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86A -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86A
KR20200067586A KR1020180154612A KR20180154612A KR20200067586A KR 20200067586 A KR20200067586 A KR 20200067586A KR 1020180154612 A KR1020180154612 A KR 1020180154612A KR 20180154612 A KR20180154612 A KR 20180154612A KR 20200067586 A KR20200067586 A KR 2020006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optical film
organic polymer
glare layer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585B1 (ko
Inventor
송인택
최광욱
이한나
장영래
서정현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5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5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탄소계 미립자, 및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과, 이를 포함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ELD), 또는 액정 표시 소자 (LCD)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침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광의 산란 또는 광학 간섭 등을 이용해 상의 비침이나 반사 등을 줄이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적층 필름이 형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 등에 있어서는 이전부터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이 일반적으로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방현층은 주로 바인더와, 이러한 바인더 내에 포함된 미립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미립자는 통상 바인더 표면에 일부가 돌출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바인더 표면에 돌출된 미립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가짐에 따라, 광 산란/광 반사 등을 제어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경우,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기 위해 유기 입자와 무기 나노 입자를 함께 사용하였으나, 무기 나노 입자는 바인더 및 용매에 대한 분산성이 낮아 무기 나노 입자끼리 응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유기 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면서 유기 입자의 응집을 유도하는데, 이러한 무기 나노 입자로 둘러싸인 유기 입자가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응집되는 경우, 표면 요철이 지나치게 크거나 많이 형성되는 요철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철 불량으로 인해, 오히려 방현층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광 산란/광 반사 등을 제어하는 방현 특성 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그 부위에서 상이 일그러져 상선명성도 저하가 생기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산성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며 높은 화면의 선명도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탄소계 미립자, 및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Meth)acrylate]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공)중합체는 공중합체(co-polymer) 및 단독 중합체(homo-polymer)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탄소계 미립자, 및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학 필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탄소계 미립자; 및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은,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산성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는 미세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방현층에 유기 입자와 무기 나노 입자를 함께 사용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무기 나노 입자로 둘러싸인 유기 입자가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응집되어, 표면 요철이 지나치게 크거나 많이 형성되는 요철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철 불량으로 인하여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광 산란/광 반사 등을 제어하는 방현 특성 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그 부위에서 상이 일그러져 상선명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에 포함된 방현층은, 무기 나노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탄소계 미립자 및 유기 고분자 미립자만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종래의 요철 불량과 같은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는 판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판상의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는 방현층의 표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특성이 나타난다. 또한,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와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과의 인력은,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 간의 인력보다 큰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는, 방현층의 표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된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을 중심으로 응집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응집은 상기 방현층 표면에 수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유기 미립자들이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응집되어 발생하는 요철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 불량을 방지함으로 인해 광학 필름의 방현성과 상선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에서, 상기 방현층의 표면과 상기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가 이루는 각(angle)은 0 내지 45°, 0 내지 30°, 또는 0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과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가 이루는 각이 0° 미만이거나 45°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응집이 방현층의 표면과 수평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표면에서 요철 불량 비율이 늘어나고, 방현 특성 및 상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은, 상기 방현층의 표면과 상기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가 만나는 한 점을 꼭지점이라 하고, 각각의 방현층의 표면 및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를 반직선이라 할 때, 상기 꼭지점과 2개의 반직선이 의해 이루어지는 예각을 의미한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응집으로 인해 표면에 미세 요철이 형성되므로,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는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에는 유기 고분자 미립자 전체가 포함되거나,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50부피%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에 포함되는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 전체 중 서로 응집하는 2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의 비율이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응집’은 상기 2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이 접하거나 또는 입자들의 부분들이 중첩되는 경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이 응집하는 경우,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로 이루어진 1개의 그룹에서 적어도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는 상기 방현층의 일면으로부터의 상이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현층의 두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응집하면서 존재하는 2개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의 비율을 5% 이하, 또는 4.5% 이하, 또는 4% 이하, 또는 3.5% 이하로 조절하여, 방현층 표면의 요철 형상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방현 특성 및 상선명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은 상기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로 이루어진 1개의 그룹에서 응집하거나 직접 접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의미한다.
