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57B1 - Cradle with bottom plate - Google Patents

Cradle with bottom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057B1
KR102198057B1 KR1020190152684A KR20190152684A KR102198057B1 KR 102198057 B1 KR102198057 B1 KR 102198057B1 KR 1020190152684 A KR1020190152684 A KR 1020190152684A KR 20190152684 A KR20190152684 A KR 20190152684A KR 102198057 B1 KR102198057 B1 KR 10219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fixing
groov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316A (en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riority to US17/296,25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00258A1/en
Priority to JP2021527134A priority patent/JP2022509950A/en
Priority to PCT/KR2019/016297 priority patent/WO2020106130A1/en
Publication of KR2020006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6C-shaped bed tables, e.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 등의 거치 대상에 대한 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책 뿐만 아니라 따로 전자기기나 기타 물품을 거치할 수 있으며, 바닥판을 접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바닥판 구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과, 상판 하부에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판 상부에서 인출되고 다른 거치할 대상을 지지하는 보조받침대를 구비하는 보조판과,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를 갖고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배면상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펼쳐지는 바닥판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mounting height for a mounting object such as books, electronic devices or other items can be mounted separately as well as books, and the bottom plate is folded so that the cradle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In this regard, a cradle having a bottom plate includes an upper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 pedestal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upper plate under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It includes an auxiliary plate having an auxiliary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a bottom plate provided to be folded with a hinge on a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unfolded to support the top pl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Description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CRADLE WITH BOTTOM PLATE}Cradle with bottom plate {CRADLE WITH BOTTOM PLATE}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 등의 거치 대상에 대한 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책뿐만 아니라 따로 전자기기나 기타 물품을 거치할 수 있으며, 바닥판을 접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는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and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for a mounting object such as a book, and to mount electronic devices or other articles separately as well as a book, and fold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cradle can be mounted in a narrow space It relates to a cradle provided with a usable bottom plate.

일반적으로 거치대의 일종인 독서대는 상판과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해서 상판과 받침대에 책을 놓고 독서를 함으로써 책상 바닥에 책을 펼쳐서 보는 것보다는 고개를 덜 숙이는 자세를 취하게 하는 용도로 쓰인다.In general, a reading stand, a type of cradle, is used to make a posture of lowering your head than to open a book on the floor of a desk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p plate and the stand to read books.

종래 기술의 일례로는 특허등록공보 제10-0579425호의 '독서대', 특허등록공보 제10-1767917호의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a'reading stand'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579425, and a'reading stand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support length'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767917 are disclosed.

첫 번째 종래 기술의 독서대는 두 개의 독서대를 상하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며 따라서 휴대성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선행기술의 독서대는 그 지지대가 판형 막대 구조로 그 지지 구조가 불안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first prior art reading table is a form in which two reading tables are combined up and down,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portability is inconvenient. And the second prior art reading tabl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upport structure is unstable because the support is a plate-shaped rod structure.

또한, 종래 기술의 독서대는 별도의 보조판이 존재하지 않아서 상판에 얹어진 책 외에 다른 책이나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 등을 올려 놓고 같이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책상이 좁은 곳에서 독서대를 펼치려면 바닥판의 길이 때문에 독서대를 펼친 후 좁은 책상 면적으로 인해 책상 사용이 불편해 지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ading table of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separate auxiliary plate, there is no means for placing other books 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in addition to the books on the top plate and using them together. In addition, in order to unfold the reading table in a narrow desk, the length of the bottom plate may make it uncomfortable to use the desk due to the narrow desk area after unfolding the reading table.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독서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new cradl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reading stand of the prior art.

국내등록특허 제10-0579425호(2006.05.08)Domestic Registration Patent No. 10-0579425 (2006.05.08) 국내등록특허 제10-1767917호(2017.08.14)Domestic Registration Patent No. 10-1767917 (2017.08.1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며 거치 대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받침대 및 바닥판 구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having a pedestal and a bottom plate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a mounting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며 책 등의 기본 거치 대상 이외에 기타 물품을 추가로 거치할 수 있는 바닥판 구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having a bottom plate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additionally mount other items in addition to the basic mounting objects such as book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며 좁은 공간에서는 바닥판을 원터치 방식으로 접어 편리하면서도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바닥판 구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with a floor plate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stably by folding the floor plate in a one-touch manner in a narrow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거치대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며 클립과 결합되어, 클립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받침대; 받침대의 높이를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판과 받침대를 결합시키며, 클립레일을 따라 승강운동할 수 있는 클립; 을 포함한다. The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ceiv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top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 pedestal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coupled with a clip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A clip having a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comb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pedestal,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Includes.

또한, 상판의 클립레일은 내부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레일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클립에 구비된 고정장치는 레일고정클립에 인입될 수 있고, 레일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 버튼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버튼이 삽입될 수 있는 레일고정클립, 레일고정클립의 버튼삽입홈 또는 버튼에 위치하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버튼의 레일고정돌기가 레일고정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부재의 형성위치는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판의 클립레일이나 버튼의 형성위치나 수는 변경이 될 수 있는데 상판의 좌우 측면 뿐만 아니라, 상판의 좌우 내측 또는 외측에 단수 또는 복수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ip rail of the upper plate includes a rail fixing groove formed therein to fix the height of the pedestal by using a fixing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clip can be inserted into the rail fixing clip, and the rail A button with a fixing protrusion, a rail fixing clip that has a butto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button can be inserted, and locat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r the button of the rail fixing clip,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so that the rail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It may further include including an elastic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rail fixing groov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is elastic member can be varied. In addition, the position or number of the clip rails or buttons of the upper plate may be changed, and may be provided in a single or plural number not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but also on the left and right inside or outside the upper plate.

또한, 버튼을 없애고 클립내에 형성된 판스프링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클립 또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클립내부에는 판스프링등의 탄성체가 있어서 클립전체가 버튼의 역할을 하여 클립을 눌러주면 클립 내부의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레일고정돌기가 레일고정홈에서 빠져나와서 클립 및 받침대의 높이가 조절가능해지고 클립에 가해지는 힘을 없애주면 다시 레일고정돌기가 레일고정홈에 맞물려 고정이 된다. 아니면 꼭 클립을 눌러주지 않고 클립이나 받침대를 위아래로 힘을 가하여 이동해주면 그 힘에 의하여 클립내부의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이 조절이 되어 클립 및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lip or the pedestal can be adjusted by removing the button and using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body such as a leaf spring formed in the clip. In other words, there is an elastic body such as a leaf spring inside the clip, so the entire clip acts as a button and when the clip is pressed, the rail fixing protrusion comes out of the rail fixing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inside the clip, and the height of the clip and the base can be adjuste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lip is removed, the rail fixing protrusion engages with the rail fixing groove and is fixed. Otherwise, if the clip or the stand is moved by applying a force up and down without pressing the clip,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such as the leaf spring inside the clip is adjusted by the force, so that the height of the clip and the stand can be adjust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이하 간략히 '거치대'라고 한다)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판 하부에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판 상부에서 인출되고 다른 거치할 대상을 지지하는 보조받침대 및 상부보조판과 하부보조판을 결합시키며 보조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힌지 및 보조판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보조판; 을 포함한다.A cradle having a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radle') includes a top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 pedestal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o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 auxiliary plate with an auxiliary support for supporting another object to be mounted and a rotation hinge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adjusted height of the auxiliary plate; Includes.

상기 보조판에는 보조받침대가 존재한다. 이 보조받침대에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나 기타물품 등을 거치할 수 있다. 보조받침대 하단에는 회전힌지가 형성되고 이 보조받침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존재하여 보조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삽입홈에 보조받침대를 삽입할 수 있다. The auxiliary plate has an auxiliary support.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other items can be mounted on this auxiliary base. A rotation hing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re i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When the auxiliary support is not used,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또한, 보조판을 상부보조판과 하부보조판으로 나누고 그 사이를 회전힌지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회전힌지를 사용하여 상판의 경사 각도와 별개로 보조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서 보조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auxiliary plate into an upper auxiliary plate and a lower auxiliary plate, and connect between them using a rotation hinge.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auxiliary plate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angle by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separately from the tilt angle of the upper plate using this rotation hinge.

또한, 상기 보조판에는 상기 보조판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이동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판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상기 상판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홈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에 걸려 그 인출 높이가 고정된다. 당연히 걸림돌기와 걸림턱홈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가 있다. 이때, 걸림돌기는 탄성체를 구비한 고정구슬이 그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o the moved position after the auxiliary plate is slid up and down, and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late is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jaw grooves formed inside the upper plate It is hung on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withdrawal height is fixed. Naturally,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jaw groove can be interchanged.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performed by a fixed ball having an elastic body instead.

또한, 상기 바닥판 구비 거치대는 상판에 설치되고 보조판의 인출 방향에서 보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팬타그래프를 더 포함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having the bottom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antograph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and positioned under the auxiliary plate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plate.

또한, 상기 보조판은, 상기 상판의 내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slides in an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조판의 보조받침대에 별도의 책잡이를 형성하여 보조판에 책을 거치 시에 책페이지를 잡아주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separate book holder on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auxiliary plate, it is possible to hold the book pages when placing the book on the auxiliary plate.

또한, 상기 보조판에 코일과 PCB회로기판을 사용한 무선충전유닛을 이용하여 보조판에 전자휴대기기를 거치 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wireless charging unit using a coil and a PCB circuit board on the auxiliary plate,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harge the electronic portable device when mounted on the auxiliary plat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거치대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상기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를 갖고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배면상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펼쳐지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부 바닥판과 하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고정락장치에 의해 바닥판을 접거나 펴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A crad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top plate supporting an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 pedestal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to protrude toward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a bottom plate which is provided to be folded with a hing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which is unfolded to support the top pl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the upper bottom plate The base and the lower floor plate are joined by a hinge part, and a base plate provided with a floor plate that can fix the floor plate folded or unfolded by a fixing lock device.

