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512A -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6512A KR20200066512A KR1020180153164A KR20180153164A KR20200066512A KR 20200066512 A KR20200066512 A KR 20200066512A KR 1020180153164 A KR1020180153164 A KR 1020180153164A KR 20180153164 A KR20180153164 A KR 20180153164A KR 20200066512 A KR20200066512 A KR 20200066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material
- less
- cold workability
- high strength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10000797 Ultra-high-strength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9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10000734 marten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10001563 ba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01568 polygonal ferr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 atom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496 temp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36 steel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M 23 C 6 increas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35 Soft ferr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7 cemen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SOKAHYVTMZFBJ-UHFFFAOYSA-N iron;methane Chemical compound C.[Fe].[Fe].[Fe] KSOKAHYVTMZFB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896 monocarbox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08%초과~0.2%이하, 실리콘(Si): 0.05~0.5%, 망간(Mn): 0.5~2%,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01~0.03%, 바나듐(V): 0.001~0.03%, 티타늄(Ti): 0.001~0.03%, 크롬(Cr): 0.01~1%, 몰리브덴(Mo): 0.01~0.15%, 구리(Cu): 0.01~0.5%, 니켈(Ni): 0.05~4%, 칼슘(Ca): 0.0005~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10%까지의 영역인 표층부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층부를 제외한 영역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표층부의 전위밀도는 3×1014/m2이하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08%초과~0.2%이하, 실리콘(Si): 0.05~0.5%, 망간(Mn): 0.5~2%,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01~0.03%, 바나듐(V): 0.001~0.03%, 티타늄(Ti): 0.001~0.03%, 크롬(Cr): 0.01~1%, 몰리브덴(Mo): 0.01~0.15%, 구리(Cu): 0.01~0.5%, 니켈(Ni): 0.05~4%, 칼슘(Ca): 0.0005~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10%까지의 영역인 표층부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층부를 제외한 영역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표층부의 전위밀도는 3×1014/m2이하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유시추선, 풍력 설치선과 같은 해양구조물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석유 시추 설비 등에 사용되는 해양구조용 강재는 설비 경량화, Sour 또는 내부식 환경 사용량 증대에 따라 강재의 초고강도 및 내 수소유기균열 저항성 등의 품질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응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의 부식환경에서 발생하는 수소에 대한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 내 SSC(Sulfide Stress Cracking) 품질 특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된 항복강도 690MPa 이상의 초고강도강은 판재(plate) 상태에서의 강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As-Rolled 상태의 후판을 열간 조관 성형 후 QT열처리 함으로써 강관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열간성형 방법은 적은 힘으로도 포밍(forming)이 가능하며, 제품두께가 100mm가 넘는 극후물까지도 강관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열처리 이후 강관 내 발생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며, ?칭(Quenching)시 변형에 의한 치수정밀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벤딩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열간성형보다는 높은 편이지만, QT열처리된 소재를 냉간성형하는 방법이 최근 들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1과 같이 690MPa 이상의 항복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을 적절한 냉각속도의 제어를 통해 QT열처리후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 조직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등의 저온 변태 조직은 연질조직 대비 균일 연신율 값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냉간 가공시 표면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표층부의 높은 전위밀도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했을 경우 강재 내부로의 수소이동이 용이해지고, 크랙 전파에 대한 저항성 역시 취약하게 되므로 내 SSC 특성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방법들은 두께 6~100mm, 항복강도 690MPa 이상의 초고강도강재의 냉간가공성과 SSC저항성이 우수한 해양구조용강을 제작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08%초과~0.2%이하, 실리콘(Si): 0.05~0.5%, 망간(Mn): 0.5~2%,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01~0.03%, 바나듐(V): 0.001~0.03%, 티타늄(Ti): 0.001~0.03%, 크롬(Cr): 0.01~1%, 몰리브덴(Mo): 0.01~0.15%, 구리(Cu): 0.01~0.5%, 니켈(Ni): 0.05~4%, 칼슘(Ca): 0.0005~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10%까지의 영역인 표층부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층부를 제외한 영역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표층부의 전위밀도는 3×1014/m2이하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08%초과~0.2%이하, 실리콘(Si): 0.05~0.5%, 망간(Mn): 0.5~2%,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01~0.03%, 바나듐(V): 0.001~0.03%, 티타늄(Ti): 0.001~0.03%, 크롬(Cr): 0.01~1%, 몰리브덴(Mo): 0.01~0.15%, 구리(Cu): 0.01~0.5%, 니켈(Ni): 0.05~4%, 칼슘(Ca): 0.0005~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000~1200℃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800~950℃에서 패스당 평균 압하율 10% 이상으로 열간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공냉한 후, 800~950℃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열연강재를 700℃까지 강재 표면온도 기준으로 0.1℃/s이상~10℃/s미만의 냉각속도로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강재 표면온도 기준으로 50℃/s 이상의 냉각속도로 2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2차 냉각된 열연강재를 550~700℃로 가열하여 5~60분간 유지하는 템퍼링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재의 합금조성과 표층부 및 상기 표층부 이외의 영역(이하, '중심부'라고도 함)의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강재의 냉간 가공성 및 내 SSC 저항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하기 설명되는 합금조성의 단위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탄소(C): 0.08%초과~0.2%이하
