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741A -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2741A KR20200062741A KR1020180148494A KR20180148494A KR20200062741A KR 20200062741 A KR20200062741 A KR 20200062741A KR 1020180148494 A KR1020180148494 A KR 1020180148494A KR 20180148494 A KR20180148494 A KR 20180148494A KR 20200062741 A KR20200062741 A KR 202000627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drip bag
- mounting
- coffee drip
- pedes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로서, 횡축(X)이 종축(Y)보다 더 긴 구조로 구비되고, 상측에 복수의 사선 절개부(110)가 형성된 받침대(100) 및 상기 사선 절개부(110)에 사선방향으로 상향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거치기둥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 기둥부(200)의 상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커피드립백(30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홈(310)이 삽입되면서 커피드립백이 한 쌍의 거치기둥부(200) 사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드립백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에서 커피를 직접 내려마시는 홈카페라는 개념이 확산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맛있는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당연히 카페를 찾아야된다는 생각이 많았지만, 이제는 간편하게 핸드밀 등으로 직접 원두를 갈아 드립 커피를 내려 마시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이 되어 가고 있다.
드립 커피(Drip Coffee)란 볶아서 간 커피 콩을 필터 등의 거름 장치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물이 커피가루를 통과하면서 아래로 떨어져 만들어지는 커피이다.
일반인들의 커피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홈카페 족을 위해 프랜차이즈카페와 커피기업들이 관련 제품을 출시하면서, 손쉽게 홈 카페를 즐길 수 있게 됐다. 직접 선호하는 원두를 구입해 수동 그라인더 또는 자동 그라인더 등의 머신을 이용해서 드립커피를 즐기는 홈카페족은 그라인더가 없는 상태에서도 드립커피를 즐기고 싶은 욕구가 커지고 있고, 이러한 제품에 대한 시장도 점점 성장하고 있다.
종래의 휴대형 커피드립백은,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백 자체에 거치구조를 구비하여, 예로 접혀진 거치구조를 펼쳐낸 후 커피컵에 안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 졌다.
이러한 종래 구조는 드립커피를 용이하게 마실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도 1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커피가루가 커피잔의 물에 잠기게 됨으로써, 순수한 드립커피가 내는 맛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커피드립백이 커피잔 내부의 물에 잠기지 않는 거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커피드립백에 물을 주입할때, 커피드립백과 거치장치의 접촉이 최소화되는 거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횡축이 종축보다 더 긴 구조로 구비되고, 상측에 복수의 사선 절개부가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사선 절개부에 사선방향으로 상향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거치기둥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기둥부의 상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커피드립백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홈이 삽입되면서 커피드립백이 한 쌍의 거치기둥부 사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구조 또는 타원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가 직사각형 구조인 경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직선형 받침대 및 제2 직선형 받침대에 사선방향으로 결합되는 2개의 거치기둥부가 결합되어 직사각형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지점을 기준으로, 커피드립백의 상단 폭 최대길이는 상기 거치기둥부 간의 상단 폭 최대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기둥부의 각도보다 커피드립백의 각도가 더 크게 벌어진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의 종축 양 단부에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기둥부의 하단 양 단부에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커피드립백에 물을 주입하여도, 커피드립백이 아래에 놓인 커피잔의 물에 잠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커피드립백과 거치기둥부의 경사각도를 달리하여 양 구성의 접촉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드리핑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휴대용 커피드립백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커피필터가 커피드리퍼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에 의해 커피가 드리핑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기둥부와 커피드립백 측면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받침대와 거치기둥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를 실제 제작한 사례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커피필터가 커피드리퍼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에 의해 커피가 드리핑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기둥부와 커피드립백 측면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받침대와 거치기둥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를 실제 제작한 사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방향은 도면에 제시된 방향을 참고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의 종래 휴대용 커피드립백은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리핑된 커피액이 커피잔에 고이게 되는데, 고인 커피액이 커피드립백에 접촉하게 되면서, 순수한 드리핑을 방해하게 된다. 이 경우, 불필요한 잡미가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만,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휴대성 측면에서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a의 커피필터는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이며, 도 2b의 드리퍼(dripper) 내부에 안착되고, 커피필터 내부에 그라인딩(gringing)된 커피가루(coffee powder)가 채워지고, 뜨거운 물을 주입시키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드리퍼는 커피잔의 위쪽에 배치되므로, 커피잔에 고인 커피액과 커피필터가 접촉되지 않는 구조이다. 하지만, 도 2의 드리퍼는 조립이 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휴대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성 측면에서는 도 1의 종래기술에서 장점을 취하고, 커피필터백이 커피액과 접촉되지 않게 하는 측면에서는 도 2의 종래기술에서 장점을 취하는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에 의해 커피가 드리핑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는 받침대(100)와 한 쌍의 거치기둥부(20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백 거치장치는 횡축(X)이 종축(Y)보다 더 긴 구조로 구비되고, 상측에 복수의 사선 절개부(110)가 형성된 받침대(100) 및 상기 사선 절개부(110)에 사선방향으로 상향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거치기둥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둥부(200)의 상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커피드립백(30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홈(310)이 삽입되면서 커피드립백이 한 쌍의 거치기둥부(200)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00)에 형성된 사선 절개부(110)는 거치기둥부(200)가 하협상광 형태로 거치되도록 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기둥부(200)에는 별도의 절개부가 없이 받침대의 사선절개부(110)에 삽입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거치기둥부(200)에 대응되는 절개부(210)가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210)가 사선절개부(110)에 대응삽입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선절개부(110)는 사선 경사의 각도와 절개의 깊이를 각각 달리하는 사선절개부(110)가 복수개 형성되고, 커피드립백(300)의 구조에 따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8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210)도 위와 동일하게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00)에 있어서, 횡축(X)이 종축(Y)보다 더 긴 구조로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구조(도 4 참조) 또는 타원형 구조(도 5 참조)인 것이 가능하다.
