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287A -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287A
KR20200065287A KR1020180151602A KR20180151602A KR20200065287A KR 20200065287 A KR20200065287 A KR 20200065287A KR 1020180151602 A KR1020180151602 A KR 1020180151602A KR 20180151602 A KR20180151602 A KR 20180151602A KR 20200065287 A KR20200065287 A KR 20200065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064B1 (ko
Inventor
이재용
이병주
정은비
이민택
왕지형
정대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to KR102018015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보표시 조명부, 임의의 시점에 변경될 수 있는 비-재난 정보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제1 및 제2 메모리부들 및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상기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다가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면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정보 및 조명 간의 대조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상기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표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난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재난상황에 관한 정보와 함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SMART LIGHTING APPARATUS FOR URGENT RESPONSE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재난상황에 관한 정보와 함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일정 영역에 빛을 투사하여 조명 영역을 형성해줌으로써 저녁 또는 야간과 같이 어두운 상황에서도 주변을 지나는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시야 확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야외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판 또는 도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9449호는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상부에서는 주변을 광범위하게 조명하고,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하부에서는 도로면으로 문자 또는 도형 등의 메시지를 조명하여 경관조명과 함께 도로의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1428호는 지능형 파사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에 이미지 데이터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바닥에 투사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9449호 (2017.10.27) 한국등록특허 제10-1681428호 (2016.11.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난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재난상황에 관한 정보와 함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난 발생시 단계적으로 결정되는 주변 밝기 레벨에 따라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변 밝기 레벨에 따라 보정되는 대조 레벨을 기초로 정보와 조명의 선별적 제공이 가능한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는 정보표시 조명부, 임의의 시점에 변경될 수 있는 비-재난 정보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제1 및 제2 메모리부들 및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상기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다가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면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정보 및 조명 간의 대조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상기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표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비-재난 정보에 관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면서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별로 상기 조명의 제1 기준 밝기를 다르게 결정하고 상기 텍스트의 글자수,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 및 상기 영상의 길이에 따라 각각 상기 제1 기준 밝기를 분할한 복수개의 제2 기준 밝기들 중 하나를 최종 주변 밝기 레벨로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침수, 정전, 지진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대조 레벨에 대해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와 상기 조명의 투영면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보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이 높을수록 상기 정보가 상기 조명보다 강조되고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이 낮을수록 상기 조명이 상기 정보보다 강조되도록 상기 대조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비-재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 상기 재난 상황의 감지 시점의 시각, 날씨 등급 및 계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하는 밝기 레벨 결정 모듈 및 상기 제2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재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제공하는 재난 정보 제공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는 배터리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제공되는 상시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상시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배터리 전력을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에만 일시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로부터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에 관한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 전력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상시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배터리 전력을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에만 일시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로부터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에 관한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 전력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는 재난 발생시 단계적으로 결정되는 주변 밝기 레벨에 따라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는 주변 밝기 레벨에 따라 보정되는 대조 레벨을 기초로 정보와 조명의 선별적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정보표시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조명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정보표시 처리부에서 수행되는 정보표시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100)은 스마트 조명(110), 스마트 조명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비상 배터리(170)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110)은 일정한 영역에 대해 정보와 조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조명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조명(110)은 대표적으로 가로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 및/또는 벽면 등과 같은 투영면에 조명이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조명(110)은 도 1과 달리 스마트 조명 장치(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스마트 조명(110)은 스마트 조명 장치(130)를 구성하는 정보표시 조명부(2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조명(110)은 광역 영역에 대한 광역조명과 함께 광역 영역 내에 있는 협역 영역에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정보는 재난 정보 또는 비-재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재난 정보는 지진, 화재,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비-재난 정보는 재난이 아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 광고, 기업 로고, 브랜드 로고, 