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315A - Cradle with assistant plate - Google Patents
Cradle with assistant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1315A KR20200061315A KR1020190152683A KR20190152683A KR20200061315A KR 20200061315 A KR20200061315 A KR 20200061315A KR 1020190152683 A KR1020190152683 A KR 1020190152683A KR 20190152683 A KR20190152683 A KR 20190152683A KR 20200061315 A KR20200061315 A KR 202000613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auxiliary
- bottom plate
- auxiliary plat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6—C-shaped bed tables, e.g.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 등의 거치 대상에 대한 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책뿐만 아니라 따로 전자기기나 기타 물품을 거치할 수 있으며, 바닥판을 접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for a mounting object such as a book, and can mount not only books but also electronic devices or other items separately, and fold the bottom plate to hold the cradle in a narrow space. It relates to a cradle having an auxiliary plate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거치대의 일종인 독서대는 상판과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해서 상판과 받침대에 책을 놓고 독서를 함으로써 책상 바닥에 책을 펼쳐서 보는 것보다는 고개를 덜 숙이는 자세를 취하게 하는 용도로 쓰인다.In general, a reading stand, which is a kind of cradle, is us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top plate and the pedestal and place a book on the top plate and pedestal to read, so that the book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desk, and the head is bowed less than looking at the book.
종래 기술의 일례로는 특허등록공보 제10-0579425호의 '독서대', 특허등록공보 제10-1767917호의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there is disclosed a'reading stand' of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0579425, a'support structure of a reading stand capable of adjusting the support length' of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767917.
첫 번째 종래 기술의 독서대는 두 개의 독서대를 상하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며 따라서 휴대성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선행기술의 독서대는 그 지지대가 판형 막대 구조로 그 지지 구조가 불안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first prior art reading stand is a form in which two reading stands are used in combination up and down,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portability is inconvenient. And the second prior art reading stand has the disadvantage that its support structure is unstable due to its plate-shaped rod structure.
또한, 종래 기술의 독서대는 별도의 보조판이 존재하지 않아서 상판에 얹어진 책 외에 다른 책이나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 등을 올려 놓고 같이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책상이 좁은 곳에서 독서대를 펼치려면 바닥판의 길이 때문에 독서대를 펼친 후 좁은 책상 면적으로 인해 책상 사용이 불편해 지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reading table, there is no separate auxiliary plate, so there is no means to put other books 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n top of the book and utilize them together. Also, in order to open the reading stand in a narrow desk, the desk may be uncomfortable due to the narrow desk area after opening the reading stand due to the length of the bottom plate.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독서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다.As such, there is a need for a new cradl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reading tabl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며 거치 대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받침대 및 보조판 구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equipped with a stand and an auxiliary plate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unting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며 책 등의 기본 거치 대상 이외에 기타 물품을 추가로 거치할 수 있는 보조판 구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equipped with an auxiliary plate that is easily portable and can additionally mount other items in addition to a basic mounting object such as a boo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며 좁은 공간에서는 바닥판을 원터치 방식으로 접어 편리하면서도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보조판 구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equipped with an auxiliary plate that is easily portable and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stably by folding the bottom plate in a one-touch manner in a narrow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거치대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며 클립과 결합되어, 클립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받침대; 받침대의 높이를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판과 받침대를 결합시키며, 클립레일을 따라 승강운동할 수 있는 클립; 을 포함한다. The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top plate that supports the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I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coupled with the clip, the base to be elevated along the clip rail; A clip which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combines the top plate and the pedesta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It includes.
또한, 상판의 클립레일은 내부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레일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클립에 구비된 고정장치는 레일고정클립에 인입될 수 있고, 레일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 버튼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버튼이 삽입될 수 있는 레일고정클립, 레일고정클립의 버튼삽입홈 또는 버튼에 위치하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버튼의 레일고정돌기가 레일고정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부재의 형성위치는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판의 클립레일이나 버튼의 형성위치나 수는 변경이 될 수 있는데 상판의 좌우 측면 뿐만 아니라, 상판의 좌우 내측 또는 외측에 단수 또는 복수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ip rail of the top plate includes a rail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using a fixing device therein, and the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clip can be drawn into the rail fixing clip, and the rail A button with a fixed protrusion is formed, and a button fixing groove is formed so that it is located in a rail fixing clip into which a button can be inserted, and a button insertion groove or a button of the rail fixing clip. It may further include a resilient member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ail fixing groove. The position of formation of this elastic member can be varied. In addition, the formation position or number of clip rails or buttons of the top plate may be changed, and may be provided in a singular or plural number,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inner or outer sides of the top plate,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plate.
또한, 버튼을 없애고 클립내에 형성된 판스프링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클립 또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클립내부에는 판스프링등의 탄성체가 있어서 클립전체가 버튼의 역할을 하여 클립을 눌러주면 클립 내부의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레일고정돌기가 레일고정홈에서 빠져나와서 클립 및 받침대의 높이가 조절가능해지고 클립에 가해지는 힘을 없애주면 다시 레일고정돌기가 레일고정홈에 맞물려 고정이 된다. 아니면 꼭 클립을 눌러주지 않고 클립이나 받침대를 위아래로 힘을 가하여 이동해주면 그 힘에 의하여 클립내부의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이 조절이 되어 클립 및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lip or the base can be adjusted by removing the button and using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body such as a plate spring formed in the clip. In other words, the inside of the clip has an elastic body such as a plate spring, so that the entire clip acts as a button and presses the clip, so that the rail fixing protrusion comes out of the rail fixing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inside the clip, so that the height of the clip and the base can be adjuste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lip is removed, the rail fixing protrusion is again engaged with the rail fixing groove to be fixed. Otherwise, if the clip or the base is moved up and down without pressing the clip,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such as the plate spring inside the clip can be adjusted by the for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lip and the bas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이하 간략히 '거치대'라고 한다)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판 하부에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판 상부에서 인출되고 다른 거치할 대상을 지지하는 보조받침대 및 상부보조판과 하부보조판을 결합시키며 보조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힌지 및 보조판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보조판; 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radle having an auxiliary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holding table') includes: a top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I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 auxiliary plate with an auxiliary pedestal that is withdrawn from the top of the top plate and supports another mounting object, and a rotating hinge serving to adjust the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late; It includes.
상기 보조판에는 보조받침대가 존재한다. 이 보조받침대에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나 기타물품 등을 거치할 수 있다. 보조받침대 하단에는 회전힌지가 형성되고 이 보조받침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존재하여 보조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삽입홈에 보조받침대를 삽입할 수 있다. The auxiliary plate has an auxiliary support.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or other items can be mounted on the auxiliary stand. A rotating hing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re i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When the auxiliary support is not used,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upport.
또한, 보조판을 상부보조판과 하부보조판으로 나누고 그 사이를 회전힌지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회전힌지를 사용하여 상판의 경사 각도와 별개로 보조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서 보조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auxiliary plate and a lower auxiliary plate, and a rotating hinge may be coupled between them. Using this rotating hin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can be adjusted separately fro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op plat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by using the auxiliary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viewing angle.
또한, 상기 보조판에는 상기 보조판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이동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판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상기 상판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홈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에 걸려 그 인출 높이가 고정된다. 당연히 걸림돌기와 걸림턱홈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가 있다. 이때, 걸림돌기는 탄성체를 구비한 고정구슬이 그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o the moved position after the auxiliary plate is sliding up and down,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 groove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plate formed inside the upper plate or The height of the withdrawal is fixed by hanging a plurality of pieces. Naturally,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 locking jaw grooves may be interchanged.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having an elastic body may perform its role instead.
또한, 상기 보조판 구비 거치대는 상판에 설치되고 보조판의 인출 방향에서 보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팬타그래프를 더 포함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provided with the auxiliary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antograph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and positioned below the auxiliary pl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plate is pulled out.