상기 바닥판은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바닥판과 상기 하부 바닥판은 회전힌지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여 바닥판을 접거나 펼 수 있다. 상기 바닥판 회전힌지 내부에는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을 접거나 고정할 수 있는 고정락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바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바닥판 힌지부쪽의 고정락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고정바를 하부바닥판 힌지부쪽의 스프링홈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바가 고정락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락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하부 바닥판을 상부 바닥판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부 바닥판에 중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바는 상부바닥판 힌지부의 일면에 접하여 하부 바닥판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접혀있던 하부바닥판을 180도 회전하여 다시 펴주면 자동으로 락이 걸려 바닥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하부바닥판이 회전하면서 고정바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하부바닥판이 180도로 펴지게 되면 고정바가 상부바닥판 힌지부쪽의 고정락홈과 만나게 되면서,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생성되어 있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바가 고정락홈에 삽입되어 고정이 된다.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bottom plates are rotatable by a rotation hinge, so that the bottom plate can be folded or unfolded. A fixing lock device capable of folding 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floor plates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hinge of the floor plate.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fixing bar located in the fixing lock groove on the hinge part of the upper floor plate, when the fixing bar is moved to the spring groove on the hinge part of the lower floor plate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by external force, the fixing bar escapes from the fixing lock groove and locks. The state is released, whereby the lower floor plate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loor plate and overlapped with the upper floor plate. At this time, the fixing bar contacts one surface of the hinge of the upper floor plate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floor plate. And if the folded lower floor plate is rotated 180 degrees and opened again, it is automatically locked and the floor plate can be fixed. In other words, as the lower floor plate rotates, the fixing bar rotates together, and when the lower floor plate is unfolded 180 degrees, the fixing bar meets the fixing lock groove on the hinge part of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generated in the hinge part of the lower floor plate The fixing ba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lock groove to be fixed.

한편, 본 발명은 고정락홈을 상부 바닥판의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하고, 스프링홈을 하부 바닥판의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락홈은 하부 바닥판의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하고, 스프링홈은 상부 바닥판의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장치의 고정바 락 장치는 바닥판의 일측에만 설치되거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lock groove is form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upper floor plate of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spring groove is form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lower floor plate of the lower floor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fixed. The lock groove may be formed on the hinge of the lower floor plate of the lower floor plate, and the spr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hinge of the upper floor plate of the upper floor plate. In addition, the fixing bar lock device of the hinge device may be installed only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loor plate.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바 대신 고정돌기가 구비된 버튼방식의 고정락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상부바닥판 힌지부와 하부바닥판 힌지부 내부에 스프링와 고정돌기를 구비한 버튼이 결합된다. 상부바닥판 힌지부 외부로 튀어나온 버튼을 눌러주면 버튼의 고정돌기는 상부바닥판 힌지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에서 빠져나와 하부바닥판 힌지부 내부에 생성된 안착홈의 끝까지 삽입이 된다. 이렇게 락이 해제된 바닥판은 회전이 가능해져서 접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스프링 고정부를 이용해서 비틀어져 탄성력을 축척한 스프링를 이용하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하부바닥판이 상부바닥판으로 접혀질 수 있다. 접혀진 바닥판을 다시 펼 때에는 버튼을 눌러서 락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부바닥판에 포개진 하부바닥판을 시계방향으로 180도로 펴면 고정돌기가 하부바닥판과 같이 회전하면서 어느 순간 고정홈과 만나게 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자동으로 락이 걸리게 된다. 이때, 상부바닥판 힌지부 고정턱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이용한다면 접혀진 바닥판을 펼 때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바닥판을 펼 수 있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button-type fixing lock device having a fixing protrusion instead of a fixing bar. That is, a button having a spring and a fixing protrusion in the hinge portion of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hinge por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is coupled. When the button protruding out of the upper floor plate hinge is presse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comes out of the fixing groove formed inside the upper floor plate hinge and is inserted to the end of the seating groove created inside the lower floor plate hinge part. The bottom plate in which the lock has been released can be rotated so that it can be folded. Here, if you use a spring that is twisted and accumulated elasticity using a spring fixing part, the lower floor plate can be automatically folded into the upper floor plate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en unfolding the folded bottom plate again, press the button to release the lock and open the bottom plate overlaid on the top plate 180 degre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xing protrusion rotates with the bottom plate and meets the fixing groove at some point.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and automatically locks. At this time, if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fixing jaw of the upper floor plate hinge part is used, the floor plate can be unfolded without pressing a button when unfolding the folded floor plat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홈과 경사면이 하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되고 안착홈 등이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되는 등 그 형성위치가 서로 바뀌어 형성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groove and the inclined surface are formed in the hinge portion of the lower floor plate, and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hinge portion of the upper floor plate.

전술한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상승하여 거치 대상의 높이는 눈높이에 맞게 조절하거나 보조판을 펼쳐서 폰 등의 전자기기나 기타 물품을 거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바닥판를 접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cradle having the above-described bottom plate,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mounted by raising the pedestal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eye level, or the auxiliary plate may be unfolded to moun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hone or other items. In addition, in a narrow space, the base plate can be folded so that the holder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에 회전힌지를 형성하고, 하부 바닥판을 상부 바닥판 상에 누름버튼 방식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고, 누름버튼 내 고정홈 일측면의 경사면을 통해 상부 바닥판에서 하부 바닥판을 간단히 들어올려 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on hinge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can be easily folded on the upper bottom plate by a push button method, and from the upper bottom plat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in the push button You can simply lift and unfold the bottom plat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판 또는 상판 내부에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코일과 충전기판 및 집적회로(IC) 등을 삽입하면 전자기기를 거치할 경우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charging coil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device, a charger plate, and an integrated circuit (IC) ar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late or the upper plat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wirelessly charged.

또한, 보조판 또는 상판에 충전코일과 무선충전 회로기판을 배치하고 거치대 특정 부분에 전원포트를 형성시키고 충전 어댑터를 꽂아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코일이 위치한 부분에 휴대기기를 거치하면 무선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회로기판 상의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휴대기기의 과충전, 과전류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표시부를 배치하여 휴대기기가 충전 중인지, 완충이 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charging coil and the wireless charging circuit board on the auxiliary board or the upper panel, forming a power port in a specific part of the cradle, and supplying power by plugging in a charging adapter, and then charging the mobile device wirelessly when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in the part where the charging coil is located. In addition, overcharging and overcurrent of portable devices can be prevented by using an integrated circuit on a circuit board. In addition, a display unit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arranged to indicate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being charged or fully char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판을 구비하며 버튼으로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조판의 보조받침대가 보조받침대삽입홈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상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거치대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서 거치대의 버튼 및 레일고정클립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뒤에서 본 배면도.
도 11은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앞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 클립의 판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보조판이 보조판수납부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수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수납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보조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보조판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거치대를 뒤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서 거치대에 채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유닛의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바닥판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서 바닥판을 접어 상판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24는 도 22에서 보조판을 상판 내부에서 인출한 후 보조받침대를 펼쳐 거치하고 보조판의 각도를 조절해 놓은 거치대의 측면도. 그리고 하부바닥판을 상부바닥판으로 접혀져서 하부바닥판의 배면부에 형성된 고정턱홈에 각도지지대를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거치대의 측면도.
도 25는 도 28에서 누름버튼과 스프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8에서 하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도 28에서 상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힌지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이 180도로 펼쳐져서 락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29는 힌지장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30은 상부바닥판에 하부바닥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having an auxiliar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with a butt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auxiliary plate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support insertion groove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in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cradle in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button and the rail fixing clip of the cradle in FI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ide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ar view of the clip in Figure 9 seen from behind the top plate.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in Figure 9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eaf spring of the clip in Figure 9;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plate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in FIG. 14;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in Figure 19 viewed from the back.
Figure 2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can be employed in the cradle in Figure 20.
Figure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having a hinge device for a bottom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 FIG. 22;
FIG. 24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in which the auxiliary plate in FIG. 22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and then the auxiliary support is unfolded and the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is adjusted. And the side view of the cradle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ngle support in the fixed jaw groove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by folding the lower bottom plate into the upper bottom plate.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and a spring in FIG. 28;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inge device, and an inn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loor plates are spread 180 degrees and the lock is engaged.
29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of a hinge device is pressed.
Figure 30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loor plate is folded to the upper floor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various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높이조절 기능을 가진 거치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상판(A), 받침대(B), 바닥판(C) 및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클립(11a)을 구비한다.1 to 5 show a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s show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 the pedestal (B), the bottom plate (C) and the pedestal (B) It is provided with a clip (11a) for.

받침대(B)는 클립(11a)에 의해 상판(A)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판(A)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레일(11f)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클립(11a)은 받침대(B)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판(A)과 받침대(B)를 결합시킨다.The pedestal (B)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A) by a clip (11a) and is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11f) formed on the upper plate (A). Clip (11a)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height of the base (B), and combines the upper plate (A) and the base (B).

클립(11a)은 클릭 버튼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판(A)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판(A) 전면에서 받침대(B)를 승강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The clip 11a is composed of a click button type and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top plate A, respectively, so as to adjust the height by lifting the pedestal B from the front of the top plate A.

즉,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판(A)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고정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클립레일(11f)이 형성된다. 고정장치는 레일고정클립(11d) 및 버튼(11k)를 포함하고, 레일고정클립(11d) 내부 또는 레일고정클립(11d)와 버튼(11k)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g)가 배치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S. 3 to 5, clip rails 11f into which a fixing device can be inserted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A.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rail fixing clip (11d) and a button (11k), and an elastic member (11g) such as a spring is disposed inside the rail fixing clip (11d) or between the rail fixing clip (11d) and the button (11k). I can.

