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827A - Mold vivrated apparatus - Google Patents

Mold vivrate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827A
KR20200064827A KR1020180151406A KR20180151406A KR20200064827A KR 20200064827 A KR20200064827 A KR 20200064827A KR 1020180151406 A KR1020180151406 A KR 1020180151406A KR 20180151406 A KR20180151406 A KR 20180151406A KR 20200064827 A KR20200064827 A KR 2020006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oad
increasing means
vibra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8984B1 (en
Inventor
윤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9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6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 vibra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mold vibrating means applying vibration at a set cycle to a mold through which molten steel passes; and a load increasing means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so that a tensile force does not act on the mold vibrating means. The mold vib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down on maintenance costs by reducing damage to facility by load reversal in high-speed casting.

Description

주형진동장치{MOLD VIVRATED APPARATUS}Mold vibration device {MOLD VIVRATED APPARATUS}

본 발명은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킨 주형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vibration device that reduces maintenance cost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연속주조기에서 안정적으로 고품질 주편(슬라브)을 생산하기 위해, 용강(쇳물)의 응고가 시작되는 몰드에서 고른 응고셸 성장이 요구된다. In order to stably produce high-quality cast iron (slabs) in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it is required to grow a solidified shell evenly in a mold where solidification of molten steel begins.

응고셸이 불균일하면, 고품질의 주편 생산이 어렵고, 심각한 경우 응고셸이 찢어져 쇳물 분출로 설비 피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If the coagulation shell is non-uniform, it is difficult to produce high-quality cast iron, and in severe cases, the coagulation shell may tear and cause equipment damage accidents due to spewing.

따라서, 응고 초기 몰드 내에서 고른 응고셸 성장을 위해, 고른 전열이 요구되며, 이 때 냉각이 매우 중요하다. Therefore, for uniform solidification shell growth in the initial solidification mold, uniform heat transfer is required, and cooling is very important.

이러한 물리적 거동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연속주조기에서는 몰드 파우더(mold powder)를 사용하며, 몰드 파우더는 일정하게 계속해서 유입되어야 한다. In order to realize this physical behavior, a mold powder is used in a general continuous casting machine, and the mold powder must be continuously introduced.

이러한 몰드 파우더 유입을 유도 및 제어하는 장치가 주형진동장치이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크기(amplitude)와 진동수(frequency)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A device for inducing and controlling such mold powder inflow is a mold vibration device, and serves to generate vibrations of a certain amplitude and frequency in the vertical direction.

미니밀 시장의 성장과 함께 고속주조 기술이 요구되었으며, 포스코에서는 상시 주조속도 6.5 m/min이 가능한 연주기를 개발하였다. 종래의 고로밀 대비, 주조 속도가 약 6배 빠르며, 세계 최고토출량을 자랑한다.With the growth of the mini mill market, high-speed casting technology was required, and POSCO developed a player capable of always casting speed of 6.5 m/min. Compared to conventional blast furnace mill, the casting speed is about 6 times faster and boasts the world's highest discharge rate.

하지만 주조 속도가 빨라지면서, 주형진동장치의 진동수 역시 증가하게 되어, 기존 주형진동장치보다 훨씬 큰 스펙이 요구된다. However, as the casting speed increases, the frequency of the mold vibrator also increases, requiring a much larger specification than the existing mold vibrator.

예를 들어, 몰드가 이상적인 정현파의 상하 진동을 할 경우, 진동수가 증가하면 그에 따른 하중의 진폭은 진동수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For example, when the mold oscillates up and down of an ideal sinusoidal wave, when the frequency increases, the amplitude of the load increases accordingly with the square of the frequency.

일례로, 고로밀 대비 주조 속도가 6배 증가하면, 하중의 진폭의 크기가 36배가 증가한다.For example, when the casting speed is increased 6 times compared to the blast furnace mill,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of the load increases 36 times.

그리고, 가속도의 진폭 역시, 진동수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데 특히, 몰드 하강시 가속도의 크기가 1g(g=9.81 m/s²) 이상이면 장치에 치명적이다. In addition, the amplitude of the acceleration also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frequency, especially when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when the mold descends is 1 g (g=9.81 m/s²) or more, which is fatal to the device.

도 1 (a) 및, 도 2 (a)를 참조하면, 한 사이클에 두번씩 액츄에이터 등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역전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하중역전현상으로 인해 부품 수명을 단축되고, 핀과 같은 기계적 공차가 있는 부분의 영향으로 진동 패턴의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1(a) and 2(a), a load reversal phenomenon occurs in which a direction of a load acting on an actuator or the like is reversed twice in one cycle, and the component life is shortened due to the load reversal phenomen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vibration pattern due to the influence of a mechanical tolerance such as a pin.

