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643A -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643A
KR20200064643A KR1020180150979A KR20180150979A KR20200064643A KR 20200064643 A KR20200064643 A KR 20200064643A KR 1020180150979 A KR1020180150979 A KR 1020180150979A KR 20180150979 A KR20180150979 A KR 20180150979A KR 20200064643 A KR20200064643 A KR 2020006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information
color
sty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828B1 (ko
Inventor
차원석
Original Assignee
차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원석 filed Critical 차원석
Priority to KR102018015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8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는, 의복이 수납되는 옷장의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의복 영역의 색상값을 추출하는 색상추출부와, 상기 색상값을 기준색상값들과 색상키워드들이 저장된 색상DB에 대응시켜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는 색상선택부와, 상기 기준색상값과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색상키워드를 포함하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보유의복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 사용자 선택부 및 상기 사용자 선택부에서 선택된 보유의복정보에 포함된 색상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YLE INFORMATION OF CLOTH}
본 발명은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보유한 의복 중에서 선택한 의복의 종류 및 색상과 매칭되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추천받을 수 있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사회에서 의복은 한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큰 요소가 될 수 있기에, 사람들은 많은 의류를 구매해 놓고 있지만 보유한 의복을 전부 기억하지 못하여 의복의 관리에 실패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복 스타일을 결정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며 상황에 맞게 의복을 착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어떤 의류를 착용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도, 사용자들이 잡지,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일일이 찾아봐야 하는 상황으로, 사용자들은 구매한 의류의 관리에 있어서는 아직 편의성을 얻을만한 기술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매번 외출을 할 때마다 어떤 의복을 입어야 할지 고민을 하다가 늦게 나가는 일이 잦아지면서 내가 보유한 의복에 맞게 추천받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또한 쇼핑을 할 때에 내가 가지고 있는 의복과 어울리는 색상 또는 스타일을 맞춰 사기 힘든 경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하여 복수 개의 보유의복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보유의복정보에 해당되는 의복을 착용한 연예인 및 모델 이미지들을 통해 의복 스타일을 추천받아 미리 예상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호하는 연예인 및 모델 사진을 참고하여 스타일을 추천해주도록 하는 의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KR 10-172596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의복을 포함한 옷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의복 색상값을 추출하여 복수개의 기준색상값으로 구성된 색상DB와 의복 색상값을 매칭하여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고 기준색상값을 착용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컬러 감각이 부족하거나 소장하고 있는 의상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의복 스타일 결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는, 의복이 수납되는 옷장의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의복 영역의 색상값을 추출하는 색상추출부와, 색상값을 기준색상값들과 색상키워드들이 저장된 색상DB에 대응시켜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는 색상선택부와, 기준색상값과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생성하고 색상키워드를 포함하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보유의복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 사용자 선택부 및 사용자 선택부에서 선택된 보유의복정보에 포함된 색상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복이 수납되는 옷장의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의복 영역의 색상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색상값을 기준색상값들과 색상키워드들이 저장된 색상DB에 대응시켜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기준색상값과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생성하고 색상키워드를 포함하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보유의복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 단계와, 선택된 보유의복정보에 포함된 색상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출하는 경우, 의복을 직접 입어보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보유한 의복을 착용한 연예인 및 모델의 스타일을 사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스타일 정보를 미리보고 오늘 입을 의복을 미리 예상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의복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의복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옷장 속의 의복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옷장에 어떤 의복이 있는지, 의류 구매시 보유하고 있는 의복과 어울리는 의복은 어떤 것인지, 보유하고 있는 의복에 맞추어 매번 어떤 스타일의의복을 입을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방법을 타나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10)는 감지센서부(110)와, 카메라부(120)와, 색상추출부(130)와, 위치추출부(140)와, 색상DB(150)와, 색상선택부(160)와, 저장부(170)와, 사용자 선택부(180)와, 질의부(210)와, 이미지 정보 획득부(220)와, 이미지 정보 표시부(230)와, 스타일 선택부(240)와,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10)는 옷장을 포함하거나, 기설치된 옷장에 설치 가능하도록 별도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10)에 있어서 감지센서부(110)는 옷장의 의복 수납공간에 의복이 놓여짐에 따라 채워진 상태인지 또는 비워진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감지센서부(110)는 옷장의 의복 수납공간별로 각각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옷장의 의복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함에 따른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부(120)는 의복을 옷장에 수납하려고 하는 경우 의복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함에 따라 의복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색상추출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의복 부분에 해당하는 객체 영역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영역에 포함된 복수개의 특징점들의 색상값을 추출한다. 