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971A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971A
KR20200060971A KR1020180146225A KR20180146225A KR20200060971A KR 20200060971 A KR20200060971 A KR 20200060971A KR 1020180146225 A KR1020180146225 A KR 1020180146225A KR 20180146225 A KR20180146225 A KR 20180146225A KR 20200060971 A KR20200060971 A KR 2020006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nagement server
smart contract
investment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854B1 (ko
Inventor
정호상
윤원득
허정무
Original Assignee
크루이슬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이슬러(주) filed Critical 크루이슬러(주)
Priority to KR102018014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8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받아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스마트 계약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투자자로부터 암호화 화폐로 이루어진 투자금을 수신하여 투자금 총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상한액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투자금 모집 기간이 종료되면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상기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ROWD FUNDING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것으로서, 이러한 크라우드 펀딩은 소액 투자도 가능하므로 개인들도 큰 부담없이 투자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크라우드 펀딩을 위해 자금을 지원받아 프로젝트(project)를 실행하는 창작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위한 목표 자금과 프로젝트 관련 내용을 작성한 후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공지하고, 일정기간 동안 모금을 진행한다. 따라서, 투자자는 프로젝트 관련 내용을 검토한 후 원하는 금액을 투자하게 되고, 일정 기간내에 모금된 투자금이 목표 자금에 도달하면 모금된 자금인 펀딩 금액은 장착자에게 전달되어,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크라우드 펀딩의 경우, 자금을 투자 받은 후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자금을 투자한 투자자의 금전적인 손실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펀딩 금액을 지원받은 창작자 및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펀딩 금액을 지원받은 후 장착자가 잠적하거나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을 행하지 않으며, 펀딩 자금의 전달 과정이 불분명하여 정확히 해당 창작자에게 정확한 금액이 지원됐는 지의 여부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에 더해, 대부분의 크라우드 펀딩은 자국 내에서 행해지는 프로젝트에만 국한되어 있어 일반인들의 펀딩 범위가 대부분 자국 내로 한정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23 호 (공고일자: 2015년 07월 10일, 발명의 명칭: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1455 호 (공개일자: 2016년 11월 16일, 발명의 명칭: 크라우드 펀딩 중개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투자자의 펀딩 금액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창작자의 펀딩 기회를 늘리고 일시적인 자금 부족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이 좌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스마트 계약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투자자로부터 암호화 화폐로 이루어진 투자금을 수신하여 투자금 총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상한액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투자금 모집 기간이 종료되면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상기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정해진 단어의 포함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평가를 통과한 프로젝트 파일을 평가자 단말로 전송하고, 평가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추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 항목은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 적합성, 위법성 및 창작자의 신용등급 평가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투자금 모집 결과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금 모집 결과를 이용하여 투자자 단말로 투자금 모집 실패 상태를 전송하며 크라우드 펀딩 여부 투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크라우드 펀딩에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해당 차수의 수행 결과 보고서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투자자 단말로 상기 수행 결과 보고서를 전송하며 상기 투자자 단말로 추가 지원 여부 투표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추가 지원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해당 기간에 지급할 분할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가불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투자자 단말로 상기 가불 요청 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투자자 단말로 가불 승인 여부 투표 요청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가불 승인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가불 요청 금액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대리 투표 요청과 검증자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로 대리 투표 요청 상태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관리 계약부가 상기 검증자 정보에 해당하는 검증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관리 서버는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투자자로부터 암호화 화폐로 이루어진 투자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수신된 투자금의 투자금 총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상한액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투자금 모집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상기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투자금 모집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금 모집 결과를 이용하여 투자자 단말로 투자금 모집 실패 상태를 전송하며 크라우드 펀딩 여부 투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크라우드 펀딩에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해당 차수의 수행 결과 보고서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투자자 단말로 상기 수행 결과 보고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 추가 지원 여부 투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추가 지원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찬성 투표수가 상기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해당 기간에 지급할 분할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가불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투자자 단말로 상기 가불 요청 상황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 가불 승인 여부 투표 요청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가불 승인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찬성 투표수가 상기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가불 요청 금액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대리 투표 요청과 검증자 정보가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리 투표 요청과 상기 검증자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로 대리 투표 요청 상태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가 상기 검증자 정보에 해당하는 검증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크라우드 펀딩을 신청한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해 크라우드 펀딩에 실패하더라도 실제 투자자들에 의한 투표를 이용하여 크라우드 펀딩 여부가 최종적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투자 기회가 증가하고, 창작자 역시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기회가 증가하므로, 투자자와 창작자 모두 만족도가 향상된다.
