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442B1 - 가로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가로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442B1
KR100888442B1 KR1020070006279A KR20070006279A KR100888442B1 KR 100888442 B1 KR100888442 B1 KR 100888442B1 KR 1020070006279 A KR1020070006279 A KR 1020070006279A KR 20070006279 A KR20070006279 A KR 20070006279A KR 100888442 B1 KR100888442 B1 KR 10088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ghting device
unit
street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454A (ko
Inventor
김억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 폴에 배치되어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입출력부 및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개선된 가로등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종래의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 시설로 한정적인 용도가 아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며, 다양한 기상 정보, 버스 노선, 택시 콜 등에 관한 교통 정보 및 음악, 영상 등의 디지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가로등, 디지털, 쥬크박스, LED

Description

가로용 조명 장치{APPARATUS FOR STREET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정보 입출력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b는 제1 정보 표시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c는 제2 정보 표시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어부 15 : 중앙 제어부
11 ~ 14 : 로컬 제어부 20 : 정보 관리부
30 : 서비스 플랫폼 40 : 정보 입력부
50 : 조명부 52 : 차량용 폴
54 : 보행자용 폴 60 : 정보 출력부
100 : 정보 입출력부 200 : 제1 정보 출력부
300 : 제2 정보 출력부 400 : 제3 정보 출력부
500 : 차량용 조명부
본 발명은 가로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경제성을 구비한 살고 좋은 인간 중심의 도시를 구현하고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가로용 조명 장치(Apparatus for Streetlight, or Streetlight)에 관한 것이다.
가로용 조명 장치라 함은 일반적으로 가로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서 설치한 조명시설을 일컫는다. 여기서 가로라 함은 차량용 도로의 가는 물론 보행자용 통행로의 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가로등이라 함은 조명을 위한 조명부만을 지칭하기도 하나 상기 조명부를 고정하기 위한 가로등 전주(또는 이하에서는 이를 폴(pole)이라고도 함)를 포함하여 가로등이라고도 불려진다.
따라서, 가로용 조명 장치 전체가 가로등으로 명명되어지기도 하지만, 보다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 가로용 조명 장치가 조명부와 가로등 전주(또는 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한 가로용 조명 장치는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 도로, 상업지구도로, 주택지구도로 등 설치 장소에 따라 그에 알맞는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가로용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는 고압 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 보통의 전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가로용 조명 장치는 도로 곳곳의 가나 유원지 등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교통의 안전이나 보안을 유지함에 일조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 시설로서의 역할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양한 장소에 수없이 많이 설치된 가로용 조명 장치를 인간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매체 또는 인터페이스로서 사용한다면 도시 생활이 더욱더 편리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로용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 시설로 한정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로용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상 정보, 교통 정보 및 음악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로용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및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가로 중 차량용 도로를 밝히기 위한 차량용 조명부; 및 상기 가로 중 보행자용 통행로를 밝히기 위한 보행자용 조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조명부는 LED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행자용 조명부도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정보는 버스 노선 또는 택시 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오존 지수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 폴에 배치되어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입출력부; 및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정보 입출력 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기상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1 모드; 교통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2 모드; 및 디지털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정보 표시부로 구별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의 경우 상기 제3 정보 표시부는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정보, 오존 지수 및 습도 중 어느 하나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보 표시부는 상기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정보, 오존 지수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의 정도를 색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LE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정보는 버스 노선 또는 택시 콜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교통 정보가 버스 노선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정보 표시부는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정보 표시부는 상기 도착 예정인 버스의 종류를 표현하는 색상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버스 정류소 명칭, 시간, 다음 버스의 정보, 연계 버스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정보가 택시 콜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제3 정보 표시부는 사용자가 택시 콜임을 인식할 수 있는 문자를 표시하는 LED일 수 있고,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상기 택시 콜임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출력부가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전자 결재에 관한 정보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선곡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며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 및 상기 인포메이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악 사이트와의 통신을 위한 USL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SL 서버는 전자 결재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전자 결재 시스템에 따라 결재함으로써 상기 음악 사이트에 억세싱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네트워크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를 