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318A -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318A
KR20200065318A KR1020180151671A KR20180151671A KR20200065318A KR 20200065318 A KR20200065318 A KR 20200065318A KR 1020180151671 A KR1020180151671 A KR 1020180151671A KR 20180151671 A KR20180151671 A KR 20180151671A KR 20200065318 A KR20200065318 A KR 2020006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ewage treatment
rental
bioreacto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204B1 (ko
Inventor
윤영내
김동석
이훈희
김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싸
Priority to KR102018015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2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02F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된 오수를 스크리닝하는 스크린조, 상기 스크리닝된 오수를 생물반응을 통해 정화하는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을 통해 정화된 오수를 필터링하는 막분리조 및 상기 필터링된 오수를 방류하는 방류부를 포함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NTAL}
본 발명은 렌탈형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오수처리장치의 경우, 건축주의 입장에서는 건축물의 인허가 문제와 불안전한 방류수질로 인한 문제가 있었고, 건설현장의 경우 공사기간 내 오수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설치뿐 아니라 현장 종료 시 폐기처리하는 데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폐기처리시에는 폐기대행업체를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과,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오수의 처리방법으로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많이 이용되는데, 일반적인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대부분이 활성슬러지법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활성슬러지법은 유기물의 제거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질소와 인의 처리효율이 현저히 낮으므로 자연수계에 부영양화를 유발하고 있다.
하수 중의 질소는 대부분 TKN(Total Kjeldahl Nitrogen) 형태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질산화 및 탈질의 2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진 생물학적방법에 의하여 처리된다. 질산화 단계에서는 호기성인 질산화균에 의해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질소가 아질산성질소를 거쳐 질산성 질소로 전환된다. 무산소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탈질 단계에서는 유리산소 대신 질산성 질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탈질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질산성 질소는 질소(N2)가스로 환원시키며, 결과적으로 질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됨으로써 제거된다. 탈질 반응은 유기물이 없이 진행될 수 있는데, 유기물이 없는 경우를 내생 탈질반응(Endogeneous Denitrification)이라 하고, 상기 내생 탈질반응은 탈질 속도가 느려 피처리수가 장시간 체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탈질반응은 유기물의 농도 및 종류에 의존한다.
인 성분은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이용하여 인산염의 형태로 인을 방출한 후, 호기상태에서 미생물이 상기 인을 과잉 섭취하고 세포내에 인의 함량이 높아진 상기 미생물을 잉여슬러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거된다. 한편,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한 인 방출을 위해서는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낮아야 한다. 질산성질소가 다량 존재하게 되면 질산성질소의 결합 산소로 인하여 인의 방출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상기 생물학적으로 하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 최종적으로 활성슬러지를 침전조에서 침전하고 처리된 상징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슬러지의 부상이나 사상균에 의한 벌킹 현상으로 상징수가 부유물질을 상당수 함유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처리수의 수질 악화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2581호, 2000.03.08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렌탈형 오수처리장치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된 오수를 스크리닝하는 스크린조, 상기 스크리닝된 오수를 생물반응을 통해 정화하는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을 통해 정화된 오수를 필터링하는 막분리조 및 상기 필터링된 오수를 방류하는 방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물반응조는, 하나 이상의 산기수단을 포함하는 폭기부 및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정화된 오수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분리조는, 오수를 필터링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분리막프레임 및 상기 분리막프레임에 교체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형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물반응조 및 상기 막분리조의 적어도 일부는 같은 공간을 공유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생물반응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산기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산기수단은 상기 분리막 주변의 오수에 대한 폭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산기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파츠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 및 세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체결홈이 구비된 다수의 소형결합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의 교체주기를 나타내는 교체주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는 오수에 포함된 성분을 감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을 손상시키는 성분이 감지되는 경우 변색되며,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 변색되는 경우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에 대응하는 파츠를 교체해야 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생물반응조와 막분리조를 결합함으로써 오수의 정화성능을 높이고, 한정적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탈 방식을 통해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설치와 유지관리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파츠의 분리 및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각 개인별로 필요한 환경에 맞는 커스터마이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시에도 대부분의 파츠나 탱크 등을 재활용할 수 있어, 폐기에 따른 비용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탈형 오수처리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렌탈형 오수처리장치의 오수처리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의 생물반응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의 막분리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렌탈이 가능한 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렌탈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존의 오수처리장치의 경우, 건축주의 입장에서는 건축물의 인허가 문제와 불안전한 방류수질로 인한 문제가 있었고, 건설현장의 경우 공사기간 내 오수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설치뿐 아니라 현장 종료 시 폐기처리하는 데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법적 방류 수질을 준수할 필요가 있고, 안정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해야 하였다.
