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882A -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882A
KR20200063882A KR1020180150131A KR20180150131A KR20200063882A KR 20200063882 A KR20200063882 A KR 20200063882A KR 1020180150131 A KR1020180150131 A KR 1020180150131A KR 20180150131 A KR20180150131 A KR 20180150131A KR 20200063882 A KR20200063882 A KR 2020006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
new
failur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848B1 (ko
Inventor
이병주
이재권
성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Priority to KR102018015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8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8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conversion of DC into AC, e.g. with chop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02J3/38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04S10/522
    • Y04S10/6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이 자연으로부터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의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전기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Method of Detecting Malfunction of Power Generation System for New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출력되는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간의 비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화석 연료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어 자원의 고갈과 함께 국제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화석 연료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인식되면서 그 사용량이 많은 국가에게는 불이익을 주는 등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가 대두되어 그 기술과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일컫는다. 신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풍력에너지, 지열에너지, 수력에너지, 수열에너지, 해양에너지, 연료전지에너지, 수소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석탄가스화/액화에너지 등이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화석 연료와 달리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갈되지 않고, 오염 물질이나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며, 화석 연료에 비해 비교적 지구 상에 고르게 분포하여 보편적으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신재생에너지는 발전소를 건설할 때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으며, 개발 초기에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경제성이 낮은 편이라는 단점도 있다.
태양광, 태양열, 풍력, 파력, 조력 등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는 자연으로부터 획득하는 에너지이므로 그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크기가 변화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있어서도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발전량이 계절이나 기후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동작 환경은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용되어야 하며, 고장 발생의 원인 또한 복합적이어서 그 원인을 정확하게 검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보만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4-0125526 A, 2014년 10월 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출력되는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간의 비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이 자연으로부터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의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전기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조력에너지, 파력에너지 등 획득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일정 주기를 갖고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 신재생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를 통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를 상기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장치의 고장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과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 간의 차가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과거 발전량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현재 시점과 동일한 과거 n년의 각 시점에서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인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들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산출한 평균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이 상기 평균과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따르면,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출력되는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간의 비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보만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적용되는 태양광 에너지 크기의 주기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을 감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조력에너지, 파력에너지 등 획득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일정 주기를 갖고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 신재생에너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를 주기로 획득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변화하는 태양광 에너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100)는 신재생에너지 측정부(110), 전기에너지 측정부(120), 주기 산출부(130), 고장발생 감지부(140),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신재생에너지 측정부(110)와 전기에너지 측정부(12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신재생에너지 측정부(11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이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를 연속 측정한다.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가 태양광인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를 주기로 하여 사인곡선의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 때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는 태양관 패널이 태양으로부터 입력 받는 태양광 자체에 대한 에너지로 구현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측정부(11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이 측정한 신재생에너지의 크기 정보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할 수도 있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에 별도로 설치된 센서나 장치를 구성으로 포함하여 상기 센서나 장치가 측정한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기에너지 측정부(12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에 의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연속 측정한다. 전기에너지 측정부(120)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으로부터 상기 전기에너지의 크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할 수도 있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에 별도로 설치된 센서나 장치를 구성으로 포함하여 상기 센서나 장치가 측정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주기 산출부(130)는 상기 연속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되는 신재생에너지의 크기 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한다. 또한 주기 산출부(130)는 상기 연속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 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한다. 주기 산출부(130)는 상기 산출한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에 대한 정보와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고장발생 감지부(140)로 전송한다.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특히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 중에서 상기 신재생에너지를 상기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장치의 고장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과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 간의 차가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인 경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 즉 상기 인버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임계범위는 신재생에너지의 종류와, 계절, 기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과거 발전량 정보가 기록된다.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에 대하여 현재 시점과 동일한 과거 n년의 각 시점에서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인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1)로부터 판독한다.