또한, 상기 보조판은, 상기 상판의 내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is sliding in an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조판의 보조받침대에 별도의 책잡이를 형성하여 보조판에 책을 거치 시에 책페이지를 잡아주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parate book holder may be formed on the auxiliary stand of the auxiliary plate to hold the book page when the book is placed on the auxiliary plate.
또한, 상기 보조판에 코일과 PCB회로기판을 사용한 무선충전유닛을 이용하여 보조판에 전자휴대기기를 거치 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wireless charging unit using a coil and a PCB circuit board on the auxiliary plate can be used to charge wirelessly wh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is mounted on the auxiliary plat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거치대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상기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를 갖고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배면상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펼쳐지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부 바닥판과 하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고정락장치에 의해 바닥판을 접거나 펴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top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 pedestal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to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below the top plate and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It is provided so as to be foldable with a hing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includes a bottom plate spread to support the top pl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the upper bottom plate The lower bottom plate is coupled by a hinge part, and a holder having a bottom plate capable of fixing the folded or unfolded bottom plate by a locking device.
상기 바닥판은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바닥판과 상기 하부 바닥판은 회전힌지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여 바닥판을 접거나 펼 수 있다. 상기 바닥판 회전힌지 내부에는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을 접거나 고정할 수 있는 고정락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바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바닥판 힌지부쪽의 고정락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고정바를 하부바닥판 힌지부쪽의 스프링홈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바가 고정락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락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하부 바닥판을 상부 바닥판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부 바닥판에 중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바는 상부바닥판 힌지부의 일면에 접하여 하부 바닥판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접혀있던 하부바닥판을 180도 회전하여 다시 펴주면 자동으로 락이 걸려 바닥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하부바닥판이 회전하면서 고정바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하부바닥판이 180도로 펴지게 되면 고정바가 상부바닥판 힌지부쪽의 고정락홈과 만나게 되면서,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생성되어 있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바가 고정락홈에 삽입되어 고정이 된다.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can be rotated by a rotating hinge to fold or unfold the bottom plate. Inside the rotating hinge of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folding or fixing the top and bottom bottom plates.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in the fixing lock groove on the hinge portion of the upper bottom pl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xing bar, when the fixing bar is moved to the spring groove on the hinge por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by external force, the fixing bar comes out of the locking lock groove and locks it. The state is released, whereby the lower bottom plate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upper bottom plate to overlap the upper bottom plate. At this time, the fixing bar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and rotates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And if the lower bottom plate that was folded is rotated 180 degrees and opened again, it is automatically locked and the bottom plate can be fixed. That is, when the lower bottom plate rotates, the fixing bar rotates as well, and when the lower bottom plate is extended 180 degrees, the fixing bar meets the fixing lock groove at the hinge portion of the upper bottom plat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generated in the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The fixing ba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lock groove to be fixed.
한편, 본 발명은 고정락홈을 상부 바닥판의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하고, 스프링홈을 하부 바닥판의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락홈은 하부 바닥판의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하고, 스프링홈은 상부 바닥판의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장치의 고정바 락 장치는 바닥판의 일측에만 설치되거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that the fixed lock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of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spr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shown but fixed The lock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and the spr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of the upper bottom plate. In addition, the fixed bar lock device of the hinge device may be installed on only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or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바 대신 고정돌기가 구비된 버튼방식의 고정락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상부바닥판 힌지부와 하부바닥판 힌지부 내부에 스프링와 고정돌기를 구비한 버튼이 결합된다. 상부바닥판 힌지부 외부로 튀어나온 버튼을 눌러주면 버튼의 고정돌기는 상부바닥판 힌지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에서 빠져나와 하부바닥판 힌지부 내부에 생성된 안착홈의 끝까지 삽입이 된다. 이렇게 락이 해제된 바닥판은 회전이 가능해져서 접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스프링 고정부를 이용해서 비틀어져 탄성력을 축척한 스프링를 이용하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하부바닥판이 상부바닥판으로 접혀질 수 있다. 접혀진 바닥판을 다시 펼 때에는 버튼을 눌러서 락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부바닥판에 포개진 하부바닥판을 시계방향으로 180도로 펴면 고정돌기가 하부바닥판과 같이 회전하면서 어느 순간 고정홈과 만나게 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자동으로 락이 걸리게 된다. 이때, 상부바닥판 힌지부 고정턱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이용한다면 접혀진 바닥판을 펼 때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바닥판을 펼 수 있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instead of a fixing bar, it can be implemented as a button-type locking device equipped with a fixing protrusion. That is, a button having a spring and a fix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and the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When the button protruding outside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is presse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is released from the fixing groove formed inside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seating groove created in the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The unlocked base plate can be rotated so that it can be folded. If the spring is twisted using a spring fixing part and the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the lower bottom plate can be automatically folded into the upper bottom plate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en opening the folded bottom plate again, press the button to release the lock, and then open the bottom bottom plate superimposed on the top bottom plate 180 degrees clockwise, and the fixing protrusion rotates like the bottom bottom plate to meet the fixing groove at any moment.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is automatically locked. At this time, if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art fixed jaw is used, it is possible to unfold the bottom plate without pressing a button when opening the folded bottom plat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홈과 경사면이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되고 안착홈 등이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되는 등 그 형성위치가 서로 바뀌어 형성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groove and the inclined surface are formed in the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the seating groove and the like are formed in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the formation positions may be changed to each other.
전술한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상승하여 거치 대상의 높이는 눈높이에 맞게 조절하거나 보조판을 펼쳐서 폰 등의 전자기기나 기타 물품을 거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바닥판를 접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cradle having the above-mentioned auxiliary plate,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mounted can be adjusted by raising the stand to fit the eye level, or the auxiliary plate can be unfolded to mount electronic devices such as phones or other items. In addition, in a narrow space, the base plate can be folded to use the cradle in a narrow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에 회전힌지를 형성하고, 하부 바닥판을 상부 바닥판 상에 누름버튼 방식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고, 누름버튼 내 고정홈 일측면의 경사면을 통해 상부 바닥판에서 하부 바닥판을 간단히 들어올려 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hinge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the lower bottom plate can be easily folded in a push button manner on the upper bottom plate, and is lowered from the upper bottom plate through an inclin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in the push button. You can simply lift the bottom plate to unfold i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판 또는 상판 내부에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코일과 충전기판 및 집적회로(IC) 등을 삽입하면 전자기기를 거치할 경우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ging coil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device and a charger plate and an integrated circuit (IC) are inserted in the auxiliary plate or the top plate,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또한, 보조판 또는 상판에 충전코일과 무선충전 회로기판을 배치하고 거치대 특정 부분에 전원포트를 형성시키고 충전 어댑터를 꽂아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코일이 위치한 부분에 휴대기기를 거치하면 무선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회로기판 상의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휴대기기의 과충전, 과전류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표시부를 배치하여 휴대기기가 충전 중인지, 완충이 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harging coil and the wireless charging circuit board are placed on the auxiliary plate or the top plate, the power port is formed on a specific part of the cradle, and the charging adapter is plugged in to supply power, and the mobile device is charged to the part where the charging coil is located to charge the mobile device wirelessly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overcharging and overcurrent of the portable device by using an integrated circuit on the circuit board. In addition, a display unit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disposed to indicate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being charged or fully char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판을 구비하며 버튼으로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조판의 보조받침대가 보조받침대삽입홈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상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거치대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서 거치대의 버튼 및 레일고정클립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뒤에서 본 배면도.
도 11은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앞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 클립의 판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보조판이 보조판수납부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수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수납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보조판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거치대를 뒤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서 거치대에 채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유닛의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바닥판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서 바닥판을 접어 상판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24는 도 22에서 보조판을 상판 내부에서 인출한 후 보조받침대를 펼쳐 거치하고 보조판의 각도를 조절해 놓은 거치대의 측면도. 그리고 하부바닥판을 상부바닥판으로 접혀져서 하부바닥판의 배면부에 형성된 고정턱홈에 각도지지대를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거치대의 측면도.
