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853A - 병뚜껑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병뚜껑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853A
KR20200064853A KR1020180152039A KR20180152039A KR20200064853A KR 20200064853 A KR20200064853 A KR 20200064853A KR 1020180152039 A KR1020180152039 A KR 1020180152039A KR 20180152039 A KR20180152039 A KR 20180152039A KR 20200064853 A KR20200064853 A KR 2020006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ead
thread
inner diameter
container ne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18015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853A/ko
Publication of KR2020006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8Closure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container mouths of differing size or configuration, e.g. screw/snap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목나사산 및 용기목의 정렬테 또는 걸림테 등이 각기 상이한 용기목에 하나의 병뚜껑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게 한 결합장치 기술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산의 구성에 있어서, 상방부에 있는 제1나사산과, 상기 제1나사산의 하방부에 위치한 제2나사산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나사산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2나사산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병뚜껑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뚜껑의 결합장치{COUPLING DEVICE OF BOTTLE CAP}
본 발명은 하나의 병뚜껑으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병목에 결합이 가능하게 한 병뚜껑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 기술로서는, 본 발명자의 것으로서, PCT/KR2008/004210호가 있다.
상기 PCT/KR2008/004210호의 경우는, 일예로, 26.2 내지 28.0MM의 용기목나사산을 갖는 용기목에 하나의 병뚜껑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한 기술이었으나, 단점으로서는26.2MM 이하의 용기목나사산을 갖는 용기목에는 결합이 난이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 결합장치의 문제점 중에는, 용기목에 형성된 나사산의 규격, 즉 나사산의 외경 치수(규격)가 2MM 이내에서는 자유롭게 결합이 되지만, 2MM 이상 날 경우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목의 높이가 현저하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결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결합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6MM 내지 28MM 사이의 용기목에만 결합이 가능하고 그 외의 규격을 갖는 용기목에는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 결합장치가 여러 병목에 어려운 것 중에 하나는, 용기목(Bottle neck)의 나사산(Threads) 또는 걸림테(Locking bead)나 정렬테(Indexing ring) 등의 크기나 위치가 다양한 것이 결합이 난이한 상당한 이유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병뚜껑을 통해 여러 규격의 병뚜껑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의 구조를 배치하여 결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용기목나사산 및 용기목의 정렬테 또는 걸림테 등이 각기 상이한 용기목에 하나의 병뚜껑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게 한 결합장치 기술에 있어서,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산의 구성에 있어, 상방부에 있는 제1나사산과, 상기 제1나사산의 하방부에 위치한 제2나사산을 구성하며, 상기 제1나사산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2나사산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하방부에는 상기 제2나사산 보다 더 큰 나사산을 갖고 있는 제3나사산을 보유한 보조결합부를 부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합장치는, 용기목의 형태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하나의 병뚜껑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목에 결합이 가능하게 한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결합장치의 요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장치가 다양한 용기목에 적용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 결합장치의 다양한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15는 결합장치의 나사산 요부 전개도를 보인 것이며,
도 16은 나사산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7은 나사산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기목나사산 및 용기목의 정렬테 또는 걸림테 등이 각기 상이한 용기목에 하나의 병뚜껑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게 한 결합장치(1) 기술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1)의 본체(10) 내부에는 결합부(20) 및 보조결합부(30)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0)에 나사산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일예로, 상방부에 있는 제1나사산(21)을 두고, 상기 제1나사산(21)의 하방부에는 제2나사산(22)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나사산(21)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된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제2나사산(22)의 내경도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0)의 하방부에는 상기 제2나사산(22) 보다 더 큰 나사산을 갖고 있는 제3나사산(31)을 보유한 보조결합부(30)를 부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을 하면, 도1에서는 결합장치(1)의 일구조를 보인 것이며, 본체(10)의 내부로는 결합부(20)와 보조결합부(30)를 결합하고, 본체(10)의 상방부에는 접철부(11)와 구부(12)를 둔 것이며, 구부(12)의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절취부(13)를 두고 있다.
도 2의 경우는, 시중에 유통 중인 24.5MM라 칭하는 용기목(1000A)에 결합장치(1)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상기 용기목나사산(1001A)은 최초 제2나사산(22)에 결려서 상부의 제1나사산(21)에 결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목나사산(1001A)은 제2나사산(22)에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상승하다가 제1나사산(21)에 위치되면서 체결되기 시작한 것을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목나사산(1001A)이 제1나사산(21)의 시작점에서는 부하를 받지 않다가 끝점으로 가면서는 일부 저항을 받으면서 강하게 결합이 되는 것이며, 이런 이유는, 일예로, 용기목나사산(1001A)의 외경이 24.50MM이고, 제1나사산(21)의 시작점 내경은 25.00내외에서 시작하여 나사산의 끝점으로 갈수로 내경이 좁아져 최종 23.90MM 내외 정도의 내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부하가 적게 걸리고 나중에는 부하가 걸리면서 강하게 체결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목(1000A)이 결합부(20)에 결합되는 과정에 결합테(1002A)나 정렬테(1003A)는 제2나사산(22)에 큰 저항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2나사산(22)의 내경을 26.30MM 내외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또한 제2나사산(22)의 시작점은 27.34MM 내외에서 시작하여 끝점은 26.30MM 내외로 하는 것이 좋다.
