는 노드의 속성을 정의하는 창이다.
제6 창(46)은 현재 실시간으로 데이터나 이벤트가 통신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로그 창이다. 즉, 제6 창(46)에서는, 접속된 OPC UA 서버(제3 창(43) 참고)의 클라이언트(client) 통신을 로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실습 모델링을 하는 도구와 OPC UA 클라이언트(Client)가 합쳐져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OPC UA 서버에 접속해서 제4 창(44)을 통해 모델링정보를 확인하면서, 제5 창(45)을 통해 모델링을 실습할 수 있다.
종래의 모델링 에디터는 신규로 모델링만 에디팅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러는 실제 서버에 접속해 모델링을 가져와서 복사하거나, 참조하여 모델링을 실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OPC UA 클라이언트 기능을 내장하여 실시간으로 노드값을 전송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는 수신한 데이터 및 상기 통신 보드에 대한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창(51)은 공장의 모습을 가정하여 나타낸 것으로, 설정된 공장 라인(52)은 상태에 따라 녹색(clear), 빨간색(error), 흰색(check)으로 표현되어 있다(52).
공장 라인 상태 표시창(52)을 통해 사용자는 유지보수 및 수리가 필요한 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창(51)에서 각각의 모듈에 표시된 색깔은 통신형태를 종류별로 시각화한 것이다. OPC UA는 녹색, CPS LG는 빨간색, CPS BO는 파란색으로 나타내었다(53).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창(51)은 색깔 표시뿐만 아니라, 수신한 데이터를 숫자 표시 또는 그래프 형태로도 표시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도 5의 제2 창(54)은 제1 창(51)에 표시된 모듈별로 작동 파일을 실행하는 창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각 센서를 실행할 경우, 제1 창(51)에 도시된 모니터링 창을 실행할 수 있거나, 파일 조작을 통해 생산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트를 실제 제작한 시제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4개의 공장객체모듈인 로봇, 서보모터, 컨베이어, 센서가 제작된 교육용 키트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장객체모듈
101, 104 : 로봇 102 : 컨베이어 103 :서보모터
200 : 통신 보드
300 : 제어부

Claims (10)

  1.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
    상기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복수개의 통신 보드; 및
    상기 통신 보드를 통해 통신객체 모델링, 공정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객체모듈은 로봇, 센서, 컨베이어, 서보모터 및 구동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보드는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으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보드는 통신객체 모델링되지 않은 것인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여 통신 보드에 이식하고, 통신객체 모델링된 통신 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객체 모델링부;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제어 순서 및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인터럽트를 설정하여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동작을 설정하는 공정제어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 및 상기 통신 보드에 대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부는,
    모델링되지 않은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기존의 완성된 모델링과 비교하여 모델링 에러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상기 통신 보드에 전송하고 이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통신서버에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통신 보드에 연결된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를 국제표준통신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제어부는,
    통신객체 모델링이 기 등록된 공장객체모듈의 제어 프로세스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작동 횟수 또는 작동 순서에 관한 명령을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전송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공정을 정지시키는 인터럽트를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기 등록되지 않은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신하면, 공장객체모듈의 새로운 공정이 등록되는 오퍼레이션;
    상기 새로운 공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부는,
    통신객체 모델링 실습도구 및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 클라이언트가 결합되어, 국제표준통신플랫폼(OPC UA)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델링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 실습도구를 통해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9.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모델링되지 않은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기존의 완성된 모델링과 비교하여 모델링 에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상기 통신 보드에 전송하고 이식하는 동작;
    상기 통신객체 모델링을 통신서버에 등록하는 동작;
    상기 통신 보드에 연결된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데이터를 국제표준통신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0.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통신객체 모델링이 기 등록된 공장객체모듈의 제어 프로세스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설정된 작동 횟수 또는 작동 순서에 관한 명령을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공장객체모듈에 대한 공정을 정지시키는 인터럽트를 설정하는 동작;
    기 등록되지 않은 통신객체 모델링을 수신하면, 공장객체모듈의 새로운 공정이 등록되는 동작;
    상기 새로운 공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공장객체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80170580A 2018-12-04 2018-12-27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253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4808 2018-12-04
KR1020180154808 2018-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701A true KR20200067701A (ko) 2020-06-12
KR102253477B1 KR102253477B1 (ko) 2021-05-18