도 25는 도 28에서 누름버튼과 스프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8에서 하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도 28에서 상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힌지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이 180도로 펼쳐져서 락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29는 힌지장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30은 상부바닥판에 하부바닥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with a butt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auxiliary plate in Figure 1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support insertion groov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top plate in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cradle in Figure 3;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button and rail fixing clip of the cradle in FIG.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cut in the lateral direc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of the clip in FIG. 9 seen from behind.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in FIG. 9 seen from the top.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eaf spring of the clip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plate in Figure 14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late storag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in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in FIG. 19 seen from behind.
Figure 2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can be employed in the cradle in Figure 20.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equipped with a hinge device for a bottom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in FIG. 22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op plate.
FIG. 24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in which the auxiliary plate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in FIG. 22, the auxiliary stand is unfolded and mounted, and the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is adjusted. And the side view of the cradl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ngular support is mounted on the fixed jaw groov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bottom bottom plate by folding the lower bottom plate into the upper bottom plate.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and a spring in FIG. 28;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inge device,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is expanded to 180 degrees, showing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29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of a hinge device is pressed.
30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bottom plate is folded to the upper bottom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structure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높이조절 기능을 가진 거치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상판(A), 받침대(B), 바닥판(C) 및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클립(11a)을 구비한다.1 to 5 show a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s show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 pedestal (B), bottom plate (C) and pedestal (B) It is provided with a clip (11a) for.
받침대(B)는 클립(11a)에 의해 상판(A)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판(A)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레일(11f)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클립(11a)은 받침대(B)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판(A)과 받침대(B)를 결합시킨다.The base (B)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A) by the clip (11a) and is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11f) formed on the upper plate (A). The
클립(11a)은 클릭 버튼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판(A)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판(A) 전면에서 받침대(B)를 승강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The
즉,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판(A)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고정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클립레일(11f)이 형성된다. 고정장치는 레일고정클립(11d) 및 버튼(11k)를 포함하고, 레일고정클립(11d) 내부 또는 레일고정클립(11d)와 버튼(11k)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g)가 배치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S. 3 to 5, clip rails 11f on which the fixing devices can be inserted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upper plate A.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상판(A)의 클립레일(11f)에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는 레일고정홈(111f)이 형성되어 있다.A
버튼(11k)에는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 인입될 수 있는 레일고정돌기(11e)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11k)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당기거나 밀어넣을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다.The
도 5를 참조하면, 레일고정클립(11d)의 내부 혹은 레일고정클립(11d)과 레일고정돌기(11e) 사이에는 탄성부재(11g)가 위치하여 버튼(11k)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외력에 의해 버튼(11k)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일고정홈(111f)과의 정렬에 따라 버튼(11k)의 레일고정돌기(11e)가 클립레일(11f)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고정홈(111f)에 인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전술한 클립레일(11f)은 상판(A)의 내측뿐 아니라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11a)은 클립레일(11f)을 따라 승강운동을 하고, 클립(11a)에 구비된 고정장치에 의하여 상판(A)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은 후크고정홈(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립(11a)에는 클립고정후크(11c)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upper plate (A) is formed with a hook fixing groove (11b), the clip (11a) is provided with a clip fixing hook (11c).
후크고정홈(11b)은 상판(A)의 전면 양측가장자리 및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고정후크(11c)와 결합되어 클립(11a)이 클립레일(11f)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때, 클립(1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Hook fixing groove (11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dge of the upper plate (A) and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and the clip fixing hook (11c) is combined with the clip (11a) when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11f)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받침대(B)는 클립(11a)과의 연결점을 축으로 상판(A)의 전면 상에 중첩되거나 대략 직각면을 형성하도록 회동 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받침대(B)의 일측면에는 책잡이(F)가 일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으로 받침대(B) 상의 책 등의 물건을 지지할 수 있다.The pedestal B may be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op plate A or to form an approximately right-angled surface with an axis of connection wit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 구성에 의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height adjustment method by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에서와 같이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받침대(B)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클립(11a)의 버튼(11k)에 푸쉬(push) 압력을 가하면, 탄성부재(11g)가 압축되면서 레일고정돌기(11e)가 상판(A)의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서 인출된다. 레일고정돌기(11e)가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서 인출되면서 위치고정이 해제되어 받침대(B)를 상판(A)의 형성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push pressure is applied to the
다음, 버튼(11k)을 누른 상태에서 받침대(B)를 고정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에 버튼(11k)의 압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1g)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버튼(11k)을 원위치시키게 되므로 레일고정돌기(11e)는 다시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 인입되어 받침대(B)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받침대(B)의 위치 조절과 고정이 이루어진다.Next, after pressing th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판 좌우 배면에 레일과 버튼식 고정장치를 형성한 것이다. 6 to 8,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ifferent modific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base, and a rail and a button-type fixing device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ar surfaces of the top plate.
도 6은 상판 좌우 배면에 레일과 버튼식 고정장치를 형성시킨 모습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rail and a button-type fixing device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ar surfaces of a top plate.
도 7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고정바본체(112)의 하단부는 클립버튼(111)의 역할을 수행하며, 고정바본체(112)의 상단부는 고정바삽입부(11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고정바삽입부(114)의 배면에는 탄성부재 고정돌기(115a)와 탄성부재가 있어서 고정바삽입부를 레일홈(11m)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부재 고정돌기(115a)는 탄성부재(115)가 딴곳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고정바본체(112)의 중간부분에는 고정바힌지(113)가 형성되어 클립버튼(111)에 압력을 가했을 때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레일홈(11m)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바삽입부(114)가 인출되어 락이 해제된다.. 클립버튼(111)에 압력을 제거하면 고정바삽입부(114) 후면에 형성되어 있던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바삽입부(114)가 레일홈(11m) 방향으로 밀려 인입되어 락이 걸린다. A fixed