커피잔의 상부 직경은 커피잔마다 상이할 수 있는데, 횡축이 종축보다 더 긴 구조는 다양한 상부 직경에 대응되는 횡축 길이를 구비하면서 커피잔 상부에 거치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즉 받침대(100)의 횡축 길이는 커피잔의 상부 직경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거치기둥부(200)의 하단 길이는 커피잔 상부의 직경보다 짧을 수도 있고, 길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받침대(100)의 횡축과 거치기둥부(200)의 하단 길이가 모두 커피잔 상부의 직경보다는 조금 길게 형성되어, 예로 직사각형 구조의 받침대인 경우, 커피잔 상부에는 받침대의 횡축과 거치기둥부의 하단에 의해 사각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또한, 받침대(100)와 거치기둥부(200)는 각각 단턱부(130, 2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00)의 종축 양 단부에는 단턱부(1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거치기둥부(200)의 하단 양 단부에도 단턱부(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하단길이는 단턱부를 제외한 길이로 해석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단턱부로 인해 커피드립백(300)에 물을 붓거나 실수로 충격이 가해졌을때에도 구조물이 커피잔 상부에서 이탈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받침대(100)의 종축(Y) 길이는 거치될 커피드립백(300) 뿐 아니라 커피잔(10) 상부 직경과도 관계를 가지는 구성이다.
종축(Y) 길이의 경우, 기둥거치부(200)가 받침대(100)의 사선절개부(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커피드립백(300)이 거치될 기둥거치부(200)의 하단 길이는 커피잔(10) 상부 직경 길이보다 약간 작거나 약간 큰 정도가 적절할 것이다. 기둥거치부(200)의 단턱부(220)는 이러한 하단 길이가 확보된 상태에서, 단부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사각형 구조의 받침대(100a) 실시예의 경우, 횡축(X)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직선형 받침대(100a1) 및 제2 직선형 받침대(100a2)에 사선방향으로 결합되는 2개의 거치기둥부(200)가 결합되어 직사각형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형 구조의 받침대(110b)는 받침대 자체가 고정된 완결구조(도 5 참조)인 반면에, 직사각형 구조의 받침대(110a)는 거치기둥부(200)와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구조(도 4 및 도 9 참조)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커피드립백(300)의 관통홈(310)에 거치기둥부(200)의 돌출부(230)가 삽입되면서 상호 체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체결된 삽입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커피드립백(300)의 상단 폭 최대길이(W_max)는 상기 거치기둥부(200) 간의 상단 폭 최대길이(W_max)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기둥부와 커피드립백 측면의 각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기둥부(200)의 각도(θ1)보다 커피드립백(300)의 측면 각도(θ2)가 더 크게 벌어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 차이에 의해, 커피드립백(300)은 거치기둥부(200)에 접촉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매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커피드리핑은 보다 위생적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피드립백(300)이 커피잔에 고인 커피액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커피드립백과 거치기둥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커피드립백의 하측 높이는 커피잔 위에 거치되는 받침대(100) 이하로 하강하지 않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매달린 커피드립백(300)이 받침대(100)에 접촉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접촉도 커피 드리핑에 좋지 않은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100)에서 커피드립백(300)이 접촉가능한 위치를 제거한 공간부(120)를 마련하여 접촉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커피잔
11 : 커피잔 상단
12 : 커피잔 바닥면 20 : 커피가루
100 : 받침대
100a : 직선형 받침대 100b : 타원형 받침대
100a1 : 제1 직선형 받침대 100a2 : 제2 직선형 받침대
110 : 사선 절개부 120 : 공간부
130 : 단턱부
200 : 거치기둥부
200-1 : 제1 거치기둥부 200-2 : 제2 거치기둥부
210 : 절개부 220 : 단턱부
230 : 돌출부
300 : 커피드립백 310 : 관통홈
12 : 커피잔 바닥면 20 : 커피가루
100 : 받침대
100a : 직선형 받침대 100b : 타원형 받침대
100a1 : 제1 직선형 받침대 100a2 : 제2 직선형 받침대
110 : 사선 절개부 120 : 공간부
130 : 단턱부
200 : 거치기둥부
200-1 : 제1 거치기둥부 200-2 : 제2 거치기둥부
210 : 절개부 220 : 단턱부
230 : 돌출부
300 : 커피드립백 310 : 관통홈
Claims (7)