물론, 상기 가속도 기준에 대해, 종래의 고로밀에서는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조업이 가능하였지만 고속 주조시에는 가속도가 수십배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기준을 넘을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with respect to the acceleration standard, the operation was possible with sufficient margin in the conventional blast furnace mill,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exceeding the standard is high because the acceleration increases tens of times or more during high-speed casting.

특히, 몰드 파우더 유입 개선을 위해, 진동 파형에 왜곡률을 적용하면, 파형이 더욱 날카로워져, 가속도의 크기가 더욱 증가되기 때문에 위험이 가중되며, 이 때문에 조업 가능 범위도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improve the inflow of mold powder, if the distortion rate is applied to the vibration waveform, the waveform becomes sharper, and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is further increased, which increases the risk, and thus, the operational range is also reduced.

KR 10-1105917KR 10-1105917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속주조에서 발생하는 하중역전현상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을 저감시켜 조업생산성으로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형진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 vibra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damage to equipment due to load reversal occurring in high-speed casting, improving operation productivity,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용강이 통과하는 주형에 설정된 주기로 진동을 인가하는 주형진동수단; 및, 상기 주형진동수단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주형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하중증가수단;을 포함하는 주형진동장치를 제공한다.As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 vibration means for applying vibration at a set cycle on the mold through which the molten steel passes; And a load increasing means fo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so that the tensile force does not act on the mold vibrating means.

바람직하게, 주형진동수단은 상기 주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상기 주형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ld vibration means applies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old, and the load increasing means can apply a compressive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mold.

바람직하게, 하중증가수단은, 상기 주형진동수단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시, 상기 주형을 매개로 상기 주형진동수단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ad increasing means may apply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vibrating means through the mold when a load reversal phenomenon in which a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ng means occurs.

바람직하게, 하중증가수단은,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oad increasing means may be provided as a fixed load member having a fixed default value of the compression force.

바람직하게, 고정하중부재는, 상기 주형에 대해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하중증가수단의 하중브라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xed load member includes: a coil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for applying a load to the mold; And,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the buffer fixing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load bracket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may include.

바람직하게, 하중증가수단은,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oad increas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load member that controls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by adjusting the set compression force itself.

바람직하게, 하중증가수단은,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 및,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ad increasing means, the fixed load member is fixed to the default value of the set compression force; And a variable load member that controls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by adjusting the set compression force itself.

바람직하게, 가변하중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설정된 압축력이 조절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ariable load member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member whose compression force is set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바람직하게, 하중증가수단은, 상기 주형의 높이방향 하측영역에 설치되는 주형브라켓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중브라켓; 및, 상기 하중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주형브라켓에 대해 압축력을 인가 가능한 하중인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ad increasing means includes: a load bracke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mold bracket installed in a lower 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ld; And a load applic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load bracket and capable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bracket.

바람직하게, 주형진동수단의 진폭 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하중증가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mplitude condition of the mold vibration means, it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바람직하게, 높이조절수단은, 복수 개의 상기 하중증가수단이 설치되는 조절프레임; 및, 상기 주형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n adjustment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is installed; And, it is installed around the mold, the lif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adjustment fram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속주조에서 발생하는 하중역전현상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을 저감시켜 조업생산성으로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to equipment due to load reversal occurring in high-speed casting to improve operation productivity and reduce maintenance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하중증가수단이 적용되기 전과 후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중증가수단이 적용되기 전과 후의 하중역전현상의 발생여부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진동장치의 사시도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의 하강,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주형의 하강, 상승 상태에 따른 거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의 하강,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진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진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진동장치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load acting before and after the load increa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view comparing the occurrence of a load reversal phenomenon before and after the load increasing means of FIG. 1 is appli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descending and rising state of a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behavior of the mold of FIGS. 4A and 4B according to the descending and rising states.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scending and rising state of a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old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old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mold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more clear description.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진동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ld vibr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진동장치(10)는 주형진동수단(100) 및, 하중증가수단(200)을 추가적으로 높이조절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ld vibra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ld vibrating means 100 and a height increasing means 300 for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도 3을 참조하면, 용강이 통과하는 주형(20)에 설정된 주기로 진동을 인가하는 주형진동수단(100) 및, 상기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주형(20)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하중증가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for applying vibration at a cycle set in the mold 20 through which the molten steel passes, and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20 so that tensile force does not act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It may include a load increasing means 200 for applying.

주형(20)은 통과하는 용강을 1차적으로 응고시키는 몰드(21)와, 몰드(21)를 지지하는 몰드테이블(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ld 20 may include a mold 21 that primarily solidifies molten steel passing therethrough, and a mold table 23 that supports the mold 21.

이때, 하중증가수단(200)은 몰드테이블(23)에 설치될 수 있고, 몰드테이블(23)에는 하중증가수단(200)이 연결되는 주형브라켓(25)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installed on the mold table 23, the mold table 23 may be formed with a mold bracket 25 to which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connected.