구비하고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 결재 시스템에 따라 결재하고 소정의 음악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 및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를 서버로 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어 외부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 입력부;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가 상기 정보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풍향 또는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량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센서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동작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 및 터치 스크린 타입의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수정, 등록 또는 삭제하기 위한 정보 관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없이 예를 들어 도시되고 한정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제어부(10), 정보 관리부(20), 서비스 플랫폼(30), 정보 입력부(40), 조명부(50) 및 정보 출력부(6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정보 입력부(4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60)가 상기 정보 입력부(40)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에 기인한 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정보 입력 부(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정보 출력부(6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정보 관리부(20)는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의 운영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수정, 등록 또는 삭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네트워크 관리부(22) 및 서비스 빌더(24, 26)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반 컨텐츠의 등록, 삭제, 수정 뿐 아니라 서비스 룰(rule)의 정의 등을 제공하는 중앙 및 로컬 서비스 저작 도구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22)는 전체 가로등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빌더는 중앙 서비스 빌더(central service builder)(24) 및 로컬 서비스 빌더(local service builder)(26)로 구별되고, 상기 중앙 서비스 빌더(24)는 각 제어부(10)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를 저작하고 관리하는 부분이고, 상기 로컬 서비스 빌더(26)는 각 로컬의 컨텐츠 및 서비스를 저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으로 서비스를 전개하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 서버와 더불어 각 가로용 조명 장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정보 입력부(40)는 외부의 정보를 가로용 조명 장치 내부로 입력받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외부의 정보는 크게 두 가지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사용자의 행동과 무관한 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의 행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보이다.
전자를 입력받기 위한 부분은 풍량계 또는 온도계 또는 습도계(도 1에서는 대표적으로 풍량계(42)만 도시하였음)이고, 후자를 입력받기 위한 부분은 음성 인식 센서(44) 또는 동작 감지 센서(46) 등이다. 상기 음성 인식 센서(44)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동작 감지 센서(46)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조명부(50)는 차랑용 폴(52)에 배치되는 차량용 조명부(500)와 보행자용 폴(54)에 배치되는 보행자용 조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조명부(500) 및 보행자용 조명부(미도시)는 도로 즉 차량용 도로 및 보행자용 통행로를 밝혀 안전 및 안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정보 출력부(60)는 상기 정보 입력부(40)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정보 출력부(60)는 표시부(62) 및 음향 출력부(64)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62)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information panel)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64)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의 음향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 1에서의 제어부를 중앙 제어부와 복수 개의 로컬 제어부들로 구체화시킨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로등 네트워크는 중앙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 및 로컬 제어부(11 ~ 14)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가로 용 조명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를 구비하고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악 사이트 및 전자 결재 시스템과 연계된다. 그리고,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를 서버로 하여 네트워크 연결된다.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 및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에 관하여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용 폴(52, 54),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500) 및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100, 200, 300, 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로용 폴(52, 54)는 상기 가로 중 차량용 도로를 밝히기 위한 차량용 조명부(500)가 배치되는 차량용 폴(52)와 상기 가로 중 보행자용 통행로를 밝히기 위한 보행자용 조명부(미도시)가 배치되는 보행자용 폴(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조명부(500)는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로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행자용 조명부(미도시)도 상기 차량용 조명부(500)와 마찬가지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 소자로서는 LED가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표시부(100, 200, 300, 400)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정보는 버스 노선에 관한 정보이거나 택시 호출(이하에서는 택시 콜이라고도 함)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정보는 기상 정보 예를 들면,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정보, 오존 지수,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정보는 음악이나 영상 등의 디지털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정보 표시부(100, 200, 300, 400)는 크게 상기 입력으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입출력부(100)와,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200, 300, 400)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표시부(200, 300, 400)는 제1 정보 표시부(200), 제2 정보 표시부(300) 및 제3 정보 표시부(400)로 구별된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가 기상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모드를 제1 모드라고 하고, 교통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모드를 제2 모드라 하며, 디지털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모드를 제3 모드라 한다.