교통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역 영역은 조명이 직접적으로 투영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고, 조명의 종류, 투영면과의 거리 등에 따라 광역 영역의 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협역 영역은 조명이 투영되는 영역 내에서 특정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정상 상황에서는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다가 재난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미리 설정된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스마트 조명(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조명(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스마트 조명(110)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를 구성하는 메모리부(2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가 스마트 조명(110)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재난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재난 정보와 비-재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조명 장치(130)가 스마트 조명(110)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비상 배터리(17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가 재난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비상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비상 배터리(17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배터리(170)는 도 1과 달리, 스마트 조명 장치(130)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비상 배터리(17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를 구성하는 배터리부(240) 및 배터리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 메모리부(220), 정보표시 처리부(230), 배터리부(240), 배터리 관리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표시 조명부(210)는 메모리에 저장된 비-재난 정보 또는 재난 정보를 조명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정보표시 조명부(210)는 조명을 투사할 수 있는 조명 장치, 텍스트와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구성된 정보를 투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복수의 조명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조명과 복수개의 보조조명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조명부(210)는 광역 영역에 대한 광역조명과 함께 광영 영역 내에 있는 협역 영역에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표시 조명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부(260)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부(220)는 임의의 시점에 변경될 수 있는 비-재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메모리부와 재난 상황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된 재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메모리부와 제2 메모리부는 각각 독립 별개의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의 메모리 영역 내에서 구분되는 독립 영역으로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2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와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고,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150)의 일부 영역에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다가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면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정보 및 조명 간의 대조 레벨을 제어하여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주요 기능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정상 상황에서는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고 비상 상황에서는 재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비-재난 정보에 관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면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별로 조명의 제1 기준 밝기를 다르게 결정하고 텍스트의 글자수, 이미지의 해상도 및 영상의 길이에 따라 각각 제1 기준 밝기를 분할한 복수개의 제2 기준 밝기들 중 하나를 최종 주변 밝기 레벨로서 제어할 수 있다.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가 투사하는 조명과 정보를 제어할 수 있고, 특히, 비-재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하나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면서 조명의 밝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비-재난 정보가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인 경우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된 제1 기준 밝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기준 밝기는 비-재난 정보의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밝기에 해당할 수 있고, 각 유형에 따라 특정 값 또는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기준 밝기가 범위로 설정된 경우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텍스트의 글자수, 이미지의 해상도 및 영상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제2 기준 밝기들 중 하나를 최종 주변 밝기 레벨로서 결정할 수 있다. 제2 기준 밝기는 제1 기준 밝기가 범위로 설정된 경우 해당 제1 기준 밝기를 복수개로 분할한 부분 밝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텍스트의 글자수가 많을수록 글자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2 기준 밝기들 중에서 더 높은 밝기를 결정할 수 있고, 이미지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2 기준 밝기들 중에서 더 높은 밝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영상의 길이가 길수록 재생에 소요되는 배터리 전력이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2 기준 밝기들 중에서 더 낮은 밝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침수, 정전, 지진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온도 센서가 특정 온도 이상을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으로 감지할 수 있고, 습도 센서가 특정 습도 이상을 감지한 경우 침수 발생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진동 센서가 특정 진동 이상을 감지한 경우 지진 발생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센서가 특정 시간 이상 스마트 조명 장치(130)로의 전류 이동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정전 발생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복수의 센서들의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는 대조 레벨에 대해 정보표시 조명부(210)와 조명의 투영면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보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주변 밝기 레벨에 따라 1차적으로 결정된 대조 레벨에 2차적으로 보정 값을 적용하여 최종 대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표시 조명부(210)가 설치된 위치와 실제 조명이 투영되는 바닥면 및/또는 벽면까지의 직선 거리에 따라 반비례하는 보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1차적으로 결정된 대조 레벨보다 더 높은 대조 레벨을 최종 대조 레벨로 결정함으로써 바닥면 및/또는 벽면에 투사되는 정보가 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대조 레벨에 대해 정보표시 조명부(210)와 조명의 투영면 간의 거리에 따른 보정 값을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최종 대조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L = L0 * C
(2) C = k * loge D2
