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861A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861A
KR20200060861A KR1020180145965A KR20180145965A KR20200060861A KR 20200060861 A KR20200060861 A KR 20200060861A KR 1020180145965 A KR1020180145965 A KR 1020180145965A KR 20180145965 A KR20180145965 A KR 20180145965A KR 20200060861 A KR20200060861 A KR 20200060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light emitting
total reflection
light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지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0861A/en
Publication of KR2020006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01L51/5265
    • H01L27/3218
    • H01L27/3244
    • H01L51/5012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reduced color shift due to an increased viewing angle of red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n upper portion of a substrate to which the light of the OLED is emitted, a total reflection layer including a total reflection pattern is position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5 or more, and a red dye pattern is located o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 red sub-pixel so that light proceed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less among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is incident in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and penetrates the red dye pattern, thereby making all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have a unique red color. Accordingly, in the O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teral luminance ratio at the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of red light is implemented differently, thereby preventing the image quality of a product from deteriorating.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야각 증가에 따른 색이동 현상이 개선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color shift phenomenon is improved according to an increased viewing angle.

최근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또한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에 부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as the society has entered a full-fledged information age, interest in an information display that processes and display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and as the demand to use a portable information medium increases, various various light weights respond to this. And thin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in the spotlight.

특히, 다양한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among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re self-luminous devices and do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which is a non-light emitting device. Light and thin is possible.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are superior to tha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C low voltage driving is possible, response speed is fast, and internal components are solid, so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 and has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t has advantages.

한편, 이러한 OLED는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이 OLED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에서 상당 부분 손실되어, OLED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2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such OLEDs are lost in the process tha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asse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the OLED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so that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OLED is about 2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t is only.

여기서,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은 OLED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더불어 증가하게 되므로, 유기발광층으로 보다 많은 전류를 인가하여 OLED의 휘도를 보다 상승 시킬 수는 있으나, 이는 전력소모가 커지게 되고, 또한 OLED의 수명 또한 감소시키게 된다. Here, sin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reases with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O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OLED by applying more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ut this increases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lifetime of the OLED is also reduced.

따라서, 최근에는 OLED의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는 정면 휘도는 증가시키게 되나 측면에서는 광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색이동(color shift)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recentl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implement the micro-cavity effect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LED. In the micro-cavity effect, the front luminance is increased, but in the side, the color shifts from the long wavelength to the short wavelength. Phenomenon occurs.

이는 OLED을 바라보는 방향과 각도에 따라 많은 색감 차이를 보이게 되며, 실제 제품의 화상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This shows a lot of color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angle of viewing the OLED, and acts as a factor that degrades the image quality of the actual produ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야각 증가에 따른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 OLE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LED that is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an increase in viewing angl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각각 구비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어 가리는 보호필름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하는 광의 투과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적색 서브화소에 대응하여 전반사패턴이 구비된 전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반사패턴은 상기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45도 이상의 광에 대한 전반사 특성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ubstrate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light emitting diode provided for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light emission A protective film covering the diode and a transmissive layer positioned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having a total reflec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d sub-pixel, where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s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It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tal reflection property for light of 45 degrees or more of the red light.

이때, 상기 전반사패턴은 적색염료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45도 이내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전반사패턴에 구비된 적색염료패턴을 투과하며, 상기 전반사층과 상기 전반사패턴은 0.5 이상의 굴절율 차를 갖는다. In this case,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ncludes a red dye pattern, and among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light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within 45 degrees penetrates the red dye pattern provided 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and the total reflection layer and the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has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5 or more.

그리고, 상기 전반사패턴은 상기 기판과 인접한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면과 대면하는 상부면을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염료패턴은 상기 전반사패턴의 가장 넓은 폭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f a groove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width of which increases from the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substrate towar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red dye pattern is the widest width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t is located correspondingly.

그리고, 상기 적색염료패턴은 저굴절염료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반사패턴 내부를 채우며, 상기 저반사층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위상차판 사이로 위치하며, 상기 위상차판 상부로는 선편광판이 위치한다. Then, the red dye pattern is made of a low-refractive dye material, and fills the interior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the low-reflection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phase difference plate, and a linear polarizing plate is positioned above the phase difference plate.

또한, 상기 적색 서브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 1 두께를 가지며, 상기 녹색 서브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 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청색 서브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 3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두께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두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이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red subpixel has a first thickness,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green subpixel has a second thickness,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blue subpixel has a third thickness. And the first to third thicknes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to third thicknesses are distance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과,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며,In this cas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a gate insulating film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a gate electrode position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positioned on the gate electrode, and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Source and drain electrodes,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상부로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층 상부로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The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OLED의 광이 출사되는 기판의 상부로, 굴절율 차가 0.5 이상을 갖도록 전반사패턴을 포함하는 전반사층을 위치시키며, 전반사패턴에 적색염료패턴이 위치하도록 하며, 이때, 전반사패턴은 적색 서브화소에 대응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45도 이하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이 전반사패턴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여, 적색염료패턴을 투과하게 함으로써,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이 모두 고유의 적색컬러를 띄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reflection layer including a total reflection pattern is position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5 or more to an upper portion of a substrate through which OLED light is emitted, and a red dye pattern is positioned 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s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d sub-pixel, so that light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less of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is incident in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and transmitted through the red dye pattern, thereby making the red sub-pixe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ause all of the red light emitted from to have a unique red color.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적색광의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어, 제품의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the OL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side luminance ratios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of red light, thereby preventing the image quality of the product from deterior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의 일부 화소들 및 서브화소들의 배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적색광의 시야각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제 1 화소와, 제 1 화소에 이웃한 제 2 화소의 제 2 적색 서브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패턴과 적색 서브화소와의 관계를 쉽게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전반사층과 전반사패턴의 굴절율 차에 따라, 시야각에 따른 전반사 발생여부를 측정한 실험결과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층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층을 포함하는 휘도향상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rangement of some pixels and subpixels of an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distribution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f red ligh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red pixel of FIG. 1 and a second red subpixel of a second pixel adjacent to the first pixel.
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and the red sub-pix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whether total reflection occur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uminance enhancement film including a total 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의 일부 화소들 및 서브화소들의 배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rangement of some pixels and subpixels of an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다수의 화소(1P, 2P)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1 개의 화소(1P, 2P)는 풀 컬러를 구현하기 위하여, 4개의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1P, 2P, and each one pixel 1P, 2P includes four subs to realize full color. 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4개의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는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와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그리고 제 1 및 제 2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로 이루어진다. 4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are red subpixels (1R-SP, 2R-SP) And blue sub-pixels (1B-SP, 2B-SP) and first and second green sub-pixels (1G-SP, 2G-SP, 3G-SP, 4G-SP).

