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550A -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550A
KR20200062550A KR1020180148071A KR20180148071A KR20200062550A KR 20200062550 A KR20200062550 A KR 20200062550A KR 1020180148071 A KR1020180148071 A KR 1020180148071A KR 20180148071 A KR20180148071 A KR 20180148071A KR 20200062550 A KR20200062550 A KR 2020006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blimation transfer
transfer ink
ink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장효종
서인석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경인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인양행 filed Critical (주)경인양행
Priority to KR102018014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550A/ko
Publication of KR2020006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4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 C09D11/326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dispers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haracterised by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용액 40~60중량%, 유기용제 20~40중량% 및 분산제, 보조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0.0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제는 글리콜류 및 알콜류를 포함하되, 상기 글리콜류 및 알콜류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 및 20~30중량%로 포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화전사잉크는 잉크의 토출 및 분사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고속 연속 작업 후 잉크가 신속하게 건조되어 출력물 간의 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SUBLIMATION TRANSFER INK COMPOSITION FOR HIGH SPEED TRANSFER PRINTING}
본 발명은 고속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제품은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컬러산업 공정인 침염, 날염 등의 염색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나 기존의 산업 공정에서는 용수 사용량이 많고 다량의 폐수가 발생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된다. 또한, 기존의 대량 생산 시스템인 스크린 기반 날염 공정에서는 텍스타일 원단에 디자인 이미지를 염색하기 위해 디자인 컬러에 따른 제도, 제판, 조배색의 스크린 인쇄판 제작 준비 등 다양한 고정을 거쳐 진행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다수 소요 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기존의 스크린 인쇄 날염공정 시스템에 비해 복잡한 날염공정의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비자 주도형 맞춤식 생산이 가능하여 최근 패션 트렌드인 차별화, 개성화, 고급화, 다품종 소량 생산에 대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정별 용수 사용량과 폐수 발생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어 향후 환경 친화적인 공정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출시 판매되어 왔던 프린터 설비의 한계로 인해 기존 공정에 비해 생산 속도가 느리고 단가가 높다는 이유로 시장 확대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2000년대 후반 생산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고속 생산 프린터 설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세계적으로 고속 산업 장비용 잉크젯헤드는 교세라 헤드가 많이 적용되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고속 생산에 적합한 승화전사잉크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승화전사잉크에 대한 기술의 일 예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교세라 헤드에 적용되어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 조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9579호
본 발명은 고속 산업용 잉크젯 헤드가 장착된 프린터에서 잉크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고속 연속 작업 후 잉크가 신속하게 건조되어 출력물 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화전사잉크 조성물은 분산용액 40~60중량%,유기용제 20~40중량% 및 분산제, 보조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0.0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제는 글리콜류 및 알콜류를 포함하되, 상기 글리콜류 및 알콜류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 및 20~30중량%로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분산용액은 분산염료 10~30중량%, 분산제 5~25중량% 및 용제 50~8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상기 알콜류는 글리세린,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화전사잉크는 25℃에서 점도가 4~10cP이고, 표면장력이 20~40m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은 잉크의 토출 및 분사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고속 연속 작업 후 잉크가 신속하게 건조되어 출력물 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잉크 토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비교예1에 따른 잉크 토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성 실험에서 코팅 전용지에 각각의 잉크를 농도별로 분사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승화전사잉크의 조성성분 및 그 제한사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승화전사잉크의 조성성분은 분산용액, 유기용제, 첨가제를 포함한다.