- 횡축이 종축보다 더 긴 구조로 구비되고, 상측에 복수의 사선 절개부가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사선 절개부에 사선방향으로 상향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거치기둥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기둥부의 상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커피드립백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홈이 삽입되면서 커피드립백이 한 쌍의 거치기둥부 사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구조 또는 타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직사각형 구조인 경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직선형 받침대 및 제2 직선형 받침대에 사선방향으로 결합되는 2개의 거치기둥부가 결합되어 직사각형 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커피드립백의 상단 폭 최대길이는 상기 거치기둥부 간의 상단 폭 최대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기둥부의 각도보다 상기 커피드립백의 각도가 더 크게 벌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종축 양 단부에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기둥부의 하단 양 단부에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494A KR20200062741A (ko) | 2018-11-27 | 2018-11-27 |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494A KR20200062741A (ko) | 2018-11-27 | 2018-11-27 |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741A true KR20200062741A (ko) | 2020-06-04 |
Family
ID=7108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8494A KR20200062741A (ko) | 2018-11-27 | 2018-11-27 |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6274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5084Y1 (ko) | 2021-07-19 | 2022-02-28 | 신영재 | 드립백 거치대 |
KR20230002097U (ko) | 2022-04-25 | 2023-11-01 | 신영재 | 드립백 거치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0335A (ko) | 2007-12-21 | 2010-10-12 | 콘세호 수페리오르 데 인베스티가시오네스 시엔티피카스 | 열 안정성이 높은 해바라기 오일 |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8494A patent/KR2020006274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0335A (ko) | 2007-12-21 | 2010-10-12 | 콘세호 수페리오르 데 인베스티가시오네스 시엔티피카스 | 열 안정성이 높은 해바라기 오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5084Y1 (ko) | 2021-07-19 | 2022-02-28 | 신영재 | 드립백 거치대 |
KR20230002097U (ko) | 2022-04-25 | 2023-11-01 | 신영재 | 드립백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0232B2 (en) | Hot beverage maker brew basket adaptor | |
US7644653B2 (en) | Coffee maker brew basket | |
KR20200062741A (ko) | 사선으로 배치되는 거치기둥부가 구비된 커피드립백 거치장치 | |
US20210330114A1 (en) | Portable coffee drip-brewer | |
US20170156541A1 (en) | A cup-shaped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dutch coffee machine | |
US6527126B2 (en) | Coffee filter restraint and flavor system | |
US6585127B2 (en) | Champagne glass set | |
KR200471638Y1 (ko) | 일회용 컵용 컵뚜껑 | |
KR200495084Y1 (ko) | 드립백 거치대 | |
KR101615996B1 (ko) |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 |
CN204654634U (zh) | 手冲咖啡滤架 | |
KR101269885B1 (ko) | 더치 커피기구 스텐드 | |
US20150366406A1 (en) | Drink mixer | |
US5309960A (en) | Cup holder for use in a beverage processing machine | |
KR102641297B1 (ko) | 커피 드립백용 거치대. | |
KR102232300B1 (ko) | 커피액 추출 도구 | |
CN208339385U (zh) | 一体式手冲咖啡杯架 | |
KR101750627B1 (ko) | 차 추출용 드립백 | |
JP3197073U (ja) | ドリップ具 | |
KR102368513B1 (ko) | 음료 추출용 드립 백 | |
CN205162808U (zh) | 一种奶袋固定装置 | |
KR20230002097U (ko) | 드립백 거치대 | |
KR102668108B1 (ko) | 휴대용 핸드드립 필터 | |
US20230052261A1 (en) | Beverage making apparatus | |
KR102368514B1 (ko) | 이중 고정이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