폐기처리시에는 폐기대행업체를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과,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렌탈형 오수처리장치는 기존 시스템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설치뿐 아니라 유지관리와 폐기까지 용이하며, 폐기시에도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생물반응조와 막분리조를 결합하여 공간대비 정화효율을 높였고, 분리막의 카트리지화로 쉬운 막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오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렌탈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설치공간이나 기간,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전문적인 인력을 제공하여 수처리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 후에는 재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폐기물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수처리장치는 개인에게 대여 또는 판매되어 이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서술하고 있으나, 그 형태나 용도, 구조는 특정한 표현으로 인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렌탈시스템 또는 오수처리장치의 구조는 더 대규모의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고, 개인뿐 아니라 기업이나 기관 등에 렌탈 및 판매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오수처리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또한 이를 활용한 렌탈 및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탈형 오수처리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렌탈형 오수처리장치(100)는 스크린조(102), 생물반응조(104) 및 막분리조(106)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크린조(102)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장치를 포함한다. 스크린은 폐수처리의 첫 번째 공정으로,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부유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처리에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이물질로 인한 펌프 막힘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크린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드럼스크린, 바 스크린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스크린의 경우 망의 크기가 중요한데, 오수에 유분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스크린망에 달라붙어 스크린을 막을 수 있어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하게 되고, 스크린망이 너무 크다면 이물질을 충분히 걸러낼 수 없게 된다. 오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스크린이 있으므로, 이용목적에 따라 스크린의 망과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생물반응조(104)는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분해하는 것이다.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은 고분자를 저분자로, 저분자는 CO2와 물로 분해하여 슬러지를 줄이고, 물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다.
미생물은 고분자를 저분자로 부수고, 이어 CO2와 물로 분해한다. 이 과정에서 몸집을 불려 무거워지면 침전조나 가압부상조 벨트프레스, MBR 등의 필터로 걸러주기 용이하게 된다. 이후 필터를 이용하여 거름으로써 물을 깨끗하게 정화하는데, 이는 막분리조(106)에 포함된 막(필터)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렌탈형 오수처리장치의 오수처리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순서는 설명을 위하여 예시로서 선택된 것이고, 그 순서나 반복횟수 등은 실시 예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렌탈형 오수처리장치(100)는 유입부(110), 스크린부(120), 폭기부(130), 반송부(140), 분리막(150) 및 방류부(160)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부(110)는 오수를 오수처리장치(100) 내부로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유입부(11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이나 경로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오수는 스크린부(120)에 포함된 스크린들에 의하여 1차적으로 걸러진다. 스크린부(120)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조(102)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폭기부(130)는 하나 이상의 산기수단(예를 들어, 산기관)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잘게 부숴 오수에 공급함으로써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폭기는 에어레이션이라고도 하며, 오폐수의 에어레이션 공정은 물속에 공기를 넣어줌으로써, 오염성분의 호기성 분해가 가능하도록 한다.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미생물의 성장을 보조하고, 미생물은 유기물을 먹고 성장하여 가라앉게 된다. 가라앉은 미생물은 침전조에서 반송되어 분해된다.
에어레이션을 통해 잘 가라앉는 성질을 갖는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며, 또한 박테리아의 생분해에도 산소가 사용된다. 박테리아는 산소를 이용하여 탄소를 가지고 있는 유기물들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한다. 산소가 부족하면 부패를 통한 분해가 일어나므로, 악취가 나고 분해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산기수단은 공기를 잘게 부술수록 그 효과가 좋으나, 구멍이 작을수록 슬러지에 의해 막히기 쉬운 단점이 있다. 산기관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디스크형, 튜브형이 있으며, 또한 고무재질과 멤브레인 재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멤브레인의 경우 터져서 그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디스크의 경우 고무가 경화되어 벌어져 그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산기관 및 이와 연결된 산기수단은 모듈화되어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산기관이나 산기수단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부분만을 분리하여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해당 오수처리장치를 폐기하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한 모듈들을 따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탱크와 내부 구성요소들을 분리 및 재조립할 수 있어 보수 및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100)는 렌탈용 오수처리장치의 성질을 가지므로, 이러한 모듈화된 부품들의 분해, 교체 및 재조립을 통해 렌탈 전후의 장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송부(14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과정의 적어도 일부 사이클을 다시 수행하기 위하여 처리된 오수를 반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부(140)는 폭기부(130)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정화된 오수를 다시 유입부(110)로 돌려보내는 펌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반송부(140)는 미생물이 이물질을 분해하여 침전되는 경우, 침전물을 걸러내거나 침전물과 섞이지 않은 위쪽의 오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오수처리장치(100) 내의 구분된 다른 탱크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번 이상의 반송과정을 통해 오수의 정화작업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점차로 감소하며 오수의 정화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5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며, 필터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막(150)은 필터 프레임에 카트리지형으로 교체 가능한 필터를 삽입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교체주기마다 카트리지형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류부(160)는 분리막(150)에서 필터링되어 정화된 물을 방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방류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수단과, 방류를 위한 파이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오수처리장치(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오수처리장치(100)에 대응하며, 이는 오수처리장치(200)의 종단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수처리장치(200)는 오수가 유입되는 공간, 스크린조(202) 및 막분리조(204)를 포함한다.