주형(20)의 주형브라켓(25)에는 하중증가수단(200)이 접촉되는 하중작용점(P)이 형성되고, 주형(2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시 하중작용점(P)도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In the mold bracket 25 of the mold 20, a load acting point P in which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comes into contact is formed, and when the mold 20 vib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ad acting point P also vib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이때, 하중증가수단(200)을 통해 하강방향 하중을 줄 수 있다.At this time, a downward direction load may be applied through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도 3을 참조하면, 주형진동수단(100)은 주형(2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3,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ld (20).

주형진동수단(100)은 주형(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The mold vibrating means 10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supporting the load of the mold 20.

주형진동수단(100)은 주형(2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ld vibration means 100 may be configured as an actuator that applies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mold 20.

주형진동수단(100)은 주형(20)의 한 쌍의 몰드테이블(23)에 각각 설치되어, 주형(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주기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The mold vibrating means 100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air of mold tables 23 of the mold 20, and can apply vibration to the mold 20 at a constant cyc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주형진동수단(100)은 설치구조물(미도시)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면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mold vibration means 100 may be fixed to the ground while the lower side is supported by an installation structure (not shown).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시 상기 주형진동수단(100)에 압축력을 인가하여 인장력을 제거하도록 주형(20)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3 to 4B, when a load reversal phenomenon in which a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occurs,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mold 20 to remove the tensile force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Can be.

하중증가수단(200)은 주형(20)의 주변에 배치된 지지구조물(미도시)에 설치되어, 주형(20)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installed in a support structure (not shown) disposed around the mold 20 to apply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20.

하중증가수단(200)은 주형(20)의 자중(G)에 하중을 증가시켜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serves to prevent the tensile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by increasing the load on the self-weight G of the mold 20.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주형진동수단(100)은 상기 주형(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하중증가수단(200)은 상기 주형(20)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3 to 4B,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pplies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old 20, and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compressive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ld 20 Can be authorized.

주형진동수단(100)이 주형(20)에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인가시, 주형(20)이 행정거리(R)의 상단지점에 도달하면 주형(20) 및, 주형진동수단(100)의 운동방향이 상승에서 하강으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applies vibration to the mold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ld 20 reaches the upper end point of the stroke distance R, the mold 20 and the motion of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The direction can be switched from ascending to descending.

하중증가수단(200)은, 주형(20)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계속해서 인가할 수 있다.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can continuously apply the loa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ld 20 descends.

도 1 (a) 및, 도 2 (a)를 참조하면, 주형(20)에는 주형(20)의 자중(G)과 주형진동수단(100)의 하중(F)이 작용할 수 있다.1 (a) and 2 (a), the mold 20 may have a self-weight (G) of the mold 20 and a load (F) of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도 1 (b) 및, 도 2 (b)를 참조하면, 주형(20)에는 주형(20)의 자중(G)과 주형진동수단(100)의 하중(F) 및 하중증간수단(200)의 하중(H)이 작용할 수 있다.1 (b) and 2 (b), the mold 20 has a weight (G) of the mold 20 and the load (F) of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and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The load H can act.

도 1 (a) 및, 도 2 (a)를 참조하면, 고속주조의 경우, 주형(20)이 상승하였다가 하강시에 주형진동수단(100)에 작용하던 압축력이 인장력으로 전환되면서 진동의 한 싸이클내에서 2회의 하중역전영역(M)이 형성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1 (a) and 2 (a), in the case of high-speed casting, the mold 20 is raised and then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when it is lowered is converted into tensile force, thereby causing vibration. A load reversal phenomenon in which two load reversal regions M are formed in the cycle may occur.

여기서, 하중역전현상은 주형진동수단(100)에 작용하는 하중이 압축력(압축 하중)에서 인장력(인장하중)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load reversal phenomenon means that the load acting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is converted from a compressive force (compressed load) to a tensile force (tensile load).

즉, 하중역전현상으로 인해 주형진동수단(100)에 작용하는 하중이 압축력에서 인장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load reversal phenomenon, the load acting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may be converted from a compressive force to a tensile force.

고속주조에서 주형(20)이 고속으로 진동할 경우, 주형진동수단(100)에 의해 주형(20)이 중력 방향으로 하강시, 주형진동수단(100)에서 하중의 방향이 역전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하면서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When the mold 20 vibrates at high speed in high-speed casting, when the mold 20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 load reversal phenomen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load is reversed i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s it occurs, the tensile force may act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이 경우, 주형(20)이 하강시 엑츄에이터 등의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주형(20)이 상승시 주형진동수단(100)에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old 20 descends, a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such as an actuator, and when the mold 20 rises, a compressive force may act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이와 같이, 주형진동수단(100)에 하중역전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주형진동수단(100)에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교번적이고 반복적으로 작용하면서 주형진동수단(100)의 수명을 약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load reversal phenomenon repeatedly occurs i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may alternately and repeatedly act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nd weaken the life of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이와 같이, 주형진동장치(10)의 유지보수의 주기가 짧아질 경우, 조업중단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와, 주형진동장치(10)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eriod of maintenance of the mold vibrating device 10 is shortened, there may be a problem of a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the operation stoppage and an increase in the maintenance cost of the mold vibrating device 10.