C은 기본적인 강도를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원소이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강 중에 함유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첨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는 0.08%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의 함량이 0.2%를 초과하게 되면, ?칭시 모재 강도 및 경도가 과다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특히 표층부는 연질의 페라이트 생성으로 인해 내SSC특성이 좋을 수 있지만, 강재의 중심부는 크랙 전파 저항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한편, C 함량이 0.08% 이하일 경우, 적절한 소입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항복강도를 690MPa 이상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C의 함량은 0.08%초과~0.2%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 0.05~0.5%
Si는 치환형 원소로서 고용강화를 통해 강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강력한 탈산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청정강 제조에 필수적인 원소이므로 0.05%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5%를 초과하는 경우, MA상을 생성시키고, 표층부의 페라이트나 중심부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템퍼드 베이나이트 등의 기지 조직의 강도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내 SSC 특성 및 충격인성 등에 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i는 0.05~0.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 0.5~2%
Mn은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고 저온변태상이 생성되도록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원소이다. 따라서, 항복강도 690MPa이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0.5%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Mn함량이 증가할수록 Mn은 S와 반응하여 연신된 비금속 개재물인 MnS를 형성함에 따라 인성을 저하시키고, 강재 중심부의 수소취성 크랙 개시 사이트(Site)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Mn의 상한은 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Mn의 함량은 0.5~2%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 0.005~0.1%
Al은 상기 Si과 더불어 제강공정에서 강력한 탈산제의 하나로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5%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탈산의 결과물로 생성되는 산화성 개재물 중 Al2O3의 분율이 과다하게 증가하고, 크기가 조대해질 뿐만 아니라, 정련 중에 제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산화성 개재물에 의한 강재의 충격인성과 내 SSC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Al은 0.005~0.1%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0.01% 이하
P는 결정립계에 취성을 유발하거나 조대한 개재물을 형성시켜 취성을 유발하는 원소로써 내 SSC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P의 함량을 0.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015% 이하
S는 결정립계에 취성을 유발하거나 조대한 개재물을 형성시켜 취성을 유발하는 원소로써 내 SSC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S의 함량을 0.001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오븀(Nb): 0.001~0.03%
Nb는 NbC 또는 Nb(C,N)의 형태로 석출하여 모재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고온으로 재가열시 고용된 Nb는 압연시 NbC의 형태로 매우 미세하게 석출되어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을 억제하여 조직을 미세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효과를 위해서 상기 Nb는 0.001%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0.03%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용해된 Nb가 Ti,Nb(C,N) 형태로 생성되며, 이로 인해 강도 및 내 SSC 특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Nb의 함량은 0.001~0.03%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나듐(V): 0.001~0.03%
V는 재가열시 거의 모두 재고용됨으로써 후속하는 압연시 석출이나 고용에 의한 강화효과는 미비하나, 이후의 PWHT 등 열처리 과정에서 매우 미세한 탄질화물로 석출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상기 V를 0.001% 이상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그 함량이 0.03%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부의 강도 및 경도를 지나치게 증가시켜 해양구조물 등으로 가공시 표면크랙 등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원가가 급격히 상승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V의 함량은 0.001~0.003%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Ti): 0.001~0.03%
Ti은 재가열시 TiN으로 석출하여 모재 및 용접 열영향부의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저온인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이러한 첨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Ti가 0.03%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연주 노즐의 막힘이나 중심부 정출에 의해 저온인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N과 결합하여 두께 중심부에 조대한 TiN 석출물이 형성될 경우, SSC 균열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Ti 함량은 0.001~0.03%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 0.01~1%