프로젝트 진행 상황 등을 파악한 후 진행되는 투표를 통해 투자금의 추가 사용 여부가 결정하므로, 투자금의 낭비없이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 투자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며, 투자금의 사용 역시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가불 요청에 의해 창작자는 해당 기간 내에서도 추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일시적으로 부족한 자금으로 인해 프로젝트 진행이 좌절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창작자에 의해 가불 요청이 있을 때마다 무조건적으로 해당 가불 금액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투표를 통해 최종적으로 가불 승인 여부를 판정해 가불 금액의 지급 여부가 결정되므로, 자신의 투자금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신의 투자금의 사용 상황 역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도 3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기간마다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가불 신청 동작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창작자 단말(10),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 단말(21-2n), 적어도 하나의 검증자 단말(31-3m), 이들 단말(10, 21-2n, 31-3m)과 통신하는 관리 서버(40), 관리 서버(40)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50), 관리 서버(40)에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계약 관리부(60), 그리고 스마트 계약 관리부(60)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스마트 계약서(61)가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계약서부(60)를 구비한다.
창작자 단말(10)은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투자금을 모으고자 하는 장착자의 단말이다.
이때, 프로젝트는 제품 개발이나 기술 개발과 같은 실물 상품뿐 아니라 영화 제작이나 요식업 창업 등과 같은 서비스 상품일 수도 있다.
투자자 단말(21-2n)은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장착자의 프로젝트에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투자자의 단말이고, 평가자 단말(31-3m)은 투자자 단말(21-2n)을 통한 투자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프로젝트의 평가를 투자자 대신 실시하는 평가자의 단말이다.
본 예에서, 프로젝트의 투자는 이더리움(Ethereuum)과 같은 암호화 화폐로 이루어지므로, 본 예의 투자자는 암호화 화폐를 구비하고 있는 사람이다.
이들 단말(10, 21-2n, 31-3m)은 각각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이니 고정 단말일 수 있고,
통신부,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된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된 출력부, 그리고 제어부에 연결된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는 관리 서버(4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관리 서버(40)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모듈,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이용 가능한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의 동작을 위한 명령 입력이나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을 위한 것으로서,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jog) 스위치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 해당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이나 데이터 등에 따라 해당 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창작자 단말(10)의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작성되어 입력된 펀딩을 위한 프로젝트에 관련된 프로젝트 파일을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40)로 전송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에서, 프로젝트 파일은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서,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및 목표 투자금 등을 구비한다.
이때, 투자 규약인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는 프로젝트 시작 자금(예, 목표 투자금의 30%), 프로젝트 추진 일정, 투표 일정 및 투표마다의 자금 분배 비율, 투표 규정(예를 들어, 총 투자자 중 1/3 참석 및 참석자 중 과반수 득표 시 심사 통과)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젝트 추진 일정은 프로젝트를 최종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기간 별 행해지는 기간 별 세부 내역 및 각 기간에 필요한 자금인 기간별 지급될 분할 금액의 액수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프로젝트 추진 일정과 투표 일정은 동일할 수 있다.
프로젝트 추진 일정과 투표 일정이 동작할 경우, 매 기간이 완료될 때마다 투표를 실시하여 다음 기간에 필요한 해당 기간별 필요 자금의 지원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투자자 단말(21-2n)의 제어부는 펀딩 금액을 입력받아 관리 서버(40)로 전달하고 투자자에 의해 행해진 투표 결과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관리 서버(40)로 전달한다.
검증자 단말(31-3m)의 제어부는 관리 서버(40)의 요청에 의해 투표권을 부여받아 투자자 단말 대신 투표를 실시하여, 입력된 투표 결과를 관리 서버(40)로 전달한다.
또한, 검증자 단말(31-3m)의 제어부는 자신을 위임한 투자자 단말을 대신하여 투표권을 행사한 후 자신이 선택한 투표값을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한다.
각 단말(10, 21-21, 31-3m)의 출력부는 제어부를 통해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각 단말(10, 21-21, 31-3m)의 동작에 해당하는 관련 영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는 각 단말(10, 21-21, 31-3m)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와 명령 및 동작 중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로 넘어가면, 관리 서버(40)는 각 단말(10, 21-21, 31-3m)로 인가되는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웹 서버(web server)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40)는 각 단말(10, 21-21, 31-3m)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관리 서버(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데이터와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40)는 장착자 단말(10)을 통해 펀딩 요청을 위해 전달되는 프로젝트(이하, 이 펀딩 요청을 위해 전달되는 프로젝트를 '펀딩 요청 프로젝트'라 함)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관리 및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해당 프로젝트(이하, 펀딩에 성공한 해당 프로젝트를 '펀딩 성공 프로젝트'라 함)의 단계별 관리 등을 실시한다.