즉,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와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 그리고 제 1 및 제 2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는 제 1 화소(1P)를 이루게 되며,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와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 그리고 제 3 및 제 4 녹색 서브화소(3G-SP, 4G-SP)는 제 2 화소(2P)를 이루게 된다. That is, the first red sub-pixel (1R-SP) and the first blue sub-pixel (1B-SP) and the first and second green sub-pixels (1G-SP, 2G-SP, 3G-SP, 4G-SP) The first pixel 1P is formed, and the second red subpixel (2R-SP), the second blue subpixel (2B-SP), and the third and fourth green subpixels (3G-SP, 4G-SP) The second pixel 2P is formed.

여기서,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는 R, G, B 삼원색 중에서 휘도 가중치가 가장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하나의 화소(1P, 2P)에 두개의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를 포함하도록 하여 휘도를 높이게 된다. Here, since the green sub-pixel (1G-SP, 2G-SP, 3G-SP, 4G-SP) has the highest luminance weight among the three primary colors of R, G, and B, on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ance is increased by including two green sub-pixels (1G-SP, 2G-SP, 3G-SP, and 4G-SP) in the pixels 1P and 2P.

그러나, OLED(100)의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LED(100)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가 각각 1개씩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적색 서브화소(1R-SP, 2R-SP),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 및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이외에 백색 서브화소(W-SP)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of the OLED 10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LED 100,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are each provided one by one Or red subpixel (1R-SP, 2R-SP), green subpixel (1G-SP, 2G-SP, 3G-SP, 4G-SP) and blue subpixel (1B-SP, 2B-SP) In addition, a white sub-pixel (W-SP)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의 면적을 가장 적게 도시하고, 청색 서브화소(1B-SP, 2B-SP)의 면적을 가장 크게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의 면적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두개가 구비되는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4G-SP)는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1R-SP, 2R-SP, 1B-SP, 2B-SP)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청색 서브화소(1B-SP, 2B-SP)는 적색 및 녹색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에 비해 발광효율이 안좋기 때문에, 청색 서브화소(1B-SP, 2B-SP)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area of the green sub-pixels (1G-SP, 2G-SP, 3G-SP, 4G-SP) is shown the smallest, and the area of the blue sub-pixel (1B-SP, 2B-SP) is shown the largest, The area of the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two green subpixels (1G-SP, 2G-SP, 3G-SP, 4G-SP) provided are red and blue subpixels (1R-SP, 2R-SP, 1B-SP, 2B-SP). It is preferable to form a small area compared to, and the blue sub-pixels (1B-SP, 2B-SP) are red and green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 4G-SP), it is preferable to form a large area of the blue sub-pixels (1B-SP, 2B-SP) because of poor luminous efficiency.

그리고 각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들을 다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들은 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each sub-pixel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is shown as a polygon,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 Each sub-pixel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and semi-elliptical have.

이러한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들은 각각 발광영역(EA, 도 3 참조)을 포함하며, 발광영역(EA, 도 3 참조)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뱅크(117, 도 3 참조)가 배치되어 비발광영역(NEA, 도 3 참조)을 이루게 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광이 발광되는 발광영역(EA, 도 3 참조) 만을 서브화소(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로 도시하였다. These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each include a light emitting area (EA, see FIG. 3), , A bank 117 (see FIG. 3)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light emitting area EA (see FIG. 3) to form a non-light emitting area (NEA, see FIG. 3 ),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ght is used here. Only the emitting region (EA, see FIG. 3) emitting light is shown as sub-pixels (1R-SP, 2R-SP, 1G-SP, 2G-SP, 3G-SP, 4G-SP, 1B-SP, 2B-SP).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정면 휘도는 증가되나 측면에서는 광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색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ere, as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mplement a micro-cavity effect to improve light efficiency, the front luminance increases, but on the side, light moves from long wavelength to short wavelength. .

즉,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는 입사광에 대하여 반사성이나 반투과성을 갖는 두 면 사이의 광학 거리가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한 간섭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특정 파장을 가지는 광의 휘도 또는 광의 강도가 증가되는 현상으로, 이러한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는 OLED(100)는 시야각이 0도에서 60도까지 변화함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의 분광 스펙트럼이 변화하게 된다. That is, the micro-cavity effec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luminance or light intensity of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s increased when the optical distance between two surfaces having reflectivity or translucency for incident light satisfies an interference condition for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s a result, as the OLED 100 implementing the micro-cavity effect changes the viewing angle from 0 to 60 degrees, the spectral spectrum of red, green, and blue light changes.

첨부한 도 2는 적색광의 시야각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 가로축은 시야각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정면 대비 색상차(Δu'v', a.u. (arbitrary unit)를 나타낸 것이다. 2 is a graph showing the distribution of lumina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red light,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viewing angl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color difference (Δu'v', a.u.(arbitrary unit)).

정면 대비 색상차는 발광다이오드(E, 도 3 참조)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색상을 기준으로 시야각에서의 색상과의 차이를 표현한 수치이다. 즉, 0도에서의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의 색상을 기준으로하여 다양한 시야각에서의 색상의 차이를 u'v'값으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다.The color contrast to the front is a numerical value expressing a difference from the color at the viewing angle based on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E, see FIG. 3). That is, the difference in color at various viewing angles based on the colors of red, green, blue, and white at 0 degrees is converted into a u'v' value and displayed. .

도 2를 참조하면, 적색광의 경우 시야각이 0도에서 60도까지 변화함에 따라 파장의 피크(peak)가 최대 60nm까지 이동되게 되는데, 이는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광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색이동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red light, as the viewing angle changes from 0 to 60 degrees, the peak of the wavelength is moved up to 60 nm, which increases the viewing angle and the color shifts from the long wavelength to the short wavelength. Because it occurs.

특히 적색광은 0도에서 45도로 변함에 따라 적색(red)의 발광세기 변화율이 급격하게 커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45도 이후에는 오히려 적색의 발광세기 변화율이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articularly, as the red light changes from 0 to 45 degrees,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red light emission intensity rapidly increases, and after 45 degrees,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red light intensity gradually decreases.

