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821A - retractable door handle - Google Patents

retractable door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821A
KR20200066821A KR1020180153415A KR20180153415A KR20200066821A KR 20200066821 A KR20200066821 A KR 20200066821A KR 1020180153415 A KR1020180153415 A KR 1020180153415A KR 20180153415 A KR20180153415 A KR 20180153415A KR 20200066821 A KR20200066821 A KR 2020006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op
extension
uni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3038B1 (en
Inventor
박병학
정광욱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5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38B1/en
Publication of KR2020006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6Defrosting, e.g.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Weather or dir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retractable door handle, which is to be used even in a freez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The retract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or case unit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 front surface portio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grip unit including a grip body provided to be formed with an outer surface profile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unit when be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selectively popped up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extension body integrally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unit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grip body; a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generating heat to pop up the grip unit in a freezing environment; an extension driving unit including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unit and an extension rod unit selectively extending by being connected to an end of the actuator; a link unit connected to the extension driving unit, and mediating pop-up of the grip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freezing of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driving heating of the heating unit; and a latch unit connected to the link unit,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door locking device by selectively locking and rotating a wire for providing tensile force when being pulled by the grip unit of a popped-up stat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unit.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retractable door handle}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door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ractable door handle which is provided to be used even in an icing environment to improve usability.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by a plurality of doors.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on the outside so that the occupant grips the door hand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ere, since the door handle provided for the occupant to grip on the door of the vehicle is installed in a form protruding to the outside, wind noise is generated due to wind, which increases noise and degrades driving performance due to air resistance when driving the vehicl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on a door handle for a vehicle that can minimize wind interference or wind noise while driving by selectively inserting a door handle that protrudes outside the door of the car into the inside of the door. That is true.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pop up and insert into a recessed space formed by opening one surface on one side of the door. Here, when the door handle is inserted into the door, the door handle and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door may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handle pops up from the recessed space of the door, the user can pull the door handle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At this time, in order to release the latch of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oor, th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to be hinged and pullable.

그러나, 한랭지 또는 기온이 급격히 하강됨에 따라 도어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지 않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없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freezing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door as the cold region or the temperature rapidly decreases, the user may not be able to board the vehicle because the door handle does not pop up from the recessed space of the door. there was.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378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ractable door handle that is provided to be used even in an ic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신장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매개하는 링크부;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door case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grip body is provided to be formed with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and the grip body selectively pops up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door cas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grip body.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body integrally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ortion; A he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heating to pop up the grip portion in an freezing environment; An extension driving unit including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unit and an extension rod unit selectively connected to and extended from the actuator; A link unit connected to the extension driving unit and mediating a pop-up of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 control unit that detects freezing of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drives the heating of the heating unit; And a retractor connected to the link unit, the latch unit being provided so that the wire providing the tensile force when the grip unit in the popped state is pulled outwards is selectively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ing device. Provides a door handle.

한편,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door case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rovided to be formed with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and the grip body selectively pops up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from both ends of the grip body. A grip portion including a pair of elongated bodies extending integrally in a direction; An extension driving unit including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unit and an extension rod unit selectively connected to and extended from the actuator; It includes an extension link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 pair of pop-up links linking both ends of the extension link and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pop-up of the grip portion when the extension link is moved back and forth. Link section; And a retractor connected to the link unit, the latch unit being provided so that the wire providing the tensile force when the grip unit in the popped state is pulled outwards is selectively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ing device. Provides a door handl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그립부의 그립몸체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발열부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가 수용공간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rst, the grip portion pops up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receiving space as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is thawed even in an extreme freezing environment through a heating portion that detects whether or not ice on the grip body surface of the grip portion is generated and heats when ice occurs. As it is possible, the us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둘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엑츄에이터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자동 신축되는 신장로드부의 상태에 대응되어 가이드 이동되는 링크부의 의해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as the actuator is electrically controlled when the smart key is approached by the proximity sensor, the grip portion is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y the link portion gu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ate of the extension rod portion that is automatically stretched. And operational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그립부의 각 연장몸체에 링크연결된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팝업링크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장링크에 의해 링크 형상이 평행사변형 형상에서 사각형 형상으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므로 내구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ird, as the link shape is reliably switched from the parallelogram shape to the square shape by the pair of pop-up links linked to each extension body of the grip portion and the extension link that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p-up links, the grip portion Since is popped up, durability and operational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넷째, 액츄에이터 및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와 링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상기 그립부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is maintai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grip part selectively pops up by the extension driving part and the link part including the actuator and the extension rod part, unintentional automatic release of the locking device is prevented and used. Safe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다섯째, 상기 그립부가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그립부 및 도어케이스부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Fifth, when the gr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ind noise caused by wind is prevented and noise is reduced as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door case portion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 및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발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나타낸 블록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 portion and the heating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eating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A'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nd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op.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 및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발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 portion and a heating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eating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A' portion of Figure 5;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9 and 10 is a state of use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tional view of the view from the top. And,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도어케이스부(210), 그립부(220), 신장구동부(230), 링크부(240), 가이드부(250), 래치부(260), 제어부(270), 그리고 발열부(28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1 to 11,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case part 210, a grip part 220, an extension driving part 230, and a link part 24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uide unit 250, a latch unit 260, a control unit 270, and a heating unit 28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는 차량의 도어마다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2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케이스부(210)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ase part 21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door device that is provided for each door of a vehicle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such a door case part 210 is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evic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general door device as well as a door device of a vehicle.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door case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220), 상기 신장구동부(230), 상기 링크부(240), 상기 가이드부(250)가 수용되도록 전면부에 개구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n opening 213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case 210 to accommodate the grip portion 220, the extension drive portion 230, the link portion 240, and the guide portion 250 is accommod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s formed and is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는 상기 수용공간(2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11)은 상기 그립부(220)의 폭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개구부(213)측 테두리가 상기 그립부(2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2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의 상기 그립부(220), 상기 신장구동부(230), 상기 링크부(240), 상기 가이드부(250), 상기 래치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door case part 210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s formed.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s preferably formed to exceed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20, the edge of the opening 213 side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is fin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20 They can be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grip portion 220, the extension drive portion 230, the link portion 240,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formed in the door case portion 210 The guide part 250 and the latch part 260 may be disposed.