이때, 관리 서버(40)는 투자자 단말(21-2n)과 검증자 단말(31-3m) 중 적어도 하나를 대상으로 하여 투표를 실시하여 펀딩 요청 프로젝트의 펀딩 진행 여부, 펀딩 성공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따른 단계별 투표의 제어를 실시한다.
본 예의 경우, 펀딩 요청 프로젝트에 대해 모금된 총 투자금이 창작자가 원하는 목표 금액 이상이 모금되어 펀딩 성공 프로젝트가 되면, 관리 서버(40)는 펀딩 성공 프로젝트에 대한 단계별 진행 결과를 투표로 평가하여 총 투자금에서 해당 단계에 맞는 투자금을 창작자 단말(10)로 해당 기간마다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모금된 총 자금을 초기에 창작자 단말(10)로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펀딩 성공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에 따라 총 투자금을 나눠 집행하게 되므로 해당 단계에 맞는 진행 결과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추가적인 투자금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관리 서버(40)는 창작자 단말(10)로부터 가불 요청이 접수되면, 역시 투자자 단말(21-2n)과 검증자 단말(31-3m) 중 적어도 하나를 대상으로 하여 투표를 실시하여 가불 여부 결정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50)는 창작자 데이터베이스(DB)(51), 투자자 데이터베이스(52), 검증자 데이터베이스(53) 및 창작자에 의해 작성된 프로젝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54)를 구비한다.
장착자 데이터베이스(51)는 회원 등록 절차 등을 통해 등록된 장착자의 정보인 창작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투자자 데이터베이스(52)는 역시 회원 등록 절차 등을 통해 등록된 투자자의 정보인 투자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검증자 데이터베이스(53)는 등록되어 있는 검증자의 정보인 검증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창작자 정보는 이름, 나이, 직업, 주소 및 암호화 화폐 지금을 위한 창작자 주소(예, 이더리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투자자 정보는 이름, 나이, 직업, 관심 분야, 투자금을 환불 시 암호화 화폐 지금을 위한 투자자 주소(예, 이더리움 주소) 및 펀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펀딩 정보는 현재 펀딩 여부 및 펀딩된 프로젝트 이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자 정보는 이름, 나이, 작업 및 전공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54)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현재 펀딩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정보, 즉 프로젝트 정보를 해당 창작자에 대응되게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정보는 프로젝트 이름, 프로젝트 관리자(예, 창작자), 모금된 총 자금, 해당 프로젝트의 기간별 진행 상황 및 지급 금액, 기간별 투표 결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관리 서버(40)를 통해 전달되는 프로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동작을 통해 스마트 계약서를 작성하며,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투표 동작을 실시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크라우드 펀딩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이란 분산 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래밍된 계약 조건을 만족시키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금융 거래나 부동산 계약 등과 같은 다양한 계약에 활용된다. 이때, 한 예로, 이더리움(Ethereum)이라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 기능이 구현되며, 창작자가 계약의 조건 및 내용 등을 코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계약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펀딩 성공 프로젝트의 진행 일정에 따라 정해진 매 기간마다 투표를 진행하여 해당 기간에 대한 투자금 지금 여부를 결정하며, 창작자의 요청에 따른 가불 여부 역시 투표를 통해 결정하여, 해당 액수의 투자금의 지급 여부를 정한다.
도 1에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관리 서버(4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 서버(40) 내부에 위치하여 관리 서버(40)의 한 구성요소를 이룰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부(70)는 스마트 계약 관리부(6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된 스마트 계약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서는 펀딩 요청 프로젝트가 접수될 때 생성되며, 프로젝트 진행 중에 수정되거나 새로 생성된 내용은 스마트 계약 관리부(60)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음, 도 2a 내지 도 5b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예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복수의 투자자 중에서 프로젝트에 투자금을 실질적으로 투자한 투자자를 실제 투자자로 하고, 실제 투자자의 단말을 실제 투자자 단말이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 개의 투자자 단말(21-2n) 중에서 제1 및 제2 투자자 단말(21, 22)을 실제 투자자 단말로 가정하고, 이들 실제 투자자 단말(21, 22) 중에서 제2 투자자 단말(22)의 실제 투자자가 제1 검증자 단말(31)의 검증자에게 투표권을 위임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로 하여 창작자에 의해 작성된 프로젝트의 펀딩 여부를 정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창작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이용하여 펀딩을 원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을 작성한다.
