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090A -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090A
KR20200067090A KR1020190152205A KR20190152205A KR20200067090A KR 20200067090 A KR20200067090 A KR 20200067090A KR 1020190152205 A KR1020190152205 A KR 1020190152205A KR 20190152205 A KR20190152205 A KR 20190152205A KR 20200067090 A KR20200067090 A KR 2020006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oadside base
transmission power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206B1 (ko
Inventor
배정규
양은주
서대화
Original Assignee
(주)세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스트 filed Critical (주)세스트
Publication of KR2020006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mobil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및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TRANSMISSION POWER OF ROAD SIDE UNI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자동차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교통정보의 수집과 분배에 관련된 분야는 지능형 교통시스템 중에서도 가장 핵심 분야가 되고 있다. 이때, 교통정보에는 특정 도로 구간의 지체와 정체 현황, 사고현황, 통행량, 통행속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교통 정보의 수집과 분배를 위해서는 자동차와 인프라스트럭쳐 간의 통신인 V2I(Vehicle to Infrasturcture)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인프라스트럭쳐에서 자동차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V2I 방식에서는, 자동차가 무선 통신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쳐에 접속되고, 따라서 상기 자동차에 있는 단말기와 서버간의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V2I 방식에서는 자동차와 도로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간의 무선 통신이 지원된다. 여기서, 상기 AP는 일 예로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RSU)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V2I 방식은 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자동차 관제 서비스, 뱅킹 서비스 등과 같은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서비스를 자동차에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와 노변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해서, 노변 기지국은 자동차에 있는 단말기와의 고속 및 고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많은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노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제어하고 있다.
도 1은 자동차와 노변 기지국 간의 통신에 있어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에 따른 셀 커버리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노변 기지국(111, 112)의 송신 전력이 고전력일 때, 셀 커버리지가 중첩되어 자동차(121)가 메시지를 중복 수신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노변 기지국(111, 112)의 송신 전력이 큰 송신 전력으로 전송할 경우 셀 커버리지는 커지나 많은 전력이 소모되고, 중첩되는 커버리지에서는 자동차(121)에서의 통신 트래픽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노변 기지국(131, 132)의 송신 전력이 저전력일 때, 셀 커버리지가 작아 자동차(122)가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노변 기지국(131, 132)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전송할 경우 전력 소모는 줄어들지만 셀 커버리지가 작아지고, 무선 통신 특성 상 채널 환경의 영향으로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Cell Edge User)은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노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불필요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여 리소스를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노변 기지국의 적절한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최적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및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와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비율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는 상호 간의 위치 정보의 교환을 통해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중간 지점보다 가까운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이고, 상기 고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중간 지점보다 먼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다른 노변 기지국들 간의 위치 정보 교환을 통해 노변 기지국들 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 값보다 큰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를 소정 단위시간 동안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카운팅된 결과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변 기지국; 및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후, 현재 위치와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노변 기지국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차량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는 두 노변 기지국간의 거리(D)의 60%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는, 노변기지국의 위치정보(LRSU) 및 상기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가 0.5D(D는 노변 기지국간 거리)보다 큰 경우에만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해당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 전력부는, 카운팅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가 기 설정값(Nthreshold)보다 큰 경우에만 송신전력을 한 단계 저전력으로 하여 단말로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노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불필요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여 리소스를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와 노변 기지국 간의 통신에 있어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에 따른 셀 커버리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서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서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서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210)와 자동차(220)간의 통신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210)는, 송신부(211), 수신부(212), 거리 계산부(213) 및 송신 전력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노변 기지국(210)은 자동차(220)에 위치한 단말기(221)와의 통신 처리를 통해 예컨대, 특정 도로 구간의 지정체 현황, 사고 현황, 통행량, 통행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교통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자동차(2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부(211)는 주행 중인 자동차(220)의 단말(221)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221)은 자동차에 탑재된 단말기(OBU: On Board Unit) 또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단말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지만, 자동차 안에는 단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12)는 주행 중인 자동차(220)의 단말(221)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212)는 위치 정보 뿐 아니라, 교통 정보의 수집에 필요한 다른 정보, 예를 들면, 자동차(220)의 속도 정보, 목적지 정보 등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노변 기지국(210)과 단말(221) 간의 통신 처리는, 근거리 전용 통신 대역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주파수 등 기타 다양한 차세대 주파수 대역 또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계산부(213)는 단말(221)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221)과 상기 노변 기지국(210)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노변 기지국(210)의 위치 정보와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해서 상기 단말(221)과 상기 노변 기지국(210)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부(214)는 단말(221)과 상기 노변 