여기에서, L은 최종 대조 레벨을, L0는 주변 밝기 레벨에 따른 대조 레벨을, C는 보정 값을, D는 정보표시 조명부(210)와 조명의 투영면 간의 거리를, k는 비례 상수를 의미한다. 정보표시 조명부(210)와 조명의 투영면 간의 거리 D는 M 단위를 가질 수 있고, 보정 값 C는 거리 D의 제곱 값에 대한 자연 로그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최종 대조 레벨은 주변 밝기 레벨에 따른 대조 레벨에 보정 값 C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주변 밝기 레벨이 높을수록 정보가 조명보다 강조되고 주변 밝기 레벨이 낮을수록 조명이 정보보다 강조되도록 대조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정보표시 조명부(210)는 정보와 함께 조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정보와 조명의 적절한 대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주변 밝기 레벨이 낮을수록 조명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조명이 정보보다 강조되도록 대조 레벨을 결정할 수 있고, 반대로 주변 밝기 레벨이 높을수록 조명이 불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조명보다 정보가 강조될 수 있도록 대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조 레벨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정보와 조명의 교차하여 강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재난 상황별 조명의 색상을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경우 조명의 색상을 빨간색으로 설정하여 조명과 화재 정보가 교대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정전 상황이 발생한 경우 조명의 색상을 하얀색으로 설정하여 조명과 정전 정보가 교대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재난 상황 별로 대조 레벨의 교차 주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재난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비-재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 재난 상황의 감지 시점의 시각, 날씨 등급 및 계절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하는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 및 제2 메모리부로부터 재난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제공하는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모듈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배터리부(240)는 배터리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배터리부(240)는 배터리 전력이 모두 소모된 경우 재충전이 가능할 수 있으며, 스마트 조명 장치(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부(240)는 배터리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제공되는 상시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250)는 정보표시 처리부(230)에 의해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시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여 배터리 전력을 1차 제공할 수 있고, 1차 제공 이후 일정 시간 이상 상시전원에 이상이 없는 경우 2차 중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상시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된 경우에는 정보표시 처리부(230)와의 정보 교환없이도 자동으로 배터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부(250)는 상시전원이 차단된 경우 배터리 전력을 정보표시 처리부(230)에만 일시적으로 제공하고 정보표시 처리부(230)로부터 재난 상황의 발생에 관한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배터리 전력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상시전원의 차단으로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동작이 중단된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30) 전체에 전원을 제공하는 대신 정보표시 처리부(230)에만 일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전력량을 특정 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고, 정보표시 처리부(230)의 일시 동작에 의해 재난 상황의 발생에 관한 감지 결과를 직접 수신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배터리 전력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시전원의 순간적인 차단이 발생한 경우라도 정보표시 처리부(230)가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배터리 관리부(250)는 배터리 전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부(250)는 배터리부(240)의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전원으로부터 일시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부(250)는 배터리부(240)의 전력량이 총 전력량의 80%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량을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전원공급이 갑자기 차단되어 긴급한 전원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항상 배터리부(240)의 전력량이 일정 수준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정보표시 조명부(210), 메모리부(220), 정보표시 처리부(230), 배터리부(240) 및 배터리 관리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정보표시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 및 제어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은 비-재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정상 상황에서는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며, 비-재난 정보는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은 비-재난 정보에 관해 미리 정의된 제공 패턴에 따라 비-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은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은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전원 공급의 정상 여부,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신 신호 등을 기초로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은 재난 상황별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사전에 정의하여 재난 상황 발생 감지에 활용할 수 있다.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은 재난 상황의 감지 시점의 시각, 날씨 등급 및 계절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은 재난 상황의 감지 시점의 시각이 오전, 오후, 저녁 및 새벽인지에 따라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은 감지 시점의 날씨 등급이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및 매우 나쁨인지에 따라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은 외부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수신 받은 날씨 정보를 기초로 날씨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은 감지 시점의 계절 정보가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인지에 따라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은 제2 메모리부로부터 재난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은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재난 유형을 결정하고 제2 메모리부에 접근하여 재난 유형별 재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메모리부가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외부에 위치한 경우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390)은 정보표시 처리부(2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조명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를 통해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정보표시 처리부(230)를 통해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310).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정보표시 처리부(230)를 통해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정보 및 조명 간의 대조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330). 스마트 조명 장치(130)는 정보표시 처리부(230)를 통해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5는 도 2에 있는 정보표시 처리부에서 수행되는 정보표시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310)을 통해 비-재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단계 S510).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330)을 통해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530).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350)을 통해 재난 상황의 감지 시점의 시각, 날씨 등급 및 계절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50). 정보표시 처리부(230)는 재난 정보 제공 모듈(370)을 통해 제2 메모리부로부터 재난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표시 조명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570).