이러한 창작자의 동작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의 작성이 완료되면 창작자 단말(10)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 받고,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의 동작을 통해 펀딩 요청과 함께 작성된 프로젝트 파일을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S11). 이때, 관리 서버(40)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53)에 프로젝트 정보로서 전송된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프로젝트 파일은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서,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및 목표 투자금(즉, 목표 하한액 및 목표 상한액)을 구비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는 창작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프로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펀딩 요청을 평가한다(S12).
이때, 펀딩 요청의 평가는 관리 서버(40)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지며, 예를 들어, 컨텍스트(context) 기반의 인식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최소한 포함되어야 하는 단어와 문장 연결 구조를 인식하여 프로젝트 파일의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서와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를 평가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40)에 의한 평가가 종료된 후, 별도의 평가자 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한 평가자에 의해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 적합성, 위법성 및 창작자의 신용등급 평가 등과 같은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평가자 단말을 이용한 추가적인 평가를 위해, 관리 서버(40)는 자동 평가 동작을 통과한 프로젝트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고, 각 해당 평가자는 자신의 평가자 단말을 이용하여 각 평가 항목에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40)는 각 평가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평가 점수를 전송받은 후, 평가 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평균값이 설정 점수(예, 100점 만점의 90점) 이상이면, 관리 서버(40)는 평가자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해당 프로젝트 파일의 평가를 통과한 상태로 판정한다.
이때, 평가자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에 이미 저장되어 있고, 관리 서버(40)는 창작자 단말(10)에 의해 전송된 프로젝트의 분야를 이용하여 복수의 평가자 중에서 적어도 한 명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선정된 평가자의 평가자 단말로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펀딩 요청에 대한 평가 동작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40)는 평가 결과를 창작자 단말(10)로 전송한다(S13).
해당 프로젝트 파일이 평가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관리 서버(40)는 평가 통과 실패와 함께 펀딩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창작자 단말(10)로 전송하여, 펀딩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통지한다.
하지만, 해당 프로젝트 파일이 평가를 통과할 경우, 관리 서버(40)는 평가 통과 상태와 창작자 단말(10)로 전송하여, 펀딩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처럼, 창작자 단말(10)로부터 펀딩 요청된 프로젝트에 대해 펀딩 요청을 수락하기 전에 먼저 펀딩 요청된 프로젝트를 평가하므로, 실현 가능성과 사업성이 있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검증되지 않은 프로젝트의 무분별한 크라우드 펀딩 동작에 따른 투자자의 손실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펀딩 요청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관리 서버(40)는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크라우드 펀딩 동작을 제어한다.
즉, 관리 서버(40)는 평가를 통과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하기 위해, 펀딩 요청된 프로젝트가 평가를 통과하면, 관리 서버(40)는 평가를 통과한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을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한다(S14).
이에 따라,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전송된 프로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여 스마트 계약서부(70)에 저장한다(S15).
이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이미 공지된 스마트 계약 동작, 예를 들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한다.
이때, 스마트 계약서에 포함되는 내용은 투자자 주소(예, 이더리움 주소), 목표 하한액(soft cap), 목표 상한액(hard cap), 투자금 모집 기간, 투자 금액 당 투표권 비율(예, 1이더리움= 1 투표권), 투자금 분할 지급 여부 결정 투표일인 투표당 기한 목록, 의사 정족수, 투표 통과를 위한 최소 획득 투표 비율(예, 과반수), 각 투표 통과 시 분할급 비율 목록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한 예로, 이더리움 솔리디티(Ethereum solidity)를 이용하여 정해진 양식으로 해당 내용이 포함되도록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한다.
전송된 프로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서가 생성되면,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관리 서버(40)로 스마트 계약서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S16).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부터 스마트 계약서 생성 완료 통지가 전송되면, 관리 서버(40)는 자신의 출력부 등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금 모집 공고를 한다(S17).
투자금 모집 공고에는 스마트 계약서, 투자금 모집 기간과 모집 투자금이 개시될 수 있고, 해당 프로젝트 파일이 첨부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투자자 단말(21-2n)을 통해 관리 서버(40)에 접속하여 투자금 모집 공고를 확인한 후 해당 프로제트에 대한 투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공고 내용을 확인한 후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자 단말(예, 21, 22)을 이용하여 원하는 금액의 투자금을 암호화 화폐를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를 실시하고,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실제 투자자가 된다(S18~S110).