크롬(Cr)은 소입성을 증대시켜 저온변태조직을 형성함으로써 항복 및 인장강도를 증대시키며 ?칭 이후의 템퍼링이나 용접 후 열처리(PWHT) 동안 시멘타이트의 분해 속도를 늦춤으로써 강도 하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Cr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를 초과하게 되면 M23C6등과 같은 Cr-Rich 조대 탄화물의 크기 및 분률이 증대되어 충격인성이 크게 하락하게 되며,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용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Cr의 함량은 0.01~1%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0.01~0.15%
Mo은 Cr과 같이 후공정인 템퍼링 또는 용접후열처리(PWHT) 동안의 강도 하락 방지에 유효한 원소이며, P 등 불순물의 입계 편석에 의한 인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입성을 증대시켜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등 저온상 분율을 증대시켜 기지상의 강도를 높인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Mo를 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가의 원소로서 과도하게 첨가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할 수 있으므로 0.15%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Mo의 함량은 0.01~0.1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Cu): 0.01~0.5%
구리(Cu)는 고용강화에 의해 기지상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윤 황화수소 분위기에서의 부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본 발명에서 유리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상기 Cu를 0.01%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그 함량이 0.50%를 초과하게 되면 강판의 표면에 스타크랙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지며, 고가의 원소로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Cu의 함량은 0.01~0.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 0.05~4%
Ni은 저온에서 적층결함을 증대시켜 전위의 교차슬립(Cross slip)을 용이하게 만들어 충격인성을 향상시키고 경화능을 향상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원소로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Ni이 4%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경화능이 과도하게 상승되고 타 경화능 원소 대비 비싼 원가로 인해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Ni의 함량은 0.05~4%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Ca): 0.0005~0.004%
Ca는 Al에 의한 탈산 후 첨가하게 되면 MnS 개재물을 형성하는 S와 결합하여 MnS의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구상의 CaS를 형성하여 SSC 균열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불순물로 함유되는 S를 충분히 CaS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상기 Ca를 0.0005%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0.0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CaS를 형성하고 남은 Ca가 O와 결합하여 조대한 산화성 개재물을 생성하게 되며, 이는 압연시 연신, 파괴되어 SSC 균열의 개시점을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Ca의 함량은 0.0005~0.004%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강재는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Ceq가 0.5이상인 것이 바람지직하다. Ceq는 소입성을 증대시켜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와 같은 저온상 분율 확보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을한 항복강도 690MPa이상의 초고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일, 0.5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저온변태조직이 생성되지 못하여 적절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관계식 1] Ceq = C+Mn/6+(Cu+Ni)/15+(Cr+Mo+V)/5)
(단, 상기 관계식 1에서의 C, Mn, Cu, Ni, Cr, Mo, V는 중량%임.)
(상기 Ceq의 기술적 효과 및 수치한정이유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편, 본 발명 강재는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10%까지의 영역인 표층부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층부를 제외한 영역(중심부)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심부의 미세조직이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 조직은 연질조직 대비 균일 연신율 값이 현저히 낮으므로, 냉간 가공시 표면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표층부의 높은 전위밀도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했을 경우 강재 내부로의 수소이동이 용이해지고, 크랙 전파에 대한 저항성 역시 취약하게 되므로 내 SSC 특성도 저하될 수 있다. 페라이트의 경우에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혹은 템퍼드 베이나이트에 비해 강도는 낮으나, 전위밀도가 낮기 때문에 냉간 가공시 가공경화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균일 연신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냉간 가공시 변형율이 가장 높은 부분은 강재의 표층부이기 때문에 상기 표층부의 미세조직이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도록 할 경우, 냉간 가공성 뿐만 아니라, 내 SSC 특성까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표층부의 잔부 미세조직은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중심부의 잔부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층부의 전위밀도는 3×1014/m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층부의 전위밀도가 3×1014/m2이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층부에서 부식과정에서 생성된 수소가 강재의 내부로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지며, 가공경화에 의해 기지상 강도 역시 높아지기 때문에 내 SSC특성이 열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강재는 두께가 6~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재의 두께가 6mm 미만인 경우에는 후판 압연기로 제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1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냉각속도를 확보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항복강도 690MPa이상의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강재는 표층부의 균일 연신율이 10% 이상이며, 항복강도가 69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780MPa 이상일 수 있다. 한편, 강재의 두께 100mm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냉간 가공시 표층부에 인가되는 표면 최대 변형율은 7%이하이므로 균일연신률이 10%이상일 경우 가공간에도 넥킹(Neck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표면결함도 생성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000~1200℃에서 가열한다. 