먼저, 상기 제1 모드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는 기상 정보인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정보, 오존 지수,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표시부들(200, 300, 400)도 상기 기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모드 중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상기 정보 표시부들(200, 300, 400)이 자외선 지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는 자외선 지수, 자외선 지수에 대응되는 행동 지침, 자외선 지수에 관련된 정보 콘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상기 자외선 지수의 정도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표시 소자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LED일 수 있다.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사항들이 자외선 지수에 관한 내용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외선 지수와 관련된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 소자를 구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LED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에서 표시하는 사항들 및 상기 정보 표시부(200, 300, 400)의 표시 예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자외선 지수가 0.0 ~ 2.9인 경우라면,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소정의 컬러(예를 들면 녹색)를 표시한다.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자외선 지수에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에서는 현재의 자외선 지수(예를 들면 0.5)를 표시하고, 자외선 지수가 낮으니 특별한 대책이 요구되지 않는다든지, 실외활동하기에 적당한 자외선 지수이므로 간단한 운동이나 산책을 권장한다는 등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출력부(200)는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고, 추가로 요구되어지는 자외선 지수 관련 정보가 있다면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지수에 따라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상기 정보 표시부(200, 300, 400)에서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 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모드 중,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상기 정보 표시부들(200, 300, 400)이 기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는 기온, 현재 기온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상기 기온의 온난/한랭 정도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사항들이 기온에 관한 내용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온에 관한 아이콘이나 현재의 기온을 숫자로 직접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에서 표시하는 사항들 및 상기 정보 표시부(200, 300, 400)의 표시 예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현재의 기온이 영하 7℃ 이하인 경우라면,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소정의 컬러(예를 들면 분홍색)를 표시한다.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의 컬러는 기온의 범위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하 7℃ 이하의 경우 분홍색, 영하 7℃ 초과 7℃ 이하의 경우에는 파랑색, 7℃ 초과 21℃ 이하는 녹색, 21℃ 초과 28℃ 이하는 노란색, 및 28℃ 초과는 주황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기온에 관련된 아이콘이나 기온 수치(예를 들어, 현재의 기온이 영하 8℃라고 한다면 - 8 이라는 숫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에서는 현재의 기온 수치(- 8)를 표시하고, 추운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에 관한 정보 또는 감기 예방 정보 또는 동파 예방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도 상기 기온의 범위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출력부(200)는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고, 추가로 요구되어지는 기온 관련 정보가 있다면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온에 따라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상기 정보 표시부(200, 300, 400)에서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상기 정보 표시부(200, 300, 400)는 자외선 지수, 기온 뿐 아니라 황사 정보, 오존 지수, 습도 등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는 교통 정보 예를 들면, 버스 노선에 관한 정보, 택시 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표시부들(200, 300, 400)도 상기 교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교통 정보가 버스 노선에 관한 정보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는 버스 정류소 명칭, 시간, 다음 도착 예정인 버스의 정보, 연계 버스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정보 표시부(200)는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상기 도착 예정인 버스의 종류(예를 들면, 지선버스, 순환버스, 간선버스, 광역 버스 중 어느 것인지)를 표현하는 색상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선 버스의 경우 녹색, 순환버스의 경우 노랑, 간선 버스의 경우 파랑, 광역 버스의 경우 빨강으로 상기 LED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그와 같은 버스 노선 정보들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 입출력부 및 정보 표시부들로서, 특히 도 4a는 정보 입출력부(100)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4b는 제1 정보 표시부(200)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4c는 제2 정보 표시부(300)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의 제1 테이블(112, 114)에는 버스 정류소 명칭, 현재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의 제2 테이블(116)에는 도착 예정인 버스들의 리스트가 차례대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의 제3 테이블(118)에는 연계 버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정보 표시부(200)는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1111)(210)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정보 표시부(200)는 발광 소자로서, 바람직하게는 LED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는 도착 예정인 버스의 종류를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 표시부(300)를 구성하는 모든 LED가 턴온되어 도착 예정인 버스의 종류를 색깔로 표현할 수도 있고, 그 중 일부(310)만 턴온되어 도착 예정인 버스의 종류를 색깔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턴오프되어져 있을 수도 있고, 기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통 정보가 택시 콜(taxi call)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는 상기 택시 콜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택시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정보 표시부(400)는 사용자가 택시 콜임을 인식할 수 있는 문자(예를 들면, 영문자 TAXI)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택시 콜 서비스에 있어서는 도 1에서의 동작 감지 센서(46)로부터 사용자가 접근함을 센싱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노멀한 경우,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정보 표시부(200, 300, 400)는 버스 노선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다가, 상기 동작 감지 센서(46)가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0)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로 택시 콜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버튼(미도시)을 노멀한 경우 즉 버스 노선 정보에 중첩되게 출력한다.