상판(A)의 클립레일(11f)에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는 레일고정홈(111f)이 형성되어 있다.A rail fixing groove 111f capable of adjusting and fix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B using a fixing device is formed in the clip rail 11f of the upper plate A.

버튼(11k)에는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 인입될 수 있는 레일고정돌기(11e)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11k)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당기거나 밀어넣을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다.The button 11k has a rail fixing protrusion 11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ail fixing groove 111f of the clip rail 11f. A part of the button 11k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function as a handle that a user can hold, pull, or push in by hand.

도 5를 참조하면, 레일고정클립(11d)의 내부 혹은 레일고정클립(11d)과 레일고정돌기(11e) 사이에는 탄성부재(11g)가 위치하여 버튼(11k)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외력에 의해 버튼(11k)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일고정홈(111f)과의 정렬에 따라 버튼(11k)의 레일고정돌기(11e)가 클립레일(11f)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고정홈(111f)에 인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5, an elastic member (11g) is located inside the rail fixing clip (11d) or between the rail fixing clip (11d) and the rail fixing protrusion (11e)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button (11k),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button 11k is not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rail fixing protrusion 11e of the button 11k is formed in the clip rail 11f according to the alignment with the rail fixing groove 111f. 111f) can be entered and settled.

전술한 클립레일(11f)은 상판(A)의 내측뿐 아니라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11a)은 클립레일(11f)을 따라 승강운동을 하고, 클립(11a)에 구비된 고정장치에 의하여 상판(A)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lip rail (11f) may be formed not only inside as well as outside of the top plate (A), and the clip (11a)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11f), and is attached to the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clip (11a).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A may be fixed.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은 후크고정홈(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립(11a)에는 클립고정후크(11c)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upper plate (A) has a hook fixing groove (11b) is formed, the clip (11a) is formed with a clip fixing hook (11c).

후크고정홈(11b)은 상판(A)의 전면 양측가장자리 및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고정후크(11c)와 결합되어 클립(11a)이 클립레일(11f)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때, 클립(1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Hook fixing grooves (11b) can be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edges of the top plate (A), and when the clip (11a)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lip rail (11f) by being combined with the clip fixing hook (11c)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lip (11a).

받침대(B)는 클립(11a)과의 연결점을 축으로 상판(A)의 전면 상에 중첩되거나 대략 직각면을 형성하도록 회동 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받침대(B)의 일측면에는 책잡이(F)가 일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으로 받침대(B) 상의 책 등의 물건을 지지할 수 있다.The pedestal (B) may be pivotally coupled to form an approximately right-angled surface or overlap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around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clip (11a). On one side of the pedestal (B), a book holder (F) is rotatably coupled at one end to support objects such as books on the pedestal (B) with the other en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 구성에 의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by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5에서와 같이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받침대(B)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클립(11a)의 버튼(11k)에 푸쉬(push) 압력을 가하면, 탄성부재(11g)가 압축되면서 레일고정돌기(11e)가 상판(A)의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서 인출된다. 레일고정돌기(11e)가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서 인출되면서 위치고정이 해제되어 받침대(B)를 상판(A)의 형성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a push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tton 11k of the clip 11a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edestal B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edestal B, the elastic member 11g is compressed. As the rail fixing protrusion (11e) is withdrawn from the rail fixing groove (111f) of the clip rail (11f) of the upper plate (A). As the rail fixing protrusion 11e is withdrawn from the rail fixing groove 111f of the clip rail 11f, the position fixing is released so that the pedestal B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top plate A.

다음, 버튼(11k)을 누른 상태에서 받침대(B)를 고정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에 버튼(11k)의 압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1g)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버튼(11k)을 원위치시키게 되므로 레일고정돌기(11e)는 다시 클립레일(11f)의 레일고정홈(111f)에 인입되어 받침대(B)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받침대(B)의 위치 조절과 고정이 이루어진다.Next, if the pressure of the button (11k) is removed after placing the base (B) in the desired position while pressing the button (11k), the elastic member (11g) will return the button (11k)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fixing protrusion 11e is again inserted into the rail fixing groove 111f of the clip rail 11f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B is fixed.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B) is adjusted and fix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판 좌우 배면에 레일과 버튼식 고정장치를 형성한 것이다. 6 to 8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ails and button-type fixing devic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a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도 6은 상판 좌우 배면에 레일과 버튼식 고정장치를 형성시킨 모습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rails and button-type fixing devic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a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도 7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고정바본체(112)의 하단부는 클립버튼(111)의 역할을 수행하며, 고정바본체(112)의 상단부는 고정바삽입부(11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고정바삽입부(114)의 배면에는 탄성부재 고정돌기(115a)와 탄성부재가 있어서 고정바삽입부를 레일홈(11m)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부재 고정돌기(115a)는 탄성부재(115)가 딴곳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body 112 serves as the clip button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xed bar body 112 serves as the fixed bar insertion portion 114.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ar insertion portion 114 has an elastic member fixing protrusion 115a and an elastic member, and thus serves to push the fixing bar insertion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groove 11m.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fixing protrusion 115a serves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115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another.

고정바본체(112)의 중간부분에는 고정바힌지(113)가 형성되어 클립버튼(111)에 압력을 가했을 때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레일홈(11m)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바삽입부(114)가 인출되어 락이 해제된다.. 클립버튼(111)에 압력을 제거하면 고정바삽입부(114) 후면에 형성되어 있던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바삽입부(114)가 레일홈(11m) 방향으로 밀려 인입되어 락이 걸린다. A fixed bar hinge 113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xed bar body 112 to act as a leve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lip button 111, and the fixed bar insertion part 114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1m When the pressure on the clip button 111 is removed, the fixing bar insertion part 114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15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bar insertion part 114. It is pushed in and locked in the direction of 11m).

도 8은 도 6에서 고정장치 부분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클립(110)에는 좌우로 클립(110)이 상판(A)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면후크(117)과 배면후크(116)가 형성된다. 또한, 상판의 좌우 배면 가장자리에는 레일홈(11m) 및 배면후크홈(116a)가 형성되고 상판의 좌우 정면 가장자리에는 정면후크홈(117a)이 형성된다. 배면후크(116)는 배면후크홈(116a)에 후크결합되고, 정면후크(117)은 정면후크홈(117a)에 걸려 있음으로써 클립 또는 받침대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할 때 클립(110)이 상판(A)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ide of the fixing device in FIG. 6. The clip 110 is provided with a front hook 117 and a rear hook 116 to prevent the clip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A) left and right. In addition, rail grooves 11m and rear hook grooves 116a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rear edges of the upper plate, and front hook grooves 117a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front edges of the upper plate. The rear hook 116 is hooked to the rear hook groove 116a, and the front hook 117 is hung in the front hook groove 117a, so that when the height of the clip or the base is adjusted up and down, the clip 110 is the upper plate ( It may not be separated from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 구성에 의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판(A), 받침대(B) 및 받침대(B)의 높이 조절을 위한 클립(110)을 구비하되, 상판(A)의 배면 좌우 측면에 레일홈(11m)이 설치되어 클립(110) 형성된 클립버튼(111)에 압력을 가하면 고정바힌지(113)가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바삽입부(114)가 레일홈(11m)에서 인출되어 락이 해제된다. 이때 클립(110) 또는 받침대(B)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클립버튼(1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부재가 클립버튼을 레일홈 방향으로 밀어서 클립버튼(111)이 레일홈(11m) 안으로 인입되어 클립(110) 또는 받침대(B)의 높이가 고정이 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by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lip 110 is provided with a clip 11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 the pedestal (B), and the pedestal (B), but a rail groove (11m)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of the top plate (A) to form the clip 110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tton 111, the fixing bar hinge 113 serves as a lever, and thus, the fixing bar insertion portion 114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is withdrawn from the rail groove 11m and the lock is releas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lip 110 or the pedestal (B) to a desired height,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lip button 111 at a desired position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clip butt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15. By pushing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groove, the clip button 111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1m, so that the height of the clip 110 or the pedestal (B) is fixed.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9 to 12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로 판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클립 또는 받침대의 높이조절을 높이조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뒤에서 본 배면도, 도 11는 도 9에서 클립을 상판 앞에서 본 사시도, 도 12은 도 9에서 클립의 판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cradl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lip or pedestal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0 is a rear view of the clip viewed from the back of the upper plate in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in FIG. 9,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eaf spring of the clip in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양측 정면과 배면에 받침대 높이조절방향(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31,132)이 각각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1,132)에 클립(12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9, guide grooves 131 and 132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A in the height adjustment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clips 120 are formed in the guide grooves 131 and 132.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클립(120)은 횡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판(A)의 배면쪽 가이드홈(131)에 삽입되는 배면지지부(121)와 상판(A)의 정면쪽 가이드홈(132)에 삽입되는 정면지지부(122)를 구비하는 클립몸체(123)와, 받침대(B)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몸체(123)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124)를 구비한다.The clip 120 is inserted into the rear support portion 121 and the front guide groove 132 of the top plate A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121 inserted into the rear guide groove 131 of the top plate (A) with a cross section formed in a'C' shape It includes a clip body 123 having a front support portion 122 that is, and a connecting portion 124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ip body 123 as for coupling the pedestal (B).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배면쪽 가이드홈(131)의 한쪽면에는 걸림유지홈(131a)이 가이드홈(131)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클립(120)의 배면지지부(121)에는 상기 걸림유지홈(131a)에 대응하여 상호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개의 걸림돌기(121a)가 형성된다. 이때, 배면지지부(121)과 걸림돌기(121a)는 클립(120)이 상판(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유지홈(131a)과 걸림돌기(121a)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31 on the rear side of the top plate (A), a locking holding groove (131a)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guide groove 131,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of the clip 120 ( In 121,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21a that can be fitted to each other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ding grooves 131a. At this time, the rear support portion 121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1a also serve as a hook so that the clip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A). In addition, the locking holding groove 131a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1a may protrude in a semicircular shap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정면쪽 가이드홈(132)의 한쪽면에는 걸림유지홈(132a)이 가이드홈(132)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클립(A)의 정면지지부(122)에는 상기 걸림유지홈(132a)에 대응하여 상호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개의 걸림돌기(122a)가 형성된다. 이때, 정면지지부(122)와 걸림돌기(122a)는 클립(120)이 상판(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유지홈(132a)과 걸림돌기(122a)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on one side of the front guide groove 132 of the upper plate (A), a locking holding groove (132a)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guide groove 132, and the front support portion of the clip (A) ( In 122,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22a that can be fitted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holding grooves 132a. At this time, the front support part 1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2a also serve as a hook so that the clip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A). In addition, the locking holding groove 132a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2a may protrude in a semicircular shape.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A)의 측면과 클립(120)의 클립몸체(123)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125)가 형성되고, 이 틈새(125)에 판스프링(126)이 탄력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predetermined gap 125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A and the clip body 123 of the clip 120, and the plate spring 126 is elastic in the gap 125. Installed.