상기 방현층의 일면에서부터 유기 고분자 미립자까지의 거리는 상기 방현층의 일면으로부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외부의 한점까지의 최소 거리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방현층의 일면에서부터 유기 고분자 미립자 표면까지의 최소 거리이다.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이 응집하였는지 여부 또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은 상기 방현층의 일면으로부터의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는 상기 광학 필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현예의 광학 필름에서, 상기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은 상기 방현층의 일면을 기준으로 두께 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위치에서 각각의 광학 현미경 상의 초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 상기 방현층의 일면을 기준으로 두께 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위치에 존재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상기 방현층의 두께 방향으로 초점을 이동하면서 관찰 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 각각이 확인되는 초점, 즉 개별 유기 고분자 미립자가 존재하는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은 상기 방현층의 일면으로부터의 상이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서로 응집하는 2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은 상기 방현층의 일면으로부터 0.1㎛ 이상, 0.2㎛ 이상, 0.5㎛ 이상, 1㎛ 이상, 또는 2㎛ 이상의 거리의 차이를 가지고 위치할 수 있다.
산기 탄소계 미립자는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래핀 유도체는 산화 그래핀(Graphene Oxide; GO), 환원된 산화 그래핀(Reduced Graphene Oxide; rG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방현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됨으로 인하여,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가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응집되어 발생되는 요철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방현 특성 및 상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미립자를 방현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탄소계 미립자의 표면을 특정 작용기로 표면 개질시키거나, 상기 방현층에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히드록실기, 아민기, 카르복실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표면 개질되어, 방현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현층에 플루오르계 분산제 및 실리콘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로 인하여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방현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응집되어 발생되는 요철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스리메톡시실란, 폴리에테르 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루오르계 분산제로서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3M FC4430, FC4432, FC4434, Dupont FS3100, TEGO GLIDE 410, TEGO 270 등이 있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분산제를 0.005 내지 10 중량부, 0.02 내지 5중량부, 또는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분산제를 0.0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방현층의 코팅성이 저하되고 탄소계 미립자의 뭉침이 발생할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응집되지 않아 방현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는, 이에 포함된 탄소와 산소의 중량비가 40:50 내지 10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핀은 탄소와 산소의 중량비가 100:0일 수 있고, 상기 그래핀 유도체에 포함되는 산화 그래핀은 탄소와 산소의 중량비가 40:50 내지 70:30일 수 있고, 상기 그래핀 유도체에 포함되는 환원된 산화 그래핀은 탄소와 산소의 중량비가 80:20 내지 90:1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의 탄소와 산소의 중량비가 40:50 미만이면 유기 고분자 미립자 간의 과도한 응집으로 인해 표면에서 요철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는 판상일 수 있으며,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판상의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상기 판상의 그래핀 또는 그래핀 유도체를 1종만 포함하는 단일층(Single Layer) 구조이거나, 상기 판상의 그래핀 및/또는 그래핀 유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다층(Multiple Layer)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 각각은 2nm 이하, 1nm 이하, 또는 0.5nm 이하의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단일층 또는 다층의 구조를 갖는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는 두께가 0.3 nm 내지 1㎛, 5nm 내지 500nm, 또는 1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상기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는 두께가 1㎛ 초과하면 상기 탄소계 미립자 자체가 방현층 표면의 요철을 형성하므로 요철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의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는 단면에서 최대 길이는 30 내지 2000nm, 50 내지 1000nm, 또는 100 내지 500nm일 수 있다. 상기 최대 길이가 30nm 미만이면 상기 판상의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가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표면을 둘러싸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과도한 응집이 발생하여 방현층 표면에서 요철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2000nm 초과하면 상기 판상의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를 중심으로 상기 방현층과 수평한 방향으로 과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의 두께 및 최대 길이는, 예를 들면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원심 침강법, FFF(Field Flow Fractionation)법, 세공(細孔) 전기 저항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 100중량부 대비 상기 탄소계 미립자의 함량은 0.01 내지 5중량부, 0.05 내지 2중량부 또는 0.1 내지 1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 100중량부 대비 상기 탄소계 미립자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유기 고분자 미립자만으로는 응집이 발생하지 않아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기 어려워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5중량부 초과하면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응집이 과도해져 방현층 표면이 거칠어져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에 포함된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 비닐계 올리고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기를 1 이상, 또는 2 이상, 또는 3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나, 또는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사이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덴드리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상기 비닐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비닐벤젠, 스티렌 또는 파라메틸스티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군;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탄소계 미립자를 0.0005 내지 1 중량부, 0.001 내지 0.5중량부, 또는 0.005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탄소계 미립자를 0.0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유기 