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338A -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338A
KR20200065338A KR1020180151703A KR20180151703A KR20200065338A KR 20200065338 A KR20200065338 A KR 20200065338A KR 1020180151703 A KR1020180151703 A KR 1020180151703A KR 20180151703 A KR20180151703 A KR 20180151703A KR 20200065338 A KR20200065338 A KR 20200065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sin composition
reinforced composite
composite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근
한혜진
김희영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338A/ko
Publication of KR2020006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3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Mw/Mn)가 2.2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70~93 중량%; 폴리우레탄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된 탄소섬유 1~20 중량%; 및 종횡비(aspect ratio)가 400:1 이하인 유리섬유 1~10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경량성, 기계적 강도 및 경제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강화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성형성과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복합 소재로, 자동차, 선박 및 항공 산업과,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섬유강화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 매트릭스에,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등의 섬유를 충전하여, 강성이나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섬유강화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소섬유가 고가인 점에서, 상기 탄소섬유 함량 증가시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수지 매트릭스와 탄소섬유 사이의 낮은 계면 접착력으로 인해, 조성물의 인장강도, 압축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섬유강화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및 계면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96966호(2005.10.06. 공개, 발명의 명칭: 탄소 섬유 강화 수지 복합 재료)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경량성, 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지 매트릭스 및 섬유 간 계면 접착력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수 안정성과 휨 및 뒤틀림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Mw/Mn)가 2.2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70~93 중량%; 폴리우레탄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된 탄소섬유 1~20 중량%; 및 종횡비(aspect ratio)가 400:1 이하인 유리섬유 1~10 중량%;를 포함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내지 2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용화제 0.5~5 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사이징제는 상기 탄소섬유 전체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는 길이가 1~15mm 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는 1:1 내지 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가 55 MPa 이상이고, ASTM D 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강도가 78 MPa 이상이며, ASTM D 256에 따라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 kgf·cm/cm 이상이며, ASTM D 1238(230℃, 2.16kg)에 따라 측정한 용융 지수(MI)가 43 g/10min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경량성, 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수지 매트릭스 및 섬유 간 계면 접착력이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과 휨 및 뒤틀림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 에서 상기 "내지"는, ≥ a 이고 ≤ b 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수지 매트릭스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93 중량% 포함된다. 상기 수지 매트릭스를 7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본 발명의 성형성, 내약품성 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9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5~9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9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2.2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분자량 분포(Mw/Mn)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 및 수평균분자량(Mn)을 측정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 값을 계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2.2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자량 분포는 2.2~10.0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법으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350,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00~350,000 g/mol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ASTM D 1238에 따라 230℃, 2.16kg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Melt-flow Index, MI)가 3~1,500 g/10min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유동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5~300 g/10min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시, 강성, 내충격성 및 경량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8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본 발명의 성형성, 내약품성과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5~7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용화제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상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폴리에틸렌 및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비극성의 수지 매트릭스와, 섬유 성분 사이에 계면결합력을 확보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충격보강제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에틸렌-부텐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프로필렌-부텐 고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EPDM) 및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내충격성, 조성물 제조시 분산성 및 혼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탄소섬유
본 발명의 탄소섬유는 폴리우레탄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사이징제 이용하여 표면 처리시 폴리우레탄 결합(-NHCOO-)으로 인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와의 수소 결합 사이트(site)가 증가되고, 상기 수지 매트릭스와 탄소섬유 사이 상용성 증가에 따라 계면결합력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고, 경량성 및 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탄소섬유를 작은 함량으로 포함하여도, 목표로 하는 기계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이징제는 상기 탄소섬유 전체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시, 상기 탄소섬유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계면 접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섬유의 길이는 1~15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성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0mm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mm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섬유의 직경은 1~20 ㎛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15 ㎛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5~1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섬유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 포함된다. 상기 탄소섬유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고강도 소재개발에 필요한 물성을 구현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되며, 상기 탄소섬유 첨가량 증가에 대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생산 단가만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유리섬유
상기 유리섬유는 기계적 강도 확보 및 휨 방지를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유리섬유는 종횡비(aspect ratio)가 400:1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종횡비가 400:1을 초과하는 유리섬유를 적용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저하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며, 치수 안정성 확보가 어려워 휨(warpage) 및 뒤틀림 증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횡비가 50:1~350:1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횡비가 50:1~250:1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1~15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분쇄 유리섬유(chopped glass fiber)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침상형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출성형 후 섬유의 배향에 따라 MD 및 TD 방향으로 수축이 발생하며, 상기 MD 및 TD 수축률 이에 따라 휨(warpage)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유리 장섬유(Long glass fiber, LGF) 대신, 상대적으로 종횡비(aspect ratio)가 낮은, 단섬유 형태의 유리 단섬유(Short glass fiber, SGF)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치수 안정성 확보와 휨(warpage) 및 뒤틀림 방지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 대비 많은 가닥 수의 탄소섬유를 복합 적용에 따라 섬유의 불규칙(무질서)한 배향 형성에 따라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계면 접착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사이징제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이징제는 상기 유리섬유 전체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시, 상기 유리섬유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계면 접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의 직경은 1~50㎛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25 ㎛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5~2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포함된다. 상기 유리섬유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등, 고강도 소재개발에 필요한 물성을 구현할 수 없으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유리섬유 첨가량 증가에 따른,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생산 단가만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는 1:1 내지 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 조성물 제조시 혼합성이 우수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5 내지 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1:1.5 내지 1: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지 조성물의 열가공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나, 추가적인 특성 부여를 목적으로 분산제, 난연제, 조색제 및 흐름성 개선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가 55 MPa 이상이고, ASTM D 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강도가 78 MPa 이상이며, ASTM D 256에 따라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 kgf·cm/cm 이상이고, ASTM D 1238(230℃, 2.16kg)에 따라 측정한 용융 지수(MI)가 43 g/10min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은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가 55~80 MPa 이고, ASTM D 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강도가 78~95 MPa 이며,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13 kgf·cm/cm 이며, ASTM D 1238(230℃, 2.16kg)에 따라 측정한 용융 지수(MI)가 43~55 g/10min일 수 있다.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이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성형 방법으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성분은 하기와 같다.