기지국(210)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송신부(211)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부(214)는 수신부(212)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신부(211)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송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 송신부(211)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저전력 송신 전력과 고전력 송신 전력을 나누는 기준은 복수 개의 노변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간의 중첩 여부를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부(214)는 상기 단말(221)과 상기 노변 기지국(210)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211)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단말(221)과 상기 노변 기지국(210)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부(211)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단말(221)과 상기 노변 기지국(210) 간의 거리와 상기 노변 기지국(210)과 상기 단말(221)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 기지국(미도시) 간의 거리의 비율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노변 기지국(210)과 다른 노변 기지국(미도시) 간의 거리는 미리 측정되거나, 노변 기지국들 간의 위치 정보 교환을 통해 노변 기지국들 간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부(214)에서의 저전력 송신 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210)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미도시) 간의 거리의 중간 지점보다 가까운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이고, 고전력 송신 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210)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미도시) 간의 거리의 중간 지점보다 먼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송신 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210)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미도시) 간의 거리의 40%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이고, 고전력 송신 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210)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미도시) 간의 거리의 60%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이 될 수 있다. 이때, 셀 커버리지는 통신 메시지의 성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서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의 제1 노변 기지국(311) 및 제2 노변 기지국(312)은 저전력으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요청 메시지의 송신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제1 노변 기지국(311) 및 제2 노변 기지국(312)은 자동차(351)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계속해서 저전력으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노변 기지국(321)에서 자동차(35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35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1 노변 기지국(321)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자동차(352)와 제1 노변 기지국(321)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352)와 제1 노변 기지국(321)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노변 기지국(322)의 경우에는 셀 커버리지 안에 자동차(352)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352)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계속해서 저전력으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자동차(353)가 제1 노변 기지국(331)에서 점점 멀어지고, 제2 노변 기지국(332)에서 자동차(353)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353)가 제1 노변 기지국(331)에서 점점 멀어지는 동안,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1 노변 기지국(331)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자동차(353)와 제1 노변 기지국(331)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352)와 제1 노변 기지국(321)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초과인 경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353)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노변 기지국(332)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자동차(353)와 제2 노변 기지국(332)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353)와 제2 노변 기지국(332)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들의 단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노변 기지국에 위치 정보를 회신하는 자동차가 없을 때에는 저전력으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S430)로 갈 수 있다.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S410)으로 가서 계속해서 저전력으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S44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기준 값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기준 값 이하인 경우, 단계(S450)로 갈 수 있고,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S410)로 갈 수 있다.
단계(S45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들의 단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고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때,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노변 기지국과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는 미리 측정되거나, 노변 기지국들 간의 위치 정보 교환을 통해 노변 기지국들 간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서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의 제1 노변 기지국(511) 및 제2 노변 기지국(512)은 고전력으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요청 메시지의 송신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5(a)의 경우, 자동차(550)가 제1 노변 기지국(511)의 셀 커버리지에 진입하여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노변 기지국(511)에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노변 기지국(512)은 자동차(550)가 셀 커버리지 안에 없기 때문에, 자동차(5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고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자동차(550)는 제1 노변 기지국(521) 및 제2 노변 기지국(522)의 셀 커버리지에 모두 포함된다. 제1 노변 기지국(521) 및 제2 노변 기지국(522)은 셀 커버리지가 겹치는 부분이 너무 많기 때문에 리소스의 낭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 자동차(55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1 노변 기지국(521)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자동차(550)와 제1 노변 기지국(521)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550)와 제1 노변 기지국(521)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값은 자동차(550)와 제1 노변 기지국(521)간의 거리가 제1 노변 기지국(521)과 제2 노변 기지국(522) 간의 거리의 60% 지점을 말할 수 있다. 또, 자동차(550)와 제1 노변 기지국(521)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다운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자동차(550)와 제1 노변 기지국(521) 간의 거리가 충분히 먼 지점임에도 불구하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송신 전력을 줄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2 노변 기지국(522)의 경우에는 셀 커버리지 안에 자동차(550)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5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계속해서 고전력으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송신 전력이 최적화된 제1 노변 기지국(531)과 제2 노변 기지국(532)을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550)가 제1 노변 기지국(531)과 제2 노변 기지국(532)을 지나갈 때,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이 자동차 간의 거리 측정을 기반으로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셀 커버리지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들의 단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노변 기지국에 위치 정보를 회신하는 자동차의 단말이 없을 때에는 고전력으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S630)으로 갈 수 있다.