(1) 분산용액
분산용액은 분산염료, 분산제, 보조분산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잉크젯 프린팅 후 고온승화전사공정을 통해 원단에 염착이 가능한 것으로, 승화성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분산용액은 분산염료에 분산제 및 용제를 첨가한 후 밀링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60중량%, 바람직하게는 45~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분산염료가 40중량%미만이면, 고품질의 이미지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잉크의 안정성이 저하로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분산염료로는 아조, 안트라퀴논, 퀴노프탈론, 스티릴, 디페닐메탄 트리페닐메탄, 옥사진, 트리아진 크산텐, 메틴, 아조메틴, 아크리딘, 디아진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상업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염료로 옐로우 계열의 분산염료로는 C.I. Disperse Yellow 42, 54, 60, 82, 119 등, 블루 계열의 분산염료로는 C.I. Disperse Red 460, 86, 146 등, 오렌지 계열의 분산염료로는 C.I. Disperse Blue 25, 6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분산용액 제조 시 염료를 색상별로 1종씩 혼합하여 제조하나 블랙은 승화성이 우수한 단독 염료가 없으므로 레드, 블루, 옐로우, 오렌지색의 염료들을 적절하게 배합 및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염료는 분산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분산제는 소수성을 가지는 분산염료가 주용매인 물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첨가하는 물질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류, 고분자계 분산제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는 분산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25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보조분산제는 분산 입도 최적화 공정을 통해 염료 입자를 일정한 수준 이하로 낮추어 분산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첨가하는 물질로, 나프탈렌 술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리그닌 술폰산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나프탈렌 설폰산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방향족 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 아크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분산제는 분산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3중량% 포함될 수 있다.
용제는 정제수, 알콜류, 다가알콜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일 수 있다. 용제는 분산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80중량%,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 포함될 수 있다.
(2) 유기용제
유기용제는 잉크의 점도 및 보습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친수성을 가지면서도 끓는점이 높아 공기 노출시 보습성 확보가 가능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용제는 글리콜류 및 알콜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글리콜류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고, 알콜류로는 글리세린,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용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40중량%,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콜류 5~10중량% 및 알콜류 20~30중량%일 수 있다. 이는 유기용제가 20중량% 미만이면, 잉크로부터 분리되는 고형분으로 인해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잉크의 토출성에 적합한 25℃에서 4~10cp의 점도 범위가 만족되도록 20~40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첨가제
첨가제로 분산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되 이외에 pH조절제, 증점제, 표면조정제, 소포제, 유화안정제, 방부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는 승화전사잉크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그 종류 및 사용량에 크게 제한을 두지 않는다. 첨가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물이 주용매인 수성잉크의 표면장력을 낮춰 잉크 젯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잉크 조성물의 상용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과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주로 사용하고, 아세틸렌글리콜계, 불소계,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구체적으로는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2,4,7,9-Tetramethyl-5-decyne-4,7-diol)계열 계면활성제, 1-하이드록시-1-메틸에틸 아세틸린(1-Hydroxy-1-methylethyl acetylene), 2,5-디메틸-3-헥신-2,5-디올(2,5-Dimethyl-3-hexyne-2,5-diol), 3-메틸-1-펜틴-3-올(3-Methyl-1-pentyn-3-ol), 아세틸렌 글리콜 유도체(acetylene glycol derivative), 폴리에틸렌글리콜 아세틸렌 글리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acetylene glycol ether),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비스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2,4,7,9-Tetramethyl-5-decyne-4,7-dilo-bispolyoxyethylene ether), 아세틸렌 글리콜형 계면활성제(acetylene glycol-type surfactant)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BYK306, 307, 333, 341, 345, 346, 348(BYK Co., Ltd) 등이 있다. 계면활성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분산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류, 고분자계 분산제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3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보조분산제는 나프탈렌 술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리그닌 술폰산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나프탈렌 설폰산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방향족 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 아크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분산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3중량% 포함될 수 있다.
pH조절제는 잉크의 안정성 향상과 헤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등을 포함하는 아민류,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트리메틸올부탄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며, 최종 산물의 pH는 7∼10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는 잉크의 번짐 또는 퍼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 폴리비닐알콜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따른 조성성분을 갖는 승화전사잉크는 25℃에서 점도가 4~10cP, 바람직하게는 5~7cP이고, 표면장력이 20~40mN/m, 바람직하게는 30~40mN/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화전사잉크는 산업용 잉크젯 헤드가 장착된 프린터에서 잉크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고속 연속 작업 후 잉크가 신속하게 건조되어 출력물 간의 이염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 분산용액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된 조성 비율로 각각 혼합하여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
우선 분산염료 20중량%에 분산제로 리그닌 슬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16중량%, 증류수 64중량% 첨가한 후 직경 0.3~0.5mm 수준의 비드를 사용한 볼밀링으로 평균입도가 100~200nm가 되도록 분쇄하여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1은 분산용액의 혼합 중량%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분산용액 분산염료 black
(Blue 359+Red 60+Yellow 54)
20
cyan
(Blue 359)
20
magenta
(Red 60)
20
yellow
(Yellow 54)
20
분산제 리그닌 술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16 16 16 16
용제 증류수 64 64 64 6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승화전사잉크 제조
하기 표 2에 개시된 조성 비율로 각각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잉크를 제조하였다.