도 8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클립(110)에는 좌우로 클립(110)이 상판(A)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면후크(117)과 배면후크(116)가 형성된다. 또한, 상판의 좌우 배면 가장자리에는 레일홈(11m) 및 배면후크홈(116a)가 형성되고 상판의 좌우 정면 가장자리에는 정면후크홈(117a)이 형성된다. 배면후크(116)는 배면후크홈(116a)에 후크결합되고, 정면후크(117)은 정면후크홈(117a)에 걸려 있음으로써 클립 또는 받침대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할 때 클립(110)이 상판(A)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cut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 구성에 의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판(A), 받침대(B) 및 받침대(B)의 높이 조절을 위한 클립(110)을 구비하되, 상판(A)의 배면 좌우 측면에 레일홈(11m)이 설치되어 클립(110) 형성된 클립버튼(111)에 압력을 가하면 고정바힌지(113)가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바삽입부(114)가 레일홈(11m)에서 인출되어 락이 해제된다. 이때 클립(110) 또는 받침대(B)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클립버튼(1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부재가 클립버튼을 레일홈 방향으로 밀어서 클립버튼(111)이 레일홈(11m) 안으로 인입되어 클립(110) 또는 받침대(B)의 높이가 고정이 된다.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by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9 to 12 show another modific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로 판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클립 또는 받침대의 높이조절을 높이조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뒤에서 본 배면도, 도 11는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앞에서 본 사시도, 도 12은 도 9에서 클립의 판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cradl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lip or pedestal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plate spring. FIG. 10 is a rear view of the clip viewed from behind the top plate in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viewed from the top in FIG. 9,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lip spring in FIG. 9.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양측 정면과 배면에 받침대 높이조절방향(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31,132)이 각각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1,132)에 클립(12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9, guide
클립(120)은 횡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판(A)의 배면쪽 가이드홈(131)에 삽입되는 배면지지부(121)와 상판(A)의 정면쪽 가이드홈(132)에 삽입되는 정면지지부(122)를 구비하는 클립몸체(123)와, 받침대(B)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몸체(123)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124)를 구비한다.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배면쪽 가이드홈(131)의 한쪽면에는 걸림유지홈(131a)이 가이드홈(131)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클립(120)의 배면지지부(121)에는 상기 걸림유지홈(131a)에 대응하여 상호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개의 걸림돌기(121a)가 형성된다. 이때, 배면지지부(121)과 걸림돌기(121a)는 클립(120)이 상판(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유지홈(131a)과 걸림돌기(121a)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정면쪽 가이드홈(132)의 한쪽면에는 걸림유지홈(132a)이 가이드홈(132)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클립(A)의 정면지지부(122)에는 상기 걸림유지홈(132a)에 대응하여 상호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개의 걸림돌기(122a)가 형성된다. 이때, 정면지지부(122)와 걸림돌기(122a)는 클립(120)이 상판(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유지홈(132a)과 걸림돌기(122a)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측면과 클립(120)의 클립몸체(123)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125)가 형성되고, 이 틈새(125)에 판스프링(126)이 탄력 설치된다.In addition, a
판스프링(126)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림몸체(123) 내측에 형성한 장착홈(123a)에 끼워져 양단부가 지지되고, 중앙부분은 양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은 상판(A)의 측면과 밀착하여 설치된다. The
이때, 클립몸체(123)의 바깥면에는 판스프링(126)의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 기능과 가압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파지부(127)를 형성한다.At this time, a gripping
이러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에 의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20)이 상판(A)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판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클립몸체(123)는 상판(A)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배면지지부(121)와 정면지지부(122)의 걸림돌기(121a,122a)가 대응하는 걸림유지홈(131a,132a)에 삽입되어 받침대(B)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pedestal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경우, 클립몸체(123)의 파지부(127)를 잡고 상판(A)의 측면쪽으로 누르거나 상판의 형성된 방향으로 상하로 힘을 주어 이동하면 판스프링(126)의 볼록부분이 눌려 펴지게 되면서 클립몸체(123)가 상판(A)의 측면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배면지지부(121)와 정면지지부(122)의 걸림돌기(121a,122a)가 대응하는 걸림유지홈(131a,132a)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클립(120) 및 이에 연결된 받침대(B)는 가이드홈(131,1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To adjust the height of the pedestal (B) in this state, hold the
따라서 받침대(B)를 원하는 높이로 이동하여 멈추거나, 누르고 있던 파지부(127)를 놓아주면, 눌려있던 판스프링(1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립몸체(123)가 상판(A)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배면지지부(121)와 정면지지부(122)의 걸림돌기(121a,122a)가 대응하는 걸림유지홈(131a,132a)에 다시 삽입되므로, 클립(120) 및 이에 연결된 받침대(B)를 높이 조절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moving the pedestal (B) to a desired height to stop or release the held
다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는 보조판(20)을 더 포함한다. 상판(A)에는 보조판(20)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판수납부(29)가 형성되어 있고, 보조판(20)은 외력에 의해 상판(A)의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4,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또한, 보조판(20)에 전면에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 펼쳐지는 보조받침대(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보조받침대(24)에는 전자휴대기기나 기타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보조받침대(24)에는 걸림턱(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걸림턱(26)은 보조받침대(24)에 거치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보조받침대(24)는 보조판(20)의 전면에 설치된 삽입홈(24a)에 수납될 수 있다.보조받침대(24)가 삽입홈(24a)안에 삽입되었을 때 보조받침대(24) 하단 양측에는 회전힌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힌지를 이용하여 보조받침대(24)가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다. 삽입홈(24a)의 상단 가장자리 중간에서는 손가락홈(25a)이 구비되고, 손가락홈(25a)의 양측에 대향하는 위치의 보조받침대(24) 가장자리에는 걸림턱(26)이 구비된다. 손가락홈(25a)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또한, 보조판(20)은 높이조절기능이 있는 거치대에서 연장지지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받침대(B)의 높이가 올라가면 책이나 물품의 뒤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연장지지판이 필요해지게 된다. 이때 보조판(20)은 연장지지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보조판(20)은 상부 보조판(21)과 하부 보조판(22)으로 나뉘어지고 회전힌지(2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힌지(23)은 상판과 별개로 보조판(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부보조판(21)은 하부보조판(22)과 180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조판에 물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한편 보조판(20)은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조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보조판(20) 하단 양측에는 걸림돌기(a2)가 형성되고, 보조판수납부(29)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a2)와 대응하여 걸림턱홈(a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판(20)의 걸림돌기(a2)가 보조판수납부(29)의 걸림턱홈(a1)에 삽입되어 걸림유지되는 것에 의해 보조판(20)의 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Locking protrusions a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물론, 구현에 따라서 걸림턱홈(a1)과 걸림돌기(a2)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구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groove a1 and the locking protrusion a2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changed.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보조판(20)은 상판(A)의 보조판수납부(29)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상부면을 제외하고 보이지 않도록 상판(A)의 보조판수납부(29) 내에 수납될 수 있다.22 and 23, the
보조판수납부(29)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보조판(20)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진다. 보조판수납부(29)의 개구부에는 손잡이홈(3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보조판(20)의 상단 중앙부를 잡고 보조판(20)을 잡아당겨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보조판(20)은 상판(A)의 보조판수납부(29)에서 인출되어 상판(A)의 상부에 펼쳐져 고정될 수 있다. The
도 13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구슬과 탄성체 그리고 걸림턱홈을 이용하여 보조판의 높이조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3 is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ifferent form of the auxiliary plat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auxiliary plate using a bead, an elastic body and a locking jaw groove.