또한, 주형진동수단(100)이 주형(20)을 고속으로 진동시, 주형진동수단(100)에서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하면서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주형진동수단(100)과 주형(20) 사이의 연결지점(Q)을 형성하는 핀 등과 같이 기계적 공차가 있는 부분의 영향으로 진통패턴의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vibrates the mold 20 at a high speed, when a load reversal occurs i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nd a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There may be a problem that control of the pain relief pattern may be difficult due to the influence of a part having mechanical tolerances, such as a pin forming a connection point Q between the mold 20 and the mold 20.

도 1 (b) 및, 도 2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형진동장치(10)는 하중증가수단(200)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동중심선(L) 자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하중역전영역(M)을 제거함으로써,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지한다.1 (b) and 2 (b), the mold oscilla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vibration center line L of the load acting on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upward, thereby reversing the load. By removing the region M,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주형진동장치(10)는 하중증가수단(200)이 주형(20)에 대해 하중을 인가하여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설비의 파손을 저감시켜 조업생산성으로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mold vibra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breakage of equipment by preventing the tensile force from acting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by applying a load to the mold 20 by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또한,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으면서 주형진동수단(100)과 주형(20) 사이의 연결지점(Q)을 형성하는 핀 등과 같이 기계적 공차 부분의 영향이 무시될 수 있어 진통패턴의 제어가 용이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fluence of mechanical tolerances such as pins forming a connection point Q betwee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and the mold 20 may be neglected without tensile force acting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pattern.

일례로, 주형(20)이 고속으로 진동되면서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할 경우, 주형진동수단(100)에는 압축력 대신에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ld 20 vibrates at a high speed and a load reversal occurs, the tensile force may act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instead of the compressive force.

즉, 주형(20)이 고속으로 진동하게 되면, 엑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주형진동수단(100)에서 인가되는 하중의 진폭(A)이 커지면서 주형진동수단(100)에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old 20 vibrates at a high speed, a load reversal phenomenon may occur i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s the amplitude A of the load applied from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composed of an actuator increases.

구체적으로, 진동수가 증가하게 되면, 엑추에이터 등의 주형진동수단(100)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폭(A)이 증가하게 되고, 진동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하중의 진폭(A)이 자중의 크기를 초과하면서 하중역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frequency increases, the amplitude A of the load acting on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such as an actuator increases, and when the frequency increases above a certain size, the amplitude A of the load increases A load reversal phenomenon occurs while exceeding the size.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하중증가수단(200)은, 상기 주형진동수단(10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시, 상기 주형(20)을 매개로 상기 주형진동수단(100)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3 to 4B, when the load reversal phenomenon in which a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via the mold 20 A compressive force can be applied to.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하중증가수단(200)은,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210)로 구비될 수 있다.4A to 5B,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provided as a fixed load member 210 in which the default value of the set compression force is fixed.

도 4a를 참조하면, 고정하중부재(210)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코일스프링(211)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a, the fixed load member 210 may be composed of a coil spring 211 having a constant elastic modulus.

이때, 코일스프링(211)의 상단은 하중브라켓(250)에 고정되고, 하단은 주형(20)의 주형브라켓(25)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211 may be fixed to the load bracket 250, and the lower end may be fixed to the mold bracket 25 of the mold 20.

도 4b를 참조하면, 코일스프링(211)은 하중증가수단(200)의 하중브라켓(25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고, 주형(20)이 상승시 코일스프링(211)이 압축되면서 주형(20)에 대해 보다 큰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b, the coil spring 211 can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ad bracket 250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and when the mold 20 is elevated, the coil spring 211 is compressed while the mold 20 ) Can be applied with a larger load.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경우는 도 4b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코일스프링(211)이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상태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in FIG. 4A, the coil spring 211 is relatively less compressed than the case shown in FIG. 4B.

즉, 도 4a에 도시된 경우는 코일스프링(211)의 기본압축량이 존재하는 상태이다.That is, in the case shown in FIG. 4A, the basic compression amount of the coil spring 211 is present.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코일스프링(211)이 도 4a에 도시된 코일스프링(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압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oil spring 211 illustrated in FIG. 4B can exert a relatively large compressive force compared to the coil spring 211 illustrated in FIG. 4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하중증가수단(200)에는 하중증가수단(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0)이 설치될 수 있다.4A and 4B, a height adjusting means 30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installed in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물론, 하중증가수단(200)의 코일스프링(211)의 기본압축량을 조절하여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mpression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basic compression amount of the coil spring 211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주형(20)의 하강, 상승 상태에 따른 거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4C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behavior of the mold 20 of FIGS. 4A and 4B according to the descending and rising states.