이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스마트 계약서에 실제 투자자의 주소 및 투자금을 기재하여,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미달할 경우나 추가 지원 여부 투표 시 반대표가 일정비율 이상 등의 이유로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이 중단될 때, 투자자의 해당 주소로 투자금을 환불한다.
실제 투자자 단말(21, 22)은 투자금인 암호화 화폐를 스마트 계약서 상에 기재된 주소로 직접 전송하며,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이러한 투자금 전송 상태를 관리 서버(40)에 통지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40)는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부터 실제 투자자의 주소 및 투자금을 알림 받아 입금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투표권을 부여한다.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 단말(21, 22)을 통해 전송되는 암호화 화폐를 투자금 모집 기간 동안 접수하여, 투자금 모집 기간 동안 접수된 투자금의 총액을 산출한다(S113).
이때, 투자금 모집 기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수집된 투자금의 총액이 목표 상한액에 도달하면 투자금 모집 동작을 종료한다(S111, S112).
이와 같이, 투자금이 모집되어 모집된 투자금의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면(S114),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을 성공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창작자 단말(10)로 크라우드 펀딩 성공 상태와 함께, 프로젝트 파일에 기재된 액수만큼의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지급한다(S115). 이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창작자 주소(예, 이더리움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액수의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한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이 성공하면,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는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 상태를 통지한다(S1151, S1152).
하지만, 투자금의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하면(S114),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을 실패한 상태로 판정하여, 해당 창작자 단말(10)로 크라우드 펀딩 실패 상태를 통지하며(S116), 실제 투자자의 단말인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투자한 액수의 암호화 화폐를 환불한다(S117, S118).
이처럼, 도 2a 및 도 2b의 경우, 정해진 투자금 모집 기간 동안 투자금을 모집하여 목표 하한액의 도달 여부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의 크라우드 펀딩 성공 여부를 판정한다.
하지만,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것처럼, 다른 예에 따르면,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이르지 못할 경우, 적어도 한 명의 투자자에 의한 투표 동작을 통해 최종 크라우드 펀딩 여부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2b를 참고로 하여 이미 기술한 것처럼,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부터 전송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S114),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투자금 모집 결과를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S120).
이에 따라, 관리 서버(40)는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투자금 모집 결과가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한 투자금 모집 실패 상태를 전송하고, 또한, 크라우드 펀딩 여부 투표를 요청한다(S121, S122).
따라서, 실제 투자자 단말(21, 22)은 관리 서버(40)의 요청에 위해 해당 프로젝트의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하여 해당 투표값(예, 찬성 또는 반대)해당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이때, 실제 투자자는 찬반 투표를 실시하기 전에 투표 대리인인 검증자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의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대리 투표를 원하는 실제 투자자는 자신의 단말(예, 22)을 통해 관리 서버(40)로 대리 투표 요청을 신청한다(S123).
이때, 실제 투자자는 대리인인 검증자를 자신이 선택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대리 투표 요청 신청 시 원하는 검증자 정보(예, 이더리움 주소 및 위임할 투표권의 수) 역시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S123).
이를 위해, 관리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부(50)의 검증자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된 검증자 목록을 크라우드 펀딩 여부 투표 요청 시 함께 전송하여, 실제 투자자의 검증자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달리, 실제 투자자은 검증자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되지 않는 별도의 검증자를 지정하여 대리 투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경우, 해당 실제 투자자 단말(22)은 해당 검증자 정보(예, 이더리움 주소 및 위임할 투표권의 수)를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다음, 관리 서버(40)는 해당 실제 투자자 단말(22)로부터 전송된 대리 투표 요청 상태를 검증자 정보와 함께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하여(S124), 스마트 계약 관리부(60)가 대리 투표 위임 상태를 확인하고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S125).
이로 인해,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 단말(22)의 투표 권한이 위임된 검증자에게 있음을 인지하여 실제 투자자 단말(22) 대신 검증자 단말(예, 31)로부터 전송된 투표값을 수신하여, 투표 결과를 집계하게 된다.
이처럼, 투표권을 검증인에게 위임한 후, 해당 실제 투자자는 자신의 단말(22)을 통해 투표권 위임을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투자자 단말(22)은 관리 서버(40)로 투표권 위임 회수 요청과 함께 위임됐던 검증자의 검증자 정보를 전송한다(S126).