Family

ID=7108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580A KR102253477B1 (ko) 2018-12-04 2018-12-27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378B1 (ko) * 2021-05-21 2022-06-15 주식회사 샤인소프트 스마트 팩토리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3113074A1 (ko) * 2021-12-16 2023-06-2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디지털 트윈 서버와 장비의 opc ua 데이터 연동을 위한 iec 63278 기반 모델링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45Y1 (ko) * 2001-08-28 2001-11-27 지상근 공장자동화 제어 교육시스템
KR100823056B1 (ko) * 2006-12-22 2008-04-18 (주)에스에스앤아이 공장 자동화 교육용 시스템
KR101574524B1 (ko) * 2014-07-17 2015-12-08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Iec61850와 opc ua 간의 상호 호환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101676676B1 (ko) 2015-01-29 2016-11-18 주식회사 엑스봇 저항과 자석이 내장된 카드키 및 보드를 이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키트 및 방법
KR20180003665A (ko) * 2016-06-30 2018-01-10 전자부품연구원 IoT 기반의 공장 통합 관리 장치에 의한 웹 서비스 방법
KR20180009563A (ko) * 2016-07-19 201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45Y1 (ko) * 2001-08-28 2001-11-27 지상근 공장자동화 제어 교육시스템
KR100823056B1 (ko) * 2006-12-22 2008-04-18 (주)에스에스앤아이 공장 자동화 교육용 시스템
KR101574524B1 (ko) * 2014-07-17 2015-12-08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Iec61850와 opc ua 간의 상호 호환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101676676B1 (ko) 2015-01-29 2016-11-18 주식회사 엑스봇 저항과 자석이 내장된 카드키 및 보드를 이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키트 및 방법
KR20180003665A (ko) * 2016-06-30 2018-01-10 전자부품연구원 IoT 기반의 공장 통합 관리 장치에 의한 웹 서비스 방법
KR20180009563A (ko) * 2016-07-19 201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378B1 (ko) * 2021-05-21 2022-06-15 주식회사 샤인소프트 스마트 팩토리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3113074A1 (ko) * 2021-12-16 2023-06-2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디지털 트윈 서버와 장비의 opc ua 데이터 연동을 위한 iec 63278 기반 모델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477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2661A (zh) 一种三维虚拟实验培训系统
EP28040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emulation of an automation control system
US8694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simulation
CN108139744A (zh) 用于调试断开连接的过程控制回路的部分的设备参数的自动分发
CN108566323A (zh) 一种T-Box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US8589133B1 (en) Dynamic simulation of a system of interdependent systems
KR102253477B1 (ko) 스마트 공장의 c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실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E102007026502A1 (de) Trainingssystem für ein Automatisierungssystem zur Steuerung eines technischen Prozesses
US20160275219A1 (en) Simulating an industrial system
CN103425055A (zh) 一种半虚拟式的控制系统功能测试装置及方法
Konstantinov et al. Developing web-based digital twin of assembly lines for industrial cyber-physical systems
Kim et al. Simulation Framework for 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 Applying Concept of LVC Interoperation
Mak et al. Automated link-16 testing using the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and extensible markup language
Susarev et al. Training simulators development technique for oil and gas industry automation control systems
US2017022071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simulating a restbus control unit network
Himmler From virtual testing to hil testing-towards seamless testing
Mora-Salinas et al. Virtual labs: 5 ways to connect with Factory IO for mechatronics engineering courses
KR20170061732A (ko) 스카다 시스템 혹은 분산제어 시스템 적용을 위한 3d hmi 소프트웨어 자동화 개발도구 및 실시간 3d hmi 소프트웨어 실행의 방법
Anagnostopoulos et al. An industrial simulator utilizing a gaming platform
Villarroel et al.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for Bottle Sealing Process Virtualized on Unity 3D. Electronics 2023, 12, 2799
CN113965600B (zh) 基于物联网的实时建构的实验教学方法及系统
WO2019035735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е программно-лог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лера (плк) или микроконтроллера с помощью экспертной системы
WO2022139026A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협업 시스템.
Saint Germain et al. Benchmarking of manufacturing control systems in simulation
Ishii et al. A study on constructing a machine-maintenance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