도 3의 경우는, 시중에 유통 중인 용기목(1000B)의 용기목나사산(1001B) 외경이 25.40MM인 용기목(1000B)에 결합장치(1)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나사산(21)에 용기목나사산(1001B)이 긴히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때에 결합테(1002B)는 제2나사산(22)에 저항을 받지 않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고, 정렬테(1003B)는 보조밀폐면(32)과 상단밀폐면(33) 부근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정렬테(1003B)의 외경은 28.0MM 내외이지만 내경이 27.40MM 내외인 상단밀폐면(33)과 보조밀폐면(32)을 일부 확장시키면서 정렬테(1000B)가 자리를 잡을 수 있어 결합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의 경우는, 용기목(1000C)의 용기목나사산(1001C) 외경이 25.90MM 내외인 나사산을 갖는 일명 26.20MM 용기목(1000C)에 결합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나사산(21)에 의해 용기목나사산(1001C)이 결합되는 것이고, 용기목나사산(1001C)은 제2나사산(22)을 통과 할 때에는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결합테(1002C)의 외경이 27.80MM 내외인 관계로 제2나사산(22)을 통과하게 되면 일부 저항을 받게 되지만 정렬테(1003C)의 외경은 27.80MM 내외이지만 제2나사산(22)의 하방부에 위치하는바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도 5 및 도 6의 경우는, 시중에 유통 중인 26.70MM 내외인 소위 26.78MM라고 칭하는 용기목(1000D)에 결합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며, 특히 도 5의 경우는, 제2나사산(22)의 끝점 부근에서 용기목나사산(1001D)을 걸고 결합되기 시작하며, 상기한 과정에 최종적으로는, 도 6과 같이 용기목나사산(1001D)이 제1나사산(21)에 결합되는 것이고, 이때에 외경이 27.20MM인 결합테는 별저항 없이 결합되며, 또한 외경이 31.90MM인 정렬테(1003D)는 하단부의 내경이 32.0MM 내외인 보조결합부(30)의 내부에 무리없이 안착이 되는 것이다.
도 7의 경우는, 용기목(1000E)의 용기목나사산(1001E) 외경이 27.34MM 내외이며, 일명 28.00MM 라 칭하는 용기목(1000E)에 결합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나사산(22)이 용기목나사산(1001D)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고, 이때에 용기목(1000D)의 상단 외경부는 제1나사산(21)을 뒤로 밀치면서 결합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테(1002D)의 외경은 28.00MM이지만 제3나사산(31)은 내경이 28.70MM 내외인 것이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의 시작점은 28.70MM 보다 협소하게 하고 끝지점은 28.70MM 또는 그 미만으로 좁게 하는 것이 좋은 예이다.
참고적으로, 외경이 32.90MM인 정렬테(1003E)는 결합장치(1)의 결합정도에 따라 보조결합부(30)의 내부 또는 보조결합부(30)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경우는, 용기목나사산(1001F)의 외경이 29.20~29.40MM 정도인 일명 30MM 소구경을 갖는 용기목(1000F)에 결합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나사산(31)이 용기목나사산(1001F)에 걸려 고정되고, 결합테(1002F)와 정렬테(1003F)는 보조결합부(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 8과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은 결합장치(1)를 더욱 더 회전시키게 되면 용기목(1000F) 상단 외환부에 위치된 보조밀폐면(32)이 하부로 내려가다가 상기 보조밀폐면(32)이 용기목나사산(1001F)의 상단부 시작점에 닿게 되면 상기한 보조밀폐면(32)는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고 멈추며, 상기한 과정에 상단밀폐면(33)이 용기목(1000F) 상단 외환부에 긴히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9의 경우는, 용기목나사산(1001G)의 외경이 29.90MM 정도인 일명 30MM 용기목(1000G)이라 칭하는 용기목(1OOOG)에 결합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나사산(31)이 용기목나사산(1001G)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한 과정에 확대된 B' 부위와 같이 선택하여 설계되는 측면밀폐부(34)가 용기목(1000G) 상단 외벽부를 밀착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테(1002G)는 보조결합부(3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정렬테(1003G)는 보조결합부(30)의 외측부에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의 경우는, 본체(10A)의 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0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제1나사산(20A)를 두고, 그 하부로는 제2나사산(22A)을 둔 것이며, 제일 하방에는 제3나사산(23A)을 둔 것이며, 이상 각각의 나사산 구조 및 치수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
특히 제2나사산(22A)의 하방부에는 안쪽으로 모아진 형태의 탄력적인 날개형의 탄력밀폐부(24)를 형성하고, 상기 탄력밀폐부(24)의 하부이자 외측방향 내벽부에는 외측밀폐부(2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밀폐부(25)는 용기목(1000G)의 상단 외경이 28.0MM를 갖는 부위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측밀폐부(25)의 내경은 28.0MM 미만인 것이 좋으며, 상기 탄력밀폐부(24)는 용기목(1000F) 외경이 27.40MM 내외인 용기목에 밀착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탄력밀폐부(24)의 내경은 27.40MM 미만이어야 좋다.