상기 강 슬라브 가열은 이후 압연과정에서 지나친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1000℃ 이상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강 슬라브 가열 온도가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재결정역 온도에서의 총 압하량이 부족해지며, 제어압연 시작 온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지나친 공랭대기로 인하여 로 운영에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강 슬라브 가열 온도는 1000~120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800~950℃에서 패스당 평균 압하율 10 이상으로 열간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다. 상기 열간압연 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이상 영역에서 압연이 될 수 있으므로 압연간 변형저항값이 높아지게 되어 정상적인 목표두께로 압연이 될 수 없으며, 9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이 지나치게 조대화되어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도 및 내 SSC 특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패스당 평균 압하율이 10%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표층부 미세조직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열간압연시 패스당 평균 압하율은 10%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밀(Mill) 별 압연기 한계 압하량 및 롤 수명 등을 고려하였을 때, 패스당 평균 압하율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공냉한 후, 800~950℃로 재가열한다. 상기 재가열은 충분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균질화 및 평균 결정립도 미세화를 위한 것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상기 재가열 온도가 800℃ 이상일 필요가 있으며, 다만, 9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결정립도가 커짐에 따라 인성 및 내SSC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가열은 5~60분간 행하여질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재가열 시간이 5분 미만일 경우에는 합금성분과 미세조직의 균질화가 부족할 수 있으며, 6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과 NbC와 같은 미세 석출물이 조대화되어 내 SSC 특성이 열화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재가열 후, 열연강재의 오스테나이트 평균 결정립도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재가열 후, 열연강재의 오스테나이트 평균 결정립도를 3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SSC에 의한 균열발생시 크랙이 전파되는 속도를 지연시킬수 있다. 상기 재가열 후, 열연강재의 오스테나이트 평균 결정립도는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열연강재를 700℃까지 강재 표면온도 기준으로 0.1℃/s이상~10℃/s미만의 냉각속도로 1차 냉각한다. 상기 1차 냉각은 강재의 표층부에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1차 냉각시 냉각속도가 0.1℃/s 미만인 경우에는 페라이트의 핵생성이 원활하지 않아 결정립의 크기가 조대해질 수 있으며 결정립이 조대해 질 경우 강도가 열화될뿐만 아니라 SSC 균열 발생시 전파저항성이 열화될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1차 냉각시 냉각속도가 10℃/s 이상인 경우에는 표층부에 다량의 베이나이트가 형성되어 우수한 냉간가공성 및 내 SSC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냉각시 냉각속도는 0.1℃/s이상~10℃/s미만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차 냉각은 ?칭을 하되 강재의 통판속도를 높이고, 분사되는 물의 유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이루어지거나, 공냉 공정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1차 냉각된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강재 표면온도 기준으로 50℃/s 이상의 냉각속도로 2차 냉각한다. 상기 2차 냉각은 강냉을 통해 표층부 이외의 영역의 미세조직 즉, 강재의 중심부의 미세조직이 90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2차 냉각시 냉각속도가 50℃/s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저온변태 조직 및 분율을 얻기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2차 시 냉각속도의 상한에 대해서 특별한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2차 냉각시 냉각속도는 200℃/s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냉각은 ?칭을 하되 강재의 통판속도를 늦추고, 분사되는 물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2차 냉각된 열연강재를 550~700℃로 가열하여 5~60분간 유지하는 템퍼링 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템퍼링 열처리를 통해 저온변태 조직인 마르텐사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의 전위밀도를 감소시키고, 탄소를 단범위로 확산시킴으로써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템퍼링 열처리 온도가 550℃ 미만인 경우에는 탄소의 확산이 충분하지 않아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인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c1이상 온도에서의 역변태로 인해 프레쉬 마르텐사이트(Fresh Martensite)가 형성되어 인성 및 내 SSC 특성이 극히 열화될 수 있다. 상기 템퍼링 열처리 시간이 5분 미만일 경우에는 템퍼링 과정에서 탄소가 충분히 확산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므로 강도가 지나치게 초과되어 인성이 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강도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상기 템퍼링 열처리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가열로 인하여 시멘타이트가 구상화되어 강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템퍼링 열처리는 550~700℃로 가열하여 5~60분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합금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100℃에서 재가열한 후,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열간압연 및 냉각하고, 650℃에서 30분간 템퍼링 열처리하여 80mm 두께의 열연강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열간압연 후에는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냉각한 후, 890℃에서 30분간 재가열하는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냉각시 1차 냉각정지온도는 700℃였으며, 2차 냉각정지온도는 27℃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열연강재에 대해 미세조직, 표층부 전위밀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표층부 균일 연신율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미세조직의 측정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 및 분석하였다.