우선, 정제수에 분산용액을 첨가하여 500rpm의 속도로 10~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점도를 맞추기 위해 유기용제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500rpm의 속도로 30분 이상 교반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승화전사잉크를 제조하였다.
표 2는 잉크의 혼합 중량%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분산용액 제조예 1 50 50
제조예 2 50 50
제조예 3 50 50
제조예 4 45 45
유기용제 에틸렌글리콜 5 5 8 8
프로필렌글리콜 10 10 8 10
글리세린 30 25 25 20 25 20 25 20
계면활성제 2,4,7,9-tetramethyl-5-decyne-4,7-diol 0.1 0.1 0.1 0.1 0.1 0.1 0.1 0.1
증류수 14.9 19.9 14.9 19.9 16.9 21.9 21.9 24.9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잉크 제조
하기 표 3에 개시된 조성 비율로 각각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잉크를 제조하였다.
표 3은 잉크의 혼합 중량%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분산용액 제조예 1 50 50
제조예 2 50
제조예 3 50
제조예 4 45
유기용제 에틸렌글리콜 5 5 8
프로필렌글리콜 10 5
글리세린 16 15 15 15 15
계면활성제 2,4,7,9-tetramethyl-5-decyne-4,7-diol 0.1 0.1 0.1 0.1 0.1
증류수 28.9 29.9 24.9 26.9 34.9
실험예 1. 잉크 조성물의 물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물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점도(cP, 25℃) 표면장력(mN/m)
실시예 1 7.28 37.6
실시예 2 6.42 35.7
실시예 3 7.25 34.6
실시예 4 6.30 34.7
실시예 5 6.88 34.3
실시예 6 5.92 34.0
실시예 7 6.98 34.2
실시예 8 6.12 34.1
비교예 1 5.74 34.8
비교예 2 4.65 33.5
비교예 3 5.18 34.2
비교예 4 4.89 33.8
비교예 5 4.53 33.5
실험예 2.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 평가
유기용제의 함량에 따른 토출성 및 잉크젯팅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Dropwatcher 장비인 ImageXpert를 600*600dpi Kyocera head, 20,000Hz조건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세라 헤드로부터 잉크 토출 시 주방울 외에 나머지 방울수(잔점 수, satellite)를 확인하여 토출성을 평가하였고, Kyocera head 프린터인 MS JP5 장비로 20m2 면적을 잉크 분사한 후 잉크 노즐로부터 토출되지 않은 개수를 확인하여 분사(jetting) 안정성을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 도 1 및 도 2와 같다.
구분 토출성 분사 안정성
실시예 1 A A
실시예 2 A A
실시예 3 A A
실시예 4 A A
실시예 5 A A
실시예 6 A A
실시예 7 A A
실시예 8 A A
비교예 1 B B
비교예 2 C C
비교예 3 C C
비교예 4 C C
비교예 5 C C
(1) 토출성 : A (0∼1), B(2∼3), C(3이상)
(2) 분사 안정성 : A(5이하), B(6∼10), C(11∼20), D(21이상)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잉크 토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잉크 토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표 5 및 도 1,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8은 비교예 1~5에 비해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력은 비슷하나 점도가 5.74cP인 비교예 1의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이 점도가 4.65cP인 비교예 2보다 더 우수한 바, 점도는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결론적으로 점도가 7~9cP의 범위일 때 분사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건조성 평가
잉크의 혼합 농도에 따른 건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1, 3, 5, 7을 그룹 1로 구성하고, 토출성 및 분사 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중 점도가 낮으며, 글리세린 함량이 적은 실시예 2, 4, 6, 8을 그룹 2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를 그룹 3으로 구성하였다.