만약, 근접한 사용자가 상기 터치 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정보 표시부(200, 300, 400)는 상기 택시 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만약 근접한 사용자가 상기 터치 버튼을 수 초(예를 들면, 4 ~ 5 초) 동안 터치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버튼은 사라진다. 그리하여, 노멀한 상태 즉,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 및 정보 표시부(200, 300, 400)가 버스 노선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교통 정보가 버스 노선 정보 또는 택시 콜에 관한 정보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나아가 지하철 노선에 관련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가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정보 입출력 부(100)는 전자 결재에 관한 정보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제3 모드는 디지털 정보로서, 예를 들면 음악 화일인 MP3 파일을 청취, 다운로드(download)할 수 있게 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영상 화일 시청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동작 모드일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가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를 포함하는 가로 조명 장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치 쥬크박스(jukebox)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 결재에 관한 정보라 함은, 예를 들면 전자 결재를 위해 현금에 갈음할 수 있는 사항, 전자 결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 버튼들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 머니 잔액이 얼마인지, 음악 화일 또는 영상 화일의 청취 또는 다운로드시 요구되는 금액은 얼마인지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가 제1 내지 제3 모드 중 어떠한 모드로도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100)가 제1 내지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만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조명부, 인포메이션 패널(information panel) 및 USL 서버(Ubiquitous StreetLight se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그와 같은 특징을 갖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를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500),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52, 54), 상기 가로용 폴(52, 54) 내에 배치되며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100), 상기 인포메이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악 사이트와의 통신을 하기 위한 USL 서버(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USL 서버(Ubiquitous StreetLight server)는 전자 결재 시스템(74)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76)는 상기 전자 결재 시스템(74)에 따라 결재함으로써 상기 음악 사이트(90)에 억세싱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100)은 상기 전자 결재 시스템(74)에 따라 상기 사용자(76)가 전자 결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100)은 앞서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입출력부(10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T 머니 잔액이 얼마인지, 음악 화일 또는 다운로드시 요구되는 금액은 얼마인지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7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80, 82)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70)는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를 구비하고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악 사이트(90) 및 전자 결재 시스템(74)과 연계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80, 82)은 상기 메인 가로 용 조명 장치(70)을 서버로 하여 네트워크(network)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하여,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사용자가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70)과 네트워크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80, 82) 중 어느 하나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예를 들어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1(80) 이라고 가정함)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70)을 통해 음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결재 시스템(74)에 따라 결재하고 음악 사이트(9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응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용 조명 장치가 가로와 교량, 건물 저층부에 설치됨으로써, 미디어 보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문화 이벤트 사업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특색있는 거리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기본 기능 이외에도 각종 재난 탐지와 범죄 예방을 지향하여 도시의 환경 보전 지킴이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민의 공공 이익을 증진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용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되고, 응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개선된 가로등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종래의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 시설로 한정적인 용도가 아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개선된 가로등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기상 정보, 버스 노선, 택시 콜 등에 관한 교통 정보 및 음악, 영상 등의 디지털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5)

  1.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에 표시될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할 때에는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로서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에 대하여 서버로서 작동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는 중앙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중앙 서비스 빌더 및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에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로컬 서비스 빌더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등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가로 중 차량용 도로를 밝히기 위한 차량용 조명부; 및
    상기 가로 중 보행자용 통행로를 밝히기 위한 보행자용 조명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조명부는 LE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용 조명부는 LE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정보는 버스 노선 또는 택시 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 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정보는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오존 지수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정보는 디지털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8.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에 표시될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할 때에는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로서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에 대하여 서버로서 작동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는 중앙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중앙 서비스 빌더 및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에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로컬 서비스 빌더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등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기상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1 모드;
    교통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2 모드; 및
    디지털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정보 표시부로 구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경우 상기 제3 정보 표시부는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정보, 오존 지수 및 습도 중 어느 하나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표시부는 상기 자외선 지수, 기온, 황사 정보, 오존 지수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의 정도를 색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LED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버스 노선 또는 택시 콜에 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가 버스 노선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정보 표시부는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정보 표시부는 상기 도착 예정인 버스의 종류를 표현하는 색상을 출력하는 LED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버스 정류소 명칭, 시간, 다음 버스의 정보, 연계 버스의 정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가 택시 콜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제3 정보 표시부는 사용자가 택시 콜임을 인식할 수 있는 문자를 표시하는 LED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상기 택시 콜임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아이콘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가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전자 결재에 관한 정보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선택 메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19.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에 표시될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할 때에는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로서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에 대하여 서버로서 작동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는 중앙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중앙 서비스 빌더 및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에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로컬 서비스 빌더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등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인포메이션 패널; 및
    상기 인포메이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악 사이트와의 통신을 위한 USL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USL 서버는 전자 결재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전자 결재 시스템에 따라 결재함으로써 상기 음악 사이트에 억세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1. 가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용 폴; 상기 가로용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에 표시될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할 때에는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메인 가로용 조명 장치로서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에 대하여 서버로서 작동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는 중앙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중앙 서비스 빌더 및 상기 로컬 가로용 조명 장치의 제어부에 제공되는 서비스 및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로컬 서비스 빌더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로 작동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컬 가로등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용 조명 장치는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어 외부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가로용 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가 상기 정보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풍향 또는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량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센서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동작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 및 터치 스크린 타입의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수정, 등록 또는 삭제하기 위한 정보 관리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조명 장치.