단계(S63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는 요청 메시지의 송신이 과도하게 세게 출력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노변 기지국과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와 비슷할 경우, 노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가 과도하게 넓어, 송신 전력을 줄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단계(S64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단계(S650)로 갈 수 있고,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단계(S660)로 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값은 자동차의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노변 기지국과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60% 지점을 말할 수 있다.
단계(S65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들의 단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다운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단계(S660)에서,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들의 단말에게 최적화된 송신 전력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다시 단계(S620)으로 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때,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노변 기지국과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는 미리 측정되거나, 노변 기지국들 간의 위치 정보 교환을 통해 노변 기지국들 간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봐와 같이, 본 발명은 셀 커버리지의 중첩으로 인해 통신 트래픽의 증가나 리소스가 낭비되는 문제, 또한 자동차들의 단말이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하는 방안들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계속해서 살펴본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서 단말과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실시 예는, 자동차의 현재 위치정보(Dcurrent)가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정보(Dexpect)보다 큰 경우 차량 단말이 전송하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N)에 이용하여 송신전력을 조절하는 실시 예이다.
이러한 제3 실시 예는, 노변 기지국과 자동차 간의 무선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을 이용하여 두 노변 기지국 간의 설정거리(Dexpect, 즉 통신반경)를 두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D)의 60%로 설정한다. 즉, 설정 거리(Dexpect)은 0.6×D이고, 여기서 D는 노변기지국 간 거리이다.
노변 기지국(700)은, 송신부(701), 수신부(702), 카운팅부(703) 및 송신 전력 제어부(7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701)는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810)에 차량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에는 해당 노변기지국의 위치정보(LRSU) 및 상기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가 포함된다.
상기 수신부(702)는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810)이 전송하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에는 위치 정보뿐 아니라, 교통 정보의 수집에 필요한 다른 정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속도 정보, 목적지 정보 등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카운팅부(703)는 단말(810)이 전송하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수신하고, 소정 단위 시간동안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가 상기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보다 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의 개수(N)를 카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는 단말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704)는 상기 카운팅부(703)가 카운팅한 개수와 기 설정값(Nthreshold)을 비교하고, 설정 값보다 크면 송신전력을 한 단계 낮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값(Nthreshold)은 노변 기지국에서 송신전력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값을 말하고, 이는 변경가능하다.
한편, 자동차의 단말(810)에는 거리 계산부(811) 및 제어부(812)가 구비된다.
상기 거리 계산부(811)는 자동차의 현재 위치와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를 계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미리 정해진 노변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는 실질적으로 노변 기지국에서 떨어진 자동차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812)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노변 기지국(700)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즉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가 0.5D 이하이면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는 전송하지 않지만, 0.5D 보다 큰 경우에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최대 송신전력으로 하여 노변 기지국(7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메시지의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트래픽 발생 및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비교값으로 제시되는 0.5D 값은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 경우 두 노변 기지국 간의 설정거리(Dexpect, 즉 통신반경)도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이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과 같이 노변 기지국(700, 710)들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송수신(①)하여 서로간의 거리를 계산한 다음 최종적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거리(Dexpect)을 두 노변 기지국간의 거리(D)의 60%로 설정한다(S710).
상기 설정거리가 셋팅된 상태에서, 노변 기지국(710)은 운행중인 불특정 다수의 자동차(800a, 800b)의 단말(810)로 자신의 위치정보(LRSU) 및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가 포함된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②). 즉 도 8을 보면 노변 기지국(700)은 자동차(800a, 800b)로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다(S712).
자동차(800a, 800b)의 각 단말(810)은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받게 되면, 도 8의 ③과 같이 거리 계산부(811)가 자신의 현재 위치와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를 계산한다(S714). 그리고 이러한 계산결과는 단말(810)의 제어부(812)로 실시간 전달되며, 제어부(812)는 상기 노변 기지국(700)과의 거리(Dcurrent)와 두 노변 기지국간의 거리의 50%로 설정된 값(0.5D)과 비교한다(S716).
제어부(812)는 상기 노변 기지국(700)과의 거리(Dcurrent)와 0.5D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0.5D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Dcurrent≤ 0.5 D), 자신의 위치정보를 노변 기지국(700)에 전송하지 않는다(S717). 이처럼 비교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한 문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가 0.5D보다 큰 경우(Dcurrent 〉 0.5 D), 제어부(812)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노변 기지국(700)으로 전송하며, 이때 제어부(812)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으로 전송한다(S718).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자동차 800a는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고 자동차 800b만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송신(④)하게 되는 것이다.