도 13은 보조판수납부(29) 내부에 걸림턱홈(a1)을 구비한다. 걸림턱홈(a1)은 보조판(2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걸림구조가 삽입될 때 보조판(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한다. 걸림구조는 보조판(20)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203)와 탄성체(203)의 말단부에 결합하는 고정구슬(20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체(203)는 고정구슬(205)을 밖으로 밀어내는 압력을 가지며, 그에 의해 고정구슬(205)이 내부 걸림턱홈(a1)을 만나면 걸림턱홈(a1) 안으로 고정구슬(205)이 삽입되어 보조판(2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보조판(20)의 인출 높이가 고정된다.13 has a locking jaw groove (a1) inside the auxiliary
고정구슬(205)은 탄성체(20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판수납부(29)의 내부 측면을 일정 압력으로 누르도록 설치된다. 고정구슬(205)이 걸림턱홈(a1)에 삽입된 후, 일정 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고정구슬(205)이 탄성체(203)를 압박하며 걸림턱홈(a1)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도록 걸림턱홈(a1)은 V형 홈 혹은 원호형 홈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ed
전술한 걸림턱홈(a1)은 상판(A)의 내부 공간 즉 보조판수납부(29)의 양쪽이나 기타 내측벽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03) 및 고정구슬(205)은 보조판(20)의 하단 부분에 한 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판(20)을 상판(A)의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면 보조판(20)에 탄성체(203)에 의해 탄력 설치된 고정구슬(205)이 내부 걸림턱홈(a1)에 걸려 보조판(20)이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된다.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locking jaw grooves a1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plate A,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20) 하단부에 설치되는 팬타그래프(207)를 더 구비한다. 팬타그래프(207)는 '자바라'로 지칭될 수 있다.14 and 15 show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include a
팬타그래프(207)는 보조판수납부(29) 내에 삽입된다. 팬타그래프(207)의 하단은 보조판수납부(29) 내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팬타그래프(207)의 상단은 보조판(20)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The
팬타그래프(207)는 보조판(20)의 인출 방향에서 보조판(20)의 인출 동작에 따라 펴지거나 접히는 관절 형식의 링크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팬타그래프(207)의 구성에 의하면, 보조판(20) 하부에 결합된 팬타그래프(207)의 상승 및 하강 구조에 의해 걸림턱홈(1a), 탄성체(203) 및 고정구슬(205)의 기능과 함께 보조판(20)의 인출이나 수납 동작을 더욱 안전하고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6 및 도 17은 보조판수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수납부(29)를 상판(A) 배면에 형성한 것이다.16 and 17 show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portion, and the auxiliary
도 16은 보조판수납부(29)는 상판(A)의 배면 전체 혹은 배면 일부를 덮는 별도의 구성부에 의해 상판(A)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판수납부(29)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진 박스 형태를 가진다. 보조판수납부(29)는 상판(A)의 내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판(A)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제조되어 상판(A)의 후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3 내지 4처럼 보조판(20)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해 보조판수납부(29)는 보조판의 좌우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보조판수납부의 좌우 내측면에는 걸림턱홈이 형성되어서 보조판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16, the auxiliary
이때 보조판수납부(29)가 상판(A)의 배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를 상판(A)의 배면에 밀착시켜 접을 때,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에 보조판수납부(20)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개구부(C2,D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the auxiliary
도 17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수납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수납부(29)를 상판(A) 배면에 형성하되, 보조판수납부(29)의 배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보조판(20)의 배면이 외부에 노출된 형태이다.17 is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portion, the auxiliary
또한, 보조판수납부(29)는 서로 이격되어 보조판(2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판(A)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4처럼 보조판(20)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해 보조판수납부(29)는 보조판의 좌우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보조판수납부의 좌우 내측면에는 걸림턱홈이 형성되어서 보조판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도 18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의 다른 변형예로서, 보조판(20)의 보조받침대(24)에 책잡이(F1)이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8 is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xiliar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okshelf (F1)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책잡이(F1)는 보조받침대(24)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책잡이(F1)은 보조판에 책을 거치할 때 책페이지를 가압하여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Bookshelf (F1)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pedestal (24). The book holder (F1) serves to press and fix a book page when mounting the book on the auxiliary plate.
보조받침대 삽입홈(24a)을 위로 조금 더 넓게 형성시키면 보조받침대(24)를 삽입홈(24a)에 삽입해도 책잡이(F1)이 걸림이 없이 보조받침대(24)를 삽입홈(24a)으로 삽입할 수 있다. If the auxiliary support insertion groove (24a) is formed slightly wider upward, even if the auxiliary support (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a), the auxiliary support (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a) without jamming the bookshelf (F1). can do.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20)에 무선충전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거치대는 발광다이오드(70)와 전원포트(92)를 더 구비할 수 있다.19 to 21 show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unit in the
무선충전유닛은 상판(A)이나 보조판(20)에 설치된다. 무선충전유닛은 1차 코일(80)과 PCB 회로기판(90)을 구비하고, PCB 회로기판(90)은 DC/DC 컨버터(90a), 증폭기(90b), 정합회로(90c), 컨트롤러(91a) 및 발진기(oscillator, OSC, 91b)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A) or auxiliary plate (20).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1차 코일(80)은 자기유도방식이나 자기공명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송신부 코일로서 WPC(wireless power cosortium),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등에서 지원하는 품질 팩터(quality factor)가 우수한 코일 설계에 따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1차 코일(80)의 대응부분의 보조판(20) 표면에서 소정의 문양(82)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컨트롤러(91a)는 전원포트(9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 혹은 상용 전원을 DC/DC 컨버터(90a)의 제어를 통해 증폭기(90b)에 입력하기 적합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한다. 또한, 컨트롤러(91a)는 무선전력충전 대상의 전자기기에 따라 변하는 전압 및 전류의 검출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기기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증폭기(90b)에서 2차측을 바라보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어한다. 즉, 2차측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를 반영하여 증폭기(90b) 및 정합회로(90c)를 제어하여 현재 2차측의 임피던스와 정합된 무선 전력을 1차 코일(8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또한, 컨트롤러(91a)는 발광다이오드(LED, 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충전되는 전자기기의 충전 여부 및 충전 상태를 LED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무선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포트(92)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포트(92)는 전원단자 또는 간단히 단자(terminal)로 지칭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미니 혹은 마이크로 단자나 전원플러그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서 전원포트(92)는 보조판(20)에서 하부 보조판(22)의 좌측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보조판(22)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보조판(20)은 그 전면에 수납 방식으로 탑재되는 보조받침대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판(20)에는 발광다이오드(7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판(20)의 보조받침대(24) 위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무선 충전하면서 발광다이오드(70)에 의해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상판(A)과 받침대(B) 위에 책을 올려놓고 읽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mart phone is placed on the
또한, 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유닛의 구성에 의하면, 보조판 구비 거치대에서 보조판의 기능을 확장하여 무선 전력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거치대가 다중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plate can be extended from the cradle equipped with the auxiliary plate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power, so that the cradle is equipped with multiple functions to increase utilization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상판(A) 배면에 구비된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를 더 포함한다.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는 상판(A)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판(A)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ure 22,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C) and an angle support (D)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op plate (A). The bottom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 and are install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op plate (A).
바닥판(C) 및 각도지지대(D)는 각각의 힌지부(C1,D1)를 통해 상판(A)의 배면에 각각 회동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닥판(C)에는 각도 고정턱(E)이 형성되어 있어 각도지지대(D)의 일단을 지지하여 상판(A)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거나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The bottom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 through the respective hinge portions (C1, D1). An angle fixing jaw E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C to support one end of the angle support D to adjust or fix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op plate A.
도 23은 바닥판(C)을 접어 상판(A)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로서 하부바닥판 배면에는 별도의 고정턱홈(E1)이 생성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때, 고정턱홈(E1)은 밖으로 돌출되게도 형성 가능하지만 안으로 들어간 홈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하부바닥판(45)과 상부바닥판(44)은 바닥판 회전힌지(44a,45a)에 의해 결합되어 지며 이 바닥판 회전힌지로 인해 회전되어 접힐 수 있다. FIG. 23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C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ide of the top plate A, and a separate fixed jaw groove E1 is generated on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bottom plate. At this time, the fixed jaw groove (E1) can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but can also be in the form of a recessed groove. The
도 24는 보조판(20)을 상판(A) 내부에서 인출한 후 삽입홈(24a)에서 보조받침대(24)를 인출하여 거치하고, 보조판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힌지(23)를 이용하여 보조판(20)의 각도를 조절해 놓은 모습이다. 그리고 하부바닥판(45)을 상부바닥판(44)으로 접어 포갠 후 하부바닥판(45)의 배면부에 형성된 고정턱홈(E1)에 각도지지대(D)를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24, the
각도 고정턱(E)은 돌기 형태인데, 도 23 및 24에서와 같이 하부 바닥판(45)의 배면에는 배면고정턱홈(E1)으로 파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바닥판(45)은 바닥판(C)을 펼친 상태나 접은 상태 모두에서 상판(A)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고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angle fixing jaw E is in the form of a protrusion, and may be formed by digging into the rear fixing jaw groove E1 on the rear surface of the
이러한 바닥판(C) 및 각도지지대(D)는 독서실 책상 등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때 바닥판(C)를 접어 사용함으로써 거치대가 돌출되는 길이를 감소시켜 책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When the base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desk in a reading room, the floor plate (C) is folded and us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cradle protruding,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fficient use of the desk. .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도 22는 고정바를 이용한 고정락장치를 구비한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이다.Referring back to FIG. 22, FIG.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fixing lock using a fixing bar.