판스프링(126)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림몸체(123) 내측에 형성한 장착홈(123a)에 끼워져 양단부가 지지되고, 중앙부분은 양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은 상판(A)의 측면과 밀착하여 설치된다. The leaf spring 126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3a formed inside the clamp body 123 as shown in FIGS. 9 and 12 to support both ends, and the central part is convexly curved outward from both ends, The convexly curved portion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이때, 클립몸체(123)의 바깥면에는 판스프링(126)의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 기능과 가압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파지부(127)를 형성한다.At this tim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ip body 123, a gripping portion 127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handle function and a pressing fun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pressing the convexly curved portion of the leaf spring 126.

이러한 받침대 높이조절 구성에 의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20)이 상판(A)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판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클립몸체(123)는 상판(A)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배면지지부(121)와 정면지지부(122)의 걸림돌기(121a,122a)가 대응하는 걸림유지홈(131a,132a)에 삽입되어 받침대(B)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pedestal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9 to 11, in a state in which the clip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A), the clip body 12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late spring 126 is the upper plate (A) Since the force is recei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21 and the locking protrusions 121a and 122a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22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locking holding grooves 131a, 132a of the pedestal (B). The position will be in a fixed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B)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경우, 클립몸체(123)의 파지부(127)를 잡고 상판(A)의 측면쪽으로 누르거나 상판의 형성된 방향으로 상하로 힘을 주어 이동하면 판스프링(126)의 볼록부분이 눌려 펴지게 되면서 클립몸체(123)가 상판(A)의 측면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배면지지부(121)와 정면지지부(122)의 걸림돌기(121a,122a)가 대응하는 걸림유지홈(131a,132a)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클립(120) 및 이에 연결된 받침대(B)는 가이드홈(131,1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e (B), holding the gripping portion (127) of the clip body (123) and pressing it toward the side of the top (A) or by applying a force up and down in the formed direction of the top plate, the plate spring As the convex portion of (126) is pressed and unfolded, the clip body 123 moves toward the side of the top plate (A), whereby the locking protrusions (121a, 122a)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21 and the front support portion 122 correspond Since it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s 131a and 132a, the clip 120 and the pedestal B connected thereto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s 131 and 132.

따라서 받침대(B)를 원하는 높이로 이동하여 멈추거나, 누르고 있던 파지부(127)를 놓아주면, 눌려있던 판스프링(1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립몸체(123)가 상판(A)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배면지지부(121)와 정면지지부(122)의 걸림돌기(121a,122a)가 대응하는 걸림유지홈(131a,132a)에 다시 삽입되므로, 클립(120) 및 이에 연결된 받침대(B)를 높이 조절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edestal (B) is moved to a desired height and stopped, or the held gripping portion 127 is released, the clip body 123 is moved from the side of the top plate (A)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pressed plate spring 126. It moves to the farther away side, whereby the locking protrusions 121a and 122a of the rear support 121 and the front support 122 are re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locking holding grooves 131a and 132a, so that the clip 120 and the pedestal connected thereto (B) can be kept fixed in the height-adjusted position.

다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는 보조판(20)을 더 포함한다. 상판(A)에는 보조판(20)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판수납부(29)가 형성되어 있고, 보조판(20)은 외력에 의해 상판(A)의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ures 1 to 4,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late (20). The upper plate A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plate storage portion 29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uxiliary plate 20, and the auxiliary plate 20 is configured to be pulled out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A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보조판(20)에 전면에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 펼쳐지는 보조받침대(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보조받침대(24)에는 전자휴대기기나 기타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보조받침대(24)에는 걸림턱(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걸림턱(26)은 보조받침대(24)에 거치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2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24 extending in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front.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or other article may be mounted on the auxiliary support 24. The auxiliary pedestal 24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6. The locking jaw 26 serves to prevent the article mounted on the auxiliary base 24 from being separated.

보조받침대(24)는 보조판(20)의 전면에 설치된 삽입홈(24a)에 수납될 수 있다.보조받침대(24)가 삽입홈(24a)안에 삽입되었을 때 보조받침대(24) 하단 양측에는 회전힌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힌지를 이용하여 보조받침대(24)가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다. 삽입홈(24a)의 상단 가장자리 중간에서는 손가락홈(25a)이 구비되고, 손가락홈(25a)의 양측에 대향하는 위치의 보조받침대(24) 가장자리에는 걸림턱(26)이 구비된다. 손가락홈(25a)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auxiliary pedestal 24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24a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auxiliary plate 20. When the auxiliary pedestal 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a, rotation hing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pedestal 24 Is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24 can be unfolded and folded using this hinge. A finger groove 25a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edge of the insertion groove 24a, and a locking jaw 26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auxiliary support 24 at a position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finger groove 25a. The position of the finger groove 25a may be changed.

또한, 보조판(20)은 높이조절기능이 있는 거치대에서 연장지지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받침대(B)의 높이가 올라가면 책이나 물품의 뒤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연장지지판이 필요해지게 된다. 이때 보조판(20)은 연장지지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20 may be used as an extension support plate in a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height of the pedestal (B) rises, an extension support plate that serves to support the back of a book or article becomes necessary. At this time, the auxiliary plate 20 serves as an extension support plate.

보조판(20)은 상부 보조판(21)과 하부 보조판(22)으로 나뉘어지고 회전힌지(2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힌지(23)은 상판과 별개로 보조판(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부보조판(21)은 하부보조판(22)과 180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조판에 물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 20 is divided into an upper auxiliary plate 21 and a lower auxiliary plate 22 and may be coupled by a rotation hinge 23. In this case, the rotation hinge 23 also serves to adjust the angle of the auxiliary plate 20 separately from the upper plate. The upper auxiliary plate 21 can be more stably mounted on the auxiliary plate by preventing the lower auxiliary plate 22 from opening more than 180 degrees.

한편 보조판(20)은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조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plate 2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the adjustment position while the height is adjusted.

보조판(20) 하단 양측에는 걸림돌기(a2)가 형성되고, 보조판수납부(29)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a2)와 대응하여 걸림턱홈(a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판(20)의 걸림돌기(a2)가 보조판수납부(29)의 걸림턱홈(a1)에 삽입되어 걸림유지되는 것에 의해 보조판(20)의 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locking protrusion a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late 20, and locking protrusions a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a2. Accordingly, the locking protrusion a2 of the auxiliary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 groove a1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and is held, thereby maintaining the withdrawal state of the auxiliary plate 20.

물론, 구현에 따라서 걸림턱홈(a1)과 걸림돌기(a2)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구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 a1 and the locking protrusion a2 may be changed to each other.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보조판(20)은 상판(A)의 보조판수납부(29)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상부면을 제외하고 보이지 않도록 상판(A)의 보조판수납부(29) 내에 수납될 수 있다.22 and 23, the auxiliary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of the upper plate A and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of the upper plate A so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except for the upper surface. Can be.

보조판수납부(29)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보조판(20)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진다. 보조판수납부(29)의 개구부에는 손잡이홈(3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보조판(20)의 상단 중앙부를 잡고 보조판(20)을 잡아당겨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plate 20 is accommodated and withdraw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A handle groove 30 i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a finger and pull the auxiliary plate 20 by holding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20 so that it can be easily withdrawn.

보조판(20)은 상판(A)의 보조판수납부(29)에서 인출되어 상판(A)의 상부에 펼쳐져 고정될 수 있다. The auxiliary plate 20 may be withdrawn from the auxiliary plate receiving portion 29 of the upper plate A and sprea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A.

도 13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구슬과 탄성체 그리고 걸림턱홈을 이용하여 보조판의 높이조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n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auxiliary plate using a bead, an elastic body, and a locking groove.