따라서,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게 되므로, 실제 제품의 화상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큰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lateral luminance ratio at the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is implemented differently, it acts as a large factor that degrades the image quality of the actual product.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에 대응하여 광이 투과되는 기판(101, 도 3 참조)의 외면으로 위치하는 편광판(130, 도 3 참조) 내에 적색염료패턴(220, 도 3 참조)을 포함하는 전반사패턴(210, 도 3 참조)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130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 (see FIG. 3)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refer to FIG. 3) including the red dye pattern 220 (refer to FIG. 3) is located in FIG.

전반사패턴(210, 도 3 참조)은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입사되는 광이 적색염료패턴(220, 도 3 참조)을 투과하도록 가이드하게 되므로,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refer to FIG. 3) guides light incident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to pass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refer to FIG. 3), so that a color shift phenomenon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is prevented.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적색광의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어, 제품의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rough this,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different lateral luminance ratios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of red light, thereby preventing the image quality of a product from deteriorating.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의 제 1 화소와, 제 1 화소에 이웃한 제 2 화소의 제 2 적색 서브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red pixel of FIG. 1 and a second red subpixel of a second pixel adjacent to the first pixel.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각각의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는 모두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를 포함하나, 설명의 편의 및 도면의 간결함을 위하여 하나의 서브화소(1R-SP)에서만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도시하였다. Prior to the description, each of the sub-pixels (1R-SP, 2R-SP, G-SP, B-SP) of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DTr)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conciseness of the drawing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shown in only one sub-pixel 1R-SP.

그리고, 제 1 화소(1P)에 있어서 제 1 녹색 서브화소(G-SP)만을 도시하였으며,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되는 영역을 발광영역(EA), 발광영역(EA)의 가장자리를 따라 비발광영역(NEA)으로 정의하며, 비발광영역(NEA)에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는 영역을 스위칭영역(TrA) 이라 정의하도록 한다. In addition, only the first green sub-pixel G-SP is illustrated in the first pixel 1P, and the area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E is formed is compared along the edges of the light emitting area EA and the light emitting area EA. It is defined as the light emitting area NEA, and the area in which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in the non-light emitting area NEA is defined as the switching area Tr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 (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발광방식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emission type (top emission type) and a lower emission type (bottom emission typ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emitted light. Let me explain with an exampl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As illustrated, in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101 on which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E are formed is encapsulated by the protective film 102. .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기판(101) 상의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의 스위칭영역(TrA)에는 반도체층(103)이 위치하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located in the switching region TrA of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SP) on the substrate 101. 103) is made of silicon, and its central portion is composed of active regions (103a) constituting a channel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103b, 103c) dop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impurities on both sides of the active region (103a).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위치한다. The gate insulating layer 105 is positioned above the semiconductor layer 103.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미도시)이 구비된다. The gate insulating layer 105 is provided with a gate electrode 107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103a of the semiconductor layer 103 and a gate wiring (not show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상부로는 제 1 층간절연막(106a)이 위치하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6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a is positioned above the gate electrode 107 and the gate wiring (not shown), where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a and the lower gate insulating film 105 are activ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109 exposing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103b and 103c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gion 103a are provided.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8a, 108b)이 구비되어 있다. Next,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exp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109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ve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a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109 (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08a and 108b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contact with 103b and 103c).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두 전극(108a, 108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 제 2 층간절연막(106b)이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b is position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a exposed betwee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08a and 108b and the two electrodes 108a and 108b.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8a, 108b)과 이들 전극(108a, 108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ncluding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08a and 108b and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103b and 103c contacting these electrodes 108a and 108b and a gate locat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insulating film 105 and the gate electrode 107 form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를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위치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ata wiring (not shown) defining a sub-pixel (1R-SP, 2R-SP, G-SP, B-SP) crossing a gate wiring (not shown) is located, and a switching thin film The transistor (not show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3)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 또는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게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show, as an example, a top gate type in which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made of a polysilicon semiconductor layer or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bottom gate type made of amorphous silicon of pure water and impurities.

이때, 반도체층(103)이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반도체층(103) 하부로 차광층(미도시)이 더욱 위치할 수 있으며, 차광층(미도시)과 반도체층(103) 사이로 버퍼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a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positioned below the semiconductor layer 103, and a buffer lay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City) can be located.

그리고, 제 1 층간절연막(106a)과 제 2 층간절연막(106b)은 드레인전극(108b)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PH)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층간절연막(106b) 상부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08b)과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의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a and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b include a drain contact hole PH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08b,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b. The first electrode 111, which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08b of (DTr) and which forms,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work function value, forms an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E, is located.

제 1 전극(11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혼합물,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1 is a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a metal oxide such as ZnO:Al or SnO 2 :Sb , Poly(3-methylthiophene), poly[3,4-(ethylene-1,2-dioxy)thiophene] (PEDT), polypyrrole and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niline.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carbon nanotubes (CNT), graphene, silver nanowires, and the like.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데,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7)가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111)은 뱅크(117)를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 별 경계부로 하여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갖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111 is located for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SP), and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 The banks 117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111 positioned for each SP).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1 sets the bank 117 as a boundary for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SP) and sub-pixels (1R-SP, 2R-SP, G) -SP, B-SP).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위치하는데,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11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a hole injection layer (hole injection layer) to increase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 A hole transport layer, an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In addition, a second electrode 115 forming a cathode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제 2 전극(115)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인 A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과 M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합금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1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work function value.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15 has a double layer structure, and a single metal of a first metal made of Ag or the like, which is a metal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and a second metal made of Mg or the like ar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an alloy or a plurality of layers thereof. Can be configured.

이러한 OLED(100)는 선택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광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according to the selected signal, the OLED 100 is provided from the holes injected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Electrons are transpor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to form excitons, and when these excitons transition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light is generated and emitted in the form of visible light.

여기서,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의 유기발광층(113)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 1 전극(11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발광영역(EA)은 광이 투과되는 제 1 전극(111)의 면적에 대응되어 정의될 수 있는데, 이때 제 1 전극(111)이 스위칭영역(TrA)에 위치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 영역은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광이 투과되는 면적에만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유기발광층(113)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 1 전극(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이때, 제2 전극(115)은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반사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일예로,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15)은 ITO/APC/ITO의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Here, as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of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SP) passe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11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e light-emitting region (EA) may be define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wherein the first electrode 11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located in the switching region TrA. Except for, it may be defined corresponding to only an area through which light is substantially transmitted. Meanwhile,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emission typ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11, at this time, the second The electrode 115 further includes a reflective layer (not shown) made of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In one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luminum-paladium-copper (APC) alloy,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may have a triple layer structure of ITO/APC/ITO.