오수처리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산기수단(220, 222 및 224)과 스크린(210), 분리막 프레임(240) 및 분리막 프레임(240)에 삽입되는 필터 카트리지(242), 필터링된 오수를 방류부(260)로 이동시키는 펌프(250), 반송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부(230)는 막분리조(204) 공간의 오수를 다른 탱크로 펌프를 통해 이동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막분리조(204) 공간에서 산기수단(220)과 함께 생물반응을 통해 오수를 정화하고, 이후 이를 다른 공간으로 반송하여 다시 산기수단(222)과 함께 생물반응을 통해 오수를 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한 번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스크린조(202)는 유입된 오수를 스크리닝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후 이물질이 걸러내진 오수는 막분리조(204)에서 정화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200)는 막분리조(204)에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막분리조(204)에는 하나 이상의 산기수단(220 및 224)이 마련되며, 그 중 일부(224)는 분리막 프레임(240)과 결합되거나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필터링 과정에서도 생물반을을 통한 정화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수의 정화성능과 정화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수처리장치(200)의 한정적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의 생물반응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수처리장치(300)는 산기관(310) 및 산기수단(320)을 포함하는 생물반응조를 포함한다. 산기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산기수단(320)을 통해 잘게 쪼개져 오수에 공급되고, 이로부터 미생물들이 오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의 막분리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오수처리장치(400)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며, 또한 막분리조는 생물반응조와 결합되어 함께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분리막(430)은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트리지형 필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형 필터는 오수처리장치(400)의 상부에 구비된 개폐가능한 통공을 통해 프레임에 삽입 및 교체될 수 있다.
분리막(430)의 하단에는 산기수단(420)이 구비되고, 산기수단(420)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410)이 그 측면에 마련된다.
이로써 막분리조는 생물반응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생물반응조에서 정화된 오수는 막분리조의 분리막(430)을 통해 걸러진 후 방류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오수처리장치에 포함된 분리막, 산기수단, 펌프, 파이프 등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파츠로 구성되며, 따라서 카트리지형 필터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교체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각각의 파츠는 동일한 구성요소(예를 들어, 산기수단)에 있어서도 용도나 내구성, 효과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렌탈시에 개인별 니즈에 따라 파츠를 교체하여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파츠 각각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체결홈이 구비된 다수의 소형결합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결합부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회전결합이나 홈을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이 결합부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의 교체주기를 나타내는 교체주기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체주기 표시부는 서로 다른 파츠의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는 지점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는 오수에 포함된 성분을 감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을 손상시키는 성분이 감지되는 경우 변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 변색되는 경우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에 대응하는 파츠를 교체해야 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혹은 유지보수 담당자는 고장이 발생하거나 성능이 떨어지기 전에 파츠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수처리장치에는 IoT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IoT 통신 모듈은 셀룰러/논 셀룰러 통신수단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오수처리장치 내부의 상태를 인식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수처리장치 내의 오수의 적하량이나 현재 정화중인 오수의 단계 및 상태, 유입되는 오수의 오염도 및 방류되는 오수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오수처리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반하여 측정될 수 있고, 센서는 디지털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화학적 반응에 기반하여 오수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오염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염도 측정부는 오수가 유입되는 곳과 방류되는 곳뿐 아니라, 필터의 전후에도 배치되어 각 필터와 오수처리장치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IoT 통신 모듈은 오수처리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파츠나 카트리지형 필터 등의 교체주기에 대한 정보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오수처리장치를 이용한 렌탈 서비스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렌탈 서비스 플랫폼은 상술한 IoT 통신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파츠나 카트리지형 필터 등의 교체주기가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니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오수처리장치를 커스터마이징하고, 해당 정보를 견적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교체나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IoT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방문진단 및 수리일정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오수처리장치의 렌탈이 종료되는 경우, 플랫폼 서버는 이용가능한 파츠와 폐기하여야 할 파츠를 결정하고, 렌탈 종료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있는 새로운 렌탈요청정보 중 기존의 이용가능한 파츠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렌탈요청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매칭된 렌탈요청정보에 대하여 견적을 송부하되, 기존에 이용가능한 파츠를 재활용하는 경우의 비용할인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고, 이 경우 각 파츠의 교체주기에 대한 정보 또한 함께 안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102 : 스크린조