그리고,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하면부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해제를 위한 장공(2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공(214)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타측 하면부에 원호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long hole 214 for unlocking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210. Here, the long hole 214 may be formed through a circular arc shape on the other low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In this case, the elongation driving unit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unit 210.

또한, 상기 도어케이스부(21)의 하부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권취되도록 하향 연장 돌설되는 권취돌설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In addition, a winding protrusion 215 that extends downwardly so that the wire (w) providing a tensile force is wound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opened may be formed under the door case part 21.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그립부(220)는 그립몸체(221)와, 상기 그립몸체(2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2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220)는 "ㅁ"자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T", "ㄷ", "ㄱ" 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220)가 "ㅁ"자 형상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grip part 220 preferably includes a grip body 221 and an extension body 224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body 22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220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a “W” shape, but may be provided in a “T”, “C”, “A” shap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grip portion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a “ㅁ” shape.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21)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시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몸체(2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ip body 221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door and the door case part 210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at is, the grip body 2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vehicle is turned off,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door case part 210.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formed.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221)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개구부(213)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ip body 221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height and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is such that the opened on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door. It is preferably formed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213 of the case 210.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ehicle is driven, when the grip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wind noise caused by wind is prevented and noise inside the vehicle is prevented as the outer profile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It is reduced and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air flow.

또한,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에 상기 발열부(280)의 열전도시트(284)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recessed space may b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so that the heat conductive sheet 284 of the heating part 28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and the recessed space is formed. A cover part for covering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21)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부(220)는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인출됨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grip part 220 including the grip body 221 is popped up through the opening 213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This is preferred. At this time, the pop-up means that the grip portion 220 is slided out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and withdrawn.

한편,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220)가 "ㅁ"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body 224 is preferably extended at least one integrally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grip body 221. Here,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ip portion 220 is provided in a “ㅁ” shape, the extended body 224 is provided from the both ends of the grip body 221 to the door case portion 210. Each may extend integrally in the inner direction.

상세히,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제1연장몸체(224a) 및 제2연장몸체(224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20)는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각 내측단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이음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extension body 224 includes a first extension body 224a and a second extension body 224b, which extend integrally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grip body 221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210, respectively. It is preferred to include. In addition, the grip part 220 may include a joint part 225 at which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ner ends of the first extended body 224a and the second extended body 224b.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부(220)가 "T", "ㄷ", "ㄱ" 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2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장몸체(224)가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extended body 224 may include the door case portion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grip body 221 such that the grip portion 220 is formed in a "T", "c", "a" shape, etc. It may extend integrally in the inner direction of (210). In the following,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elongated body 224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the case of being formed in a "ㅁ" shape.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21)의 내측 및 각 상기 연장몸체(224)의 사이 및 상기 이음부(225)의 외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그립몸체(2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In addition, a grip space in which a user's finger is inser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grip body 221 and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224 and outside the joint 225. Accordingly, when the user puts a finger in the grip space and presses the grip body 221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a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may be opene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각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224)가 상기 그립몸체(2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221) 및 상기 연장몸체(224)의 경계면 외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of the extended body 224 is preferably provided in a ba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ip body 221. In this case, substantially vertical means that the extended body 224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minute constant angle close to the grip body 221 and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and the extended body 224 When the outer side is formed to be rou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n a comprehensive sense.

그리고,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확장부(224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224c)는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됨으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224c)의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에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상기 확장부(224c)에 의해 상기 그립부(220)의 최종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xtension 224c integrally further exten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may be formed at an inner end of any one of the first extension body 224a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Can be.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extension part 224c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extended further from the inn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desirable. Here, the inner edge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of the expansion portion 224c may be rounded. Accordingly, at the inner end of any one of the first extension body 224a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the extension 224c integrally further extend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By the final pop-up of the grip portion 220,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한편, 상기 신장구동부(2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부(240)를 통해 상기 그립부(220)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is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art 210 or inside the door to selectively pop up the grip part 220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rough the link part 240. And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inserted.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2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231)와,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 즉,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2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xtension driving unit 230 is an actuator 231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door case unit 210,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uator 231 to selectively expand and contract, that is, an extension rod that expands and contracts. It is preferred to include (232).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신축된다 함은 탄성적으로 신축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가 고정된 강체 상태의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엑츄에이터(232)의 내부에 수축되거나, 상기 엑츄에이터(23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는 의미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일측에 배치됨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does not mean elastic expansion and contraction, but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in a rigid state with a fixed length contracts inside the actuator 232, or th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ctuator 232 is used as a meanin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rod part 2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uator 231 to selectively expand and contract. In addition, although the actuator 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the placement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세히,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231)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 내부의 측벽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개구된 일면이 상기 그립부(220)의 배치방향을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내주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actuator 231 may be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an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opened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In addition, the actuator 231 is disposed so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posed to the sidewall surface inside the door case portion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ed one side is disposed towar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20. In addition, a female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ctuator 231.