도 4c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이, 주형(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주형브라켓(25)은 진동중심선(L)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행정거리(R)의 절반에 해당하는 R/2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코일스프링(2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압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as shown in FIG. 4A, the mold bracket 25 is lowered by R/2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troke distance R based on the center of vibration line L while the mold 20 is lowered. It is dispos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and can receive relatively small compression force from the coil spring 211.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와 같이, 주형(20)이 상승한 상태에서 주형브라켓(25)은 진동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행정거리(R)의 절반에 해당하는 R/2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코일스프링(2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압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as shown in FIG. 4B, the mold bracket 25 is spaced upward by R/2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troke distance 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vibration line L in the state where the mold 20 is raised. It can be arranged in a position to receive a relatively large compression force from the coil spring 211.

도 4c를 참조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코일스프링(211)은 코일스프링(211)의 원래길이보다 수축된 상태로 양자 모두 기본압축량이 존재하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it can be seen that the coil springs 211 shown in FIGS. 4A and 4B are in a contracted state than the original lengths of the coil springs 211, and both have a basic compression amount.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고정하중부재(210)는, 상기 주형(20)에 대해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11) 및, 상기 코일스프링(21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하중증가수단(200)의 하중브라켓(2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고정체(215)를 포함할 수 있다.5A and 5B, the fixed load member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211 and the coil spring 211 providing elastic force for applying a load to the mold 20 And, it may include a buffer fixture 215 tha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load bracket 250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도 5b를 참조하면, 완충고정체(215)는 코일스프링(211)이 압축되면서코일스프링(211)에서 제공된 탄성력을 매개로 주형브라켓(25)에 대해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buffer fixing body 215 may apply a load to the mold bracket 25 through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coil spring 211 while the coil spring 211 is compressed.

완충고정체(215)는, 주형브라켓(25)과 접촉되는 완충서포트(216)와, 상기 완충서포트(216)와 연결되고 코일스프링(211) 및 하중브라켓(25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완충로드(217) 및, 상기 완충로드(217)의 후단에 설치되는 완충스토퍼(218)를 구비할 수 있다.The buffer fixing body 215, a buffer support 216 contacting the mold bracket 25, and a buffer rod connected to the buffer support 216 and installed through the coil spring 211 and the load bracket 250 217 and a buffer stopper 218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uffer rod 217.

일례로, 도 5a에 도시된 경우는 도 5b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코일스프링(211)이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상태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in FIG. 5A, the coil spring 211 is relatively less compressed than the case shown in FIG. 5B.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코일스프링(211)이 도 5a에 도시된 코일스프링(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압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oil spring 211 illustrated in FIG. 5B can exert a relatively large compressive force compared to the coil spring 211 illustrated in FIG. 5A.

완충서포트(216)는 주형브라켓(25)과 접촉되는 방진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The buffer support 216 may be formed of an anti-vibration rubber contacting the mold bracket 25.

완충서포트(216)가 탄성력을 가지는 방진고무 등으로 구성될 경우, 완충서포트(216)와 코일스프링(211)에 의해 중첩적으로 주형(20)에 압축력을 인가시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When the buffer support 216 is made of an anti-vibration rubber or the like having elasticity, the impact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mold 20 by the buffer support 216 and the coil spring 211 can be buffered.

도 6을 참조하면, 하중증가수단(200)은,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20)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230)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load member 230 that controls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20 by adjusting itself to the set compression force.

하중증가수단(200)은, 설정된 압축력의 조절이 가능한 가변하중부재(230)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load member 230 capable of adjusting the set compression force.

가변하중부재(23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설정된 압축력이 조절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load member 230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member whose compression force is set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일례로, 실린더부재는 유압실린더 또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ylinder member may be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or an air cylinder.

이와 같이, 실린더부재에 설정된 유압 또는 공압의 값이 조절되면서 주형(20)에 대해 압축력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ize of the compress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mold 20 can be adjusted while the value of the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set in the cylinder member is adjusted.

이에 따라, 주형진동수단(100)이 상기 주형(20)에 대해 인가하는 행정거리(R)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하중증가수단(200)이 주형(20)에 대해 압축력을 작용하기 시작하는 하중작용점(P)의 높이는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troke distance R applied by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to the mold 20, the load that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starts to exert a compressive force on the mold 20 The height of the working point P can be adjusted.