도 13은 보조판수납부(29) 내부에 걸림턱홈(a1)을 구비한다. 걸림턱홈(a1)은 보조판(2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걸림구조가 삽입될 때 보조판(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한다. 걸림구조는 보조판(20)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203)와 탄성체(203)의 말단부에 결합하는 고정구슬(20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체(203)는 고정구슬(205)을 밖으로 밀어내는 압력을 가지며, 그에 의해 고정구슬(205)이 내부 걸림턱홈(a1)을 만나면 걸림턱홈(a1) 안으로 고정구슬(205)이 삽입되어 보조판(2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보조판(20)의 인출 높이가 고정된다.13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groove (a1) in the auxiliary plate receiving portion (29). The locking jaw groove a1 restri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uxiliary plate 20 when the locking structure integrally installed under the auxiliary plate 20 is inserted. The locking structure consists of an elastic body 203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late 20 and a fixing ball 205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body 203.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body 203 has a pressure to push the fixing ball 205 out, whereby the fixing ball 205 meets the internal locking jaw groove (a1), the fixing ball 205 into the locking jaw groove (a1) By being inserte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uxiliary plate 20 is restricted, and the withdrawal height of the auxiliary plate 20 is fixed.

고정구슬(205)은 탄성체(20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판수납부(29)의 내부 측면을 일정 압력으로 누르도록 설치된다. 고정구슬(205)이 걸림턱홈(a1)에 삽입된 후, 일정 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고정구슬(205)이 탄성체(203)를 압박하며 걸림턱홈(a1)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도록 걸림턱홈(a1)은 V형 홈 혹은 원호형 홈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ball 205 is installed to press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03. After the fixing bead 20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 groove (a1), the fixing bead 205 presses the elastic body 203 when a force of more than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cking jaw groove (a1) so that it naturally exits from the locking jaw groove (a1). ) May have a V-shaped groove or an arc-shaped groove shape.

전술한 걸림턱홈(a1)은 상판(A)의 내부 공간 즉 보조판수납부(29)의 양쪽이나 기타 내측벽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03) 및 고정구슬(205)은 보조판(20)의 하단 부분에 한 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판(20)을 상판(A)의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면 보조판(20)에 탄성체(203)에 의해 탄력 설치된 고정구슬(205)이 내부 걸림턱홈(a1)에 걸려 보조판(20)이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된다.At least one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locking jaw grooves a1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plate A,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late receiving portion 29 or other inner walls. One or more elastic bodies 203 and fixed beads 205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late 20. When the auxiliary plate 20 is moved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A), the fixing bead 205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elastic body 203 on the auxiliary plate 20 is caught in the inner locking jaw groove (a1) and the auxiliary plate 20 is drawn out. Fixed in positio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 높이조절 구성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20) 하단부에 설치되는 팬타그래프(207)를 더 구비한다. 팬타그래프(207)는 '자바라'로 지칭될 수 있다.14 and 15 show another form of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includes a pantograph 207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late 20. The pantograph 207 may be referred to as'jabara'.

팬타그래프(207)는 보조판수납부(29) 내에 삽입된다. 팬타그래프(207)의 하단은 보조판수납부(29) 내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팬타그래프(207)의 상단은 보조판(20)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The pantograph 207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The lower end of the pantograph 207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and the upper end of the pantograph 207 is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late 20.

팬타그래프(207)는 보조판(20)의 인출 방향에서 보조판(20)의 인출 동작에 따라 펴지거나 접히는 관절 형식의 링크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pantograph 207 may have a joint-type link structure that is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motion of the auxiliary plate 20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plate 20.

본 실시예에 따른 팬타그래프(207)의 구성에 의하면, 보조판(20) 하부에 결합된 팬타그래프(207)의 상승 및 하강 구조에 의해 걸림턱홈(1a), 탄성체(203) 및 고정구슬(205)의 기능과 함께 보조판(20)의 인출이나 수납 동작을 더욱 안전하고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antograph 20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jaw groove 1a, the elastic body 203, and the fixing ball 205 by the rising and falling structure of the pantograph 207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20. ) And the withdrawal or receiving operation of the auxiliary plate 20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and smoothly.

도 16 및 도 17은 보조판수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수납부(29)를 상판(A) 배면에 형성한 것이다.16 and 17 show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in which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도 16은 보조판수납부(29)는 상판(A)의 배면 전체 혹은 배면 일부를 덮는 별도의 구성부에 의해 상판(A)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판수납부(29)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진 박스 형태를 가진다. 보조판수납부(29)는 상판(A)의 내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판(A)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제조되어 상판(A)의 후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3 내지 4처럼 보조판(20)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해 보조판수납부(29)는 보조판의 좌우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보조판수납부의 좌우 내측면에는 걸림턱홈이 형성되어서 보조판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16,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by a separate component that covers the entire rear surface or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has a box shape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is not formed inside the upper plate A, but is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upper plate A, and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and fix the withdrawal height of the auxiliary plate 20 as shown in FIGS. 3 to 4,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has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uxiliary plate, and lock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Can be fixed.

이때 보조판수납부(29)가 상판(A)의 배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를 상판(A)의 배면에 밀착시켜 접을 때,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에 보조판수납부(20)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개구부(C2,D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and protrudes to the rear,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bottom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I can.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form openings C2 and D2 to prevent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0 from contacting the bottom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도 17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수납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수납부(29)를 상판(A) 배면에 형성하되, 보조판수납부(29)의 배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보조판(20)의 배면이 외부에 노출된 형태이다.17 shows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in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and an opening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보조판수납부(29)는 서로 이격되어 보조판(2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판(A)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4처럼 보조판(20)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해 보조판수납부(29)는 보조판의 좌우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보조판수납부의 좌우 내측면에는 걸림턱홈이 형성되어서 보조판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late 20. In order to adjust and fix the withdrawal height of the auxiliary plate 20 as shown in FIGS. 3 to 4,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29 has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uxiliary plate, and lock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auxiliary plate storage unit. Can be fixed.

도 18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의 다른 변형예로서, 보조판(20)의 보조받침대(24)에 책잡이(F1)이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8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ok holder F1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auxiliary support 24 of the auxiliary plate 20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책잡이(F1)는 보조받침대(24)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책잡이(F1)은 보조판에 책을 거치할 때 책페이지를 가압하여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Book holder (F1)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24). The book holder (F1) serves to pressurize and fix the book pages when placing the book on the auxiliary plate.

삽입홈(24a)을 위로 조금 더 넓게 형성시키면 보조받침대(24)를 삽입홈(24a)에 삽입해도 책잡이(F1)이 걸림이 없이 보조받침대(24)를 삽입홈(24a)으로 삽입할 수 있다. If the insertion groove (24a) is formed slightly wider upward, the book holder (F1) can insert the auxiliary support (24) into the insertion groove (24a) without being jammed even if the auxiliary support (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a). have.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판(20)에 무선충전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거치대는 발광다이오드(70)와 전원포트(92)를 더 구비할 수 있다.19 to 21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uxiliary plate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uxiliary plate 2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unit. In this case, the cradl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70 and a power port 92.

무선충전유닛은 상판(A)이나 보조판(20)에 설치된다. 무선충전유닛은 1차 코일(80)과 PCB 회로기판(90)을 구비하고, PCB 회로기판(90)은 DC/DC 컨버터(90a), 증폭기(90b), 정합회로(90c), 컨트롤러(91a) 및 발진기(oscillator, OSC, 91b)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A) or the auxiliary plate (20).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primary coil 80 and a PCB circuit board 90, and the PCB circuit board 90 includes a DC/DC converter 90a, an amplifier 90b, a matching circuit 90c, and a controller 91a. ) And an oscillator (OSC, 91b).

1차 코일(80)은 자기유도방식이나 자기공명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송신부 코일로서 WPC(wireless power cosortium),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등에서 지원하는 품질 팩터(quality factor)가 우수한 코일 설계에 따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1차 코일(80)의 대응부분의 보조판(20) 표면에서 소정의 문양(82)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primary coil 80 is a coil design with excellent quality factor supported by WPC (wireless power cosortium), 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 etc. as a transmitter coi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magnetic resonance method. It can have a structu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82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20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primary coil 80.

컨트롤러(91a)는 전원포트(9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 혹은 상용 전원을 DC/DC 컨버터(90a)의 제어를 통해 증폭기(90b)에 입력하기 적합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한다. 또한, 컨트롤러(91a)는 무선전력충전 대상의 전자기기에 따라 변하는 전압 및 전류의 검출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기기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증폭기(90b)에서 2차측을 바라보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어한다. 즉, 2차측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를 반영하여 증폭기(90b) 및 정합회로(90c)를 제어하여 현재 2차측의 임피던스와 정합된 무선 전력을 1차 코일(8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91a converts an external power or commercial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port 92 into a voltage and current suitable for input to the amplifier 90b through the control of the DC/DC converter 90a. In addition, the controller 91a controls a change in the impedance of the amplifier 90b looking at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mped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voltage and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harged for wireless power. That is, when a change in voltage and current of the secondary side occurs, the amplifier 90b and the matching circuit 90c are controlled to reflect this, and the wireless power matched with the current secondary side impedan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imary coil 80. I can.

또한, 컨트롤러(91a)는 발광다이오드(LED, 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충전되는 전자기기의 충전 여부 및 충전 상태를 LED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무선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91a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EDs) 70.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perat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by displaying the charging status and charging status of the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device with an LED.

전원포트(92)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포트(92)는 전원단자 또는 간단히 단자(terminal)로 지칭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미니 혹은 마이크로 단자나 전원플러그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서 전원포트(92)는 보조판(20)에서 하부 보조판(22)의 좌측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보조판(22)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power port 92 may include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The power port 92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terminal or simply a terminal, and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mini or micro terminals or power plugs. In FIGS. 23 and 24, the power port 92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uxiliary plate 22 in the auxiliary plate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auxiliary plate 22.