한편, 상기 신장로드부(232)는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외주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사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이 상호간 변경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tuator 231,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may be formed with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ha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le and female threads are mutually modified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232)는 일단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2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링크부(2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is form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ctuator 231. In addition,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is preferably disposed one end is inserted inside the actuator 231,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an exposed state from the actuator 231 is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240 to be described later Do.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actuator 231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the extension rod part 232 may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In addition, as the actuator 231 rotat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the extension rod part 232 may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나사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이 아닌,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일단에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를 밀폐하는 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가 공압유로(미도시)에 의해 공압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Here,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selectively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by the actuator 231.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the actuator 231 is rotated, the extension rod part 232 is not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thread, but the actuator at one end of the extension rod part 232 ( A cylinder (not shown) for sealing the inside of 231 is provided, and the inside of the actuator 231 may be connected to a pneumatic pump (not shown) by a pneumatic flow path (not shown).

이에 따라, 상기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기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로 유입되면 각 상기 실린더(미도시)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면 각 상기 실린더(미도시)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actuator 231 by the pneumatic pump (not shown), as the respective cylinders (not shown) expand, the extension rod part 232 lengths the actuator 231. Direction can be extended. In addition, when the inside air of the actuator 231 is sucked by the pneumatic pump (not shown), as the respective cylinders (not shown) contract, the extension rod part 23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It may shrink.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270) 및 접근감지센서(2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232)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unit 270 and the access sensor 27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actuator 231, the actuator 231 extends the extension rod 2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Since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contract, the operation precis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2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is preferably a smart key (not shown) of a separately provided vehicle further includes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271 that detects an approach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는 LIDAR(d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Here, the access sensor 271 may be provided with a DID (D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proximity sensor 271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in the side mirror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case unit 210 in some cases.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user who has a smart key (not shown) approaches the proximity sensor 271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distance, the proximity sensor 271 detects the access of the smart key (not shown). Can be.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 제10-1302944호)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에는,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에 있는 실제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302944)'Vehicl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since the contents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from an actual vehicle in a specific direction using a LIDAR sensor are disclo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Is omitted.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23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엑추에이터(2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is the extension driving unit 230 so that the grip unit 220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when the access sensor 2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control unit 270 for controlling. In detail, the control unit 27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actuator 231 so that the grip unit 220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when the proximity sensor 2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It is desirable to transmit.

이때, 상기 엑추에이터(2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신장구동부(2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ctuator 231 is selectively driven and controll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s examples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nfigurations that are mutually converted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히,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2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정방향 구동된다 함은 상기 엑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270 is the elongation driving unit 230 so that the grip unit 2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when the door case unit 210 is mov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powered off.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forward drive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actuator 231 such that the extension rod part 232 extend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이를 위해,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2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o this end, a separate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or the door case unit 210 and the power-off of the vehicle may be further provided. Through this, when a signal for the movement of the vehicle or the door case unit 210 and the power-off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70, the extension driving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forward for a predetermined time. have.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oor case portion 210 is mov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powered off, wind noise caused by wind is prevented as the grip portion 2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o prevent the wind noise from being blown inside the vehicle. Noise is reduced and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air flow.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2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역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역방향 구동된다 함은 상기 엑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0, when the proximity sensor 2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nd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r the vehicle is stopped, the grip unit 220 is 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t is preferable to reverse control the stretch driving unit 230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it pops up by a set length.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actuator 231, so that the extension rod part 232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로부터 상기 제어부(2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Here, when the proximity sensor 2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271 to the controller 270. Through this, as the smart key (not shown) is approached within a preset radius range of the proximity sensor 271, the extension driving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230), 상기 제어부(270),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grip unit 22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s requested through the mutual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unit 230, the control unit 270, and the access detection sensor 271, the pop-up is required. Since it is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rough the opening 213,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Here, when the grip portion 220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door case portion 210 is maintained and popped up.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링크부(240)는 상기 신장구동부(230)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의 팝업을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240)는 복수개의 회동링크(241,242,24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링크(245,24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link part 24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and is provided to mediate the pop-up of the grip part 2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231. Here, the link unit 24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ng links (241,242,243), and at least one pop-up link (245,24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몸체(224)가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한쌍으로 구비되고, 이에 따른 상기 팝업링크(245,246)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된다.Hereinafter, the extension body 2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air of the first extension body 224a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and accordingly the pop-up link 245,246 The case of being provided in a pair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n example.

여기서, 상기 링크부(240)는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224)와, 상기 연장링크(224)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224)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상기 팝업링크(245,246)와, 상기 연장링크(244)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부(2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nk portion 240 is a pair of linking the extension link 224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231, and both ends of the extension link 224 and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224. It is preferable that the pop-up link 245 and 246 and the guide portion 250 guide the pop-up when the grip portion 220 moves back and forth of the extension link 244.

이때, 상기 연장링크(224)가 전후이동된다 함은 상기 연장링크(224)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을 의미하며, 전방이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배치된 상기 수용공간(211)의 일측으로, 후방이 상기 장공(214)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211)의 타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링크(224)의 일단 및 타단이 후술되는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제2팝업가이드부(254)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어 원호형 궤도를 따라 이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at the extension link 224 is moved back and forth means that the extension link 224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side is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n which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is dispo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ide is understood as the oth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n which the long hole 214 is form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224 are guided by the first pop-up guide part 253 and the second pop-up guide part 25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ove along the circular arc trajectory.

한편, 상기 링크부(240)의 상기 회동링크(241,242,243)는 제1회동링크(241), 제2회동링크(242), 및 제3회동링크(24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link 241, 242, 243 of the link unit 24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rotation link 241, a second rotation link 242, and a third rotation link 243.