교세라 헤드 프린터 장비인 Kyocera head 프린트 장비 MS JP5에 각 그룹의 cyan, magenta, yellow, black 4색 잉크를 각각 세팅하고, 각각의 잉크를 농도별(240%, 280%, 320%, 360%, 400%)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그 후, 58g/m2의 코팅 전용지(전사종이)에 도 3과 같이 각각의 잉크를 농도별로 분사하고, 60초가 경과한 후, 전사종이에 묻혀서 오염수준으로 건조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분 종이 건조성
그룹 1 black 실시예 1 B
cyan 실시예 3
magenta 실시예 5
yellow 실시예 7
그룹 2 black 실시예 2 A
cyan 실시예 4
magenta 실시예 6
yellow 실시예 8
그룹 3 black 비교예 1 A
cyan 비교예 3
magenta 비교예 4
yellow 비교예 5
4색의 혼합 농도를 A(280%), B(240%), C(200%), D(200%미만)으로 나타냄
그 결과, 표 6 및 도 4를 참조하면, 그룹 1의 경우는 240% 농도에서 종이 건조성이 양호하였고, 그룹 2의 경우는 280% 농도 에서 종이 건조성이 우수하였으며, 그룹 3의 경우는 280% 농도 에서 종이 건조성이 우수하였다. 이에 글리세린의 함량이 종이 건조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6)

  1. 분산용액 40~60중량%;
    유기용제 20~40중량%; 및
    분산제, 보조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0.0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제는 글리콜류 및 알콜류를 포함하되, 상기 글리콜류 및 알콜류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 및 20~30중량%로 포함되는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액은 분산염료 10~30중량%, 분산제 5~25중량% 및 용제 50~80중량%를 포함하는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류는 글리세린,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포함되는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전사잉크는 25℃에서 점도가 4~10cP이고, 표면장력이 20~40mN/m인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KR1020180148071A 2018-11-27 2018-11-27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KR20200062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71A KR20200062550A (ko) 2018-11-27 2018-11-27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71A KR20200062550A (ko) 2018-11-27 2018-11-27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550A true KR20200062550A (ko) 2020-06-04

Family

ID=7108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071A KR20200062550A (ko) 2018-11-27 2018-11-27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25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579A (ko) 2016-12-30 2018-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개질된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승화 전사잉크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579A (ko) 2016-12-30 2018-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개질된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승화 전사잉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3663B (zh) 噴墨印染用印墨及使用該印墨之噴墨印染方法
CN104245861B (zh) 喷墨用升华性染料油墨和染色方法
JP6010123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及び染色方法
CN100569878C (zh) 水性分散液、油墨组合物及使用该油墨组合物的喷墨记录方法
CN102753629B (zh) 流变改性的油墨和印刷方法
JP2018109140A (ja) 捺染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記録方法
EP1457534B1 (en) Ink for inkjet recording
JP200324695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KR20170045683A (ko) 잉크젯 프린터용 섬유 전용 수성 전사 잉크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섬유전사지
US6743284B2 (en) Printing ink composition
KR101795636B1 (ko) 수성그라비아 인쇄를 위한 섬유 전사용 수성잉크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섬유전사지
KR20200062550A (ko) 고속전사 날염용 승화전사잉크 조성물
JP2007238687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CN111235909B (zh) 一种热升华墨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263682B1 (en) Solvent-based dye sublimation ink composition
CN112920643A (zh) 水性染料墨水及其应用
KR101946693B1 (ko) 안트라퀴논계 분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승화 전사잉크 조성물
KR20120105065A (ko) 고속 인쇄에 적합한 잉크젯용 승화형 전사 잉크 조성물
US20050137284A1 (en) Inkjet 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92669B1 (ko) 날염용 잉크젯 잉크 조성물
KR20190061885A (ko) 잉크젯 날염용 잉크 조성물
WO2022075025A1 (ja) 着色液、着色液セット、記録物及び疎水性繊維の捺染方法
KR20080000343A (ko) 블랙 잉크 조성물, 이를 포함한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기록 장치
CN101503586A (zh) 喷墨墨水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