또한, 제 1 전극(115)은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1)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15 may be formed of a 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agnesium (Mg), silver (Ag), or an alloy of magnesium (Mg) and silver (Ag). When the first electrode 111 is formed of a semi-transmissive metal material, light emission efficiency may be increased by a micro cavity.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E)는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 별로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 사이의 거리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는 것이다. That is, the light emitting diode 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for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SP) By forming the distance of different, it is to implement the micro-cavity effect.

여기서,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효과란, 거울과 거울 사이에서 반사되는 광이 상쇄되거나 보강 간섭됨에 따라 일정한 파장의 광만이 유지되고 나머지 파장의 광은 상쇄하여, 특정 파장의 광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특정 파장의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게 된다. Here, the micro cavity effect means that only light of a certain wavelength is maintained and light of the other wavelengths is canceled as the light reflected between the mirror and the mirror is canceled or constructively interfered, thereb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or , It decreases the intensity of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이러한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피크 색 파장에 대응하는 공진 파장을 갖도록 각 서브화소(1R-SP, 2R-SP, G-SP, B-SP) 별로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 사이, 또는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과 유기발광층(113)의 발광막 사이의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depth) 또는 거리(length)를 구성하게 된다. In order to realize the micro-cavity effect,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for each sub-pixel (1R-SP, 2R-SP, G-SP, B-SP) have a resonance wavelength corresponding to a desired peak color wavelength. A microcavity depth or length between 115 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1 and 115 and the light emitting film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configured.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출원에 따른 OLED(100)에서, 하나의 단위 화소(1P)는 인접한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G-SP, B-SP)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효율적인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는 파장인 광학적 거리에 의해 정의하므로, 적색광의 파장이 녹색광의 파장보다 길기 때문에 적색 서브화소(1R-SP)에 대한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는 녹색 서브화소(G-SP)에 대한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 보다 깊도록 구성할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in the OLE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one unit pixel 1P may be composed of adjacent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R-SP, G-SP, B-SP) , Here, since the effective micro-cavity depth is defined by the optical distance, which is the wavelength, the micro-cavity depth for the red sub-pixel (1R-SP) is higher than that of the green sub-pixel (G-SP) because the wavelength of the red light is long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green light. It can be configured to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microcavity.

또한, 녹색광의 파장이 청색광의 파장보다 길기 때문에 녹색 서브화소(G-SP)에 대한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는 청색 서브화소(B-SP)에 대한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보다 깊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velength of the green light is long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the depth of the micro cavity for the green sub-pixel (G-SP) may be configured to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micro cavity for the blue sub-pixel (B-SP).

여기서,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G-SP, B-SP)은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수식 1)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R-SP, G-SP, B-SP) preferably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in order to realize the micro-cavity effect.

(수식 1)(Equation 1)

nd = (2m-1)λ(m=0, 1, 2, ?)nd = (2m-1)λ(m=0, 1, 2, ?)

여기서, n은 유기발광층(113)의 발광막(EML)의 굴절률이고, d는 발광막(EML)과 제 2 전극(115) 사이의 거리, m은 상수, λ는 원하는 중심파장을 나타낸다. 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mitting film EM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film EML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m is a constant, and λ is a desired center wavelength.

따라서, 일예로 적색 서브화소(1R-SP)의 제 1 전극(111)은 제 1 두께로 형성되며, 녹색 서브화소(G-SP)의 제 1 전극(111)은 제 1 두께 보다 얇은 제 2 두께로 형성되며, 청색 서브화소(B-SP)의 제 1 전극(111)은 제 2 두께보다 얇은 제 3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an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red sub-pixel (1R-SP) is formed with a first thickness, and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green sub-pixel (G-SP) is the second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blue sub-pixel (B-SP) may be formed to a third thickness thinner than the second thickness.

이러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1R-SP, G-SP, B-SP) 별로 차등 두께로 형성되는 제 1 전극(111)에 의해, 적색 서브화소(1R-SP)의 제 1 전극(111)에서부터 제 2 전극(115)까지의 거리는 가장 멀고, 청색 서브화소(B-SP)의 제 1 전극(111)에서부터 제2 전극(115)까지의 거리는 가장 가깝고, 녹색 서브화소(G-SP) 의 제 1 전극(111)에서부터 제 2 전극(115)까지의 거리는 중간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red sub-pixel (1R-SP) by the first electrode 111 formed of a differential thickness for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R-SP, G-SP, B-SP) ), the distance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blue sub-pixel (B-SP) to the second electrode 115 is the closest, and the green sub-pixel (G-SP) The distance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to the second electrode 115 may be formed to have an intermediate distance.

즉, 적색 서브화소(1R-SP)의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는 가장 길고, 청색 서브화소(B-SP)의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는 가장 짧고, 녹색 서브화소(G-SP)의 마이크로 캐비티 깊이는 중간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micro cavity depth of the red subpixel (1R-SP) is the longest, the micro cavity depth of the blue subpixel (B-SP) is the shortest, and the micro cavity depth of the green subpixel (G-SP) is the medium length. It can be formed to have.

이에 따라, 각 서브화소(1R-SP, G-SP, B-SP) 마다 출사광을 보강간섭 할 수 있으므로, 각 서브화소(1R-SP, G-SP, B-SP)에서의 발광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emitted light can be reinforced for each sub-pixel (1R-SP, G-SP, B-SP), the luminous efficiency in each sub-pixel (1R-SP, G-SP, B-SP) can be improved. It can be optimized to lower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인캡기판(102)을 위치시킨 후, 발광다이오드(E)와 인캡기판(102) 사이로 투명하며 접착 특성을 갖는 유기 또는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페이스 씰(104)을 개재하여 인캡기판(102)과 기판(101)을 합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And, after placing the thin film layer-shaped encap substrate 102 on top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E, it is transparent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E and the encap substrate 102 and has adhesive properties. By bonding the encapsulation substrate 102 and the substrate 101 through a face seal 104 made of an organic or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 display panel 110 is encapsulated.

여기서, 보호필름(102)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otective film 102 is used by laminating at least two inorganic protective films to prevent external oxygen and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OLED 100, wherein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s are interposed between the two inorganic protective films. It is preferable that an organic protective film is interposed to compensate for the impact resistance of.

이러한 유기보호필름과 무기보호필름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에서는 유기보호필름의 측면을 통해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무기보호필름이 유기보호필름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 structure in which the organic protective film and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are alternately stacked alternately,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ompletely covers the organic protective film because moisture and oxygen must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organic protective film. Do.

