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769A -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769A
KR20200063769A KR1020180149900A KR20180149900A KR20200063769A KR 20200063769 A KR20200063769 A KR 20200063769A KR 1020180149900 A KR1020180149900 A KR 1020180149900A KR 20180149900 A KR20180149900 A KR 20180149900A KR 20200063769 A KR20200063769 A KR 20200063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injection
receiving space
piston rod
syri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민
Original Assignee
(주)풍림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림파마텍 filed Critical (주)풍림파마텍
Priority to KR102018014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769A/ko
Publication of KR2020006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96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주사기관체 내부가 구획가스켓에 의해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각각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주사기관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피스톤로드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주사약제가 제2수용공간측으로 유입되되 바이패스부에 의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제2수용공간에서 혼합된 주사약제가 피스톤로드를 계속적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의 혼합성은 물론 편의성과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를 최소화하고 보관시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아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dual-chamber syringe}
본 발명은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관체 내부를 구획하되 구획된 공간을 바이패스부에 의해 연통되도록 하여 2 종류의 서로 다른 약제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약제가 수용되는 관체와 관체에 수용된 약제를 배출하는 피스톤으로 구비되어 피스톤으로 관체 내부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관체에 수용된 약제가 배출되어 주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는 액상의 약제가 미리 충전되어 봉입되어 있는 형태가 대부분인 것으로, 이러한 종래 주사기는 구조상 또는 약의 특성상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유리재질의 관체 특성상 약한 충격이나 약간의 부주의에도 주사기가 깨지는 우려가 있다.
또한, 혼합 혹은 용해가 필요한 경우, 제제적, 약효적으로 안정성을 지니는 것이 곤란한 약제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사용 직전까지 앰플이나 바이알 등에 따로따로 보관해 두고 사용시 주사기나 이송용 주사침 등을 이용하여 조제하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조작이 번거롭기 때문에 조제의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공중부유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앰플의 유리 조각이나 바이알의 고무 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혼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자들어서는 2종류의 다른 약제를 동일한 주사기 내에 서로 분리하여 보존해 두었다가, 사용할 때 혼합하여 바로 이용하는 이중 혼합 주사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406543호인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에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를 삽입하되 큰 직경 제1주사기 내부의 피스톤과 작은 직경 제2주사기의 선단 토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작은 직경의 제2주사기에 내장된 액체 상태의 약제를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내부 분말에 공급하여 혼합한 후 작은 직경 제2주사기를 큰 직경의 제1주사기 로드로 사용하여 혼합 약제를 주사하는 이중 복합 주사기로 사용함은 물론, 상기 큰 직경 및 작은 직경의 제1,2주사기를 각각 분리하여 단독 주사기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우수하도록 하며, 또한 분말과 액체 상태의 약제를 별도 보관하여 사용시 간단하게 혼합 사용하므로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주사기와 제2주사기를 구비함에 따라 생산비용의 증가는 물론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을 뿐만 아니라, 보관에 있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제1주사기에 삽입된 피스톤로드를 밀어주어 액상의 주사액을 제2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다음 제1주사기를 제2주사기측으로 밀어주어 혼합된 주사액이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주사액 혼합과정과 주사액 배출과정이 따로 분리될 수 밖에 없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제1주사기를 제2주사기 내부로 밀어줄 때 제1주사기 상단에 제2주사기 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피스톤을 끼워준 후 제1주사기를 제2주사기 내부로 밀어 주사액이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제1주사기와 제2주사기 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피스톤을 끼움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6543호(2014.06.03.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10767호(2016.04.04. 등록)