도 7을 참조하면, 하중증가수단(200)은,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210) 및,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20)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a fixed load member 210 having a fixed default value of the set compression force, and a variable for adjusting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20 by adjusting the set compression force itself. A load member 230 may be provided.

일례로, 고정하중부재(210)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코일스프링(211)으로 구성되고, 가변하중부재(230)는 압축력의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ed load member 210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211 having a constant elastic modulus, and the variable load member 230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member capable of adjusting compression force.

일례로, 하중브라켓(250)의 하측에 가변하중부재(230)인 실린더부재가 설치되고, 가변하중부재(230)의 하측에 고정하중부재(210)인 코일스프링(211)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cylinder member, which is a variable load member 230, is installed under the load bracket 250, and a coil spring 211, which is a fixed load member 210, may be installed under the variable load member 230. .

코일스프링(211)의 상측은 실린더부재의 실린더로드(233)의 하단에 고정되고, 코일스프링(211)의 하측은 주형브라켓(25)과 접촉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coil spring 211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rod 233 of the cylinder member, and the lower side of the coil spring 2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mold bracket 25.

도 6을 참조하면, 가변하중부재(23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설정된 압축력이 조절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variable load member 230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member whose compression force is set by hydraulic or pneumatic.

실린더부재는 유압실린더 또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member may be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or an air cylinder.

실린더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이 제공되는 실린더본체(231)와 실린더본체(231)에서 진퇴 가능한 실린더로드(2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member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body 231 to which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is provided and a cylinder rod 233 that can move back and forth from the cylinder body 231.

조절제어수단(400)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의 공압이 조절되면서 압축력을 조절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force may be adjusted whil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or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ylinder is adjusted by the adjustment control means 400.

유압실린더의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의 공압이 조절되면서 주형진동수단(100)이 상기 주형(20)에 대해 인가하는 행정거리(R)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하중증가수단(200)의 하중작용점(P)의 높이조절가 조절될 수 있다.A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or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air cylinder is adjusted, the load acting point P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stroke distance R applied by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to the mold 20 The height adjustment of can be adjusted.

도 3을 참조하면, 하중증가수단(200)은, 상기 주형(20)의 높이방향 하측영역에 설치되는 주형브라켓(25)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중브라켓(250) 및, 상기 하중브라켓(250)에 설치되고, 상기 주형브라켓(25)에 대해 압축력을 인가 가능한 하중인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the load bracket 250 and the load bracket 25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ld bracket 25 is installed in the lower 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ld 20 It is installed on, it may be provided with a load applying member capable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bracket (25).

주형(20)의 주형브라켓(25)은 상기 주형(20)의 높이방향 하측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The mold bracket 25 of the mold 20 may be installed in a lower 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ld 20.

하중브라켓(250)은 주형브라켓(25)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ad bracket 250 may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mold bracket 25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하중인가부재는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210) 또는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20)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230)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ad apply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fixed load member 210 having a fixed default value of a set compression force or a variable load member 230 controlling a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20 by adjusting itself. Can be.

이에 따라, 하중증가수단(200)의 하중인가부재가 주형브라켓(25)과 접촉되는 하중작용점(P)이 주형(20)의 높이방향 하측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하중작용점(P)은 주형(20)과 상기 주형진동수단(100)의 연결지점(Q)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ad acting point (P) in which the load applying member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in contact with the mold bracket 25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ld 20, so that the load acting point P is the mold 20 ) And the connection point (Q) of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일례로, 하중증가수단(200)의 하중작용점(P)을 주형(20)의 높이방향 하측부분에 배치하여 하중작용점(P)과 연결지점(Q)과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하중증가수단(200)에 의해 주형(20)에 인가된 하중이 보다 안정적으로 주형(20)과 주형진동수단(100)의 연결지점(Q) 및, 주형진동수단(100)에 작용하게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by placing the load acting point (P)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n the lower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ld 20, the distance between the load acting point (P) and the connecting point (Q)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load means (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mold 20 by the 200 can act more stably on the connection point Q between the mold 20 and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and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하중증가수단(200)은 상기 주형(20)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adjust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mold 20.

도 8을 참조하면, 주형진동장치(10)는 주형진동수단(100)의 행정거리(R) 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하중증가수단(200)의 높이(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8, the mold vibration device 10 is a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position)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stroke distance (R) condition of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It may further include (300).

높이조절수단(300)은 주형진동수단(100)이 주형(20)에 대해 인가하는 행정거리(R)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하중증가수단(200)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300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troke distance R applied by the mold vibrating means 100 to the mold 20, and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can adjust the height.

일례로, 하중증가수단(200)은 높이조절수단(300)에 의해 하중증가수단(20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adjusted in height as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eleva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300.