여기서, 상기 제1회동링크(241)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단부에 링크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동링크(242)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에 힌지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회동링크(243)는 일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242)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tational link 241 has one end link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rod part 232, and the other end hing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al link 24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ivot link 242 has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vot link 241, but the other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is hinged to the second pivot link 242, while the other end is hing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이때, 상기 링크부(240)의 각 상기 회동링크(241,242,243) 및 상기 연장링크(244) 및 각 상기 팝업링크(245,246)의 양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핀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링크부(240)의 각 링크(241,242,243,244,245,246)가 힌지 회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pins 241, 242, 243 and the extension link 244 of each of the link portion 240 and the fixing pin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op-up link 245, 246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xing pin. Each link 241, 242, 243, 244, 245, 246 of the link portion 240 may be hinged.

한편, 상기 링크부(240)의 상기 팝업링크(245,246)는 제1팝업링크(245)와, 제2팝업링크(246)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pop-up links 245 and 246 of the link unit 240 preferably include a first pop-up link 245 and a second pop-up link 246.

여기서, 상기 연장링크(244)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팝업링크(245)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1연장몸체(224a)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될 수 있다. Here,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may b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but the other end may be hinged to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In addition, the first pop-up link 245 may have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but the other end may be linked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body 224a.

또한, 상기 제2팝업링크(246)는 일단이 상기 연장링크(244)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된 상기 확장부(224c)에 링크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타단이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but the other end is inward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from the inn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It is preferable to be linked to the extension part 224c which is further extended integrally.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may be linked to the inn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한편,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24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5)는 한쌍의 링크가이드부(251,252)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팝업가이드부(253,2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가 한쌍으로 구비됨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Meanwhile, the guide unit 25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and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link unit 240. Here, the guide portion 25 preferably includes a pair of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and pop-up guide portions 253 and 254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up guide parts 253 and 254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a pair.

그리고,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 및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부(250) 각각의 몸체는 원호형으로 구비되되, 각 몸체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가 원호형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body of the guide portion 250 including each of the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and each of the pop-up guide portions 253 and 254 is provided in an arc shape, and the guide groov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body. It is preferable that 251a,252a,253a,254a) are recessed in an arc shape.

여기서,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가 형성되어 개구된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 및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의 상면 내측 테두리의 내경은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 내부측 내경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에 삽입되는 각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턱지게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240)의 각 링크(241,242,243,244,245,246)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가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에 클램프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의 상방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diameters of the upper and inner edges of each of the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and the pop-up guide portions 253 and 254 formed and opened by the guide groove portions 251a, 252a, 253a, and 254a are respectively the guide groove portions 251a ,252a,253a,254a) It is preferred that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of each of the fixing pins inserted into each of the guide groove portions 251a, 252a, 253a, 254a may be extended stepwis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one end of a plurality of the fixing pins fixing the respective links 241, 242, 243, 244, 245, 246 of the link portion 240 is clamped into each of the guide groove portions 251 a, 252 a, 253 a, 254 a, so that the fixing pin is separated from above. Can be prevented.

그리고, 각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결합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각 상기 가이드부(25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1)에 배치될 수도 있다.And, each of the guide portion 250 is prefer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and in some cases, each of the guide portion 25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case portion 210 to It may be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각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결합 및 고정됨으로 설명 및 도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s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each of the guide parts 25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t is preferred to understand as illustrated and illustrated as combined and fixed.

한편,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는 제1링크가이드부(251)와, 제2링크가이드부(25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는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211)의 일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의 오목한 부분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preferably include a first link guide portion 251 and a second link guide portion 252. Here, each of the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is preferably disposed such that the actuators 231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jacent receiving space 211, but the concave portions of the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세히,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는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보다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 및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의 각 오목한 부분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에 의해 상기 링크부(240)의 각 회동링크(241,242,243)가 이동시 이동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link guide portion 251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than the second link guide portion 25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s of the first link guide portion 251 and the second link guide portion 252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Accordingly, a movement path may be guided when the rotation links 241, 242 and 243 of the link portion 240 are moved by the link guide portions 251 and 252.

그리고,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는 제1팝업가이드부(253)와, 제2팝업가이드부(2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는 일측이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타측이 각 상기 연장몸체(224a,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에는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개방을 위해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락킹해제연장부(25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pop-up guide parts 253 and 254 preferably include a first pop-up guide part 253 and a second pop-up guide part 254. Here, each of the pop-up guide parts 253 and 254 is dispos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link guide parts 251 and 252, the other 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from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224a and 224b. It is preferably disposed in a position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At this time, for the opening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on at least one other side of the pop-up guide parts 253 and 254, the door case part 210 of at least one of the pop-up guide parts 253 and 254 from the oth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is further extended integrally in the outer direction.

상세히,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타측, 즉 상기 장공(214)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first pop-up guide part 253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pop-up guide portion 254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211, that is, adjacent to the long hole 214.

여기서,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일측은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측에 인접한 위치, 즉,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211)의 일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one side of the first pop-up guide portion 253 and the second pop-up guide portion 254 is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nk guide portion 251,252 side, that is, the accommodation space 211 adjacent to the actuator 231 ) Is preferably disposed on one side.

그리고,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타측은 각 상기 연장몸체(224a,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op-up guide portion 253 and the second pop-up guide portion 254 extends from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224a, 224b 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It is preferred that each is placed in a position.