본 발명은 하나의 주사기관체 내부에 구획가스켓을 구비하여 하나의 주사기관체 내부를 구획하되 하나의 피스톤로드의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액상의 주사액과 또 다른 액상의 주사액 또는 액상의 주사액과 고체형 약제가 혼합되어 주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관성 향상은 물론 생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는, 하단에 핑거그립을 갖는 주사기관체와, 상기 주사기관체 상단에 끼워지는 루어락어댑터와, 상기 주사기관체 내부로 인입되어 밀어지고 선단측에 피스톤이 구비된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관체 내부 중앙에는 상기 주사기관체 내부를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가스켓이 구비되어 위치되는 주사기관체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연통하는 바이패스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관체 상단 내측에는 고정가스켓이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에 각각 2종류의 주사약제를 수용한 후 상기 피스톤로드를 제1수용공간 내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제1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주사약제가 상기 바이패스부를 통해 제2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를 계속적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의 피스톤이 상기 구획가스켓이 닿게 되어 상기 구획가스켓과 같이 피스톤로드가 계속적으로 밀어져 제2수용공간에 혼합된 주사약제가 상기 루어락어탭터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루어락어댑터는,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된 주사약제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주사바늘측으로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복수개 배출공간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나의 주사기관체 내부가 구획가스켓에 의해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각각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주사기관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피스톤로드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주사약제가 제2수용공간측으로 유입되되 바이패스부에 의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제2수용공간에서 혼합된 주사약제가 피스톤로드를 계속적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의 혼합성은 물론 편의성과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를 최소화하고 보관시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아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의 주사기관체 내부에 서로 다른 2종류 주사약제가 수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에 의해 2종류 주사약제가 혼합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에 의해 혼합된 주사약제가 배출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의 바이패스부에 의해 2종류 주사약제가 혼합되는 상태의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에 핑거그립(10a)을 갖는 주사기관체(10)와, 상기 주사기관체(10) 상단에 끼워지는 루어락어댑터(20)와,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로 인입되어 밀어지고 선단측에 피스톤(31)이 구비된 피스톤로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사기관체(1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재질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루어락어댑터(20)는 주사바늘(미도시)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사기관체(10)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를 수용한 후 피스톤로드(30)를 주사기관체(10) 내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가 혼합되어 주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제의 혼합은 물론 혼합된 주사약제의 주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 중앙에는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를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으로 구획하는 구획가스켓(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가스켓(40)은 상기 피스톤로드(30)가 주사기관체(10) 내부에서 밀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 가압력이 발생될 경우에는 위치가 고정되었다가 상기 피스톤로드(30)를 계속적으로 밀어줌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피스톤(31)이 닿게 될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에서 계속적으로 밀어지는 피스톤로드(30)에 의해 상기 루어락어댑터(20)측으로 밀어진다.
또한, 상기 구획가스켓(40)이 구비되어 위치되는 주사기관체(10)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을 연통하는 바이패스부(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패스부(50)는 상기 주사기관체(10)에 구비되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을 연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주사약제가 상기 바이패스부(50)를 통해 제2수용공간(12)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제1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주사약제는 상기 바이패스부(50)를 통해 제2수용공간(12) 내부로 유입됨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액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사기관체(10) 상단 내측에는 고정가스켓(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가스켓(60)은 주사기관체(10) 상단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주사기관체(10)의 상단으로부터 빠져나옴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에 각각 2종류의 주사약제를 수용한 후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피스톤(31)을 제1수용공간(11)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가스켓(60)측으로 피스톤로드(30)를 밀어주면,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피스톤(31)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부에 수용된 주사약제가 상기 바이패스부(50)를 통해 제2수용공간(12)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2수용공간(12)에 수용된 또 다른 주사약제와 혼합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30)를 계속적으로 고정가스켓(60)측으로 밀어주면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피스톤(31)에 상기 구획가스켓(40)이 닿게 되어 상기 구획가스켓(40)과 같이 피스톤로드(30)가 고정가스켓(60)측으로 밀어지면서 제2수용공간(12)에 혼합된 주사약제가 상기 