도 6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610)는 가로등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조명 장치(610)는 정보표시 조명부(210)를 통해 조명과 함께 정보를 투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표시 조명부(210)는 광역 영역에 대한 광역조명과 함께 광영 영역 내에 있는 협역 영역에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정보는 비-재난 정보 또는 재난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정보 표시 조명부(210)에 의해 투사되는 광역 영역 또는 협역 영역의 모양과 크기 및 위치 등은 스마트 조명 장치(13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110: 스마트 조명 130: 스마트 조명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비상 배터리
210: 정보표시 조명부 220: 메모리부
230: 정보표시 처리부 240: 배터리부
250: 배터리 관리부 260: 제어부
310: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 330: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
350: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 370: 재난 정보 제공 모듈
390: 제어 모듈
610: 스마트 조명 장치

Claims (8)

  1. 정보표시 조명부;
    임의의 시점에 변경될 수 있는 비-재난 정보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제1 및 제2 메모리부들; 및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상기 비-재난 정보를 제공하다가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면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정보 및 조명 간의 대조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상기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표시 처리부를 포함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비-재난 정보에 관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면서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별로 상기 조명의 제1 기준 밝기를 다르게 결정하고 상기 텍스트의 글자수,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 및 상기 영상의 길이에 따라 각각 상기 제1 기준 밝기를 분할한 복수개의 제2 기준 밝기들 중 하나를 상기 조명의 최종 주변 밝기 레벨로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침수, 정전, 지진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대조 레벨에 대해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와 상기 조명의 투영면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보정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이 높을수록 상기 정보가 상기 조명보다 강조되고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이 낮을수록 상기 조명이 상기 정보보다 강조되도록 상기 대조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는
    상기 비-재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비-재난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상황 발생 감지 모듈;
    상기 재난 상황의 감지 시점의 시각, 날씨 등급 및 계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밝기 레벨을 결정하는 주변 밝기 레벨 결정 모듈; 및
    상기 제2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재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제공하는 재난 정보 제공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정보표시 조명부에 제공되는 상시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상시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배터리 전력을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에만 일시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정보표시 처리부로부터 상기 재난 상황의 발생에 관한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 전력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KR1020180151602A 2018-11-30 2018-11-30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KR10212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602A KR102129064B1 (ko) 2018-11-30 2018-11-30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602A KR102129064B1 (ko) 2018-11-30 2018-11-30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287A true KR20200065287A (ko) 2020-06-09
KR102129064B1 KR102129064B1 (ko) 2020-07-01

Family

ID=7108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602A KR102129064B1 (ko) 2018-11-30 2018-11-30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70B1 (ko) * 2007-04-30 2009-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형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9166B1 (ko) * 2012-01-30 2013-06-2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KR101681428B1 (ko) 2015-10-05 2016-12-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파사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
KR20170119449A (ko) 2016-04-19 2017-10-27 성명섭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70B1 (ko) * 2007-04-30 2009-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형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9166B1 (ko) * 2012-01-30 2013-06-2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KR101681428B1 (ko) 2015-10-05 2016-12-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파사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
KR20170119449A (ko) 2016-04-19 2017-10-27 성명섭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064B1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2128B (zh) 一种显示通信事件的方法和装置
JP5086860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102330949B1 (ko) 스마트 엘이디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출력 방법
US9596734B2 (en) Anti-tampering daylight harvesting system
KR20220035667A (ko)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유동인구의 파악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251865B1 (ko) 옥외 지능형 무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29064B1 (ko)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
WO2020007103A1 (zh) 户外照明智能控制方法及系统
US2015011634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Device
US20170287298A1 (en) Multi-frame display for a fire protection and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102261903B1 (ko) 이중화 전원 및 데이터 처리방법에 의한 재난경보·안내표지판
KR100888442B1 (ko) 가로용 조명 장치
KR102180258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US2019022751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gital display monitoring and reporting
KR102437283B1 (ko)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US10560667B2 (en) Detection device, method for detection of an event, and computer program
CN114252085A (zh) 一种导航处理方法、装置以及设备
KR101681428B1 (ko) 지능형 파사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
CN116133201B (zh) 智能灯光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133206B (zh) 智控感知灯光环境控制方法
KR102437282B1 (ko)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US20090289802A1 (en) Automated Theater Warning Technique
US20200082744A1 (en) Self-supporting system and a method for the mass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 and digital advertising in public spaces
KR102414727B1 (ko) 미세먼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20060655A (ja) 内照式構造物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