따라서, OLED(100)는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OLED(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OLED 100 can prevent moisture and oxygen from penetrating into the OLED 100 from the outside.

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산소나 수분으로 인해, 전극층의 산화 및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기발광층(113)의 발광특성이 저하되고, 유기발광층(113)의 수명이 단축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due to oxygen or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xidation and corrosion of the electrode layer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emission layer 113 are reduced, and the life of the organic emission layer 113 is shortened. Problems can be prevented.

또한, 전류 누설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화소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current leakage and short circuits can be prevented, and pixel defects can be prevented. This prevents a problem in which luminance or image characteristics are non-uniform.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광이 투과되는 기판(101)의 외면으로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편광판(130)이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plate 130 for preventing a decrease in contrast due to external light is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즉, OLED(100)는 화상을 구현하는 구동모드일 때 유기발광층(113)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편광판(130)을 위치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된다. That is, the OLED 100 improves contrast by positioning the polarizing plate 130 that blocks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n the driving mode for realizing an image. .

이때, 편광판(130)과 기판(101) 사이에는 투명하며 접착특성을 갖는 제 1 점착층(131a)이 개재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adhesive layer 131a that is transparent and has adhesive propertie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130 and the substrate 101.

편광판(130)은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원편광판으로, 기판(101)의 외면에 부착된 위상차판(133)과 선편광판(135)으로 구성되는데, 선편광판(135)과 위상차판(133) 사이로는 제 2 점착층(131b)이 개재되어, 선편광판(135)과 위상차판(133)도 서로 부착된다. The polarizing plate 130 i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for blocking external light, and is composed of a retardation plate 133 and a linear polarizing plate 135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35 and the retardation plate 133 The second adhesive layer 131b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135 and the retardation plate 133 are also attached to each other.

이때, 선편광판(135)과 위상차판(133)의 적층 순서는 외부광의 입사방향에 가깝도록 선편광판(135)을 배치시키고 그 안쪽으로 위상차판(133)을 배치시키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tacking order of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135 and the retardation plate 133 is preferably a structure in which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135 is disposed to be clos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external light and the retardation plate 133 is disposed therein.

위상차판(133)은 1/4λ 위상지연값을 갖는 4분의 1파장판(quarter wave plate : QWP)로 이루어진다. The phase difference plate 133 is made of a quarter wave plate (QWP) having a 1/4λ phase delay value.

그리고, 선편광판(135)은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축 방향으로 광을 선편광시킨다. 구체적으로 선편광판(135)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광이 선편광판(135)을 통과하면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Then,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135 has a polarization axis, and linearly polarizes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Specifically,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35 passes light that matches the polarization axis and absorbs light that does not match the polarization axis. Therefore, when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35, it is linearly polarized in the polarization axis direction.

그리고, 선편광판(135) 외측으로는 표면처리층(미도시)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표면처리층(미도시)은 실리카 비드(silica bead : 미도시)가 포함된 눈부심방지(anti-glare)층 이거나, 편광판(135)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하드 코팅(hard coating)층 일 수 있다. In addition, a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outside of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35, and the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includes anti-glare containing silica beads (not shown). ) Layer, or a hard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35.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편광판(130)을 통해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30 to prevent a decrease in contrast.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위상차판(133)과 기판(101) 사이로 전반사패턴(210)이 구비된 전반사층(200)이 더욱 위치하는데, 즉, 위상차판(133)과 전반사층(200) 사이로는 제 3 점착층(131c)이 개재되며, 전반사층(200)과 기판(101) 사이로 제 1 점착층(131a)이 개재되어 위치한다. Particularly, in the OL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provided with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further positioned between the phase difference plate 133 and the substrate 101, that is, the phase difference plate 133. The third adhesive layer 131c is interposed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31a is interposed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substrate 101.

전반사층(200)은 전반사패턴(210)을 포함하는데, 전반사패턴(210)은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들이 투과되도록 적색염료패턴(220)을 포함하며, 이러한 전반사패턴(210)은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에만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ncludes a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ncludes a red dye pattern 220 to transmit light guided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only the red sub-pixels (1R-SP, 2R-SP).

즉, 전반사패턴(210)은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적색 서브화소로(1R-SP, 2R-SP)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색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45도에서 60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전반사되어 그대로 외부로 출사되게 되나, 색이동이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전반사패턴(210)에 구비된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되게 된다. That is,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red sub-pixels (1R-SP, 2R-SP),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to the red sub-pixel (1R-SP , 2R-SP), among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he light traveling from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to 60 degrees where color migration does not occur is totally reflected and is emitted outward, but from 0 to 45 degrees where color migration occurs The light traveling at the viewing ang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provided 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이를 통해,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shift phenomenon from occurring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어, 제품의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rough this, the OLED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lateral luminance ratios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thereby preventing the image quality of the product from deteriorating.

도 4a와 도 4c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C.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패턴과 적색 서브화소와의 관계를 쉽게 도시한 개략도이다. 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easi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and the red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5는 전반사층과 전반사패턴의 굴절율 차에 따라, 시야각에 따른 전반사 발생여부를 측정한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And,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whether total reflection occur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도 4a ~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에 대응하여 각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적색광이 발광하는 전면으로 전반사패턴(210)을 포함하는 전반사층(200)이 위치하는데, 이때 전반사패턴(210)은 전반사층(200)의 상부면(201)으로부터 하부면(202)을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원기둥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진다. As illustrated in FIGS. 4A to 4B, a total reflection pattern (from the red sub-pixels 1R-SP, 2R-SP) to the front in which red light is emitted corresponding to each red sub-pixel (1R-SP, 2R-SP)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ncluding 210 is located, where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a cylindrical groove having a narrower width from the upper surface 201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toward the lower surface 202. Is made of

여기서, 전반사층(200)의 상부면(201)은 편광판(도 3의 130)의 제 3 접착층(도 3의 131c)과 밀착되는 일면으로 정의되며, 하부면(202)은 OLED(도 3의 100)의 기판(도 3의 101)과의 접착을 위해 구비되는 제 1 접착층(도 3의 131a)과 밀착되는 타면으로 정의된다. Here, the upper surface 201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s defined as one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adhesive layer (131c of FIG. 3) of the polarizing plate (130 of FIG. 3), and the lower surface 202 of the OLED (FIG. 3) 100) is defined as the oth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131a in FIG. 3) provided for adhesion to the substrate (101 in FIG. 3).