색상추출부(130)는 복수개의 특징점들의 색상값에 대한 평균값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색상값은 RGB모델에 따른 색상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징점은 이미지에서 의복에 대응되는 특징을 가지는 객체 영역에 속하는 픽셀일 수 있다
위치추출부(140)는 감지센서부(110)를 통해 의복 수납공간이 비워진 상태에서 채워진 상태로 상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위치추출부(140)는 카메라부(120)가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의복 수납공간에 있어서 상태 변경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태 변경이 있는 의복 수납공간에 대한 옷장에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값과 위치값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위치값은 복수개의 의복 수납공간들에 각각 대응되는 숫자, 문자, 도형, 이들의 조합에 따른 값일 수 있으며, 의복 수납공간에 대응되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또한, 의복분류정보는 의복에 대한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의', '하의', '신발' 등의 의복 분류에 따른 정보일 수 있으며, 의복 수납공간 또는 위치값에 대응되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옷장 내의 복수개의 의복 수납공간들은 각각의 위치값과 의복분류정보가 기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옷장 내의 복수개의 의복 수납공간들은 의복 분류별로 섹터가 구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1과 같은 3개의 행과 6개의 열을 가진 의복 수납공간들을 가지는 옷장에 있어서, 첫번째 행에 속하는 의복 수납공간들은 제1분류인 '상의'를 수납하기 위한 섹터, 두번째 행에 속하는 의복 수납공간들은 제2분류인 '하의'를 수납하기 위한 섹터, 세번째 행에 속하는 의복 수납공간들은 제3분류인 '신발'을 수납하기 위한 섹터로 각각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의', '하의', '신발'은 의복분류정보에 해당하며, 의복 수납공간들에 대한 위치값과 함께 기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경우, 위치추출부(140)는 첫번째 행의 첫번째 열에 '상의' 의복이 수납되는 경우 위치추출부(140)는 감지 센서(110)를 통해 첫번째 행의 첫번째 열에 대응되는 의복 수납공간에 대한 상태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태 변경이 있는 첫번째 행의 첫번째 열에 대응되는 의복 수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값(예를 들어, (x,y)=(1,1))과, 의복분류정보인 '상의'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색상DB(150)은 기설정된 색상모델 따른 복수개의 기준색상값들과 각각의 기준색상값들에 매칭된 색상키워드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색상선택부(160)는 색상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색상값에 기초하여 색상DB(150)에 저장된 색상값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기준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저장부(170)로 제공한다.
색상선택부(160)는 색상DB(150)에 저장된 기준색상값들 중 색상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색상값과 가장 유사한 값을 가지는 기준색상값을 택일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저장부(170)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색상값이 R=223, G=23, B=23를 가지고, 색상DB가 표 1과 같이 설정되는 경우에 색상선택부(160)는 RGB값들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R=255, G=0, B=0'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여 선택된 기준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키워드인 '빨간색'을 저장부(17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키워드 R값 G값 B값
파란색 0 0 255
빨간색 255 0 0
저장부(170)는 색상선택부(160)에서 제공받은 색상키워드와 위치추출부(140)에서 출력되는 의복분류정보를 매칭함에 따른 보유의복정보를 생성하고 보유의복정보와 위치추출부(140)에서 출력되는 위치값을 매칭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의복 수납공간에 복수개의 의복이 수납되는 경우 복수개의 의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보유의복정보들과 복수개의 보유의복정보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값들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선택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복수개의 보유의복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받는다.
질의부(210)는 사용자 선택부(180)를 통해 선택받은 보유의복정보인 제1 보유의복정보와,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와는 다른 의복분류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의복정보인 제2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의복 스타일 검색을 위한 검색키워드를 작성한다.
제1 보유의복정보와 제2 보유의복정보는 각각 의복분류정보와 색상키워드를 가지므로, 질의부(210)는 제1 보유의복정보가 가지는 의복분류정보와 색상키워드, 제2 보유의복정보가 가지는 의복분류정보와 색상키워드를 기설정된 검색 연산자(예를 들어, and, or, *, +, ' ' 등)와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검색키워드를 작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연산자는 외부검색DB에서 지원하는 검색 연산자에 맞게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질의부(210)는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와는 다른 의복분류정보를 가지는 보유의복정보들이 복수개인 경우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2 보유의복정보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검색키워드들을 작성하는 것일 수 있다.
질의부(210)는 제1 보유의복정보 및 제2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검색키워드를 외부검색DB(20)로 제공하여, 검색키워드에 따른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외부검색DB(20)를 통해 검색하도록 한다.