상기 표층부 전위밀도는 XRD (X-ray diffraction)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는 인장시험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표층부 균일 연신율은 표층부만 별도로 가공하여 시편을 채취 후 인장시험으로 측정하였다.
내 SSC 특성은 NACE TM0177에 따라, 시편에 대하여 실제항복강도의 90% 하중을 인가하면서 1기압 H2S 가스로 포화된 5%NaCl+0.5%CH3COOH 용액에 720시간 동안 침지한 뒤, 상기 시편이 파단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강종No. | 합금조성(중량%) | ||||||||||||||
C | Si | Mn | Al | P | S | Nb | V | Ti | Cr | Mo | Cu | Ni | Ca | Ceq | |
발명강1 | 0.16 | 0.35 | 1.13 | 0.035 | 80 | 8 | 0.007 | 0.006 | 0.001 | 0.50 | 0.13 | 0.05 | 1.8 | 35 | 0.60 |
발명강2 | 0.15 | 0.31 | 1.14 | 0.031 | 70 | 6 | 0.010 | 0.008 | 0.011 | 0.57 | 0.12 | 0.08 | 1.9 | 31 | 0.61 |
발명강3 | 0.18 | 0.33 | 1.35 | 0.030 | 81 | 7 | 0.008 | 0.015 | 0.008 | 0.89 | 0.08 | 0.08 | 2.0 | 27 | 0.74 |
발명강4 | 0.14 | 0.35 | 1.19 | 0.036 | 70 | 8 | 0.013 | 0.013 | 0.012 | 0.91 | 0.10 | 0.15 | 2.1 | 29 | 0.69 |
발명강5 | 0.17 | 0.33 | 1.47 | 0.035 | 65 | 6 | 0.015 | 0.015 | 0.008 | 0.88 | 0.12 | 0.25 | 2.5 | 25 | 0.80 |
비교강1 | 0.35 | 0.36 | 1.15 | 0.030 | 70 | 7 | 0.020 | 0.012 | 0.006 | 0.79 | 0.11 | 0.08 | 2.3 | 25 | 0.88 |
비교강2 | 0.18 | 0.37 | 1.32 | 0.031 | 80 | 8 | 0.020 | 0.011 | 0.007 | 0.001 | 0.14 | 0.15 | 3.4 | 28 | 0.67 |
비교강3 | 0.06 | 0.30 | 1.36 | 0.030 | 80 | 8 | 0.015 | 0.010 | 0.011 | 0.63 | 0.14 | 0.13 | 3.5 | 23 | 0.68 |
단, P, S 및 Ca은 중량 기준 ppm 단위임 Ceq = C+Mn/6+(Cu+Ni)/15+(Cr+Mo+V)/5) |
구분 | 강종No. | 마무리 압연온도 (℃) |
패스당 평균 압하율 (%) |
1차 냉각속도 (℃/s) |
2차 냉각속도 (℃/s) |
발명예1 | 발명강1 | 851 | 14 | 0.87 | 57 |
발명예2 | 발명강2 | 839 | 12 | 3.45 | 58 |
발명예3 | 발명강3 | 870 | 13 | 2.64 | 63 |
발명예4 | 발명강4 | 888 | 13 | 1.83 | 71 |
발명예5 | 발명강5 | 860 | 13 | 2.35 | 69 |
비교예1 | 발명강1 | 1025 | 17 | 1.91 | 55 |
비교예2 | 발명강2 | 768 | 5 | 1.33 | 63 |
비교예3 | 발명강3 | 891 | 14 | 57 | 70 |
비교예4 | 발명강4 | 890 | 15 | 0.91 | 2 |
비교예5 | 발명강5 | 883 | 14 | 53 | 1 |
비교예6 | 비교강1 | 869 | 16 | 1.3 | 59 |
비교예7 | 비교강2 | 871 | 14 | 0.98 | 58 |
비교예8 | 비교강3 | 891 | 15 | 2.3 | 73 |
구분 | 미세조직 | 표층부 전위밀도 (×1014 /m2) |
항복강도 (MPa) |
인장강도 (MPa) |
표층부 균일 연신율(%) |
파단시작 시간(Hr) |
||
압연후 AGS (㎛) |
표층부 | 중심부 | ||||||
발명예1 | 22 | 100%F | 100%TM | 2.5 | 732 | 875 | 11 | 파단 미발생 |
발명예2 | 23 | 100%F | 100%TM | 2.7 | 722 | 877 | 10 | 파단 미발생 |
발명예3 | 27 | 100%F | 100%TM | 2.3 | 736 | 890 | 12 | 파단 미발생 |
발명예4 | 25 | 100%F | 100%TM | 2.6 | 757 | 887 | 11 | 파단 미발생 |
발명예5 | 26 | 100%F | 100%TM | 2.5 | 743 | 869 | 10 | 파단 미발생 |
비교예1 | 77 | 100%F | 100%TM | 2.5 | 691 | 790 | 11 | 17 |
비교예2 | 23 | 100%F | 100%TM | 19 | 891 | 1017 | 12 | 6 |
비교예3 | 27 | 100%TM | 100%TM | 50 | 810 | 903 | 13 | 9 |
비교예4 | 28 | 100%F | 15%F+70%P+15%TB | 27 | 504 | 630 | 5 | 파단 미발생 |
비교예5 | 24 | 100%TM | 15%F+30%P+55%TB | 51 | 763 | 889 | 13 | 16 |
비교예6 | 21 | 100%TB | 100%TM | 35 | 845 | 1039 | 4 | 5 |
비교예7 | 24 | 100%F | 100%TM | 2.0 | 650 | 708 | 12 | 파단 미발생 |
비교예8 | 23 | 100%F | 65%F+35%TB | 2.1 | 550 | 627 | 13 | 파단 미발생 |
TM: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TB: 템퍼드 베이나이트, F: 폴리고날 페라이트, P: 펄라이트 |
상기 표 1 및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5의 경우에는 표층부에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고, 표층부 전위밀도가 3×1014/m2이하의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우수한 강도, 표층부 균일 연신율 및 내 SSC 특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은 만족하나,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본 발명이 제안하는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 또는 표층부 전위밀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에 따라 강도, 표층부 균일 연신율 또는 내 SSC 특성이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 내지 8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제안하는 제조조건은 만족하나, 합금조성을 만족하지 않아 본 발명이 제안하는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 또는 표층부 전위밀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에 따라 강도, 표층부 균일 연신율 또는 내 SSC 특성이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Claims (9)