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확장시 각 상기 팝업링크(245,246)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상기 팝업링크(245,246) 및 상기 연장몸체(224)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그립부(220)가 안정적으로 팝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xtension rod portion 232 is extended by the actuator 231, each of the pop-up links 245,246 and the pop-up links 245,246 move as the door case portion 210 moves outward. Since the extension body 224 is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he grip portion 220 may stably pop up.

또한,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는 각 오목한 부분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에 의해 상기 링크부(240)의 각 팝업링크(245,246)가 이동시 이동경로가 안내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op-up guide portion 253 and the second pop-up guide portion 254, it is preferable that each concave portion is dispos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Accordingly, as each movement path of the pop-up link 245,246 of the link portion 240 is guided by the pop-up guide portions 253 and 254, the grip portion 20 is open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213).

그리고,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에 의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 및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에 의해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타단 및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al link 241 and the movement of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al link 242 are guided by the first link guide unit 251, and the second link guide unit (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link 242 and one end of the third rotation link 243 are guided by 252).

또한,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에 의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연장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op-up guide 253 guides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and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and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are guided by the second pop-up guide unit.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부(220)의 팝업과정은 다음과 같다.Meanwhile, a pop-up process of the grip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액츄에이터(23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First, referring to FIG. 8, when the door case portion 210 is mov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2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rip unit 2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actuator 231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엑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외측, 즉, 차량의 후방으로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actuator 231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rod 232 is extend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by the actuator 231, that i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이어서,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확장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 및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when the extension rod part 232 is exten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link 241 and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 link 242 are mov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link guide part 251. Do.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타단 및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일단이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이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링크(244)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vot link 242 and one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are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link guide unit 25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and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are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p-up guide section 253.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and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are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op-up guide part 254.

이를 통해, 상기 연장몸체(224)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된 상기 제1팝업링크(245)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각 타단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상기 그립부(220)의 외면이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Through this, a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pop-up link 245 and the second pop-up link 246 linked to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224 are mov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The grip par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Here, when the grip portion 2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a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액츄에이터(23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역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9, when the proximity sensor 2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nd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r the vehicle is stopped, the grip unit 220 is 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actuator 231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it is popped up by a set length.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역방향 구동시 상기 엑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엑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수축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actuator 231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rod part 232 is contracted by the actuator 2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31, that is, in front of the vehicle.

이어서,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수축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 및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when the extension rod part 232 is contract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link 241 and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 link 242 are preferably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link guide part 251. Do.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타단 및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일단이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이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링크(244)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vot link 242 and one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are mov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link guide unit 25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243,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and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are mov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pop-up guide section 253.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244 and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are mov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p-up guide part 254.

이를 통해, 상기 연장몸체(224)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된 상기 제1팝업링크(245)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각 타단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될 수 있다.Through this, each other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and the second pop-up link 246 linked to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224 is moved to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210 The grip part 220 may be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rough the opening 213.

따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엑츄에이터(2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자동 신축되는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상태에 대응되어 이동되는 상기 링크부(240)의 의해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mart key (not shown) is approached by the proximity sensor 271, the actuator 231 is electrically controlled to be electrically moved and mov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ate of the extension rod 232 when the smart key (not shown) is approached.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grip portion 220 is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by the link portion 240, usability and operation precis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그립부(220)의 각 상기 연장몸체(224)에 링크연결된 한쌍의 상기 팝업링크(245,246)와 상기 팝업링크(245,246)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기 연장링크(244)에 의해 링크 형상이 평행사변형 형상에서 사각형 형상으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되므로 내구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shape is parallel by the extension link 244, which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pop-up links 245,246 and the pop-up links 245,246 connected to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224 of the grip part 220. Since the grip portion 220 pops up as it is stably switched from a quadrilateral shape to a square shap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durability and operational precision.

여기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신장구동부(230) 및 상기 링크부(24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이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후단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각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이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타측보다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grip part 220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by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and the link part 240,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is the first pop-up guide part.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253),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p-up guide section 254, the first and the first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2 It is understood that one end of the pop-up link 246 is disposed at one side of each unlocking extension part 255 that extends further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210 to open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This is preferr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one side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is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ortion 210 than the other side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개방을 위해 각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를 통과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신장구동부(230) 및 상기 링크부(240)에 의한 상기 그립부(220)의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고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245 and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246, regardless of whether the grip portion 220 is popped up and inser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not shown) To open the door),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not opened because it is dispos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pass through each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s 255. That is,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se part 210 is not opened regardless of pop-up and insertion of the grip part 220 by the extension driving part 230 and the link part 240. Does not.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a contact senso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when the contact sens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andle, the door is locked and the handle pops up to separate the door from the contact sensor and unlock the door. desirable.

이를 통해,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부(220)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grip portion 220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maintained and pops up. Accordingly, even if the grip portion 220 unintentionally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due to aging, external force action,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automatic releas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can be prevented.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230) 및 상기 링크부(2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부(220)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whether the grip portion 220 is popped up and inserted selectively by the extension driving portion 230 and the link portion 240,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maintained, so the intended value The automatic releas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which has not been performed, is prevented beforehand, so that the safety of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래치부(260)는 상기 링크부(240)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260)는 래치바(261)와, 래치연결부(262)와, 래치브라켓(26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 portion 260 is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240, a wire (w)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when the grip portion 220 in the popped state pulls outwardly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selectively rotated. Here, the latch portion 260 preferably includes a latch bar 261, a latch connection portion 262, and a latch bracket 263.

상세히, 상기 래치바(261)는 일측이 상기 팝업링크(245,246)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을 가로질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바(261)의 타측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고정되어 회동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바(261)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상기 래치연결부(262)의 일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latch bar 261 is one side of the pop-up link (245 246) is selectively hooked to any one end,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bar shape is disposed across the long hole.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latch bar 261 is fixed to the receiving space 211 to provide a rotation shaft func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latch connecting portion 262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tch bar 261.