고분자 미립자만으로는 응집이 발생하지 않아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기 어려워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응집이 과도해져 방현층 표면이 거칠어져 광학 특성이 저하되고,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의 고유 색으로 인해 투과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기재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 필름, 사이클로올레핀계(COP) 기재 필름 또는 아크릴(Acryl)계 기재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자 보호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재에 특별한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증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을 구비함으로 인해, 고경도, 고투명도, 및 고내찰상도를 구비하고, 박형화가 가능하면서도, 부착증진층과 기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신 공정에서 고분자 재배열 들의 이유로 부착성이 감소한 연신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필름(PET), 환상 올레핀 중합체 필름(COP), 폴리카보네이트 필름(PC), 폴리노보넨 계 필름(PNB), 및 아크릴 계 필름 등이 광투과성 기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의 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용제에 비해 덜 증발되며, 반응성이 좋아 광투과성 기재의 특성과 큰 관계없이 광투과성 기재 상에 침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재 침식으로 인하여 기재 침식 후 광투과성 기재와 부착증진층과의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접착제나 가교제 등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광투과성 기재의 특성에 상관없이 우수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광투과성 기재 침식 부분을 포함한 부착증진층 전체 두께의 약 20 내지 약 50%가 기재를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증진층에 의한 광투과성 기재 침식 두께가 상기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부착증진층이 우수한 부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광학 필름이 고경도, 고투명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상기 경화 수지 내에서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가 존재하고, 경화 후 상기 부착증진층과 광투과성 기재의 경계면 내에서 분자 간 수소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기재와의 부착성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는,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 또는 잔기 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OH기, -NH2기, -NHR기, -COOH기, -CONH2기, -NHOH기 등의 반응기, 또는 분자 내에 -NHCO-결합, -NH-결합, -CONHCO-결합, -NH-NH-결합 등의 잔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지 상에 포함된 부위라도 상호 간에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면 수소 결합성 부위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N 또는 O를 포함하는 반응기 또는 잔기가 다른 수지에 포함된 -OH기 또는 -NH2기 등과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면 상기 수소 결합성 부위로 볼 수 있다. 상기에서 R은 지방족 탄화 수소, 방향족 탄화 수소, 및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6 또는 탄소수 1 내지 9의 지방족 탄화수소, 탄소수 5 내지 30 또는 탄소수 5 내지 16의 방향족 탄화수소 및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N-치환(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N,N-치환(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과 같은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비닐 피롤리돈 또는 아크릴로일 모폴린과 같은 헤테로 고리 화합물, 2-우레이도-피리미디논기 함유 모노머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acrylate, THFA),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methacrylate THFMA),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acrylate, HEA),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carboxyethylacrylate), 카르복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carboxyethylmethacrylat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고리형 구조를 갖는 단관능 희석 모노머와 함께 직쇄형 구조 또는 분지쇄형 구조를 갖는 단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에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중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부착증진층이 더욱 우수한 부착성 및 내찰상성을 갖게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exandiol diacrylate, HDD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glycoldiacrylate, TPGDA),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glycoldiacrylate, EG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d triacrylate, TMPEOTA), 글리세린 프로폭실화 트리아크릴레이트(glycerol propoxylated triacrylate, GPTA),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TA),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수지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경화 수지일 경우,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전체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약 10 내지 약 150 중량부로 경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화 수지가 상기 범위로 경화되어 있을 때, 상기 광학 필름이 물리적, 광학적 특성의 저하 없이 충분한 가요성 및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부착증진층과 방현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광학 필름의 경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층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헤이즈 값이 높을수록 외부광의 확산 정도가 커져 방현 효과가 탁월한 반면, 표면에서의 빛의 산란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 현상과 내부 산란에 의한 백화 현상으로 명암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구현예의 광학 필름은 헤이즈를 1 내지 20%로 제어하여, 방현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명암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포함하여 상술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작용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요오드를 흡수한 PVA(poly vinyl alcohol)를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PVA 필름을 수용액에 담가 팽윤(swelling)시키는 팽윤하는 단계, 상기 팽윤된 PVA 필름에 편광성을 부여하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PVA 필름을 연신(stretch)하여 상기 이색성 염료 물질을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연신 단계, 및 상기 연신 단계를 거친 PVA 필름의 색을 보정하는 보색 단계를 거쳐 편광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양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만 부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와 같이 편광자 보호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용의 보호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의 우수한 광학 특성으로 인하여, 상술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침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발광 다이오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장치일 수 있다.