이에 따라, 관리 서버(40)는 실제 투자자 단말(22)로부터 전송된 대리 투표 위임 회수 상태를 검증자 정보와 함께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하여(S127), 스마트 계약 관리부(60)가 실제 투자자 단말(22)에 의해 행해졌던 대리 투표 위임 상태를 확인하여 투표권이 실제 투자자 단말(22)의 투표권이 검증자 단말(31)이 아닌 해당 실제 투자자 단말(22)에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S128).
이런 상태에서, 실제 투자자 단말(21)과 검증자 단말(31)은 크라우드 펀딩의 찬반 투표에 대한 투표값을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한다(S129, S130).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전송된 투표값을 총합한 후 이미 정해진 최소 획득 투표 비율과 비교하여 투표 결과를 판정한다(S131).
찬성 투표수가 이미 정해져 있는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할 경우(S132),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을 성공 상태로 정하여 해당 창작자 단말(11)과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크라우드 펀딩 성공을 알리고 창작자 단말(11)로 창작자 주소를 통해 해당 액수의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한다(S133-S135).
하지만, 투표값이 총합이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S132),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을 성공 실패로 판정하여 해당 창작자 단말(11)과 실제 투자자 단말(21, 22)에게 크라우드 펀딩 실패를 알리고,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투자금을 환불한다(S136-S138).
이러한 동작에 의해, 1차적으로 정해진 기간 동안 모금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해 크라우드 펀딩에 실패한 상태가 되더라도 실제 투자자들에 의한 투표를 이용하여 크라우드 펀딩 여부가 최종적으로 정해진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투자 기회가 증가하고 창작자 역시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기회가 증가하므로, 투자자와 창작자 모두 만족도가 향상된다.
다음,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프로젝트에 대한 각 기간별 평가를 위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해당 차수(예, 1차) 기간별 평가 시기가 도래하면,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10)을 이용하여 해당 차수인 1차 기간 동안 수행한 프로젝트의 수행 결과 보고서(예, 1차 수행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S20).
이에, 관리 서버(40)는 1차 수행 결과 보고서를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한다(S21).
또한, 관리 서버(40)는 각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도 1차 수행 결과 보고서를 전송하고 추가 지원 여부를 위한 투표 또한 요청한다(S22, S23).
따라서, 각 실제 투자자가 전송된 해당 수행 결과 보고서를 검토하여 해당 기간 동안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수행한 상황을 파악해 다른 차수의 기간 동안 수행될 프로젝트를 위한 투자금의 추가 지원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투표 요청을 실시할 때, 관리 서버(40)는 투표 기한도 함께 전송한다.
이때, 이미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실제 투자자는 자신의 투표권을 검증자에게 위임하거나 위임한 투표권을 다시 회수할 수 있다(S24~S29).
따라서, 실제 투자자와 검증자는 정해진 투표 기한 내에 투자금의 추가 지원 여부를 정한 후, 자신의 실제 투자자 단말(21, 31)을 이용하여 결정된 투표값(예, 찬성 또는 반대)을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한다(S210, S211).
이와 같이, 실제 투자자 단말(21)과 검증자 단말(31)로부터 정해진 기간 내에 투표값이 전송되면,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기간 동안의 투표 결과를 집계한 후(S212), 추가 지원 여부의 찬반 상태를 판정한다(S213).
다음 기간의 추가 지원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정해져 있는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S213),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와 검증자에 의해 다음 단계로의 프로젝트 진행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창작자 단말(10)로 다음 단계로의 프로젝트 진행 승인 상태를 알리고 해당 액수의 분할 금액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한다(S214). 이때, 창작자 단말(10)로 지급되는 분할 금액은 투자금 총액에서 프로젝트 파일에 기재된 분할급 비율에 따라 정해진 금액으로서, 다음 기간인 2차 기간 내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스마트 계약서에 현재 지급된 분할 금액, 해당 차수 및 기간 등과 분할 금액에 관련된 정보를 기재하여, 해당 스마트 계약서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도 다음 단계로의 프로젝트 진행 승인 상태를 알린다(S215, S216).
하지만, 다음 기간의 추가 지원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설정 비율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S213),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와 검증자에 의해 다음 단계로의 프로젝트 진행 승인이 거부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창작자 단말(10)과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프로젝트 진행 승인 거부 결과를 전송하며(S217),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투자금을 환급한다(S218, S219).