그리고, 상기 래치연결부(262)는 일단이 상기 래치바(262)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래치브라켓(26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연결부(262)는 상기 래치바(261)와 상기 래치브라켓(263)을 연결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와이어(w)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도록 상기 장공(214)을 통과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atch connecting portion 262 is prefer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atch bar 262 in the longitudinal cent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atch bracket 263. At this time, the latch connection portion 262 connects the latch bar 261 and the latch bracket 263, but when the grip portion in a popped state pulls outwardly of the door case portion, the wire (w) is selectively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hrough the long hole 214 so as to be rotated.

또한, 상기 래치브라켓(263)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부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하부에 하향 연장 돌설되는 상기 권취돌설부(215)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단부(w1)는 상기 래치부(260)가 상기 장공(214)을 따라 이동시 걸림되도록 상기 래치연결부(262)에 인접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래치연결부(262)에 권취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ch bracket 263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door case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disc shap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 (w) may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rotrusion 215 extending downwardly and protruding below the door case part 210. At this time, the end (w1) of the wire (w) is extended adjacent to the latch connection portion 262 so that the latch portion 260 is locked when moving along the long hole 214, or to the latch connection portion 262 Winding can be connected.

이에 따라, 상기 래치부(260)가 상기 팝업링크(245,24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장공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as the wire (w) is pulled when the latch portion 260 is caught by any one of the pop-up links 245 and 246 and moves from one end of the long hole to the other end. Can be unlocked.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경우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grip unit 220 is pulled outward by the user in the state in which the grip unit 220 is popped, the first pop-up link 245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end of one end and the second pop-up link 246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to the other side.

이때,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는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이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타측보다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 형성된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상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부(253a,254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unlocking extension part 255 is formed to extend further from the other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op-up guide parts 253 and 254 integrally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210, and unlocking the lock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55 is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ortion 210 than the other side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portion 253a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which is further formed integrally furth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op-up guide portions 253 to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An extension guide groove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254a) may be formed.

이어서, 상기 제1팝업링크(245)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래치바(261)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래치바(261)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상기 장공(214)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팝업링크(246)가 상기 래치바(261)에 걸림됨으로 설명 및 도시된다. Subsequently, as one of the first pop-up link 245 and the second pop-up link 246 moves from one side of the unlocking extension portion 255 to the other side, the latch bar 261 is engaged, and thus the latch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bar 261 is moved from one end of the long hole 214 to the other.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p-up link 246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latched by the latch bar 261.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연결부(262)에 상기 와이어(w)의 단부(w1)가 연동 걸림되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풀림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된 이후에 상기 그립부(220)를 상기 수용공간(211)측으로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e same tim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may be released as the end w1 of the wire w is interlocked and pulled by the latch connection portion 262. At this time, in some cases, as the wire w is released,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be unlocked. In addition, in some cases, after the grip portion 220 in the pop-up state is pulled outwardly by the use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grip portion 220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211 side A separate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이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면 상기 래치부(260)에 의해 상기 와이어(w)의 단부(w1)가 걸림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와이어(w)에 연결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grip portion 220 in the pop-up state is pulled outwardly of the door case portion 210, the end portion w1 of the wire w is caught by the latch portion 260 so that the wire w ),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wire w may be opened as it is pulled.

따라서, 도어의 손잡이가 힌지 회동됨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는 종래와 달리,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므로 상기 그립부(220)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in which the locking is released as the handle of the door is hinged,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locked when the grip part 220 in the pop-up state is pressed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210. Since it is released, wear of the grip part 220 is prevented beforehand, and dur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제1연장몸체(224a)측 길이가 상기 제2연장몸체(224b)측 길이 및 상기 확장부(224c)의 길이의 합보다 작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20)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그립몸체(220)의 외면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의 각도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body 224a side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body 224b side and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224c, the user may apply the grip part 220 to the door case part ( When pull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210, the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210 may be inclined.

한편, 상기 발열부(280)는 상기 그립몸체(220)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280)는 발열체(281), 열전도시트(282), 전원부(28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그립몸체(220) 외면의 결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280)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280 is provided on the grip body 220, it is preferred that the grip unit 220 is selectively heated to pop up through the opening 213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even in an ice-free environment. .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280 preferably includes a heating element 281, a heat conductive sheet 282, and a power supply unit 28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0 is preferably provided to selectively driv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280 by detecting whether the grip body 220 is frozen.

여기서, 상기 발열체(281)는 상기 그립몸체(221)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 및 상기 그립부(220)에 인접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열체(218)는 상기 열전도시트(282)의 일면에 복수개소 배치되는 발열단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열전도시트(282)의 표면 전체를 따라 배치되는 전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발열이 가능한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heating element 281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on the grip body 221, the freez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and the door case portion 210 adjacent to the grip portion 220 in the freezing environment is removed. It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grip portion is selectively heated to pop up. At this time, the heating element 218 may be provided with a heating terminal disposed in a plurality of places on one surface of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282, and in some case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disposed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282. It may be, if the structure that can generate heat is not limited to this.