보조판(20)은 그 전면에 수납 방식으로 탑재되는 보조받침대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판(20)에는 발광다이오드(70)가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 2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ase mounted in a storage manner on its front side.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iode 70 may be installed on the auxiliary plate 20.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판(20)의 보조받침대(24) 위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무선 충전하면서 발광다이오드(70)에 의해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상판(A)과 받침대(B) 위에 책을 올려놓고 읽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martphone is placed on the auxiliary base 24 of the auxiliary plate 20, and the charging status is check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70 while charging wirelessly, and at the same time, on the top plate (A) and the base (B) Since books can be placed and read,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또한, 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유닛의 구성에 의하면, 바닥판 구비 거치대에서 보조판의 기능을 확장하여 무선 전력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거치대가 다중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plate can be expanded in the cradle with the bottom plate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power, so that the cradle has multiple functions to increase utilization and user convenience. Can increase.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상판(A) 배면에 구비된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를 더 포함한다. 바닥판(C)과 각도지지대(D)는 상판(A)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판(A)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ure 22,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C) and an angle support (D)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op plate (A). The bottom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 and are install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op plate (A).

바닥판(C) 및 각도지지대(D)는 각각의 힌지부(C1,D1)를 통해 상판(A)의 배면에 각각 회동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닥판(C)에는 각도 고정턱(E)이 형성되어 있어 각도지지대(D)의 일단을 지지하여 상판(A)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거나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The bottom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through each of the hinges (C1, D1)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respectively. The bottom plate (C) has an angle fixing jaw (E) that supports one end of the angle support (D) to adjust or fix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op plate (A).

도 23은 바닥판(C)을 접어 상판(A)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로서 하부바닥판 배면에는 별도의 고정턱홈(E1)이 생성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때, 고정턱홈(E1)은 밖으로 돌출되게도 형성 가능하지만 안으로 들어간 홈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측면에 경사면(45c)를 가진 하부바닥판(45)과 이 하부바닥판(45)에 연결되는 상부바닥판(44)은 바닥판 회전힌지(40; 도 22의 44a,45a 참조)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이 바닥판 회전힌지로 인해 회전되어 접힐 수 있다.23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C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and a separate fixed jaw groove E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floor plate. At this time, the fixed jaw groove E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but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recessed groove. The lower floor plate 45 having an inclined surface 45c on the side and the upper floor plate 44 connected to the lower floor plate 45 are coupled by a floor plate rotation hinge 40 (see 44a and 45a in FIG. 22). It can be rotated and folded due to this bottom plate rotation hinge.

도 24는 보조판(20)을 상판(A) 내부에서 인출한 후 삽입홈(24a)에서 보조받침대(24)를 인출하여 거치하고, 보조판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힌지(23)를 이용하여 보조판(20)의 각도를 조절해 놓은 모습이다. 그리고 하부바닥판(45)을 상부바닥판(44)으로 접어 포갠 후 하부바닥판(45)의 배면부에 형성된 고정턱홈(E1)에 각도지지대(D)를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24 shows the auxiliary plate 20 after the auxiliary plate 20 is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A), and the auxiliary support 24 is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groove 24a and mounted, and the auxiliary plate 20 is mounted using a rotation hinge 23 formed on the auxiliary plate. ) Is adjusted. In addi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crad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support D is mounted in the fixed jaw groove E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ttom plate 45 after folding the lower bottom plate 45 into the upper bottom plate 44.

각도 고정턱(E)은 돌기 형태인데, 도 23 및 24에서와 같이 하부 바닥판(45)의 배면에는 배면고정턱홈(E1)으로 파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바닥판(45)은 바닥판(C)을 펼친 상태나 접은 상태 모두에서 상판(A)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고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angle fixing jaw E has a protrusion shape, and as shown in FIGS. 23 and 24, it may be formed by being dug into a rear fixing jaw groove E1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floor plate 45. In this case, the lower floor plate 45 may be used to adjust and suppor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plate A in both an unfolded or folded state of the bottom plate C.

이러한 바닥판(C) 및 각도지지대(D)는 독서실 책상 등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때 바닥판(C)를 접어 사용함으로써 거치대가 돌출되는 길이를 감소시켜 책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When the floor plate (C) and the angle support (D) are installed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reading room desk, the floor plate (C) is folded and used to reduc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holder, thereby contributing to efficient use of the desk. .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도 22는 고정바를 이용한 고정락장치를 구비한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이다.Referring back to FIG. 22, FIG.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fixing lock device using a fixing bar.

바닥판(C)은 바닥판 중간 부분에 힌지부(44a,45a)를 구비하고, 힌지부(44a,45a)에 의해 바닥판(C)을 접거나 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바닥판(C)은 상부 바닥판(44) 및 하부 바닥판(45)과 이들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44a,45a)와 바닥판을 접거나 편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락장치를 구비한다.The bottom plate C is provided with hinge portions 44a and 45a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C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the hinge portions 44a and 45a. That is, the bottom plate (C) is provided with an upper bottom plate (44) and a lower bottom plate (45), hinge portions (44a, 45a) for hinge-joining them, and a fixing lock device that folds or fixes the bottom plate. .

힌지장치(40)를 회전축으로 하여 하부 바닥판(45)을 접으면, 하부 바닥판(45)은 상부 바닥판(44) 위에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중첩되는 상부 바닥판(44)과 하부 바닥판(45)의 중첩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바닥판(44) 또는 하부 바닥판(45)은 중첩 부분에서 한쪽의 구성부가 다른 한쪽의 구성부의 오목부 또는 절개부에 끼워맞춰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lower floor plate 45 is folded with the hinge device 40 as a rotation axis, the lower floor plate 45 may be overlapped on the upper floor plate 44. At this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overlapping thickness of the upper floor plate 44 and the lower floor plate 45 overlapping each other, the upper floor plate 44 or the lower floor plate 45 has one component in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 other component. It can be made to fit into the recess or incision of the negative.

힌지장치(40)는 상부바닥판 힌지부와 하부바닥판 힌지부(44a,45a) 그리고 고정락 장치를 포함한다. 고정바 락 장치는 고정바(41), 고정락홈(42a), 스프링홈(42b) 및 스프링(43)을 구비한다.The hinge device 40 includes an upper floor plate hinge part, a lower floor plate hinge part 44a and 45a, and a fixed lock device. The fixed bar lock device includes a fixed bar 41, a fixed lock groove 42a, a spring groove 42b, and a spring 43.

고정락홈(42a)은 상부 바닥판(44)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 형성되고, 스프링홈(42b)은 하부 바닥판(45)의 일측에 위치하는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에 형성된다.The fixing lock groove (42a) is formed in the upper floor plate hinge (44a)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floor plate (44), and the spring groove (42b) is a lower floor plate hinge located on one side of the lower floor plate (45). It is formed in the branch part 45a.

고정락홈(42a)과 스프링홈(42b)은 하나의 4각형 개구부 형태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스프링홈(42b)에는 스프링(43)이 삽입되어 외력이 없을 때에는 고정바(41)를 고정락홈(42a)로 밀어 하부 바닥판(45)의 회전을 제한한다. The fixing lock groove (42a) and the spring groove (42b)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orm of a single square opening, and the spring 43 is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42b) so that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fixing bar 41 is fixed to the lock groove. Push to (42a)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45).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바(41)가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쪽의 고정락홈(42a)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스프링(43)을 압축시키면서 고정바(41)를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쪽의 스프링홈(42b)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바(41)가 고정락홈(42a)으로부터 빠져나와 락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하부 바닥판(45)을 상부 바닥판(44)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부 바닥판(44) 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바(41)는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의 일면에 접하여 하부 바닥판(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ar 41 is located in the fixing lock groove 42a of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44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it is fixe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43 by external force. When the bar 41 is moved to the spring groove 42b on the lower floor plate hinge part 45a, the fixing bar 41 is released from the fixing lock groove 42a and the lock state is released, whereby the lower floor plate 45 )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loor plate 44 to be superimposed on the upper floor plate 44. At this time, the fixing bar 41 contacts one surface of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44a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bottom plate 45.

한편, 본 발명은 고정락홈(42a)을 상부 바닥판(44)의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 형성하고, 스프링홈(42b)을 하부 바닥판(45)의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에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락홈(42a)은 하부 바닥판(45)의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에 형성하고, 스프링홈(42b)은 상부 바닥판(44)의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장치(40)의 고정락 장치는 바닥판(C)의 일측에만 설치되거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lock groove (42a) is formed in the upper floor plate hinge part (44a) of the upper floor plate (44), and the spring groove (42b) is formed in the lower floor plate hinge part (45a) of the lower floor plate (45).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lock groove 42a is formed on the hinge portion 45a of the lower floor plate 45, and the spring groove 42b is the upper floor It may be formed on the hinge portion 44a of the upper bottom plate of the plate 44. In addition, the fixing lock device of the hinge device 40 may be installed only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C).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있어서, 힌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돌기를 구비한 누름버튼과 탄성체 및 고정홈을 이용한 고정락장치를 구비한다. 25 to 30 show another example of a hinge device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ush button having a fixing protrusion, an elastic body, and a fixing lock device using a fixing groove.