한편, 외부검색DB(20)는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며, 키워드에 따라 의복을 사람 또는 마네킹 등이 착용한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에 대한 검색이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검색 결과에 따른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파일 또는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외부검색DB(20)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에 대한 의복 정보 또는 해시태그 정보를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과 함께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의복 스타일 이미지 파일 또는 데이터에 의복 정보 또는 해시태그 정보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외부검색DB(20)는 이미지 검색을 제공하는 포털서비스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220)는 검색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또한, 이미지 정보 획득부(220)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의복 정보 또는 해시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220)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획득하는데 이용된 검색키워드를 질의부(210)로부터 제공받도록 하고 검색키워드에 대응되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매칭시켜 검색키워드별로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표시부(230)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220)를 통해 획득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스타일 선택부(240)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다.
스타일 선택부(240)는 선택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검색키워드에 있어서 제2 보유의복정보에 속하는 색상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키워드에 대응되는 위치값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스타일 선택부(240)에서 선택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검색키워드, 제1 보유의복정보,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값, 제2 보유의복정보, 제2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방법을 타나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방법은 옷장을 포함하거나,기설치된 옷장에 설치 가능하도록 별도로 이루어진 것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1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10)는 감지센서부(110)는 옷장의 의복 수납공간 별로 각각 설치되어 옷장의 의복 수납공간에 의복이 놓여지는 상황인지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밥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복이 수납되는 옷장의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S120).
여기서, 감지센서부(110)를 통해 의복을 옷장에 수납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복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함에 따라 의복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공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의복 영역의 색상값을 추출한다(S130).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S120 단계에서 획득된 수납공간 이미지로부터 의복 부분에 해당하는 객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 영역에 포함된 복수개의 특징점들의 색상값을 추출한다. 복수개의 특징점들의 색상값에 대한 평균값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색상값은 RGB모델에 따른 색상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징점은 이미지에서 의복에 대응되는 특징을 가지는 객체 영역에 속하는 픽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센서부(110)를 통해 상태 변경이 있는 상기 수납공간의 위치값과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를 추출한다(S140).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의복 수납공간에 있어서 상태 변경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태 변경이 있는 의복 수납공간에 대한 옷장에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값과 위치값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위치값은 복수개의 의복 수납공간들에 각각 대응되는 숫자, 문자, 도형, 이들의 조합에 따른 값일 수 있으며, 의복 수납공간에 대응되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또한, 의복분류정보는 의복에 대한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의', '하의', '신발' 등의 의복 분류에 따른 정보일 수 있으며, 의복 수납공간 또는 위치값에 대응되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옷장 내의 복수개의 의복 수납공간들은 각각의 위치값과 의복분류정보가 기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옷장 내의 복수개의 의복 수납공간들은 의복 분류별로 섹터가 구분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색상값을 기준색상값들과 색상키워드들이 저장된 색상DB에 대응시켜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한다(S160).
여기서, S160 단계에서 추출된 색상값에 기초하여 색상DB에 저장된 기준색상값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기준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기준색상값과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색상키워드를 포함하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한다(S170).
여기서, 상기 S160 단계에서 제공받은 색상키워드와 상기 S140 단계에서 출력되는 의복분류정보를 매칭함에 따른 보유의복정보를 생성하고 보유의복정보와 위치값을 매칭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보유의복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다(S180).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선택받음으로써 제1 보유의복정보를 생성하고,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와는 다른 의복분류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의복정보인 제2 보유의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의복 스타일 검색을 위한 검색키워드를 작성하고 상기 검색키워드를 외부검색DB로 제공한다(S210).
여기서, 상기 S180 단계를 통해 선택받은 보유의복정보인 제1 보유의복정보와,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와는 다른 의복분류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의복정보인 제2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의복 스타일 검색을 위한 검색키워드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유의복정보와 제2 보유의복정보는 각각 의복분류정보와 색상키워드를 가지므로, 제1 보유의복정보가 가지는 의복분류정보와 색상키워드, 제2 보유의복정보가 가지는 의복분류정보와 색상키워드를 기설정된 검색 연산자(예를 들어, and, or, *, +, ' ' 등)와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검색키워드를 작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의복분류정보와는 다른 의복분류정보를 가지는 보유의복정보들이 복수개인 경우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2 보유의복정보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검색키워드들을 작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보유의복정보 및 제2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검색키워드를 외부검색DB로 제공하여, 검색키워드에 따른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색키워드에 따른 의복 스타일을 검색하여 복수 개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획득한다(S220).
여기서,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획득하는데 이용된 검색키워드를 상기 S210 단계로부터 제공받도록 하고 검색키워드에 대응되는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매칭시켜 검색키워드별로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보유의복정보에 포함된 색상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한다(S230).
여기서, 상기 S220 단계에서 리스트화하여 저장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다(S240).