  25. 삭제
KR1020070006279A 2007-01-19 2007-01-19 가로용 조명 장치 KR10088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79A KR100888442B1 (ko) 2007-01-19 2007-01-19 가로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79A KR100888442B1 (ko) 2007-01-19 2007-01-19 가로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54A KR20080068454A (ko) 2008-07-23
KR100888442B1 true KR100888442B1 (ko) 2009-03-11

Family

ID=3982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79A KR100888442B1 (ko) 2007-01-19 2007-01-19 가로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39B1 (ko) * 2009-10-16 2016-09-0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BE1023298B1 (fr) * 2015-06-05 2017-01-26 Schreder Sa Améliorations de ou relatives à des luminaires
CN106090799A (zh) * 2016-06-28 2016-11-09 苏州朗米尔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路灯
US11255500B1 (en) * 2021-02-24 2022-02-22 Heidi Adams Multi-functional streetl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745Y1 (ko) 2000-04-21 2000-09-15 이태수 조명광고판을 갖는 가로등
KR20010029572A (ko) * 1999-09-20 2001-04-06 능 위니 발광다이오드 패널, 터치스크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및음성메세지장치를 구비한 버스정류소 폴
KR20030014953A (ko) * 2001-08-13 2003-02-20 김부현 형광빛 led 램프를 사용한 가로등 램프
KR20060003808A (ko) * 2004-07-06 2006-01-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서버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서버 시스템 및 그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572A (ko) * 1999-09-20 2001-04-06 능 위니 발광다이오드 패널, 터치스크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및음성메세지장치를 구비한 버스정류소 폴
KR200197745Y1 (ko) 2000-04-21 2000-09-15 이태수 조명광고판을 갖는 가로등
KR20030014953A (ko) * 2001-08-13 2003-02-20 김부현 형광빛 led 램프를 사용한 가로등 램프
KR20060003808A (ko) * 2004-07-06 2006-01-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서버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서버 시스템 및 그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54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528B2 (en) Targeted content delivery using outdoor lighting networks (OLNs)
US7375650B2 (en) LED traffic light
ES2345609T3 (es) Carril conductor con linea de datos.
US7667617B2 (en) Interactive bulletin board system and method
JP6386217B2 (ja) 感知応用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照明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JP5124795B2 (ja) ユニバーサルライティングネットワーク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25004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전시장 내 관람객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US20170042003A1 (en) Intelligent lighting and sensor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20140097953A1 (en) Alert Indication Signaling Device and Method
US20110267179A1 (en) Route guidance system
KR100888442B1 (ko) 가로용 조명 장치
KR101239286B1 (ko) 클라우드 기반 버스정보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
CN106249656A (zh) 一种物联网智慧校园
KR102039291B1 (ko) 생활 밀착형의 미세먼지 측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800513B1 (ko) 지능형 종합도시정보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가변형 교통정보표지판
KR20090108979A (ko) 환경센서를 구비하는 유비쿼터스 가로등
JP201809700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935396B2 (en) Dynamic and/or adaptive signposting system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7900B1 (ko) 교차로 정보제공 시스템
JP3098576U (ja) 避難誘導情報提供装置
CN106802154A (zh) 导航系统及其应用
KR20220016220A (ko) 휴대용 동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KR20100131091A (ko) 재래시장의 기반시설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140225510A1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