도 25는 누름버튼과 스프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8에서 하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도 28에서 상부 보조판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힌지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부바닥판과 하부바닥판이 180도로 펼쳐져서 락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29은 힌지장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30은 상부바닥판에 하부바닥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and a sprin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auxiliary plate hinge in FIG. 28;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hinge device, and an inn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loor plates are unfolded at 180 degrees and locked. 29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of a hinge device is pressed. 30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loor plate is folded to the upper floor plate.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힌지장치(40)는 상하부바닥판 힌지부(44a,45a)와 고정락장치로 이루어진다. To describe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the hinge device 40 includes upper and lower bottom plate hinge portions 44a and 45a and a fixed lock device.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40a)은 일면이 막힌 원통 형태이고, 바깥표면에 사각형태의 고정돌기(41b)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40a)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부(41c)를 구비한다. 스프링 고정부(41c)는 2개의 돌출 구조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부(41d)를 구비하고, 이격부(41d)에는 스프링(43)의 일측 말단부(43a)가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25, the push button 40a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closed, and square fixing protrusions 41b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ush button 40a includes a spring fixing portion 41c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The spring fixing part 41c has a spaced part 41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wo protruding structures, and one end part 43a of the spring 43 is inserted into the spaced part 41d.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닥판(45)의 제2 힌지결합부(45a)는 누름버튼(40a)의 일부와 스프링(43)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형태로서 내부공간(5a)을 구비하고 일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내부공간(5a)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하부힌지 스프링 고정부(5b)가 형성되고, 한 쌍의 스프링 고정부(5b) 사이의 이격부(5h)에는 스프링(43)의 타측 말단부(43b)가 삽입된다.As shown in Fig. 26,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45a of the lower bottom plate 45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5a as a form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push button 40a and a part of the spring 43.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closed. A pair of lower hinge spring fixing parts 5b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ing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5a, and a spring 43 is provided in the spaced part 5h between the pair of spring fixing parts 5b. The other end portion 43b of the is inserted.

또한 하부바닥판 힌지부(45a)의 안둘레면 바닥쪽에 턱부(5e)가 돌출형성되고, 턱부(5e)에는 누름버튼(40a)의 고정돌기(41b)가 삽입되는 안착홈(5g)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hin part 5e is protrud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floor plate hinge part 45a, and the chin part 5e has a seating groove 5g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1b of the push button 40a is inserted. Formed at intervals.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닥판 힌지부(44a)에는 누름버튼(40a)이 통과하여 설치되는 관통구멍(4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4a) 가장자리에는 링형태의 고정턱(4b)이 형성되며, 고정턱(4b)에는 누름버튼(40a)의 고정돌기(41b)가 삽입되는 고정홈(4c)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7, a through hole 4a through which the push button 40a passes through the upper bottom plate hinge portion 44a is formed, and a ring-shaped fixed jaw 4b 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4a. Is formed, and the fixing groove 4c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1b of the push button 40a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xing jaw 4b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고정턱(4b)에는 상부 바닥판(44)에 중첩된 하부 바닥판(45)을 누름버튼(40a)을 눌러 락을 해제하지 않고도 사용자 손으로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펼치도록 하기 위해 양쪽 고정홈(4c)의 일측이 경사면(4d)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4d)은 하부 바닥판(45)의 펼침방향으로 고정홈(4c)의 개방입구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사면(4d)는 고정턱(4b)과 마찬가지로 쌍으로 존재한다.In addition, both fixing grooves (4c) are provided in the fixed jaw (4b) so that the lower floor plate (45) overlapped with the upper floor plate (44) is rotated naturally by the user's hand without releasing the lock by pressing the push button (40a). )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4d), and the inclined surface (4d) is form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xing groove (4c) gradually increases in the unfolding direction of the lower floor plate (45). Like the fixed jaws 4b, the inclined surfaces 4d exist in pairs.

또한, 누름버튼(40a)의 내부와 제2 힌지체결부(45a)의 내부에 스프링(43)의 양측 말단부(43a,43b)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스프링(43)의 비틀림 탄성력을 가지도록 조립할 수 있고, 이 축척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40a)의 누름 시 하부바닥판(45)을 상부바닥판(44)으로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누름버튼(40a)의 누름 시 누름방향으로 탄력적인 압축 및 탄성복원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ssembled to have the torsional elasticity of the spring 43 by fixing both end portions 43a and 43b of the spring 43 inside the push button 40a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hinge fastening portion 45a. In addition, when the push button 40a is pressed by the accumulated elastic force, the lower floor plate 45 can be automatically folded into the upper floor plate 44. In addition, when the push button 40a is pressed, elastic compression and elastic restoration are performed in the pressing direction.

도 25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40a)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고정돌기(41b)가 고정홈(4c)으로부터 빠져나와 락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43)은 압축됨과 동시에 상부 바닥판(44)에 대하여 하부 바닥판(45)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스프링(43)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부 바닥판(45)이 상부 바닥판(44) 상으로 접히게 된다.As shown in FIGS. 25 and 30, when the fixing protrusion 41b is released from the fixing groove 4c by pressing the push button 40a and the lock state is released, the spring 43 is compressed and the upper floor The lower floor plate 45 is in a rotatable state with respect to the plate 44, and the lower floor plate 45 is automatically folded onto the upper floor plate 44 by the torsional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그리고, 누름버튼(40a)의 누름력을 제거하면, 도 30에서와 같이 누름버튼(40a)에 형성된 고정돌기(41b)가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여 고정홈(4c)에 삽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40a is removed, the fixing protrusion 41b formed on the push button 40a, as shown in FIG. 30, is brough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43 and fixed groove ( 4c).

하부 바닥판(45)을 다시 펼치고자 할 때에는 두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There are two ways to unfold the lower bottom plate 45 again.

첫째는 누름버튼(40a)을 눌러 고정돌기(41b)를 고정홈(4c)에서 빼내어 락을 해제한 상태에서 접힌 하부 바닥판(45)을 180도로 펴는동안, 고정돌기(41b)는 안착홈(5g)안으로 완전히 인입되고 상부바닥판 고정턱(4b) 일면에 접하여 하부바닥판(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그렇게 회전하다가 하부바닥판이 180도 완전히 펴지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를 만나게 되고 스프링(43)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안으로 인입되어 고정락이 걸린다.First,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40a) to remove the fixing protrusion (41b) from the fixing groove (4c) and unfolding the folded lower bottom plate (45) 180 degrees in a state where the lock is released, the fixing protrusion (41b) is a seating groove ( 5g) is completely retracted into the inside and contacts one side of the upper floor plate fixing jaw (4b)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floor plate (45). When the lower floor plate is rotated in this way and the lower floor plate is fully opened 180 degrees, the fixing protrusion 41b meets the fixing groove 4c again, and the fixing protrusion 41b re-enters the fixing groove 4c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so that the fixing lock is It takes.

두 번째로 누름버튼(40a)를 누르지 않아도 접혀져 있는 하부바닥판(45) 펴주면 자동적으로 락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즉. 접혀있던 하부바닥판(45)를 시계방향 펴주면 하부바닥판의 턱부(5e)가 안착홈(5g)에 일부분 인입되어 있던 고정돌기(41b)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반대편 고정홈(4c)에도 인입되어 있던 고정돌기(41b)는 상부바닥판 힌지부에 형성되어 있던 경사면(4d)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바닥판 힌지부 안착홈(5g)로 완전히 인입되고 상부바닥판 고정턱(4b) 일면에 접하여 하부바닥판(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그렇게 회전하다가 하부바닥판이 180도 완전히 펴지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을 만나게 되고 스프링(43)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돌기(41b)는 다시 고정홈(4c)안으로 인입되어 고정락이 걸린다.Secondly, even if the push button 40a is not pressed, if the folded lower bottom plate 45 is opened, it can be automatically locked and fixed. In other words. When the folded lower floor plate 45 is unfold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jaw portion 5e of the lower floor plate pushes the fixing protrusion 41b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5g in a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41b, which was also inserted into the opposite fixing groove 4c, is naturally completely drawn into the lower floor plate hinge seating groove 5g by the inclined surface 4d formed on the upper floor plate hinge part. The plate fixing jaw (4b)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floor plate (45). When the lower floor plate is rotated in this way, the fixing protrusion 41b meets the fixing groove 4c again, and the fixing protrusion 41b re-enters the fixing groove 4c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so that the fixing lock is It tak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 상판
B: 받침대
C: 바닥판
C1: 바닥판 힌지부
D: 각도지지대
D1: 각도지지대 힌지부
E: 각도 고정턱
E1: 배면고정턱홈
F,F1: 책잡이
a1: 걸림턱홈
a2: 걸림돌기
11a: 클립
11b: 후크고정홈
11c: 클립고정후크
11d: 레일고정클립
11e: 레일고정돌기
11f: 클립레일
11g: 탄성부재
11h: 버튼삽입홈
11k: 버튼
111f: 레일고정홈
20: 보조판
21: 상부보조판
22: 하부보조판
23: 회전힌지
24: 보조받침대
24a: 삽입홈
24b: 보조받침대 힌지
25a: 손가락홈
26: 걸림턱
29: 보조판수납부
203: 탄성체
205: 고정구슬
207: 팬타그래프
29: 보조판수납부
30: 손잡이홈
40: 힌지장치
41: 고정바
42a: 고정락홈
42b: 스프링홈
43: 스프링
44; 상부 바닥판
44a: 상부바닥판 힌지부
45: 하부 바닥판
45a: 하부바닥판 힌지부
40a: 누름버튼
41b: 고정돌기
41c: 스프링 고정부
41d: 이격부
43a: 스프링 일측 말단부
43b: 스프링 타측 말단부
4a: 관통구멍
4b: 고정턱
4c: 고정홈
4d: 경사면
5a: 내부공간
5b: 하부힌지 스프링 고정부
5e: 턱부
5g: 안착홈
5h: 이격부
70: 발광다이오드
80: 1차 코일
90: PCB 회로기판
90a: 컨버터
90b: 증폭기
90c: 정합회로
91a: 컨트롤러
91b: 발진기
92: 전원포트
11m: 레일홈
110: 클립
111: 클립버튼
112: 고정바 본체
113: 고정바 힌지
114: 고정바 삽입부
115: 탄성부재
115a: 탄성부재 고정돌기
116: 배면후크
116a: 배면후크홈
117: 정면후크
117a: 정면후크홈
120: 클립
121: 배면지지부
121a: 걸림돌기
122a: 걸림돌기
122:: 정면지지부
123: 클립몸체
123a: 장착홈
124: 연결부
126: 판스프링
127: 파지부
131a: 걸림유지홈
132a: 걸림유지홈
A: Top
B: pedestal
C: bottom plate
C1: bottom plate hinge
D: angle support
D1: angle support hinge
E: angle fixed jaw
E1: rear fixed jaw groove
F,F1: Bookkeeper
a1: locking jaw groove
a2: stumbling block
11a: clip
11b: hook fixing groove
11c: Clip fixing hook
11d: rail fixing clip
11e: rail fixing protrusion
11f: clip rail
11g: elastic member
11h: Button insertion groove
11k: button
111f: rail fixing groove
20: auxiliary plate
21: upper auxiliary plate
22: lower auxiliary plate
23: rotating hinge
24: auxiliary base
24a: insertion groove
24b: auxiliary base hinge
25a: finger groove
26: stopping jaw
29: auxiliary plate storage
203: elastic body
205: fixed ball
207: pantograph
29: auxiliary plate storage
30: handle groove
40: hinge device
41: fixed bar
42a: fixing lock groove
42b: spring groove
43: spring
44; Top bottom plate
44a: upper bottom plate hinge
45: lower base plate
45a: lower floor plate hinge
40a: push button
41b: fixing protrusion
41c: spring fixing part
41d: separation
43a: one end of the spring
43b: the other end of the spring
4a: through hole
4b: fixed jaw
4c: fixing groove
4d: slope
5a: internal space
5b: lower hinge spring fixing part
5e: jaw
5g: mounting groove
5h: separation
70: light-emitting diode
80: primary coil
90: PCB circuit board
90a: converter
90b: amplifier
90c: matching circuit
91a: controller
91b: oscillator
92: power port
11m: Rail groove
110: clip
111: clip button
112: fixed bar body
113: fixed bar hinge
114: fixing bar insert
115: elastic member
115a: elastic member fixing protrusion
116: rear hook
116a: rear hook groove
117: front hook
117a: front hook groove
120: clip
121: back support
121a: stumbling block
122a: stumbling block
122:: front support
123: clip body
123a: mounting groove
124: connection
126: leaf spring
127: holding part
131a: jam holding groove
132a: jam holding groove