그리고, 상기 열전도시트(282)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281)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시트(282)는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면상발열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t conductive sheet 282 may be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but may be provided to diffuse heat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when the heating body 281 heats up. Here,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282 may be provided as a planar heating element made of a carbon nanotube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또한, 상기 열전도시트(282)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함몰공간에 상기 그립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시트(282)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부터 노출이 방지되도록 별도로 상기 커버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282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body 221 in a recessed spac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282 is the door case portion In order to prevent exposure from the outer direction of 210, the cover part is further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도어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cover portion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oor, when the grip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door may be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그리고, 상기 전원부(283)는 상기 발열체(28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283)는 배터리 형태로 상기 연장몸체(224)의 내부, 또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283)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283)가 차량의 전력공급원에 전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차량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83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281. Here, the power supply unit 283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tension body 224 or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n the form of a battery,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83 is not limited thereto. Here, when the retractable door handle 3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unit 283 may be wired to the vehicle's power supply source, or may be direct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vehicle's power supply source.

한편, 상기 발열부(281)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결빙감지센서(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284)는 온도센서, 대기센서,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빙감지센서(284)가 온도센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281 may further include an ice sensor 284 provided to sen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rip body 221. Here, the freezing sensor 284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 atmospheric sensor, a pressure sensor, a piston tube, an anemomet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here the freezing sensor 284 is provided as a temperature sensor.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2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즉, 상기 그립몸체(221)의 포면에 결빙이 발생되는 경우, 결빙이 제거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전원부(2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281)에 전원을 인가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284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that is, when ice is gener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the controller 270 is configured to remove the ice so that the ice is removed. It is preferable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281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283.

더욱이, 상기 결빙감지센서(2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을 감지시 상기 발열체(281)가 발열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전원부(2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28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Moreover, at the same time that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284 is below a preset temperature, the smart key (not shown) through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271 is preset from the door case unit 210. The control unit 27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power unit 283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281 so that the heating element 281 heats up when the distance is detected within a distance.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220)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상기 발열부(280)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221 is thawed even in an extreme ice environment through the heating unit 280 that detects whether or not ice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220 is generated and heats when ice occurs. Accordingly, since the grip portion 220 can be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through the opening 213,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빙감지센서(284)의 결빙감지 방식이 공기역학적 방식으로 연산 및 산출되는 경우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통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 외면의 공기 흐름방향 및 각도, 미끄럼(side slip) 각도, 각속도, 공기역학적 하중, 차량의 속도 등의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기설정된 연산식에 의해 결빙유무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공기역학적 결빙감지 방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연산부에 의해 결빙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체가 발열될 수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when the freezing detection method of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284 is calculated and calculated in an aerodynamic method, the air flow direction and ang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210 through a pressure sensor, a piston tube, an anemometer, etc. , As information such as the angle of the side slip, the angular velocity, the aerodynamic load,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obta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reezing may be calculated by a predetermined calculation expression. Through th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is detected by the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aerodynamic freezing detection method, the control unit may apply power to the power unit to generate heat.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prepare" as described above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ementation of such modification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210: 도어케이스부
211: 수용공간 213: 개구부
214: 장공 215: 권취돌설부
220: 그립부 221: 그립몸체
224: 연장몸체 224c: 확장부
225: 이음부 230: 신장구동부
231: 액츄에이터 232: 신장로드부
240: 링크부 250: 가이드부
255: 락킹해제연장부 260: 래치부
261: 래치바 262: 연결부
263: 래치브라켓 270: 제어부
271: 접근감지센서 280: 발열부
281: 발열체 282: 열전도시트
283: 전원부 284: 결빙감지센서
300: retractable door handle 210: door case
211: accommodation space 213: opening
214: Jangong 215: Winding protrusion
220: grip portion 221: grip body
224: extension body 224c: extension
225: joint 230: kidney drive
231: actuator 232: extension rod portion
240: link section 250: guide section
255: unlocking extension part 260: latch part
261: Latch bar 262: Connection
263: latch bracket 270: control unit
271: approach sensor 280: heating unit
281: heating element 282: thermal conductive sheet
283: Power supply 284: Freeze detection sensor