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상기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들의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평균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이 상기 평균과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 차이나는 경우,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간의 비교만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의 고장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과거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평균과 현재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평균 간의 비교만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의 고장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고장발생 감지부(140)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간의 비교결과와, 과거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평균과 현재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평균 간의 비교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101)의 고장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이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를 연속 측정한다(단계(211)).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한다(단계(212)).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의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연속 측정한다(단계(213)).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전기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한다(단계(214)).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한다(단계(215)). 이 때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과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 간의 차가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를 통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를 상기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장치의 고장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과거 발전량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216)).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현재 시점과 동일한 과거 n년의 각 시점에서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인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한다(단계(217)).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들의 평균을 산출한다(단계(218)).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산출한 평균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을 비교한다(단계(219)). 상기 비교결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이 상기 평균과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단계(220)).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에 라,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보만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
101: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110: 신재생에너지 측정부
120: 전기에너지 측정부
130: 주기 산출부
140: 고장발생 감지부
150: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을 감지하는 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이 획득하는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의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연속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연속 측정되는 상기 전기에너지의 크기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조력에너지, 파력에너지 등 획득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일정 주기를 갖고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 신재생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를 통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를 상기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장치의 고장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와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고장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과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 간의 차가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과거 발전량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현재 시점과 동일한 과거 n년의 각 시점에서의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인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n개의 과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들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산출한 평균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현재시점의 상기 전기에너지 크기의 주기 값이 상기 평균과 선정된 임계범위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장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KR1020180150131A 2018-11-28 2018-11-28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KR10215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31A KR102150848B1 (ko) 2018-11-28 2018-11-28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31A KR102150848B1 (ko) 2018-11-28 2018-11-28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82A true KR20200063882A (ko) 2020-06-05
KR102150848B1 KR102150848B1 (ko) 2020-09-02

Family

ID=7108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131A KR102150848B1 (ko) 2018-11-28 2018-11-28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59A1 (ko)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스탠딩 필름형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526A (ko) 2013-04-19 2014-10-29 한상찬 타악기용 장구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4423A (ko) * 2015-10-15 2017-04-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진단 및 전력변동성 계측을 위한 원격계측시스템
KR20170116769A (ko) * 2016-04-12 2017-10-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모듈의 고장 진단 서버
JP2018108025A (ja) * 2018-03-27 2018-07-05 未来工業株式会社 発電設備の診断システム
KR101907988B1 (ko) * 2018-05-30 2018-10-16 주식회사 대경산전 디지털 계량기의 고장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526A (ko) 2013-04-19 2014-10-29 한상찬 타악기용 장구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4423A (ko) * 2015-10-15 2017-04-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진단 및 전력변동성 계측을 위한 원격계측시스템
KR20170116769A (ko) * 2016-04-12 2017-10-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모듈의 고장 진단 서버
JP2018108025A (ja) * 2018-03-27 2018-07-05 未来工業株式会社 発電設備の診断システム
KR101907988B1 (ko) * 2018-05-30 2018-10-16 주식회사 대경산전 디지털 계량기의 고장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59A1 (ko)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스탠딩 필름형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848B1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d Global energy system based on 100% renewable energy-power sector
DK2807371T3 (en) Wind farm comprising a wind speed REAL TIME MEASUREMENTS
US8600572B2 (en) Smarter-grid: method to forecast electric energy production and utilization subject to uncertain environmental variables
de Groot et al. The effects of variable renewable electricity on energy efficiency and full load hours of fossil-fired power plants in the European Union
KR102065443B1 (ko) 태양광 발전소의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시스템
JP6093465B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発電診断方法、及び発電診断装置
KR102220331B1 (ko) 안전 진단 기능을 구비한 IoT 기반 태양광 발전 구조물 및 이의 안전 진단 방법
Pasari et al. Time series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for renewable energy forecasting
Tahri et al.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hotovoltaic system
Mohan et al. Solar energy disaggregation using whole-house consumption signals
Boblenz et al. Energy system analysis for evaluation of sector coupling technologies
Wang et al. Reliability model assessment of grid-connected solar photovoltaic system based on Monte-Carlo
KR101608569B1 (ko) 손실 에너지의 결정 방법
KR101305584B1 (ko) 에너지 발전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ano et al. Evaluation of temporal resolution impact on power fluctuations and self-consumption for a hydrokinetic on grid system using supercapacitors
KR102150848B1 (ko)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고장 감지방법
Ikäheimo Power-to-gas plants in a future Nordic district heating system
Ali et al. Evaluation of PV-wind hybrid energy system for a small island
KR20200063884A (ko) 신재생에너지 발전오류 검출방법
Mazhari et al. Hybrid simulation and optimization-based capacity planner for integrated photovoltaic generation with storage units
Asnil et al.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for Photovoltaic Parameters
Algburi et al. Optimization investigation of a stand-alone hybrid energy system design in Kirkuk technical college.
KR102204012B1 (ko)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Vardar et al. Cost assessment of the possibility of using three types of wind turbine in Turkey
Eryilmaz et al. Wind and hybrid power systems: reliability-based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