이러한 전반사층(200)은 상대적으로 전반사패턴(210)에 비해 높은 굴절율을 갖는데, 전반사층(200)은 1.5 이상의 굴절율을 가지며, 전반사패턴(210)과는 0.5 이상의 굴절율 차를 갖게 된다.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has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compared 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has a refractive index of 1.5 or more, and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5 or more from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따라서, 전반사층(200)은 실록산 고분자 물질(Siloxane polymer), 메탈록산 고분자 물질(Metalloxane 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레이트(Acrylate), 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섞인 혼합물되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전반사패턴(210)은 전반사층(200)과 굴절율 차가 0.5 이상 갖게 되는 한도 내에서 위의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s made of a mixture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siloxane polymer material, metalloxane polymer, polyimide, acrylate, and urethane res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may be made of the above materials within a limit in which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0.5 or more is obtained.

또한, 전반사패턴(210)은 굴절율이 1인 공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s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may be made of ai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

첨부한 도 5는 전반사 반사에 의한 시야각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 가로축은 시야각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정면 대비 색상차(a.u.(arbitrary unit)를 나타낸 것으로,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만을 달리하여, 전반사의 발생 여부에 의한 휘도 분포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5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by total reflection,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viewing angl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color difference (au (arbitrary unit)) compared to the front, and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 Is the experiment result of measuring the luminance distribu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total reflection by varying only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여기서, A'는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1 일 경우를 나타내며, B'은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2 일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C'은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이 0.3의 굴절율 차를 갖는 경우이며, D'은 0.5, E'은 0.6의 굴절율 차를 갖는 경우를 나탄낸다. Here, A'represent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0.1, and B'represent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0.2. And, C'is a case where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have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3, D'is 0.5, E'represents a case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6.

도 5를 참조하면,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4 이하에서는 어떤 시야각에서도 휘도 분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4 이하(A', B', C')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전반사가 발생하지 않아, 휘도 분포가 그대로임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distribution does not occur at any viewing angle whe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0.4 or less, which in turn results i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When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of is designed to be 0.4 or less (A', B', C'), total reflection does not occur, which means that the luminance distribution remains the same.

이에 반해,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5 이상(D', E')일 경우에는 30도 이상의 시야각에서부터 전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30도 이상의 시야각을 가지며 진행하는 광은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5 이상이 되면,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전반사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0.5 or more (D', E'), it can be seen that total reflection occurs from a viewing angle of 30 degrees or more, through which a viewing angle of 30 degrees or mor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0.5 or more, the traveling light is totally reflected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따라서, 본 발명의 전반사층(200)과 전반사패턴(210)의 굴절율 차가 0.5 이상을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3의 100)는 45도 이상의 시야각을 가지고 진행하는 광을 전반사패턴(210)을 통해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by designing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0.5 or more, the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3) proceeds with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may be reflected.

그리고, 전반사패턴(210)은 적색염료패턴(220)을 더욱 포함하는데, 적색염료패턴(220)은 전반사패턴(210) 내부로 입사되는 광들이 투과되도록 전반사패턴(210)의 가장 넓은 폭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further includes a red dye pattern 220, and the red dye pattern 220 corresponds to the widest width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so that light entering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is transmitted. Will be located.

따라서,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45도 이하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 즉 적색 서브화소(1R-SP)로부터 발광된 광의 진행각도가 0도에서 45도 사이에 위치하는 광(F1)들은 임계각 보다 작은 각도로 전반사패턴(210)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임계각 보다 작은 각도로 진행되는 광(F1)들은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전반사패턴(210) 내부로 입사되게 된다. Accordingly, among the red lights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light F1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less as shown in FIG. 4A, that is,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Since the light F1 positioned between the 0 and 45 degrees of the angle of progress of the generated light proceeds 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the light F1 proceeding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is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 To enter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여기서, 전반사패턴(210)은 0도에서 45도 사이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들을 전반사패턴(210) 내부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Here,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serves to guide the light F1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between 0 and 45 degrees in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따라서, 0도에서 45도 사이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들은 전반사패턴(210)을 투과하여 전반사패턴(210) 내부로 입사되게 되며, 이와 같이 전반사패턴(210) 내부로 입사된 광(F1)들은 바로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게 되거나 또는 전반사패턴(210) 내에서 다시 또 전반사되어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게 된다. Therefore, the light F1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between 0 and 45 degrees passes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and enters in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and thus the light incident into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 F1) are either immediately transmitted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or again totally reflected with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to transmit the red dye pattern 220.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는 0도에서 45도 이내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들은 색이동 현상 없이 본연의 적색컬러를 띄게 되므로, 색순도가 향상된 적색광(Red)이 최종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Since the light F1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within 0 to 45 degrees passing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has a natural red color without a color shift phenomenon, a red light with improved color purity is finally output. .

따라서, 적색 서브화소(1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모두 고유의 적색컬러를 띄며, 전반사층(200)을 투과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all of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1R-SP) has a unique red color,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3의 100)는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이 색이동 되어, 적색광의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rough this, in the O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3), light (F1)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is color shifted, so that a side luminance ratio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is different for red l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implemented.

이에 반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된 광 들 중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2), 즉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된 광(F2)의 진행각도가 45도 이상인 광(F2)들은 전반사패턴(210)으로 임계각 보다 크게 진행하게 되므로,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반사되어 전반사층(20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바로 출사되게 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B,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the light F2 proceeds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that is, the red sub-pixels 1R-SP, 2R -The light F2 emitted from the S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itical angle with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because the angle of travel of 45 degrees or more is reflected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to reflect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t penetrates and is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통상적으로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2)들은 이웃하는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입사되는 광들로 정의될 수 있다. Here, light F2, which typically proceeds with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may be defined as light incident from neighboring red sub-pixels 1R-SP and 2R-SP.

이러한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적색광(F2)은 색이동 현상이 비교적 적게 발생함에 따라,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부터 발광된 적색광으로 그대로 전반사층(200)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As the red light F2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generates relatively little color shift,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2R-SP) transmits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s it is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Will be released.

여기서,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F1, F2)은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는 적색광(F1, F2) 외에도 청색광과 녹색광에서도 모두 발생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별도의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적색광(F2)을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도록 하게 되면, 이의 휘도는 더욱 낮추게 된다. Here, the red light (F1, F2)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2R-SP) is relatively lower in luminanc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which occurs in both blue light and green light in addition to the red light (F1, F2) As a natural phenomenon, when the red light F2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that does not cause a separate color shift phenomen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its luminance is further lowered.