Claims (10)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상기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를 갖고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배면 상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펼쳐지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부 바닥판과 하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바닥 판과 하부 바닥판은 바닥판 회전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좌우에 결합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상판의 형성방향인 상,하로 이동시키는 클립,
레일고정돌기와 레일고정홈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높이조절 기능을 가지는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
A top plate supporting the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A pedestal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to protrude toward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It includes a bottom plate provided to be folded with a hing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unfolded to support the top pl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are coupled by a bottom plate rotation hinge;
A clip that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top plate and moves the pedestal up and down i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top plate,
A cradle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including a fixing device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clip by using a rail fixing protrusion and a rail fix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상기 상판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할 대상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를 갖고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배면 상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펼쳐지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부 바닥판과 하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바닥 판과 하부 바닥판은 바닥판 회전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를 지지하는 각도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각도지지대는 상기 상판의 배면에 힌지부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바닥판에는 각도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도지지대가 상기 각도 고정턱에 접할 때 상기 상판의 각도를 일정 각도로 고정하며,
상기 바닥판을 접었을 때 하부 바닥판 배면에 고정턱홈이 형성된 바닥판을 구비한 거치대.
A top plate supporting the object to be mounted on one side;
A pedestal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to protrude toward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It includes a bottom plate provided to be folded with a hing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unfolded to support the top pl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bottom plate and a lower bottom plate, and the upper bottom plate and the lower bottom plate are coupled by a bottom plate rotation hinge;
Further comprising an angle support for supporting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angle suppo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hinge part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can be independently rotated, and the bottom plate has an angle fixed jaw so that the angle support can contact the angle fixed jaw. When fixing the angle of the top plate at a certain angle,
A cradle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fixed jaw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lower bottom plate when the bottom plate is fol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52684A 2018-11-23 2019-11-25 Cradle with bottom plate KR102198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96,251 US20220000258A1 (en) 2018-11-23 2019-11-25 Multi-functional cradle
JP2021527134A JP2022509950A (en) 2018-11-23 2019-11-25 Multi-function stand
PCT/KR2019/016297 WO2020106130A1 (en) 2018-11-23 2019-11-25 Multi-functional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825 2018-11-23
KR20180146825 2018-11-23
KR20180149191 2018-11-28
KR1020180149191 2018-11-28
KR1020190004293 2019-01-12
KR20190004293 2019-01-12
KR20190071195 2019-06-16
KR1020190071195 2019-06-16
KR1020190071891 2019-06-18
KR20190071891 2019-06-18
KR1020190126540 2019-10-11
KR20190126540 2019-10-11
KR20190142253 2019-11-08
KR1020190142253 2019-11-08
KR20190143075 2019-11-09
KR1020190143075 2019-11-09
KR20190144646 2019-11-12
KR1020190144646 2019-11-12
KR20190145493 2019-11-14
KR1020190145493 2019-11-14
KR1020190150877 2019-11-22
KR20190150877 2019-1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91A Division KR102244886B1 (en) 2018-11-23 2020-12-24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316A KR20200061316A (en) 2020-06-02
KR102198057B1 true KR102198057B1 (en) 2021-01-04

Family

ID=710905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3A KR102198056B1 (en) 2018-11-23 2019-11-25 Cradle with assistant plate
KR1020190152684A KR102198057B1 (en) 2018-11-23 2019-11-25 Cradle with bottom plate
KR1020200183490A KR20210000306A (en) 2018-11-23 2020-12-24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KR1020200183491A KR102244886B1 (en) 2018-11-23 2020-12-24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KR1020210138403A KR20210128987A (en) 2018-11-23 2021-10-18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3A KR102198056B1 (en) 2018-11-23 2019-11-25 Cradle with assistant plate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90A KR20210000306A (en) 2018-11-23 2020-12-24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KR1020200183491A KR102244886B1 (en) 2018-11-23 2020-12-24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KR1020210138403A KR20210128987A (en) 2018-11-23 2021-10-18 Bookholder with assistant plat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102198056B1 (en)
CN (1) CN113226117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059B1 (en) * 2021-11-17 2024-03-29 이지영 Elevated reading stand
KR102507974B1 (en) * 2021-12-08 2023-03-08 김정희 Foldable phone holder
KR102616268B1 (en) * 2023-02-10 2023-12-21 송혜경 Portable foldable reading st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10B1 (en) * 2012-10-17 2013-06-07 주식회사 이노프 Angle adjustable device of upper board for table
KR101615329B1 (en) * 2013-11-22 2016-04-25 조영희 Reading desk having sub-read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425B1 (en) 2004-03-11 2006-05-12 정종천 holding device for reading a book
KR200379746Y1 (en) * 2004-12-27 2005-03-23 윤-페이 왕 A health reading stand combined with a writing stand
KR101064182B1 (en) * 2009-02-11 2011-09-14 정종천 support structure of a reading desk and written
CN202603998U (en) * 2012-05-22 2012-12-19 王成玉 Desk and chair lifting device
CN202588784U (en) * 2012-05-29 2012-12-12 肖瑛钦 Folding angle-adjustable reading rack
CN202891163U (en) * 2012-11-21 2013-04-24 马晓春 Semi-automatic partition plate supporting frame
KR101767917B1 (en) * 2015-12-04 2017-08-14 정일훈 Adusting supporter of reading book device
CN205553755U (en) * 2016-05-03 2016-09-07 绥化学院 Fine arts drawing frame convenient to go up and down
KR101788469B1 (en)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Card type smartphone charging apparatus
CN208002383U (en) * 2017-04-14 2018-10-26 安徽理工大学 It is a kind of can Arbitrary Rotation and the reading stand that is freely lift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10B1 (en) * 2012-10-17 2013-06-07 주식회사 이노프 Angle adjustable device of upper board for table
KR101615329B1 (en) * 2013-11-22 2016-04-25 조영희 Reading desk having sub-read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06A (en) 2021-01-04
CN113226117A (en) 2021-08-06
KR20200061316A (en) 2020-06-02
KR102198056B1 (en) 2021-01-04
KR102244886B1 (en) 2021-04-27
KR20200061315A (en) 2020-06-02
KR20210128987A (en) 2021-10-27
KR20210000307A (en)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886B1 (en)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JP4185137B2 (en) Universal book stand
US7540379B2 (en) Information book with PDA and multiple foldable pieces
US20220000258A1 (en) Multi-functional cradle
US20130016468A1 (en) Wireless keyboard for tablet pc with stand
CN217206935U (en) Chassis, support rod assembly, support locking assembly, supporting seat, turnover locking mechanism, fan and electrical equipment
US10561212B2 (en) Carrying bag with placement rack
KR102284322B1 (en) Multi functional book holder with height adjustment
US8797725B2 (en) Power adapter device provided with a mouse pad
CN208703659U (en) Multi-function desk lamp
KR200220683Y1 (en) Detachable bookstand
KR102306904B1 (en)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20200114439A (en) Gr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19515610U (en) Spliced table
CN210839709U (en)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CN209675556U (en) Insert row equipment
KR200353785Y1 (en) A universal bookholder
KR100306682B1 (en) A Book holder
CN112865259A (en) Can dismantle cabinet that charges
JP2003133758A (en) Locking device
CN111972825A (en) Folding driving table device
KR20180015202A (en) a Pad Mobile Smart Phone
GB2575444A (en) Carrying bag with placement rack
KR20160146425A (en) Pac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