여기서, 선택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검색키워드에 있어서 제2 보유의복정보에 속하는 색상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키워드에 대응되는 위치값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검색키워드, 보유의복정보,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S250).
구체적으로, 선택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검색키워드, 제1 보유의복정보, 제1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값, 제2 보유의복정보, 제2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20: 외부검색DB
110: 감지센서부
120: 카메라부
130: 색상추출부
140: 위치추출부
150: 색상DB
160: 색상선택부
170: 저장부
180: 사용자 선택부
210: 질의부
220: 이미지 정보 획득부
230: 이미지 정보 표시부
240: 스타일 선택부
250: 디스플레이부

Claims (6)

  1. 의복이 수납되는 옷장의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의복 영역의 색상값을 추출하는 색상추출부;
    상기 색상값을 기준색상값들과 색상키워드들이 저장된 색상DB에 대응시켜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는 색상선택부;
    상기 기준색상값과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색상키워드를 포함하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보유의복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 사용자 선택부; 및
    상기 사용자 선택부에서 선택된 보유의복정보에 포함된 색상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별로 각각 설치되어 의복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를 통해 상태 변경이 있는 상기 수납공간의 위치값과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의복분류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추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보유의복정보에 상기 위치값과 상기 의복분류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의복 스타일 검색을 위한 검색키워드를 작성하여 외부검색DB로 제공하는 질의부; 및
    상기 검색키워드에 따른 의복 스타일을 검색하여 복수 개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 스타일 선택부; 및
    선택된 상기 의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검색키워드, 보유의복정보, 보유의복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값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5.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복이 수납되는 옷장의 수납공간 전면의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의복 영역의 색상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색상값을 기준색상값들과 색상키워드들이 저장된 색상DB에 대응시켜 어느 하나의 기준색상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준색상값과 대응되는 색상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색상키워드를 포함하는 보유의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보유의복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상기 보유의복정보에 포함된 색상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검색DB를 통해 검색된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하나의 보유의복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있어서,
    상기 보유의복정보에 기초하여 의복 스타일 검색을 위한 검색키워드를 작성하여 외부검색DB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키워드에 따른 의복 스타일을 검색하여 복수 개의 의복 스타일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150979A 2018-11-29 2018-11-29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2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79A KR102123828B1 (ko) 2018-11-29 2018-11-29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79A KR102123828B1 (ko) 2018-11-29 2018-11-29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43A true KR20200064643A (ko) 2020-06-08
KR102123828B1 KR102123828B1 (ko) 2020-06-17

Family

ID=7108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979A KR102123828B1 (ko) 2018-11-29 2018-11-29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2971A (zh) * 2021-05-31 2021-08-06 深圳市蝶讯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色彩和搭配浏览款式的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592129B1 (ko) * 2023-05-10 2023-10-23 크럼플러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의류 추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473A (ko) * 2014-03-11 2015-09-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옷장
KR20170003046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바디엘 의상 코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473A (ko) * 2014-03-11 2015-09-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옷장
KR20170003046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바디엘 의상 코디 시스템 및 방법
KR101725960B1 (ko) 2015-06-30 2017-04-11 주식회사 바디엘 의상 코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2971A (zh) * 2021-05-31 2021-08-06 深圳市蝶讯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色彩和搭配浏览款式的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592129B1 (ko) * 2023-05-10 2023-10-23 크럼플러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의류 추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828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634B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compostition method thereof
JP603382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7003962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0016281A1 (ja) 検索支援システム、検索支援方法及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KR102123828B1 (ko) 의복 스타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5200505A1 (en) Color name generation from images and color palettes
KR20200046924A (ko) 패션 코디의 자동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N111639979A (zh) 一种游乐项目推荐方法及装置
US11347793B2 (en) Use of depth perception as indicator of search, user interest or preference
KR20200042203A (ko) 사용자 입력 영상 기반 의상코디 장치 및 방법
KR20200025291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퍼스널 컬러진단을 통한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6331132A (ja) ドレッシングシステム
CN114117155A (zh) 商品对象信息搜索方法及电子设备
EP3113048A1 (en) Product retrieval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200118615A (ko)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타일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단말 장치
KR19980077453A (ko) 영상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의상 디자인을 선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639330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He et al. Fashionista: A fashion-aware graphical system for exploring visually similar items
JP2002215627A5 (ja) 画像検索方法、画像検索装置、画像データベース作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218578A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システム、画像検索方法、及び画像検索プログラム
JP2015099534A (ja) 検索装置、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34869B1 (ko) 영상과 대응하는 신발 추천 시스템
KR101927504B1 (ko)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KR102355942B1 (ko)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JP2005293129A (ja) 物品特定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