이때, 실제 투자금 단말(21, 22)로 환급되는 투자금은 투자금 총액에서 현재까지 소비된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투자금 비율에 따라 정해진 금액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기간별 중간 평가를 위한 투표는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의 추진 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정해진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이루어져 다음 단계로의 프로젝트 진행 여부를 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했을 때 모집된 투자금 전액이 창작자에게 지급하는 대신, 정해진 기간별로 수행된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투자금 지급 여부가 정해지므로, 모금된 투자금의 집행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투자자의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기간별 평가에 따라 투자금이 분할 지급되므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진행되는 프로젝트의 일정이 지연되거나 진행 중간에 중단된 경우에도 투자자의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 줄어들고 투자금의 회수 역시 용이하다.
이에 더하여, 창작자는 투자자들로부터 추가적인 경제 지원을 받기 위해, 자신이 제안한 프로젝트의 진행을 자신이 수립된 일정에 맞게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므로,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이 크게 향상되며 투자자들로부터 지원받은 투자금의 사용 역시 낭비없이 사용하게 된다.
본 예에서, 창작자는 해당 기간내에 지급받는 투자금을 모두 소진하여 추가적인 투자금 지원이 필요할 경우, 가불 신청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창작자는 가불이 필요할 경우, 자신의 창작자 단말(1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40)로 가불 요청을 전송한다(S30). 이때, 가불 요청에는 가불 요청 승인을 위한 투표 기간, 가불 투표의 정족수, 가불투표의 유효 투표수, 가불 요청 금액, 가불 요청 금액을 분할 지급 여부 및 분할 지급 시 분할금 등과 같은 정보(즉, 가불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창작자 단말(10)로부터 가불 요청이 전송되면, 관리 서버(40)는 가불 요청 금액 등을 포함한 가불 요청 상황을 스마트 계약 관리부(60)과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전송한다(S32, S33). 이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가불 승인 여부를 묻는 투표 요청도 함께 하며, 역시 투표 기한 역시 통지한다.
그런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실제 투자자는 자신이 직접 또는 검증자를 대리인으로 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가불 승인 여부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여, 해당 투표값을 자신의 단말인 실제 투자자 단말(21)과 검증자 단말(31)을 통해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로 전송한다(S34-S39, S310, S311).
그런 다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해당 기간 동안의 투표 결과를 집계한 후(S312), 가불 신청의 찬반 상태를 판정한다(S313).
가부 신청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정해져 있는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S313),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와 검증자에 의해 창작자가 요청한 가불 신청이 통과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창작자 단말(10)로 가불 신청 승인 상태를 알리고, 창작자 주소(예, 이더리움 주소)를 이용하여 요청한 액수의 가불액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한다(S314).
또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도 가불 신청의 통과 상태를 알린다(S315, S316).
이때,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스마트 계약서에 현재 가불 상태와 가불 금액 등과 같은 가불에 관련된 가불 요청의 정보를 기재하여, 해당 스마트 계약서의 내용을 갱신할 수 있다.
하지만, 가불 신청을 찬성하는 탄성 투표수가 설정 비율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S313),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실제 투자자와 검증자에 의해 가불 신청이 통과하지 못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창작자 단말(10)과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로 가불 신청 승인 거부 상태를 전송한다(317).
또한, 스마트 계약 관리부(60)는 관리 서버(40)를 통해 실제 투자자 단말(21, 22)는 가불 신청 승인 거부 상태를 전송하여, 창작자에 의해 요청된 가불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통지한다(S318, S319).