바닥판(C)은 바닥판 중간 부분에 힌지부(44a,45a)를 구비하고, 힌지부(44a,45a)에 의해 바닥판(C)을 접거나 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바닥판(C)은 상부 바닥판(44) 및 하부 바닥판(45)과 이들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44a,45a)와 바닥판을 접거나 편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락장치를 구비한다.The bottom plate (C) is provided with hinge portions (44a, 45a)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is capable of folding or unfolding the bottom plate (C) by the hinge portions (44a, 45a). That is, the bottom plate (C) has an
힌지장치(40)를 회전축으로 하여 하부 바닥판(45)을 접으면, 하부 바닥판(45)은 상부 바닥판(44) 위에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중첩되는 상부 바닥판(44)과 하부 바닥판(45)의 중첩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바닥판(44) 또는 하부 바닥판(45)은 중첩 부분에서 한쪽의 구성부가 다른 한쪽의 구성부의 오목부 또는 절개부에 끼워맞춰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힌지장치(40)는 상부바닥판 힌지부와 하부바닥판 힌지부(44a,45a) 그리고 고정락 장치를 포함한다. 고정바 락 장치는 고정바(41), 고정락홈(42a), 스프링홈(42b) 및 스프링(43)을 구비한다.The
고정락홈(42a)은 상부 바닥판(44)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 형성되고, 스프링홈(42b)은 하부 바닥판(45)의 일측에 위치하는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에 형성된다.Fixed lock groove (42a) is formed in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44a)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ttom plate (44), the spring groove (42b) is a lower bottom plate hinge located on one side of the lower bottom plate (45) It is formed in the branch (45a).
고정락홈(42a)과 스프링홈(42b)은 하나의 4각형 개구부 형태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스프링홈(42b)에는 스프링(43)이 삽입되어 외력이 없을 때에는 고정바(41)를 고정락홈(42a)로 밀어 하부 바닥판(45)의 회전을 제한한다. The fix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바(41)가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쪽의 고정락홈(42a)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스프링(43)을 압축시키면서 고정바(41)를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쪽의 스프링홈(42b)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바(41)가 고정락홈(42a)으로부터 빠져나와 락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하부 바닥판(45)을 상부 바닥판(44)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부 바닥판(44) 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바(41)는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의 일면에 접하여 하부 바닥판(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xing
한편, 본 발명은 고정락홈(42a)을 상부 바닥판(44)의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 형성하고, 스프링홈(42b)을 하부 바닥판(45)의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에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락홈(42a)은 하부 바닥판(45)의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에 형성하고, 스프링홈(42b)은 상부 바닥판(44)의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장치(40)의 고정락 장치는 바닥판(C)의 일측에만 설치되거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xed lock groove (42a) in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44a) of the upper bottom plate (44), the spring groove (42b)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45a) of the lower bottom plate (45)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fixed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힌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돌기를 구비한 누름버튼과 탄성체 및 고정홈을 이용한 고정락장치를 구비한다. 25 to 30 show another example of the hinge device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a push button having a fixing protrusion and a fixing lock device using an elastic body and a fixing groove.
도 25는 누름버튼과 스프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8에서 하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도 28에서 상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힌지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이 180도로 펼쳐져서 락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29은 힌지장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30은 상부바닥판에 하부바닥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and a sprin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inge device,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is expanded to 180 degrees, showing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29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of a hinge device is pressed. 30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bottom plate is folded to the upper bottom plate.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힌지장치(40)는 상하부바닥판 힌지부(44a,45a)와 고정락장치로 이루어진다. When explaining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the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40a)은 일면이 막힌 원통 형태이고, 바깥표면에 사각형태의 고정돌기(41b)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40a)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부(41c)를 구비한다. 스프링 고정부(41c)는 2개의 돌출 구조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부(41d)를 구비하고, 이격부(41d)에는 스프링(43)의 일측 말단부(43a)가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25, the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닥판(45)의 제2 힌지결합부(45a)는 누름버튼(40a)의 일부와 스프링(43)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형태로서 내부공간(5a)을 구비하고 일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내부공간(5a)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하부힌지 스프링 고정부(5b)가 형성되고, 한 쌍의 스프링 고정부(5b) 사이의 이격부(5h)에는 스프링(43)의 타측 말단부(43b)가 삽입된다.As illustrated in FIG. 26, the second
또한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의 안둘레면 바닥쪽에 턱부(5e)가 돌출형성되고, 턱부(5e)에는 누름버튼(40a)의 고정돌기(41b)가 삽입되는 안착홈(5g)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5g)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1b) of the push button (40a) is inserted into the jaw portion (5e)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hinge portion (45a), and is predetermined. It is formed at intervals.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는 누름버튼(40a)이 통과하여 설치되는 관통구멍(4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4a) 가장자리에는 링형태의 고정턱(4b)이 형성되며, 고정턱(4b)에는 누름버튼(40a)의 고정돌기(41b)가 삽입되는 고정홈(4c)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7, a through
또한 고정턱(4b)에는 상부 바닥판(44)에 중첩된 하부 바닥판(45)을 누름버튼(40a)을 눌러 락을 해제하지 않고도 사용자 손으로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펼치도록 하기 위해 양쪽 고정홈(4c)의 일측이 경사면(4d)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4d)은 하부 바닥판(45)의 펼침방향으로 고정홈(4c)의 개방입구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사면(4d)는 고정턱(4b)과 마찬가지로 쌍으로 존재한다.Also, the fixing
또한, 누름버튼(40a)의 내부와 제2 힌지체결부(45a)의 내부에 스프링(43)의 양측 말단부(43a,43b)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스프링(43)의 비틀림 탄성력을 가지도록 조립할 수 있고, 이 축척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40a)의 누름 시 하부바닥판(45)을 상부바닥판(44)으로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누름버튼(40a)의 누름 시 누름방향으로 탄력적인 압축 및 탄성복원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by fixing both
도 25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40a)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고정돌기(41b)가 고정홈(4c)으로부터 빠져나와 락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43)은 압축됨과 동시에 상부 바닥판(44)에 대하여 하부 바닥판(45)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스프링(43)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부 바닥판(45)이 상부 바닥판(44) 상으로 접히게 된다.As shown in FIGS. 25 and 30, when the locking
그리고, 누름버튼(40a)의 누름력을 제거하면, 도 30에서와 같이 누름버튼(40a)에 형성된 고정돌기(41b)가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여 고정홈(4c)에 삽입된다.Then,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하부 바닥판(45)을 다시 펼치고자 할 때에는 두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첫째는 누름버튼(40a)을 눌러 고정돌기(41b)를 고정홈(4c)에서 빼내어 락을 해제한 상태에서 접힌 하부 바닥판(45)을 180도로 펴는동안, 고정돌기(41b)는 안착홈(5g)안으로 완전히 인입되고 상부바닥판 고정턱(4b) 일면에 접하여 하부바닥판(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그렇게 회전하다가 하부바닥판이 180도 완전히 펴지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를 만나게 되고 스프링(43)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안으로 인입되어 고정락이 걸린다.First, while pressing the
두 번째로 누름버튼(40a)를 누르지 않아도 접혀져 있는 하부바닥판(45) 펴주면 자동적으로 락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즉. 접혀있던 하부바닥판(45)를 시계방향 펴주면 하부바닥판의 턱부(5e)가 안착홈(5g)에 일부분 인입되어 있던 고정돌기(41b)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반대편 고정홈(4c)에도 인입되어 있던 고정돌기(41b)는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되어 있던 경사면(4d)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바닥판 힌지부 안착홈(5g)로 완전히 인입되고 상부바닥판 고정턱(4b) 일면에 접하여 하부바닥판(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그렇게 회전하다가 하부바닥판이 180도 완전히 펴지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을 만나게 되고 스프링(43)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안으로 인입되어 고정락이 걸린다.Second, even if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 상판
B: 받침대
C: 바닥판
C1: 바닥판 힌지부
D: 각도지지대
D1: 각도지지대 힌지부
E: 각도 고정턱
E1: 배면고정턱홈
F,F1: 책잡이
a1: 걸림턱홈
a2: 걸림돌기
11a: 클립
11b: 후크고정홈
11c: 클립고정후크
11d: 레일고정클립
11e: 레일고정돌기
11f: 클립레일
11g: 탄성부재
11h: 버튼삽입홈 => 도5에 표시 하기!!