하나의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편광판; 상기 1쌍의 편광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박막트랜지스터, 컬러필터 및 액정셀;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광학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관측자측 또는 백라이트측의 최외각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1쌍의 편광판 중에서 상대적으로 백라이트 유닛과 거리가 먼 편광판의 일면에 광학 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패널과 접하는 반대측 면에 구비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산성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광학 필름,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한 편광판, 및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하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g)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 제조예1 비교 제조예2 비교 제조예3
PE3A 25 25 25 25 25 25 25
IRG 184 0.8 0.8 0.8 0.8 0.8 0.8 0.8
D 1173 0.8 0.8 0.8 0.8 0.8 0.8 0.8
2-부탄올 35 35 35 35 35 35 35
에탄올 35 35 35 35 35 35 35
유기 고분자 미립자 1.5 1.5 1.5 1.5 1.5 1.5 -
MAST - - - - - 0.5 -
산화 그래핀 0.006 - 0.003 0.012 - - 0.003
환원된 산환 그래핀 - 0.006 - - - - -
- PE3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 IRG 184: 개시제, Ciba사
- D 1173: 개시제, Ciba사
- 유기 고분자 미립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 굴절률(n)= 1.555, 직경 1.8 ㎛
- MAST: 실리카 나노 필러, 직경 10-15 nm, 30% in 메탄올,
- 산화 그래핀: 판상, 두께 30nm
- 환원된 산화 그래핀: 판상, 두께 30nm
< 실시예 비교예 : 광학 필름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께 6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기재 필름 위에, 상기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서 각각 제조된 조성물을 바(Bar) 코팅 방식으로 방현층의 건조 후 두께가 4~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후, 9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수은 램프로 2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방현층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광학필름 평가>
상기 제조된 광학필름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헤이즈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으로부터 4cm × 4cm의 시편을 준비하고 헤이즈 측정기(HM-150, A 광원, 무라카미社)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를 전체 헤이즈 값으로 산출하였다. 헤이즈는 JIS K 7136 규격에 의해 측정하였다.
2. 요철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으로부터 50cm * 50cm (가로*세로)의 면적으로 자른 샘플을, 조도 700lux의 LED 조명하에 검정색 무광 종이 위에 내려놓았다.
그리고, 상기 샘플 표면을 기준으로 빛이 70°로 입사되도록 샘플을 배치한 후, 빛이 반사되는 쪽에서 주변부보다 반짝임이 강한 미세 요철을 관찰하였다. 이때, 미세 요철로 확인되는 부분은 지름 5mm의 원으로 표시하고, 미세 요철의 개수를 세어 다음 식에 따라 요철 개수와 요철 영역 비율을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요철 개수는 하기 [일반식1]로 계산하고, 요철 특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요철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로 표시하였다.
[일반식1]
요철 개수(개/㎡): 50 cm * 50 cm (가로* 세로)의 면적에서 측정된 요철 개수*4
<평가 기준>
양호: 요철 개수 1개 이상 50개/m2 미만
불량: 요철 개수 0개 또는 50개/m2 이상
또한, 상기 미세 요철이 방현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면적(영역) 비율을 하기 [일반식 2]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 [일반식 2]에서 “5mm의 지름을 갖는 원”은 상기 미세 요철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한다.
[일반식2]
방현층의 일면 중 미세 요철이 위치하는 영역의 비율(요철 = (미세 요철의 개수 * 5 mm의 지름을 갖는 원의 면적) / 방현층의 일면의 면적 (㎟)
3. 방현층에서 응집하는 유기 고분자 미립자의 비율 확인(응집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하여 광학현미경(Olympus사 BX51 광학현미경)으로 투과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로 응집하는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필름은 방현층이 대물렌즈 쪽을 향하도록 놓고, 대안렌즈 10배, 대물렌즈 10배 혹은 20배로 설정하여 투과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상기 방현층의 일면을 기준으로 두께 방향에 대하여 약 0.5㎛ 이상의 거리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이 서로 응집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겹쳐진 입자부위를 관찰할 경우, 아래쪽에 위치한 입자의 단면에 초점을 맞추고, 위쪽에 위치한 입자의 겹쳐짐을 확인하였다. 이때 위쪽의 입자가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았다면 두 입자가 중첩되는 부분이 확인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두 입자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었다면, 초점이 맞는 아래쪽의 입자가 선명한 구형으로 보이지 않고, 위쪽입자에 의해 일부가 가려진 형태로 관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첩된 입자의 개수를 확인한 후, 동일 측정면에 있는 전체입자의 개수로 나누어 중첩된 입자의 비율(입자 응집율(%))을 계산하고, 응집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입자 응집율을 "-"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양호: 입자 응집율이 2 내지 5%
응집 불량: 입자 응집율이 2% 미만
요철 불량: 입자 응집율이 5% 초과
4. 방현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을 형광등 아래에서 비추었을 때 램프의 눈부심 방지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양호: 램프 눈부심 방지 효과가 있음
불량: 램프 상이 또렷하게 맺힘
5. 광택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가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뒷면에 암색처리 하여, 60o 을 의 반사율을 micro-TRI-gloss meter (BYK Gardner 사)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6. 연필경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해 연필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표준 JIS K5400에 따라 500g의 하중으로 5회 왕복한 후 흠집이 없는 연필 경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조성물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비교 제조예1 비교 제조예2 비교 제조예3
헤이즈 4.0 4.1 4.3 4.0 2.1 3.8 0.2
요철 개수 (개/m2) 44 40 36 48 0 500 0
요철 특성 평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 불량 -
요철 영역 비율 <0.1 <0.1 <0.1 <0.1 0 2 0
입자 응집율(%) 3.8 4.0 2.5 4.5 0 9.2 0