- 중량%로, 탄소(C): 0.08%초과~0.2%이하, 실리콘(Si): 0.05~0.5%, 망간(Mn): 0.5~2%,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01~0.03%, 바나듐(V): 0.001~0.03%, 티타늄(Ti): 0.001~0.03%, 크롬(Cr): 0.01~1%, 몰리브덴(Mo): 0.01~0.15%, 구리(Cu): 0.01~0.5%, 니켈(Ni): 0.05~4%, 칼슘(Ca): 0.0005~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전체 두께의 10%까지의 영역인 표층부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층부를 제외한 영역의 미세조직은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90면적% 이상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표층부의 전위밀도는 3×1014/m2이하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Ceq가 0.5이상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관계식 1] Ceq = C+Mn/6+(Cu+Ni)/15+(Cr+Mo+V)/5)
(단, 상기 관계식 1에서의 C, Mn, Cu, Ni, Cr, Mo, V는 중량%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두께가 6~100mm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표층부는 균일 연신율이 10% 이상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항복강도가 69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780MPa 이상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 중량%로, 탄소(C): 0.08%초과~0.2%이하, 실리콘(Si): 0.05~0.5%, 망간(Mn): 0.5~2%,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01~0.03%, 바나듐(V): 0.001~0.03%, 티타늄(Ti): 0.001~0.03%, 크롬(Cr): 0.01~1%, 몰리브덴(Mo): 0.01~0.15%, 구리(Cu): 0.01~0.5%, 니켈(Ni): 0.05~4%, 칼슘(Ca): 0.0005~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000~1200℃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800~950℃에서 패스당 평균 압하율 10% 이상으로 열간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공냉한 후, 800~950℃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열연강재를 700℃까지 강재 표면온도 기준으로 0.1℃/s이상~10℃/s미만의 냉각속도로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열연강재를 상온까지 강재 표면온도 기준으로 50℃/s 이상의 냉각속도로 2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2차 냉각된 열연강재를 550~700℃로 가열하여 5~60분간 유지하는 템퍼링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Ceq가 0.5이상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관계식 1] Ceq = C+Mn/6+(Cu+Ni)/15+(Cr+Mo+V)/5)
(단, 상기 관계식 1에서의 C, Mn, Cu, Ni, Cr, Mo, V는 중량%임.)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은 5~60분간 행하여지는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 후, 열연강재의 오스테나이트 평균 결정립도는 30㎛ 이하인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3164A KR102131538B1 (ko) | 2018-11-30 | 2018-11-30 |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CN201980078203.3A CN113166897B (zh) | 2018-11-30 | 2019-11-29 | 具有优异的可冷加工性和ssc抗力的超高强度钢及其制造方法 |
JP2021530175A JP7339339B2 (ja) | 2018-11-30 | 2019-11-29 | 冷間加工性及びssc抵抗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
EP19888857.0A EP3929323B1 (en) | 2018-11-30 | 2019-11-29 | Ultrahigh-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cold workability and ssc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PCT/KR2019/016706 WO2020111863A1 (ko) | 2018-11-30 | 2019-11-29 |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US17/294,572 US20220002851A1 (en) | 2018-11-30 | 2019-11-29 | Ultrahigh-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cold workability and ssc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3164A KR102131538B1 (ko) | 2018-11-30 | 2018-11-30 |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6512A true KR20200066512A (ko) | 2020-06-10 |
KR102131538B1 KR102131538B1 (ko) | 2020-07-08 |
Family
ID=7085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3164A KR102131538B1 (ko) | 2018-11-30 | 2018-11-30 |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02851A1 (ko) |
EP (1) | EP3929323B1 (ko) |
JP (1) | JP7339339B2 (ko) |