이에 따라, 주형진동수단(100)이 상기 주형(20)에 대해 인가하는 행정거리(R)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하중증가수단(200)이 주형(20)에 대해 압축력을 작용하기 시작하는 하중작용점(P)의 높이는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troke distance R applied by the mold vibration means 100 to the mold 20, the load that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starts to exert a compressive force on the mold 20 The height of the working point P can be adjusted.

높이조절수단(300)은 주형(2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하중증가수단(200)을 일체로 승강시킬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means 300 may integrally elevate the plurality of load increasing means 200 installed on the mold 20.

도 8을 참조하면, 높이조절수단(300)은, 복수 개의 상기 하중증가수단(200)이 설치되는 조절프레임(310) 및, 상기 주형(20)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프레임(3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the height adjustment means 300, a plurality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installed in the control frame 310, and the mold 20 is installed around, the adjustment frame 310 It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330 to elevate.

구체적으로, 높이조절수단(300)의 조절프레임(310)에는 복수 개의 하중증가수단(200)이 일체로 설치되고, 승강부재(330)는 조절프레임(310)을 승강시켜 복수 개의 하중수단을 일체로 승강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oad increasing means 200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adjusting frame 310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300, and the lifting member 330 integrally mounts the plurality of loading means by elevating the adjusting frame 310. Can be elevated to

하중증가수단(200)은, 주형(20)의 몰드(21)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몰드테이블(2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air of mold tables 23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mold 21 of the mold 20.

하중증가수단(200)은 몰드테이블(23)의 좌측에 2개의 하중증가수단(200)이 전후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몰드테이블(23)의 우측에 2개의 하중증가수단(200)의 전후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the load increasing means 200, two load increasing means 200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mold table 23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before and after the two load increasing means 200 on the right side of the mold table 23. It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즉, 한 쌍의 몰드테이블(23)에 총 8개의 하중증가수단(200)의 배치될 수 있고, 8개의 하중증가수단(200)은 높이조절수단(300)에 의해 일체로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at is, a total of eight load increasing means 200 may be disposed on the pair of mold tables 23, and the eight load increasing means 200 are integrally eleva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300 to adjust the height. Can be.

8개의 하중증가수단(200)은 조절프레임(31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조절프레임(310)이 주형(20)의 주변에 설치된 승강부재(33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The eight load increasing means 20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adjustment frame 310, and the adjustment frame 310 may be elevated by the lifting member 330 installed around the mold 20.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8개의 하중증가수단(200)에 각각 유압 또는 공압방식의 실런더부재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8개의 실린더부재가 동기화되어 조절제어수단(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ydraulic or pneumatic sealer members are individually installed in the eight load increasing means 200, and the eight individually installed cylinder members are synchronized to the control control means 400. Of course it can be controlled b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10: 주형진동장치 20: 주형
21: 몰드 23: 몰드테이블
25: 주형브라켓 100: 주형진동수단
200: 하중증가수단 210: 고정하중부재
211: 코일스프링 215: 완충고정체
216: 완충서포트 217: 완충로드
218: 완충스토퍼 230: 가변하중부재
231: 실린더본 233: 실린더로드
250: 하중브라켓 300: 높이조절수단
310: 조절프레임 330: 승강부재
400: 조절제어수단 A: 진폭
F: 주형진동수단의 하중 G: 자중
H: 하중증가수단의 하중 L: 진동중심선
M: 하중역전영역 P: 하중작용점
Q: 연결지점 R: 행정거리
10: mold vibration device 20: mold
21: mold 23: mold table
25: mold bracket 100: mold vibration means
200: load increasing means 210: fixed load member
211: coil spring 215: buffer fixed body
216: buffer support 217: buffer rod
218: buffer stopper 230: variable load member
231: cylinder body 233: cylinder rod
250: load bracket 300: height adjustment means
310: adjustable frame 330: lifting member
400: regulating control means A: amplitude
F: Load of mold vibration means G: Self-weight
H: Load of load increasing means L: Vibration center line
M: Load inversion area P: Load action point
Q: Connection point R: Stroke distance

Claims (11)