따라서, 별도의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적색광(F2)은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전반사되도록 하여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지 않고 그래도 외부로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적색광(F2)의 휘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red light F2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that does not cause a separate color shift phenomenon is totally reflected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so that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and is still emitt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luminance of the red light F2 go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from being lower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3의 100)는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에서만 색이동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만이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전반사되도록 하여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도록 함으로써,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에 의한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3) is a light traveling from 0 to 45 degrees as the color shift phenomenon occurs only at light (F1)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the light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from 0 to 45 degrees ( By allowing only F1) to be totally reflected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so as to pass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shift phenomenon caused by light F1 proceeding from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from occurring. Will be.

따라서,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1)의 색이동 현상에 의해,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이와 동시에, 색이동 현상이 비교적 발생되지 않는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2)에 대해서는 전반사패턴(210)에 의해 전반사되도록 하여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F2)이 적색염료패턴(220)에 의해 휘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color shift phenomenon of the light F1 proceeding from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prevents the lateral luminance ratio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from being differently implemented, thereby degrading the image quality of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the light F2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in which a color shift phenomenon is not relatively generated is totally reflected by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so that the red dye pattern 220 is not transmitted.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F2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from being lowered by the red dye pattern 220.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3의 100)는 적색염료패턴(220)이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에 각각 대응하여 각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의 광이 출사되는 전방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적색염료패턴(220)의 면적이 각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와 유사하게 형성하였는데, 실질적으로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의 면적과 적색염료패턴(220)의 면적이 유사하게 형성되는 경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된 광 중 일부 광(F3)은 전반사패턴(210)을 향해 진행되지 않고 바로 전반사층(200)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Here, in the O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3), the red dye pattern 220 corresponds to the red sub-pixels (1R-SP, 2R-SP), respectively, and each red sub-pixel (1R-SP, 2R)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light of -SP in the front where light is emitted, the area of each red dye pattern 220 is formed similarly to each red sub-pixel (1R-SP, 2R-SP), but is substantially red sub-pixel. When the area of the (1R-SP, 2R-SP) and the area of the red dye pattern 220 are formed similar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2R-SP) as shown in FIG. 4C. Some of the light F3 does not proceed towar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but directly passes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따라서, 이러한 광(F3)들에 의해 색이동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고자 적색염료패턴(220)의 면적(D2)을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의 면적(D1)에 비해,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의 최대 45도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면적(d)만큼 더욱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a color shift phenomenon may occur due to the light F3, an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rea D2 of the red dye pattern 220 is the area D1 of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In comparison, an area d corresponding to a slope of up to 45 degrees of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may be formed to be larger.

즉, 적색염료패턴(220)은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의 면적(D1) 보다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면적(D2)을 갖도록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red dye pattern 22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D2) that satisfies (Equation 1) below the area (D1) of the red sub-pixels (1R-SP, 2R-SP).

(식 1)(Equation 1)

d = a*tan45°d = a*tan45°

여기서, d는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연장된 일측의 거리를 나타내며, a는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와 전반사패턴(21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Here, d represents the distance of one side extending from the red sub-pixels (1R-SP, 2R-SP), and a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red sub-pixels (1R-SP, 2R-SP)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

따라서, 45도 이내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적색광(F1, F2, F3)이 모두 전반사패턴(210)에 구비되는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ll of the red lights F1, F2, and F3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within 45 degrees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provided 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이를 통해,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F1, F2, F3)에 의한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color shift phenomenon caused by the red light (F1, F2, F3)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1R-SP, 2R-SP).

하지만, 이와 같이 적색염료패턴(220)의 면적을 적색 서브화소(1R-SP, 2R-SP)의 면적 보다 더욱 크게 형성하게 되면, 적색 서브화소(1R-SP, 2R-SP)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에 의한 색이동 현상을 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나, 청색 서브화소(도 3의 B-SP)와 녹색 서브화소(도 3의 G-SP)로부터 발광되는 청색광과 녹색광 중 일부가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area of the red dye pattern 220 is formed larger than the area of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is formed. The color shift phenomenon due to can be more significantly reduced, but some of the blue light and green light emitted from the blue sub-pixel (B-SP in FIG. 3) and the green sub-pixel (G-SP in FIG. 3) are red dye patterns 220 ).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게 되는 청색광과 녹색광은 레디쉬(redish)하게 변화게 되어, 청색광과 녹색광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색염료패턴(220)의 면적은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해야 한다. The blue light and the green light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 red dye pattern 220 are redish, and the luminance of the blue light and green light may be lower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area of the red dye pattern 220 is intended to be realized. It should be properly design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effect.

바람직하게 d < 1/2 *D1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청색광과 녹색광의 휘도 저하 없이 적색광의 색이동 현상만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eferably, it is desirable to design to satisfy d <1/2 *D1, so that only the color shift phenomenon of red light can be minimized without deteriorating the luminance of blue light and green ligh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층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반사층(200)에 구비되는 전반사패턴(210)은 전반사층(200)의 상부면(201)으로부터 하부면(202)을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원기둥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전반사패턴(210)의 내부에 적색의 저굴절염료물질(230)이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provided i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s made of a cylindrical groove having a narrower width as it goes toward the lower surface 202 from the upper surface 201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n this case, a red low-refractive dye material 230 may be included i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여기서, 저굴절염료물질(230)은 적색염료 자체가 저굴절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저굴절 비드와 적색색소가 수지 내에 무작위로 배열될 수도 있다. Here, the low-refractive dye material 230 may have a low-refractive property of the red dye itself, or a low-refractive bead and a red pigment may be randomly arranged in the resin.

이러한 전반사층(200)의 하부면(202)에는 별도의 기재필름(미도시)이 더욱 위치할 수 있으나, 기재필름(미도시)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separate base film (not shown) may be further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202 of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film (not shown) is not limi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층(2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판(도 3의 130)이 아닌, OLED(도 3의 100)의 광이 출사되는 기판(101)의 상부로 외부광을 흡수하여 차광 특성이 우수하고 저반사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휘도향상필름(OTF; oled 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14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polarizing plate (130 in FIG. 3), the light emitted from the OLED (100 in FIG. 3) 101 of the substrate 101 By absorbing external light to the top, it can be positioned in an OLED 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 (OTF) 140 that has excellent light-shielding properties and can realize a low reflection effect.

휘도향상필름(140)은 광을 흡수하는 차광층(141)을 포함하는데, 이때, 전반사층(200)이 차광층(141)에 비해 OLED(도 3의 100)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uminance enhancement film 140 includes a light blocking layer 141 that absorbs ligh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OLED (100 in FIG. 3) than the light blocking layer 141. .