이러한 동작에 의해, 창작자는 해당 기간 동안 지원받은 투자금을 모두 사용할 경우, 가불 요청을 통해 추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일시적으로 부족한 자금으로 인해 프로젝트 진행이 좌절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창작자에 의해 가불 요청이 있을 때마다 무조건적으로 해당 가불 금액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투표를 통해 최종적으로 가불 승인 여부를 판정해 가불 금액의 지급 여부가 결정되므로, 자신의 투자금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신의 투자금의 사용 상황 역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10: 창작자 단말
21-2n: 투자자 단말 31-3m: 검증자 단말
40: 관리 서버 50: 데이터베이스부
60: 스마트 계약 관리부 70: 스마트 계약부
71: 스마트 계약서

Claims (13)

  1.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스마트 계약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투자자로부터 암호화 화폐로 이루어진 투자금을 수신하여 투자금 총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상한액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투자금 모집 기간이 종료되면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상기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정해진 단어의 포함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평가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평가를 통과한 프로젝트 파일을 평가자 단말로 전송하고, 평가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추가적으로 평가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은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 적합성, 위법성 및 창작자의 신용등급 평가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투자금 모집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금 모집 결과를 이용하여 투자자 단말로 투자금 모집 실패 상태를 전송하며 크라우드 펀딩 여부 투표를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크라우드 펀딩에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해당 차수의 수행 결과 보고서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투자자 단말로 상기 수행 결과 보고서를 전송하며 상기 투자자 단말로 추가 지원 여부 투표를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추가 지원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해당 기간에 지급할 분할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가불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투자자 단말로 상기 가불 요청 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투자자 단말로 가불 승인 여부 투표 요청을 실시하며,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가불 승인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가불 요청 금액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대리 투표 요청과 검증자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로 대리 투표 요청 상태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관리 계약부가 상기 검증자 정보에 해당하는 검증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9. 관리 서버는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투자자로부터 암호화 화폐로 이루어진 투자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수신된 투자금의 투자금 총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상한액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투자금 모집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상기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투자금 총액이 목표 하한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투자금 모집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금 모집 결과를 이용하여 투자자 단말로 투자금 모집 실패 상태를 전송하며 크라우드 펀딩 여부 투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크라우드 펀딩에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프로젝트 시작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해당 차수의 수행 결과 보고서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투자자 단말로 상기 수행 결과 보고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 추가 지원 여부 투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추가 지원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찬성 투표수가 상기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해당 기간에 지급할 분할 자금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가불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투자자 단말로 상기 가불 요청 상황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 가불 승인 여부 투표 요청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여 가불 승인을 찬성하는 찬성 투표수가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는 상기 찬성 투표수가 상기 최소 획득 비율을 만족하면, 상기 창작자 단말로 가불 요청 금액을 암호화 화폐로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대리 투표 요청과 검증자 정보가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리 투표 요청과 상기 검증자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로 대리 투표 요청 상태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계약 관리부가 상기 검증자 정보에 해당하는 검증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투표값을 집계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146225A 2018-11-23 2018-11-23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8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25A KR102180854B1 (ko) 2018-11-23 2018-11-23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25A KR102180854B1 (ko) 2018-11-23 2018-11-23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71A true KR20200060971A (ko) 2020-06-02
KR102180854B1 KR102180854B1 (ko) 2020-12-14

Family

ID=7109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225A KR102180854B1 (ko) 2018-11-23 2018-11-23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61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기록물의 전산화를 통한 기록물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23B1 (ko) 2013-01-28 2015-07-10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60131455A (ko) 2015-05-07 2016-11-16 박석환 크라우드 펀딩 중개 장치
KR101750825B1 (ko) * 2016-04-01 2017-06-26 주식회사 조이펀 객관적인 투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투자자를 확보하는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펀딩 방법
KR101857223B1 (ko) *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23B1 (ko) 2013-01-28 2015-07-10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60131455A (ko) 2015-05-07 2016-11-16 박석환 크라우드 펀딩 중개 장치
KR101750825B1 (ko) * 2016-04-01 2017-06-26 주식회사 조이펀 객관적인 투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투자자를 확보하는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펀딩 방법
KR101857223B1 (ko) *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을 통해 공중이 이용가능하게된 발명 "The Abyss DAICO 스마트 계약 가이드"(2018.04.12.)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61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기록물의 전산화를 통한 기록물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854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73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trading of financial interests
US8799138B2 (en) Routing control for orders eligible for multiple markets
US7644027B2 (en) Market program for interacting with trading programs on a platform
US7882007B2 (en) Platform for market programs and trading programs
US7739174B1 (en) Trading program for interacting with market programs on a platform
US7398244B1 (en) Automated order book with crowd price improvement
US201301591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electronic account
US7835975B1 (en) Automated synchronization of orders represented in multiple markets
US1080546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routing call center solutions
KR102180854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032435B2 (en) Secure transmission of money transfers
US11164163B1 (en) Performance optimized automated processing and routing system
US7908198B1 (en) Automated preferences for market participants
CN110189221A (zh) 展业尽调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27189A (ko) 금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8249975B1 (en) Automated first look at market events
EP390030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rchestrating distributed task comple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774246B1 (en) Automated price setting for paired orders
KR20210037247A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5151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votes for securities of a company
US7890410B1 (en) Automated trial order processing
KR102108716B1 (ko) 위탁 자산 담보 기반 자금조달을 위한 대출 금융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46181A (ko) 일거리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am et al. Blockchain-based micropayment system for secured cashless small payments
KR20230112074A (ko) 기관투자자 편의성을 제고시킨 공모주청약 통합중개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중개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