(A) 수지 매트릭스
(A1) 분자량 분포가 3.57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A2) 분자량 분포가 2.17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A3) 상용화제: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제조사: 롯데케미칼, 제품명: PH-200)을 사용하였다.
(B) 탄소섬유
(B1)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사이징제(3 중량%)로 표면 처리된 길이 1~6mm의 탄소섬유(제조사: ACECA, 제품명: ACECA-SP2)를 사용하였다.
(B2)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사이징제로 표면처리된 길이 1~6mm의 탄소섬유(제조사: ACECA, 제품명: ACECA-6EP)를 사용하였다.
(C) 유리섬유
(C1) 종횡비(aspect ratio)가 230:1인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C2) 종횡비가 450:1인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C3) 종횡비가 650:1인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준비한 다음, L/D (압출기의 전체 길이 및 지름의 비율) 40mm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압출기 다이(die) 전단의 온도: 210℃ 기준으로, 메인 피더(main feeder): 170℃까지, 약 0.5m 당 5~10℃씩 하강하여 온도를 조절하였다. 상기 메인 피더에는 수지 매트릭스(A) 성분을 투입하고, 사이드 피더(side feeder)에 나머지 성분을 투입하고, 최종 다이에서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토출하였다. 상기 토출된 조성물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다음, 펠렛타이져로 투입되어 커팅되어, 3 mm 이하의 펠렛 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 형태의 조성물은, 60~80℃ 건조기에서 4 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다음, 사출기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사출기의 스크류 말단부의 온도: 230℃를 기준으로, 호퍼(hopper)까지 약 0.3m 당 10℃씩 하강하며 온도를 조절하였다. 상기 건조된 펠렛을 사출기 스크류 내에서 용융 후, 사출 성형을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인장강도(MPa): ASTM D 638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MPa): ASTM D 790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3) 충격강도(kgf·cm/cm):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4" 두께 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4) 용융지수(g/10min): ASTM D 1238(230℃, 2.16kg)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사이징제로 표면처리된 탄소섬유를 적용한 비교예 1 및 분자량 분포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용한 비교예 4 보다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종횡비 범위를 초과한 유리섬유를 적용한 비교예 2~3의 경우, 상기 실시예 1에 비하여 용융지수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분자량 분포(Mw/Mn)가 2.2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70~93 중량%;
    폴리우레탄 사이징제로 표면 처리된 탄소섬유 1~20 중량%; 및
    종횡비(aspect ratio)가 400:1 이하인 유리섬유 1~10 중량%;
    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용화제 0.5~5 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산 그래프트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징제는 상기 탄소섬유 전체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로 포함되는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는 각각 길이가 1~15mm인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는 1:1 내지 1:5 중량비로 포함되는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은,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가 55 MPa 이상이고,
    ASTM D 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강도가 78 MPa 이상이며,
    ASTM D 256에 따라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 kgf·cm/cm 이상이며,
    ASTM D 1238(230℃, 2.16kg)에 따라 측정한 용융 지수(MI)가 43 g/10min 이상인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0180151703A 2018-11-30 2018-11-30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KR20200065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03A KR20200065338A (ko) 2018-11-30 2018-11-30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03A KR20200065338A (ko) 2018-11-30 2018-11-30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38A true KR20200065338A (ko) 2020-06-09

Family

ID=710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703A KR20200065338A (ko) 2018-11-30 2018-11-30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3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0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8034876B2 (en) Organic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nd organic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molded article
Bhaskar et al. Evaluation of properties of propylene-pine wood plastic composite
US6521693B2 (en) Long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EP2976381B1 (en) Bamboo fibers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EP3017003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glass fiber fillers
KR101526742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i et al.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in situ sub-micro-fibril blends as a matrix for wood plastic composites
US20150315371A1 (en) Pellet mixture, carbon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pellet mixture
IE20060931A1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wood-polyolefin composite
González-Sánchez et al. Enhanc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sourced biocomposites through peroxide induced crosslinking
KR101438917B1 (ko) 도장 접착성이 우수한 저비중 자동차 내장트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6649685B2 (en) Long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20200065338A (ko) 섬유강화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425975B1 (ko) 자동차 외장재 제조용 고분자 수지 블렌드 조성물, 자동차 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88739A (zh) 长纤维强化丙烯系树脂组合物和长纤维强化成型体
KR10229895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방법
KR101169147B1 (ko) 하수관용 폴리에틸렌 재생수지 조성물
KR102672945B1 (ko) 장섬유 강화 복합재료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12390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66423A (ko) 장섬유 강화 복합재료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28935B1 (ko) 합성목재 블렌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창호재
KR102529566B1 (ko) 경량 복합체 조성물 및 경량 복합체의 제조방법
Erkin et al. 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mechanical properties enhancement by PP-g-MAH.
KR102121106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복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