도 11의 경우는, 본체(10B)의 내부에 제1나사산(21A), 제2나사산(22A), 탄력밀폐부(24), 외측밀폐부(25), 제3나사산(23A)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2의 경우는, 용기목(1000G)의 상단부가 밀폐되는 원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밀폐부(25)와 탄력밀폐부(24)가 측면과 상방에서 탄력적으로 밀착 밀폐되고 있는 것이다.
도 13의 경우는, 또 다른 형태의 용기목(1000F)의 상단부가 밀폐되는 원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력밀폐부(24)가 접히면서 탄력적으로 밀착 밀폐되고 있는 것이다.
도 14의 경우는, 본체(10B)의 상단부에 별도의 개방장치(40)를 열접착이나 기타 초음파 등의 접착이나 또는 요철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15의 경우는, 제3나사산(31,23A)의 형태를 전개도 상으로 표현한 것이며, 상기한 제3나사산(31,23A)은 나사산의 형태를 1줄이나 2줄 또는 그 이상으로 변형하거나, 또는 간헐적인 방식 등 기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6의 경우는, 제3나사산(31,23A)의 형태가 시작점에서는 내경이 크며, 또는 끝나는 지점에서는 내경이 크게 된 구조를 일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17의 경우는, 제1나사산(21,21A)과 제2나사산(22,22A)의 구조를 전개도 상으로 보이고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나사산은 1줄 내지 2줄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도 16에서와 같이 나사산의 시작점과 끝점의 내경은 달리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용기목나사산 및 용기목의 정렬테 또는 걸림테 등이 각기 상이한 용기목에 하나의 병뚜껑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게 한 결합장치 기술에 있어서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산의 구성에 있어서, 상방부에 있는 제1나사산과, 상기 제1나사산의 하방부에 위치한 제2나사산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제1나사산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2나사산의 내경은 나사산의 시작점 내경이 크고 나사산의 끝점 내경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병뚜껑의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하방부에는 상기 제2나사산 보다 더 큰 나사산을 갖고 있는 제3나사산을 보유한 보조결합부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뚜껑의 결합장치.
  3. 제1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보조결합부는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에 별도 결합하거나, 또는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병뚜껑의 결합장치.
KR1020180152039A 2018-11-29 2018-11-29 병뚜껑의 결합장치 KR20200064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39A KR20200064853A (ko) 2018-11-29 2018-11-29 병뚜껑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39A KR20200064853A (ko) 2018-11-29 2018-11-29 병뚜껑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53A true KR20200064853A (ko) 2020-06-08

Family

ID=7108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039A KR20200064853A (ko) 2018-11-29 2018-11-29 병뚜껑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8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3596B (zh) 容器的封闭装置
US4466547A (en) Disposable flexible containers for baby feeding bottles
US4560085A (en) Packaging container
CN103003163B (zh) 具有带内螺纹的颈部的玻璃容器
CN110035957A (zh) 重装容器的倒出用袋嘴及其与包装容器的倒出单元连结的连结构造
KR20200064853A (ko) 병뚜껑의 결합장치
US7922018B2 (en) Bottle closure with improved thread
US3206054A (en) Baby food feeder
KR20200090074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RU2015152139A (ru) Бутылочка для напитко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утылочки для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US2885128A (en) Container closure
US2884149A (en) Closures for bottles and like containers
CN210455770U (zh) 一种带弹簧内盖的瓶口螺旋盖结构
US4126223A (en) Barrier device, packaging and method
US20180037395A1 (en) Container closure system
KR20200092812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80053794A (ko) 병목부의 길이가 다른 이종의 패트병에 결합가능한 기능성 첨가제 전용 하이브리드 버틀캡
CN104718137B (zh) 具有改良的刺入可能性的饮料容器
HU230990B1 (hu) Gyűrődő palack a túlnyomás és/vagy az állandó fajlagos szénsavtartalom megőrzéséhez
CN205686776U (zh) 一种小包装化学试剂防挥发容器
CN201334172Y (zh) 一种双盖液体包装瓶
KR20200067070A (ko) 병뚜껑의 결합장치
WO2018208183A1 (pt) Cápsula para rolha de cortiça flangeada, rolha capsulada compreendendo a referida cápsula e processo de produção da rolha capsulada
KR101115352B1 (ko)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CN103231851A (zh) 容器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