104 : 생물반응조
106 : 막분리조

Claims (7)

  1.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된 오수를 스크리닝하는 스크린조;
    상기 스크리닝된 오수를 생물반응을 통해 정화하는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을 통해 정화된 오수를 필터링하는 막분리조; 및
    상기 필터링된 오수를 방류하는 방류부; 를 포함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는,
    하나 이상의 산기수단을 포함하는 폭기부; 및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정화된 오수를 반송하는 반송부; 를 포함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는,
    오수를 필터링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분리막프레임; 및
    상기 분리막프레임에 교체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형 필터; 를 포함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 및 상기 막분리조의 적어도 일부는 같은 공간을 공유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생물반응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산기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산기수단은 상기 분리막 주변의 오수에 대한 폭기를 수행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산기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파츠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 및 세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체결홈이 구비된 다수의 소형결합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의 교체주기를 나타내는 교체주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는 오수에 포함된 성분을 감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츠 각각을 손상시키는 성분이 감지되는 경우 변색되며,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 변색되는 경우 상기 교체주기 표시부에 대응하는 파츠를 교체해야 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KR1020180151671A 2018-11-30 2018-11-30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KR10216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671A KR102160204B1 (ko) 2018-11-30 2018-11-30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671A KR102160204B1 (ko) 2018-11-30 2018-11-30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18A true KR20200065318A (ko) 2020-06-09
KR102160204B1 KR102160204B1 (ko) 2020-09-25

Family

ID=7108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671A KR102160204B1 (ko) 2018-11-30 2018-11-30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2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81Y1 (ko) 1999-09-06 2000-05-15 주식회사효성 오수처리장치
KR200295682Y1 (ko) * 2002-08-12 2002-11-23 송기수 폐수처리장용 폭기장치
KR200399112Y1 (ko) * 2005-08-01 2005-10-20 김애리 오·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제거장치
KR101538772B1 (ko) * 2013-12-23 2015-07-22 주식회사 에코니티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KR20180055510A (ko) * 2016-11-17 2018-05-25 코웨이 주식회사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81Y1 (ko) 1999-09-06 2000-05-15 주식회사효성 오수처리장치
KR200295682Y1 (ko) * 2002-08-12 2002-11-23 송기수 폐수처리장용 폭기장치
KR200399112Y1 (ko) * 2005-08-01 2005-10-20 김애리 오·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제거장치
KR101538772B1 (ko) * 2013-12-23 2015-07-22 주식회사 에코니티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KR20180055510A (ko) * 2016-11-17 2018-05-25 코웨이 주식회사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204B1 (ko)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8823A1 (zh) 一体化同步硝化反硝化污水处理装置
US8679339B2 (en) Refuse landfill leachat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technology
WO2017088824A1 (zh) 一体化生物过滤污水处理装置
WO2017088825A1 (zh) 一体化前置反硝化污水处理装置
CN103864264B (zh) 一种光催化复合膜生物反应器的水处理方法及设备
CN107531527B (zh) 水处理系统及水处理方法
CN210340609U (zh) 一种工业园废水处理系统
CN110228905A (zh) 一种废水处理站及废水处理方法
EP1440944A1 (en)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CN201301254Y (zh) 埋地式微动力污水处理装置
CN106007227A (zh) 一种污水处理方法
CN215327544U (zh) 一种a2/o、mbr消毒一体化系统
CN204039224U (zh) 一种uct-mbr联用污水处理反应器
CN105800876A (zh) 农村污水一体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2160204B1 (ko) 렌탈형 오수처리장치
CN106082433A (zh) 生物固载型膜生物单元反应器
CN208200666U (zh) 地埋装配式cggc-uct一体化农村污水处理设备
CN209619105U (zh) 一种基于mbr膜处理的医疗废水处理系统
CN116282728A (zh) 一种污水深度脱氮除磷处理工艺
KR100992321B1 (ko)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CN110950489A (zh) 一种高速公路服务区生活污水智能一体化处理设备及工艺
CN102745832B (zh) 一种将城镇污水处理为生态景观用水的水处理方法
CN202279757U (zh) 污水处理回用一体化设备
CN114409204A (zh) 一种废水自动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0340502C (zh) 一种污水再生利用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