11k: 버튼
111f: 레일고정홈
20: 보조판
21: 상부보조판
22: 하부보조판
23: 회전힌지
24: 보조받침대
24a: 삽입홈
24b: 보조받침대 힌지
25a: 손가락홈
26: 걸림턱
29: 보조판수납부
203: 탄성체
205: 고정구슬
207: 팬타그래프
29: 보조판수납부
30: 손잡이홈
40: 힌지장치
41: 고정바
42a: 고정락홈
42b: 스프링홈
43: 스프링
44; 상부 바닥판
44a: 상부바닥판 힌지부
45: 하부 바닥판
45a: 하부바닥판 힌지부
40a: 누름버튼
41b: 고정돌기
41c: 스프링 고정부
41d: 이격부
43a: 스프링 일측 말단부
43b: 스프링 타측 말단부
4a: 관통구멍
4b: 고정턱
4c: 고정홈
4d: 경사면
5a: 내부공간
5b: 하부힌지 스프링 고정부
5e: 턱부
5g: 안착홈
5h: 이격부
70: 발광다이오드
80: 1차 코일
90: PCB 회로기판
90a: 컨버터
90b: 증폭기
90c: 정합회로
91a: 컨트롤러
91b: 발진기
92: 전원포트
11m: 레일홈
110: 클립
111: 클립버튼
112: 고정바 본체
113: 고정바 힌지
114: 고정바 삽입부
115: 탄성부재
115a: 탄성부재 고정돌기
116: 배면후크
116a: 배면후크홈
117: 정면후크
117a: 정면후크홈
120: 클립
121: 배면지지부
121a: 걸림돌기
122a: 걸림돌기
122:: 정면지지부
123: 클립몸체
123a: 장착홈
124: 연결부
126: 판스프링
127: 파지부
131a: 걸림유지홈
132a: 걸림유지홈A: Top
B: Pedestal
C: bottom plate
C1: bottom plate hinge
D: Angle support
D1: Angle support hinge part
E: angle fixed jaw
E1: Back fixed jaw groove
F,F1: Bookshelf
a1: Jamming groove
a2: Jam
11a: Clip
11b: Hook fixing groove
11c: Clip fixing hook
11d: Rail fixing clip
11e: Rail fixing projection
11f: Clip rail
11g: elastic member
11h: Button insertion groove => Shown in Figure 5!!
11k: Button
111f: Rail fixing groove
20: auxiliary plate
21: Upper auxiliary plate
22: lower auxiliary plate
23: swivel hinge
24: auxiliary stand
24a: insertion groove
24b: auxiliary hinge
25a: finger groove
26: Hanging jaw
29: auxiliary plate storage
203: elastic body
205: fixed bead
207: Fantagraph
29: auxiliary plate storage
30: handle groove
40: hinge device
41: fixed bar
42a: Fixed lock groove
42b: spring groove
43: Spring
44; Upper bottom plate
44a: upper bottom plate hinge
45: lower bottom plate
45a: lower bottom plate hinge
40a: push button
41b: fixed projection
41c: spring fixture
41d: separation
43a: one end of the spring
43b: the other end of the spring
4a: through hole
4b: fixed jaw
4c: fixing groove
4d: slope
5a: Interior space
5b: lower hinge spring fixture
5e: chin
5g: seating groove
5h: separation
70: light emitting diode
80: primary coil
90: PCB circuit board
90a: converter
90b: amplifier
90c: matching circuit
91a: controller
91b: Oscillator
92: Power port
11m: Rail groove
110: clip
111: Clip button
112: fixed bar body
113: fixed bar hinge
114: fixing bar insert
115: elastic member
115a: Elastic member fixing protrusion
116: rear hook
116a: Back hook groove
117: front hook
117a: Front hook groove
120: clip
121: back support
121a: Jam
122a: Jam
122:: front support
123: clip body
123a: mounting groove
124: connection
126: leaf spring
127: gripping part
131a: Jam holding groove
132a: Jam retaining groove
Claims (12)
상기 상판 하부에 상기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상판 상부에서 인출되고 다른 거치할 대상을 지지하는 보조받침대를 구비하는 보조판; 및
상기 상판의 배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펼쳐지는 바닥판;
을 포함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A top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 pedestal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to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below the top plate and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 auxiliary plate withdraw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to support another object to be mounted; And
A bottom plate unfolded to support the top plate from a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Cradle with an auxiliary plate comprising a.
상기 보조판에는 보조받침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한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plate has a holder having an auxiliary plate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auxiliary stand can be inserted.
상기 보조판의 보조받침대는 보조받침대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접거나 펴질 수 있으며, 보조판 전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펼쳐지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auxiliary plate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a hinge formed on the auxiliary support, and a stand having an auxiliary plate sprea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auxiliary plate.
상기 보조판은 상부 보조판과 하부 보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보조판과 상기 하부 보조판은 회전힌지에 의해 결합 및 보조판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auxiliary plate and a lower auxiliary plate, and the upper auxiliary plate and the lower auxiliary plate are mounted with a secondary plate that individually adjusts the angle of the coupling and the auxiliary plate by a rotating hinge.
상기 보조판의 외측면과 상기 상판에 구비되는 보조판수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걸림턱홈과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holder having an auxiliary plat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jaw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portion provided on the top plate.
상기 걸림돌기는 구슬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locking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plate made of beads and an elastic body.
상기 바닥판은 상부 바닥판과 하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a holder having an auxiliary plate coupled by a hinge portion to fold or unfold the bottom plate.
상기 힌지부에는 탄성체를 구비한 고정돌기와 고정홈의 걸림원리로 상부 바닥판과 하부 바닥판이 고정되거나 락이 해제되는 고정락장치를 구비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hinge portion has a fixing protrusion having an elastic body and a holding plate having an auxiliary plate having a fixing lock device to which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are fixed or unlocked by the locking principle of the fixing groove.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를 지지하는 각도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각도지지대는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부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바닥판에는 각도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도지지대가 상기 각도고정턱에 접할 때 상기 상판의 각도를 일정 각도로 고정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하부 바닥판을 상부 바닥판으로 접어 포갤 수 있고 접힌 하부 바닥판의 배면에는 걸림턱홈이 형성되어 바닥판을 접었을 때에도 걸림턱홈에 각도지지대를 거치할 수 있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ngle support for supporting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angle sup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hinge por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and an angle fixing jaw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angle support contacts the angle fixing jaw. When fixing the angle of the top plate at a certain angle,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so that the lower bottom plate can be folded to the upper bottom plate to be nested, and a locking jaw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olded lower bottom plate to provide an auxiliary plate to mount an angle support in the locking jaw groove even when the bottom plate is folded. One cradle.
상기 상판의 좌우에 결합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상판의 형성방향인 상,하로 이동시키는 클립,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lip that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top plate and moves the pedestal up and dow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ate is formed,
A holder having an auxiliary plate having a fixing device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clip using a fixing protrusion and a fixing groove.
상기 보조판의 보조받침대에 배치되는 책잡이를 더 포함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lder having an auxiliary plate further comprising a bookshelf disposed on the auxiliary base of the auxiliary plate.