KR (1) | KR102131538B1 (ko) |
CN (1) | CN113166897B (ko) |
WO (1) | WO202011186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9497A (ko) * | 2020-12-21 | 2022-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WO2024136088A1 (ko) * | 2022-12-22 | 2024-06-27 | 주식회사 포스코 |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8039B1 (ko) * | 2020-08-12 | 2022-07-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초고강도 철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40756B1 (ko) * | 2020-12-15 | 2022-09-08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 경도가 낮고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TWI767815B (zh) * | 2021-08-05 | 2022-06-11 |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 耐磨鋼板及其製造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6044A (ja) * | 2004-03-10 | 2005-09-22 | Jfe Steel Kk | 加工性および塗装後耐食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026903A (ko) * | 2009-09-09 | 2011-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2241273A (ja) * | 2011-05-24 | 2012-12-10 | Jfe Steel Corp | 耐圧潰性および耐サワー性に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333854B1 (ko) * | 2009-01-30 | 2013-11-27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저온 인성이 우수한 후육 고장력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KR20160143732A (ko) | 2014-04-24 | 2016-12-14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JP2017002384A (ja) * | 2015-06-15 | 2017-01-05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耐スポット溶接部破断特性に優れ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09151B2 (ja) * | 2009-03-10 | 2015-04-30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2828125B (zh) * | 2011-06-14 | 2014-09-03 | 鞍钢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应变设计的管线用钢x70及其制造方法 |
MX360333B (es) * | 2011-07-29 | 2018-10-29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 Lamin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excelente en resistencia al impacto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y lamiana de acero galvanizada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
BR112015005440B1 (pt) * | 2012-09-13 | 2019-07-30 | Jfe Steel Corporation | Chapa de aço laminada a quente e método para fabricar a mesma |
KR101728789B1 (ko) * | 2013-04-04 | 2017-04-20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열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WO2015120189A1 (en) * | 2014-02-05 | 2015-08-13 | Arcelormittal S.A. | Production of hic-resistant pressure vessel grade plates using a low-carbon composition |
JP6472315B2 (ja) * | 2014-05-22 | 2019-02-20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厚鋼板 |
KR101736638B1 (ko) * | 2015-12-23 | 2017-05-30 | 주식회사 포스코 | 수소유기 균열 (hic)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MX2018011871A (es) * | 2016-03-31 | 2018-12-17 | Jfe Steel Corp | Lamina de acero, lamina de acero recubierta, metodo para producir lamina de acero laminada en caliente, metodo para producir lamina de acero laminada en frio de dureza completa, metodo para producir lamina tratada termicamente, metodo para producir lamina de acero y metodo para producir lamina de acero recubierta. |
JP6665822B2 (ja) * | 2017-03-30 | 2020-03-13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を用いた高強度鋼管 |
JP6859835B2 (ja) * | 2017-05-01 | 2021-04-14 | 日本製鉄株式会社 | 鋼材及び油井用継目無鋼管 |
-
2018
- 2018-11-30 KR KR1020180153164A patent/KR1021315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1-29 JP JP2021530175A patent/JP7339339B2/ja active Active
- 2019-11-29 US US17/294,572 patent/US20220002851A1/en active Pending
- 2019-11-29 CN CN201980078203.3A patent/CN113166897B/zh active Active