Claims (17)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신장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매개하는 링크부;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a door case portion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grip body is provided to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and the grip body selectively pops up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door case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grip body.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body integrally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ortion;
A he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heating to pop up the grip portion in an freezing environment;
An extension driving unit including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unit and an extension rod unit selectively connected to and extended from the actuator;
A link unit connected to the extension driving unit and mediating a pop-up of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 control unit that detects freezing of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drives the heating of the heating unit; And
Retractable, which is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and includes a latch portion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ing device by selectively engaging and rotating a wire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when the grip portion in the popped state is pulled outward in the door case portion. Door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그립몸체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는 열전도시트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A heating element provid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grip body to selectively freeze heat so that the grip portion pops up by removing ice on 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in an freezing environment
A heat conductive sheet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to diffuse heat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when the heating element is heated;
A retractable door handle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는 결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2,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n ice sensor for sen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rip body,
The control unit is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접근감지센서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ourc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reezing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and the smart key provided separately through the access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unit.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applied to.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엑추에이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ly provided smart key further includes an access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ccess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par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ctuator so that the grip unit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access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portion, an extension link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 pair of pop-up links linking both ends of the extension link and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and guiding the pop-up of the grip portion when the extension link is moved back and forth Retractable door handle comprising a guide portion.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a door case portion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rovided to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and the grip body selectively pops up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from both ends of the grip body. A grip portion including a pair of elongated bodies extending integrally in a direction;
An extension driving unit including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unit and an extension rod unit selectively connected to and extended from the actuator;
It includes an extension link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actuator, a pair of pop-up links linking both ends of the extension link and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pop-up of the grip portion when the extension link is moved back and forth. Link section; And
Retractable, which is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and includes a latch portion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ing device by selectively engaging and rotating a wire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when the grip portion in a popped state is pulled outward in the door case portion. Door handl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제1회동링크, 제2회동링크, 및 제3회동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2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3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link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pivot link, a second pivot link, and a third pivot link,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al link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rod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al link,
The second pivot link has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vot link, the other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The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third pivot link is hinged to the second pivot link while the other end is hing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링크는 제1팝업링크와 제2팝업링크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팝업링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팝업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 중 제1연장몸체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되고,
상기 제2팝업링크는 일단이 상기 연장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 중 제2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된 확장부에 링크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8,
The pop-up link includes a first pop-up link and a second pop-up link,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the other end is hinged to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the other end of which is linked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body among the extension bodies,
The second pop-up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bu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integrally further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body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of the extension body. Retractable door handl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한쌍의 링크가이드부와, 한쌍의 팝업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가이드부 및 상기 팝업가이드부 각각은 원호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링크가이드부 및 상기 팝업가이드부 각각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guide part includes a pair of link guide parts and a pair of pop-up guide parts,
Each of the link guide portion and the pop-up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a circular arc shape, and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portion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link guide portion and the pop-up guide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이드부는 제1링크가이드부와 제2링크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팝업가이드부는 제1팝업가이드부와 제2팝업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링크는 제1팝업링크와 제2팝업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에 의해 제1회동링크의 타단 및 제2회동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2회동링크의 타단 및 제3회동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연장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nk guide part includes a first link guide part and a second link guide part, the pop-up guide part includes a first pop-up guide part and a second pop-up guide part, and the pop-up link includes a first pop-up link and a second pop-up link. Includ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movement of one end of the second link is guided by the first link guide unit,
The second link guide un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of the link,
The first pop-up guide un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third pivot link, one end of the extension link, and one end of the first pop-up link,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op-up guide un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k and one end of the second pop-up link.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의 오목한 부분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며,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링크가이드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타측이 각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10,
Each of the link guide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djacent to the actuator, but the concave portions of each link guide portion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each of the pop-up guide portions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nk guide portion side,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in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extension bodies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case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에는 상기 팝업가이드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락킹해제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12,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on at least one other side of the pop-up guide portion, a locking release extension portion is further extended integral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p-up guide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면부에는 상기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해제를 위한 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은 원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는, 일측이 상기 팝업링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래치바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는 래치브라켓과,
상기 래치바와 상기 래치브라켓을 연결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도록 상기 장공의 어느 일측을 통과하여 구비되는 래치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7,
A long hole for unlocking the door locking devic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and the long hole is formed through a circular arc,
The latch portion, one side of the pop-up link is selectively latched to any one end provided with a bar-shaped latch bar disposed across the long hole,
A latch bracket provid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door case portion,
The latch bar and the latch bracket is connected, but the grip portion in a popped state includes a latch connection portion provided through any one side of the long hole to selectively rotate the wire when the door case portion is pulled outward. Retractable door hand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는 상기 그립몸체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제1연장몸체 및 제2연장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 및 상기 제2연장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7,
The elongated body includes a first elongated body and a second elongated body that extend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the grip body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respectively.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portion integrally further exten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any one of the first extension body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제 7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와,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엑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7,
An acces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ccess when a smart key provided separately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part,
A retractable door hand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so that the grip unit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여 상기 신장로드부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도어의 개폐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하여 상기 신장로드부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ler extends the extension rod part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by controlling the actuator forward so that the grip par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door case part is moved and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the actuator is reversely controlled so that the grip portion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xtension rod portion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Retractable door handle.
KR1020180153415A 2018-12-03 2018-12-03 retractable door handle KR102143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15A KR102143038B1 (en) 2018-12-03 2018-12-03 retractable door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15A KR102143038B1 (en) 2018-12-03 2018-12-03 retractable door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21A true KR20200066821A (en) 2020-06-11
KR102143038B1 KR102143038B1 (en) 2020-08-28

Family

ID=7107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15A KR102143038B1 (en) 2018-12-03 2018-12-03 retractable door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6915A1 (en) * 2022-09-30 2024-04-0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Vehicle door handle and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4020A1 (en)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composed of a door handle and of an actuation device for the door hand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WO2018010939A1 (en) *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le device with a surface-flush hand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4020A1 (en)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composed of a door handle and of an actuation device for the door hand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WO2018010939A1 (en) *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le device with a surface-flush hand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6915A1 (en) * 2022-09-30 2024-04-0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Vehicle door handl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038B1 (en)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437B2 (en)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CN107839451B (en) Anti-pinch logic for vehicle door opening actuator
JP6293708B2 (en)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for doors or the like
US7905530B2 (en) Self-actuating devices
US9249608B2 (en)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US20180056766A1 (en) Active vehicle pillar arrangement for selective wind noise, wind throb, snow buildup and moisture control
KR20200066821A (en) retractable door handle
US10597088B2 (en) Active vehicle pillar arrangement for selective wind noise, wind throb, snow buildup and moisture control
KR102157301B1 (en) retractable door handle
CN110036171A (en) Door handle for car door
KR102143041B1 (en) retractable door handle
KR20070040227A (en) Spear tire drawing out device
KR102157297B1 (en) 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KR100803551B1 (en) Opening and shutting angle control system of vehicle door
US9061633B2 (en) Tonneau cover device
KR102157294B1 (en) 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KR101887767B1 (en) Safety apparatus for heater
CN109958354A (en) Vehicle door connecting structure, opening/closing door of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JP2007145243A (en) Rain cover device for vehicle
JP4614362B2 (en) Automatic door for cargo vehicles
KR20220101780A (en) Vehicle door open structure
CN116988699A (en) Hidden door handle protector and car
JP2007099198A (en) Vehicular rain co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