상기 보조판 내부에는 코일과 PCB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전자휴대기기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auxiliary plate, a holder having an auxiliary plate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unit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ing a coil and a PCB circuit boar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296,251 US20220000258A1 (en) | 2018-11-23 | 2019-11-25 | Multi-functional cradle |
JP2021527134A JP2022509950A (en) | 2018-11-23 | 2019-11-25 | Multi-function stand |
PCT/KR2019/016297 WO2020106130A1 (en) | 2018-11-23 | 2019-11-25 | Multi-functional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825 | 2018-11-23 | ||
KR20180146825 | 2018-11-23 | ||
KR20180149191 | 2018-11-28 | ||
KR1020180149191 | 2018-11-28 | ||
KR1020190004293 | 2019-01-12 | ||
KR20190004293 | 2019-01-12 | ||
KR20190071195 | 2019-06-16 | ||
KR1020190071195 | 2019-06-16 | ||
KR1020190071891 | 2019-06-18 | ||
KR20190071891 | 2019-06-18 | ||
KR20190126540 | 2019-10-11 | ||
KR1020190126540 | 2019-10-11 | ||
KR20190142253 | 2019-11-08 | ||
KR1020190142253 | 2019-11-08 | ||
KR20190143075 | 2019-11-09 | ||
KR1020190143075 | 2019-11-09 | ||
KR20190144646 | 2019-11-12 | ||
KR1020190144646 | 2019-11-12 | ||
KR20190145493 | 2019-11-14 | ||
KR1020190145493 | 2019-11-14 | ||
KR20190150877 | 2019-11-22 | ||
KR1020190150877 | 2019-11-22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3490A Division KR20210000306A (en) | 2018-11-23 | 2020-12-24 |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1315A true KR20200061315A (en) | 2020-06-02 |
KR102198056B1 KR102198056B1 (en) | 2021-01-04 |
Family
ID=710905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2684A KR102198057B1 (en) | 2018-11-23 | 2019-11-25 | Cradle with bottom plate |
KR1020190152683A KR102198056B1 (en) | 2018-11-23 | 2019-11-25 | Cradle with assistant plate |
KR1020200183490A KR20210000306A (en) | 2018-11-23 | 2020-12-24 |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
KR1020200183491A KR102244886B1 (en) | 2018-11-23 | 2020-12-24 |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
KR1020210138403A KR20210128987A (en) | 2018-11-23 | 2021-10-18 |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2684A KR102198057B1 (en) | 2018-11-23 | 2019-11-25 | Cradle with bottom plate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3490A KR20210000306A (en) | 2018-11-23 | 2020-12-24 |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
KR1020200183491A KR102244886B1 (en) | 2018-11-23 | 2020-12-24 |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
KR1020210138403A KR20210128987A (en) | 2018-11-23 | 2021-10-18 |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5) | KR102198057B1 (en) |
CN (1) | CN113226117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14017A1 (en) * | 2019-04-18 | 2020-10-22 | 김성원 | Portable bookstand |
KR102653059B1 (en) * | 2021-11-17 | 2024-03-29 | 이지영 | Elevated reading stand |
KR102507974B1 (en) * | 2021-12-08 | 2023-03-08 | 김정희 | Foldable phone holder |
KR102616268B1 (en) * | 2023-02-10 | 2023-12-21 | 송혜경 | Portable foldable reading stan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9425B1 (en) | 2004-03-11 | 2006-05-12 | 정종천 | holding device for reading a book |
KR101272310B1 (en) * | 2012-10-17 | 2013-06-07 | 주식회사 이노프 | Angle adjustable device of upper board for table |
KR101615329B1 (en) * | 2013-11-22 | 2016-04-25 | 조영희 | Reading desk having sub-reading board |
KR20170065914A (en) * | 2015-12-04 | 2017-06-14 | 정일훈 | Adusting supporter of reading book device |
KR101788469B1 (en) * | 2016-09-12 | 2017-10-20 | 장세식 | Card type smartphone charg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9746Y1 (en) * | 2004-12-27 | 2005-03-23 | 윤-페이 왕 | A health reading stand combined with a writing stand |
KR101064182B1 (en) * | 2009-02-11 | 2011-09-14 | 정종천 | support structure of a reading desk and written |
CN202603998U (en) * | 2012-05-22 | 2012-12-19 | 王成玉 | Desk and chair lifting device |
CN202588784U (en) * | 2012-05-29 | 2012-12-12 | 肖瑛钦 | Folding angle-adjustable reading rack |
CN202891163U (en) * | 2012-11-21 | 2013-04-24 | 马晓春 | Semi-automatic partition plate supporting frame |
CN205553755U (en) * | 2016-05-03 | 2016-09-07 | 绥化学院 | Fine arts drawing frame convenient to go up and down |
CN208002383U (en) * | 2017-04-14 | 2018-10-26 | 安徽理工大学 | It is a kind of can Arbitrary Rotation and the reading stand that is freely lifted |
-
2019
- 2019-11-25 KR KR1020190152684A patent/KR10219805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25 KR KR1020190152683A patent/KR10219805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25 CN CN201980086007.0A patent/CN113226117A/en active Pending
-
2020
- 2020-12-24 KR KR1020200183490A patent/KR20210000306A/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2-24 KR KR1020200183491A patent/KR10224488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0-18 KR KR1020210138403A patent/KR2021012898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9425B1 (en) | 2004-03-11 | 2006-05-12 | 정종천 | holding device for reading a book |
KR101272310B1 (en) * | 2012-10-17 | 2013-06-07 | 주식회사 이노프 | Angle adjustable device of upper board for table |
KR101615329B1 (en) * | 2013-11-22 | 2016-04-25 | 조영희 | Reading desk having sub-reading board |
KR20170065914A (en) * | 2015-12-04 | 2017-06-14 | 정일훈 | Adusting supporter of reading book device |
KR101767917B1 (en) | 2015-12-04 | 2017-08-14 | 정일훈 | Adusting supporter of reading book device |
KR101788469B1 (en) * | 2016-09-12 | 2017-10-20 | 장세식 | Card type smartphone charg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226117A (en) | 2021-08-06 |
KR102198057B1 (en) | 2021-01-04 |
KR20210000307A (en) | 2021-01-04 |
KR20210128987A (en) | 2021-10-27 |
KR20210000306A (en) | 2021-01-04 |
KR102198056B1 (en) | 2021-01-04 |
KR20200061316A (en) | 2020-06-02 |
KR102244886B1 (en) | 202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4886B1 (en) |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 |
JP4185137B2 (en) | Universal book stand | |
US20220000258A1 (en) | Multi-functional cradle | |
JP3165298U (en) | Power outlet with charging interface | |
US11223713B1 (en) | Wearable mobile phone holder | |
KR20150059372A (en) | Reading desk having sub-reading board | |
WO2008155644A2 (en) | Cell phone holder for wall chargers | |
KR102284322B1 (en) | Multi functional book holder with height adjustment | |
US10561212B2 (en) | Carrying bag with placement rack | |
US11441727B1 (en) | Mobile device support system | |
CN209675556U (en) | Insert row equipment | |
US8797725B2 (en) | Power adapter device provided with a mouse pad | |
KR200220683Y1 (en) | Detachable bookstand | |
CN209516121U (en) | Insert row equipment | |
KR20080102883A (en) | Things receiving box for computer | |
KR102432362B1 (en) | Connector for mobile phon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 |
KR20200114439A (en) | Gr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KR200353785Y1 (en) | A universal bookholder | |
KR102306904B1 (en) |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CN221467765U (en) |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and electronic equipment accessory | |
US20220308334A1 (en) | Devices for magnification of objects to assist people with low vision | |
KR200365955Y1 (en) | chair interating with desk board | |
CN111972825A (en) | Folding driving table device | |
KR20200144921A (en) | Multifunctional reading book that can be used both as a multi-course | |
GB2575444A (en) | Carrying bag with placement r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