노변 기지국(700)은 자동차로부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노변 기지국(700)의 카운팅부(703)는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예를 들어, 10분, 30분, 1시간 등)동안 상기 노변 기지국간의 거리(Dcurrent) 값이 상기 설정한 통신반경(Dexpect)보다 큰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N)를 카운팅한다(S720).
그리고 송신전력 제어부(704)는 카운팅 정보를 모니터링하면서, 단위 시간당 수신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N)가 기 설정값(Nthreshold)보다 큰 경우에만(S722), 송신전력을 한 단계 줄여서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다시 차량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724).
이처럼 제3 실시 예는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송신하는 송신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서버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서버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프로세서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송신 전력 제어 장치
211: 송신부
212: 수신부
213: 거리 계산부
214: 송신 전력 제어부

Claims (15)

  1.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및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와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비율을 기초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는 상호 간의 위치 정보의 교환을 통해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중간 지점보다 가까운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이고,
    상기 고전력은,
    상기 노변 기지국과 상기 다른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의 중간 지점보다 먼 지점을 셀 커버리지로 하는 송신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7.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다른 노변 기지국들 간의 위치 정보 교환을 통해 노변 기지국들 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저전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노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고전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1. 주행 중인 자동차의 단말에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 값보다 큰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를 소정 단위시간 동안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카운팅된 결과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변 기지국; 및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후, 현재 위치와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노변 기지국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차량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는 두 노변 기지국간의 거리(D)의 60%로 설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는,
    노변기지국의 위치정보(LRSU) 및 상기 두 노변 기지국간의 설정거리(Dexpect) 값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변 기지국과의 거리(Dcurrent)가 0.5D(D는 노변 기지국간 거리)보다 큰 경우에만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를 해당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부는,
    카운팅된 위치정보 보고메시지의 개수가 기 설정값(Nthreshold)보다 큰 경우에만 송신전력을 한 단계 감소된 저전력으로 조정한후 단말로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송신 전력 제어장치.
KR1020190152205A 2018-12-03 2019-11-25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69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51 2018-12-03
KR20180153651 2018-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90A true KR20200067090A (ko) 2020-06-11
KR102269206B1 KR102269206B1 (ko) 2021-06-28

Family

ID=7107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05A KR102269206B1 (ko) 2018-12-03 2019-11-25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89B1 (ko) 2020-09-23 2021-11-23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로드 사이드 유닛의 이상 감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089A (ko) * 1999-12-24 2001-07-09 소영식 지상형 위치 추적 방법
KR20170143432A (ko) * 2016-06-21 2017-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44992A (ko) * 2015-09-07 2018-05-03 지티이 코포레이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089A (ko) * 1999-12-24 2001-07-09 소영식 지상형 위치 추적 방법
KR20180044992A (ko) * 2015-09-07 2018-05-03 지티이 코포레이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143432A (ko) * 2016-06-21 2017-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206B1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885A1 (en) Method for predicting channel load
Le et al. Comprehensive survey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schemes for 5G V2X communications
Schotten et al. Availability indication as key enabler for ultra-reliable communication in 5G
KR102107677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플렉서블한 전송 슬롯 할당 방법 및 장치
CN113261386B (zh) 侧链路逻辑信道和资源配置
US11600172B2 (en) Internet of vehicles message exchange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WO201815863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s for travelling route determination
KR20090080386A (ko)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인지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EP37678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transmission parameters
CN111971999B (zh) 针对无线环境中的接收受限用户设备的支持
US20170331686A1 (en) Internet of vehicles, base station, and dynamic resource managing method thereof
CN114982355A (zh) 用于侧链路通信的方法和设备
Maaloul et al. Classification of C-ITS services in vehicular environments
EP3804429A1 (en)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CN103945244A (zh) 控制视频业务传输的方法和装置
US11145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actuated traffic control
Xu et al. Intelligent link adaptation in 802.11 vehicular networks: Challenges and solutions
KR102269206B1 (ko) 노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039286B2 (en) V2V interaction/V2IOT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705834B1 (ko) 모국 노변 기지국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204206A1 (zh) 资源确定方法和设备
WO2018040047A1 (zh) 分配传输功率的方法、装置以及终端
US20230224983A1 (en) Broadcast-based unicast session method and apparatus
Chen et al. Multi-dimensional resource allocation for diverse safety message transmissions in vehicular networks
CN111132298A (zh) 一种功率分配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