용강이 통과하는 주형에 설정된 주기로 진동을 인가하는 주형진동수단; 및,
상기 주형진동수단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주형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하중증가수단;을 포함하는 주형진동장치.
Mold vibration means for applying vibration at a set cycle on the mold through which the molten steel passes; And,
A mold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load increasing means fo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so that the tensile force does not act on the mold vibr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진동수단은 상기 주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상기 주형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압축력을 인가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ld vibration means applies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old,
The load increasing means is a mold vibration device fo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상기 주형진동수단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하중역전현상이 발생시, 상기 주형을 매개로 상기 주형진동수단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increasing means,
A mold vib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load reversal phenomenon in which a tensile force acts on the mold vibration means occurs,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mold vibration means via the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로 구비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increasing means,
A mold vibration device equipped with a fixed fixed load member with a default value of the set compression fo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중부재는,
상기 주형에 대해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하중증가수단의 하중브라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고정체;를 포함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xed load member,
A coil spring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apply a load to the mold; And,
A mold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buffer fix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and slidably installed on the load bracket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로 구비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increasing means,
A mold vib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variable load member that controls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by adjusting the set compression force itse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설정된 압축력의 기본값이 고정된 고정하중부재; 및,
설정된 압축력을 자체를 조절하여 상기 주형에 대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가변하중부재;를 구비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increasing means,
A fixed load member having a fixed default value of the set compression force; And,
And a variable load member that controls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on the mold by adjusting the set compression force itself.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하중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설정된 압축력이 조절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진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or 7,
The variable load member is a mold vib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ylinder member whose compression force is set by hydraulic or pneuma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증가수단은,
상기 주형의 높이방향 하측영역에 설치되는 주형브라켓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중브라켓; 및,
상기 하중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주형브라켓에 대해 압축력을 인가 가능한 하중인가부재;를 구비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increasing means,
A load bracke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ld bracket installed in the lower area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ld;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ad bracket, the mold vibration device having a; load applying member capable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mold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진동수단의 진폭 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하중증가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형진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ld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mplitude condition of the mold vibrating mea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복수 개의 상기 하중증가수단이 설치되는 조절프레임; 및,
상기 주형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주형진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djustment fram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the load increasing means; And,
It is installed around the mold, the lif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adjustment frame; provided with a mold vibration device.
KR1020180151406A 2018-11-29 2018-11-29 Mold vivrated apparatus KR102178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406A KR102178984B1 (en) 2018-11-29 2018-11-29 Mold vivrate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406A KR102178984B1 (en) 2018-11-29 2018-11-29 Mold vivrate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27A true KR20200064827A (en) 2020-06-08
KR102178984B1 KR102178984B1 (en) 2020-11-13

Family

ID=7108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406A KR102178984B1 (en) 2018-11-29 2018-11-29 Mold vivrate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98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789A (en) * 1985-12-09 1987-11-03 Mannesmann Ag Controlling mold oscillations
JPH07328748A (en) * 1994-06-09 1995-12-19 Nippon Steel Corp Device for oscillating mold for curved continuous caster
KR20090095673A (en) * 2005-03-28 2009-09-09 홍 지앙 Oscillating apparatus for the mold of continuous casting
KR20130017948A (en)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utting slab burr
KR20160078808A (en)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Oscillation gui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789A (en) * 1985-12-09 1987-11-03 Mannesmann Ag Controlling mold oscillations
JPH07328748A (en) * 1994-06-09 1995-12-19 Nippon Steel Corp Device for oscillating mold for curved continuous caster
KR20090095673A (en) * 2005-03-28 2009-09-09 홍 지앙 Oscillating apparatus for the mold of continuous casting
KR101105917B1 (en) 2005-03-28 2012-01-17 치헹 티안 Oscillating apparatus for the mold of continuous casting
KR20130017948A (en)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utting slab burr
KR20160078808A (en)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Oscillation gui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984B1 (en)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917B1 (en) Oscillating apparatus for the mold of continuous casting
KR101433452B1 (en) Apparatus for mould oscillation and mould equipment for continuous casting using the same
KR20070001192A (en) Device for accommodating a continuous casting mold on an elevating table for casting molten metals, particularly molten steel materials
KR20200064827A (en) Mold vivrated apparatus
JPH0339953B2 (en)
CN106393175A (en) Mechanical arm preventing shock in transferring process
CN101648259B (en) Vibrat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er crystallizer
CN107107172B (en) Buffer device of continuous casting oscillator
CN206689406U (en) A kind of vibrating desanding eye device
CN201791923U (en) Lever-free type full plate spring mechanical vibration device
CN213002536U (en) Mould vibrat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20030004298A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especially steel
CN102139357B (en) Multi-waveform electromagnetic excitation device of continuous casting crystallizer
CN208390957U (en) A kind of continuous casting vibration device
JP5829971B2 (en) Vibrating mold for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etting preset force of coil spring provided therein, and method for preventing breakout in continuous casting
CN209238986U (en) A kind of casting moulding machine with reaction presser device
CN201264079Y (en) Vibrator of crystallizer
CN108480576A (en) A kind of continuous casting vibrating device
CN2829938Y (en) Hydraulic driving all leaft spring viberator of square billet conticasting crystallizer
KR101832729B1 (en) Mold vivratde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RU2426920C1 (en) Vibratory bearing
KR101630702B1 (en) Apparatus for shock absorbing of oscillator for continuous casting
KR101235766B1 (en) Apparatus compensating vibration of mold oscillator in continuous caster
CN210701710U (en) Buffer device for loop device
KR100634049B1 (en) Method for oscillating a continuous-casting mould by means of variable oscillation para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