응집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응집 불량 요철 불량 응집 불량
방현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광택도(60°) 79 80 83 74 90 64 91
연필경도 3H 3H 3H 3H 3H 3H 3H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4의 광학 필름이, 비교예 1 내지 5의 광학 필름에 비해, 요철 특성, 응집성 및 방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했다.
한편, 비교예 1은 방현층에 유기 고분자 미립자만을 포함하므로 유기 고분자 미립자만으로는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방현성이 불량으로 나타나고 광택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비교예 2는 유기 고분자 미립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포함하므로, 방현층의 두께방향으로 입자가 과도하게 응집되어 요철 특성이 불량하고, 이로 인해 방현성이 불량으로 나타나고 광택도 또한 지나치게 낮다는 점을 확인했다. 한편, 비교예 3은 산화 그래핀만을 포함하여 요철이 형성되지 않아 방현성 불량으로 나타나고, 광택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확인했다.

Claims (16)

  1.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 그래핀 및 그래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탄소계 미립자, 및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유도체는 산화 그래핀(Graphene Oxide; GO), 환원된 산화 그래핀(Reduced Graphene Oxide; rG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탄소계 미립자의 함량은 0.01 내지 5 중량부인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히드록실기, 아민기, 카르복실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표면 개질된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미립자는 판상인 광학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는 두께가 0.3 nm 내지 1㎛인 광학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표면과 상기 판상의 탄소계 미립자가 이루는 각(angle)은 0 내지 45℃인 광학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 비닐계 올리고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플루오르계 분산제 및 실리콘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표면에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한 요철이 형성되는 광학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미립자 전체 중 서로 응집하는 2 이상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들의 비율이 5% 이하인 광학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증진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14. 제1항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포함하는 편광판.
  16. 제1항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54612A 2018-12-04 2018-12-04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12A KR102520585B1 (ko) 2018-12-04 2018-12-04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12A KR102520585B1 (ko) 2018-12-04 2018-12-04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86A true KR20200067586A (ko) 2020-06-12
KR102520585B1 KR102520585B1 (ko) 2023-04-10

Family

ID=7108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612A KR102520585B1 (ko) 2018-12-04 2018-12-04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156A (ko) * 2021-10-18 2023-04-25 티에스엠카본 주식회사 차광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0825A1 (en) * 2010-02-17 2011-08-18 Baker Hughes Incorporated Nano-coatings for articles
KR20150081563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0264A (ko) * 2014-04-17 2015-10-2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50629B1 (ko) * 2015-12-15 2017-06-26 희성전자 주식회사 방현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0825A1 (en) * 2010-02-17 2011-08-18 Baker Hughes Incorporated Nano-coatings for articles
KR20150081563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0264A (ko) * 2014-04-17 2015-10-2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50629B1 (ko) * 2015-12-15 2017-06-26 희성전자 주식회사 방현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156A (ko) * 2021-10-18 2023-04-25 티에스엠카본 주식회사 차광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585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7184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前記偏光板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5888864B2 (ja)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並びに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14119487A1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6218478A (ja)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2010085760A (ja)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53729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7134549B2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20585B1 (ko)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I765177B (zh) 防眩膜、偏光板及顯示裝置
KR102294399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210112651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4287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5205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8170A (ko)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341590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JP6009013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30087678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KR20210131697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0990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2701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0989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3631962A (zh) 防眩膜、偏光板和显示装置
KR20200057143A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