루어락어탭터(20)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2종류의 주사약제를 각각 주사기관체(10)의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에 수용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30)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2종류의 주사약제가 혼합됨은 물론 혼합된 주사약제가 루어락어댑터(20)를 통해 주사바늘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2종류의 주사약제의 혼합성은 물론 혼합된 주사약제의 배출성 및 사용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루어락어댑터(20)는,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결합부(21)가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공간(12)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된 주사약제가 상기 결합부(21)에 결합되는 주사바늘측으로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복수개 배출공간부(22)가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주사기관체 10a : 핑거그립
11 : 제1수용공간 12 : 제2수용공간
20 : 루어락어댑터 21 : 결합부
22 : 배출공간부 30 : 피스톤로드
31 : 피스톤 40 : 구획가스켓
50 : 바이패스부 60 : 고정가스켓

Claims (2)

  1. 하단에 핑거그립(10a)을 갖는 주사기관체(10)와;
    상기 주사기관체(10) 상단에 끼워지는 루어락어댑터(20)와;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로 인입되어 밀어지고 선단측에 피스톤(31)이 구비된 피스톤로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 중앙에는 상기 주사기관체(10) 내부를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으로 구획하는 구획가스켓(40)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가스켓(40)이 구비되어 위치되는 주사기관체(10)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을 연통하는 바이패스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관체(10) 상단 내측에는 고정가스켓(60)이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에 각각 2종류의 주사약제를 수용한 후 상기 피스톤로드(30)를 제1수용공간(11) 내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제1수용공간(11) 내부에 수용된 주사약제가 상기 바이패스부(50)를 통해 제2수용공간(12)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0)를 계속적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피스톤(31)에 상기 구획가스켓(40)이 닿게 되어 상기 구획가스켓(40)과 같이 피스톤로드(30)가 계속적으로 밀어져 제2수용공간(12)에 혼합된 주사약제가 상기 루어락어탭터(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락어댑터(20)는,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결합부(21)가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공간(12)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된 주사약제가 상기 결합부(21)에 결합되는 주사바늘측으로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복수개 배출공간부(2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KR1020180149900A 2018-11-28 2018-11-28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KR20200063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00A KR20200063769A (ko) 2018-11-28 2018-11-28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00A KR20200063769A (ko) 2018-11-28 2018-11-28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769A true KR20200063769A (ko) 2020-06-05

Family

ID=7108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900A KR20200063769A (ko) 2018-11-28 2018-11-28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7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43B1 (ko) 2012-08-02 2014-06-11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610767B1 (ko) 2015-08-13 2016-04-08 (주)씨앤텍코리아 이종 물질 혼합형 주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43B1 (ko) 2012-08-02 2014-06-11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101610767B1 (ko) 2015-08-13 2016-04-08 (주)씨앤텍코리아 이종 물질 혼합형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543B1 (ko)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CN104093437B (zh) 具有低回缩作动力的自动注射器
CA2513165C (en)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1557849B (zh) 包括带径向移动紧固装置的容器和配量组件的医用输送系
CN107771093B (zh) 用于混合两种组分和用于在存储条件下保持真空的注射器
US20150088089A1 (en) Reconstitution device
JPH01131671A (ja) 注射器並びに注射器の組立て方法
CN106535964B (zh) 预填充注射装置
EA200601010A1 (ru) Шприц тип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смешивания порошкового лекарства
JP2012085813A (ja) 二室式容器兼用注射器
US11752270B2 (en) Syringe with plunger reaction pressure reduction structure
CN108601898B (zh) 多腔室注射器单元
US4036225A (en) Bicompartmental syringe
KR20200063769A (ko) 이중 혼합 주사기장치
CN105534710A (zh) 皮试液配制器及配制皮试液的方法
US9833572B2 (en) Modular dual chamber syringe system
KR101439466B1 (ko) 약물 주사 장치 및 약물 주사용 키트
US10300203B2 (en) Priming mechanism for automatic injection device
KR101479258B1 (ko) 일회용 주사기
US20140194827A1 (en) Disposable pre-filled syringe
JP2019517348A (ja) 三重区画プレフィルド注射器
KR20110009755A (ko) 프리필드 주사기
JP2017530804A (ja) 注射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30009068A (ko) 약제 혼합 장치
CN216022481U (zh) 一种双室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