- 2019-11-29 WO PCT/KR2019/016706 patent/WO2020111863A1/ko unknown
- 2019-11-29 EP EP19888857.0A patent/EP39293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6044A (ja) * | 2004-03-10 | 2005-09-22 | Jfe Steel Kk | 加工性および塗装後耐食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333854B1 (ko) * | 2009-01-30 | 2013-11-27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저온 인성이 우수한 후육 고장력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026903A (ko) * | 2009-09-09 | 2011-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2241273A (ja) * | 2011-05-24 | 2012-12-10 | Jfe Steel Corp | 耐圧潰性および耐サワー性に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60143732A (ko) | 2014-04-24 | 2016-12-14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JP2017002384A (ja) * | 2015-06-15 | 2017-01-05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耐スポット溶接部破断特性に優れ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9497A (ko) * | 2020-12-21 | 2022-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WO2022139191A1 (ko) * | 2020-12-21 | 2022-06-30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WO2024136088A1 (ko) * | 2022-12-22 | 2024-06-27 | 주식회사 포스코 |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339339B2 (ja) | 2023-09-05 |
EP3929323A4 (en) | 2022-01-05 |
EP3929323B1 (en) | 2023-10-25 |
CN113166897A (zh) | 2021-07-23 |
EP3929323C0 (en) | 2023-10-25 |
CN113166897B (zh) | 2022-08-26 |
US20220002851A1 (en) | 2022-01-06 |
EP3929323A1 (en) | 2021-12-29 |
KR102131538B1 (ko) | 2020-07-08 |
WO2020111863A1 (ko) | 2020-06-04 |
JP2022510214A (ja) | 2022-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6638B1 (ko) | 수소유기 균열 (hic)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JP7240486B2 (ja) | 優れた硬度と衝撃靭性を有する耐摩耗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277648B2 (ja) |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 |
KR102131538B1 (ko) |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CN108342655B (zh) | 一种调质型抗酸管线钢及其制造方法 | |
KR20110060449A (ko) |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JP2023506822A (ja) | 低温衝撃靭性に優れた高硬度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344073B2 (ja) | 高温強度に優れた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5139517A (ja) | 高強度高靭性厚鋼板の製造方法 | |
KR102164116B1 (ko) |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64110B1 (ko) | 황화물 응력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98135B1 (ko) | 황화물 응력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JP7197699B2 (ja) | 水素誘起割れ抵抗性に優れた圧力容器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265008B2 (ja) | 水素誘起割れ抵抗性に優れた圧力容器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327065B2 (ja) |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調質型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 |
KR100825650B1 (ko) | 판 변형특성이 우수한 저 Mo형 후물광폭 후판 및 그제조방법 | |
KR20200047081A (ko) | 황화물 응력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 |
KR100431848B1 (ko) |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고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
US20240360533A1 (en) | Steel having excellent hydrogen-induced cracking resistance and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2164094B1 (ko) | 황화물 응력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 |
KR20230090416A (ko) | 수소유기균열 저항성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100530A (ko) |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EP4079906A1 (en) | Structural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114761599A (zh) | 抗硫化物应力腐蚀开裂性优异的钢材及其制造方法 | |
KR19980053468A (ko) | 항복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고연성 열연 변태유기소성강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