즉, 휘도향상필름(140)과 기판(101) 사이에는 투명하며 접착특성을 갖는 제 1 점착층(151)이 개재될 수 있는데, 전반사층(200)은 차광층(141)과 밀착되는 상부면(201)으로부터 제 1 점착층(151)과 밀착되는 하부면(202)을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원기둥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전반사패턴(210)을 포함하게 된다. That is, a first adhesive layer 151 having a transparent and adhesive property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uminance enhancement film 140 and the substrate 101, and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blocking layer 141 From 201 to the lower surface 202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151, it includes a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made of a columnar groove having a narrower width.

그리고, 전반사패턴(210)의 가장 넓은 폭에 대응하여 적색염료패턴(220)이 위치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ed dye pattern 22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idest width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층(200)을 포함하는 휘도향상필름(140)은 외부광을 흡수하여 차광 특성이 우수하고 저반사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반사층(200)에 의해 적색광의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색이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어, 제품의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luminance enhancement film 140 including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external light and has excellent light-shielding properties and a low reflection effect, and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shift phenomenon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of red light. Through this, the side luminance ratio at the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is implemented differently, thereby preventing the image quality of the product from deteriora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3의 100)는 광이 출사되는 기판(101)의 상부로, 굴절율 차가 0.5 이상을 갖도록 전반사패턴(210)을 포함하는 전반사층(200)을 위치시키며, 전반사패턴(210)에 적색염료패턴(220)이 위치하도록 하고, 적색 서브화소(도 4b의 1R-SP, 2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45도 이하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도 4b의 F1)이 전반사패턴(21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여, 적색염료패턴(220)을 투과하게 함으로써, 적색 서브화소(도 4b의 1R-SP, 2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이 모두 고유의 적색컬러를 띄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3) is the top of the substrate 101 through which light is emitted, and the total reflection layer 200 including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to have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5 or more. ), and the red dye pattern 220 is positioned on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and proceeds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less among the red lights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in FIG. 4B ).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s (1R-SP and 2R-SP in FIG. 4B) is made by allowing the light (F1 in FIG. 4B) to enter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210 and transmit the red dye pattern 220. All can have their own red color.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3의 100)는 적색광의 0도에서 45도의 시야각에서의 측면 휘도비가 다르게 구현되어, 제품의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O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3) has different lateral luminance ratios at a viewing angle of 0 to 45 degrees of red light, thereby preventing image quality of a product from deteriorating.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ly changing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OLED
101 : 기판, 102 : 보호필름
103 : 반도체층(103a : 액티브영역, 103b, 103c : 소스 및 드레인영역)
104 : 페이스씰, 105 : 게이트절연막, 106a, 106b :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
107 : 게이트전극, 108a, 108b : 소스 및 드레이전극
109 :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콘택홀,
E : 발광다이오드(111 : 제 1 전극, 113 : 유기발광층, 115 : 제 2 전극)
117 : 뱅크, PH : 드레인콘택홀
130 : 편광판(131a, 131b, 131c : 제 1 내지 제 3 점착층, 133 : 위상차판, 135 : 선편광판)
200 : 전반사층(210 : 전반사패턴, 220 : 적색염료패턴)
DTr :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100: OLED
101: substrate, 102: protective film
103: semiconductor layer (103a: active region, 103b, 103c: source and drain regions)
104: face seal, 105: gate insulating film, 106a, 106b: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7: gate electrode, 108a, 108b: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09: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E: light emitting diode (111: first electrode, 113: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5: second electrode)
117: Bank, PH: Drain contact hole
130: polarizing plate (131a, 131b, 131c: first to third adhesive layer, 133: retardation plate, 135: linear polarizing plate)
200: total reflection layer (210: total reflection pattern, 220: red dye pattern)
DTr: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laims (1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각각 구비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어 가리는 보호필름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하는 광의 투과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적색 서브화소에 대응하여 전반사패턴이 구비된 전반사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전반사패턴은 적색염료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45도 이하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기 적색염료패턴을 향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 중 45도 이상의 시야각으로 진행하는 광에 대해서는 전반사 특성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substrate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light emitting diode provided for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 protective film covering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the total reflection layer is provided with a total reflec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d sub-pixel
It includes,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ncludes a red dye pattern, and guides light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less out of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toward the red dye patter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tal reflection characteristic for light traveling at a viewing angle of 45 degrees or more among the red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층과 상기 전반사패턴은 0.5 이상의 굴절율 차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tal reflection layer and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5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패턴은 상기 기판과 인접한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면과 대면하는 상부면을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of a groove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width of which increases from the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substrate towar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염료패턴은 상기 전반사패턴의 가장 넓은 폭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d dye patter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idest width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염료패턴은 저굴절염료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반사패턴 내부를 채우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d dye pattern is made of a low-refractive dye materi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fills the interior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염료패턴의 면적은 상기 적색 서브화소의 면적에 대응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red dye patter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red sub-pix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염료패턴의 면적은 상기 적색 서브화소의 면적 보다 큰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red dye pattern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red sub-pixe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층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위상차판 사이로 위치하며,
상기 위상차판 상부로는 선편광판이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 reflection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phase difference pl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linear polarizing plate positioned above the retardation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 1 두께를 가지며,
상기 녹색 서브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 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청색 서브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 3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두께는 서로 상이한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red sub-pixel has a first thickness,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green sub-pixel has a second thickness,
The light emitting diode located in the blue sub-pixel has a third thickness,
The first to third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두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인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to third thickness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과,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상부로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층 상부로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a gate insulating film on the semiconductor layer, a gate electrode on the gate insulating film,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on the gate electrode, and a source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drain electrode,
The light emitting diod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KR1020180145965A 2018-11-23 2018-11-2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202000608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65A KR20200060861A (en) 2018-11-23 2018-11-2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65A KR20200060861A (en) 2018-11-23 2018-11-2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61A true KR20200060861A (en) 2020-06-02

Family

ID=7109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965A KR20200060861A (en) 2018-11-23 2018-11-2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8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6589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47849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067985B2 (en) Display device
US808093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013282A1 (en) Organic el display
KR10237071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Quantum Dot
KR1024097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09008915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515131A (en) Display device
US9275575B2 (en) Display device
CN110649067B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2757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201740558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1293161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7002695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67245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10248033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10244586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JP2015069757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JP4600838B2 (en) Organic EL panel
KR20180077856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4008314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13649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2020006086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10220279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Enhanced Brightness Viewing Angle And Color Viewing An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