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827A -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 Google Patents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827A
KR20200060827A KR1020180145880A KR20180145880A KR20200060827A KR 20200060827 A KR20200060827 A KR 20200060827A KR 1020180145880 A KR1020180145880 A KR 1020180145880A KR 20180145880 A KR20180145880 A KR 20180145880A KR 20200060827 A KR20200060827 A KR 20200060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ole
user
state
g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자
Priority to KR1020180145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0827A/ko
Publication of KR2020006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4Foo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평한 윗면에 복수개의 압력 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 및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표시하고 상기 도출된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다수의 발아치상태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하는 발아치상태 구분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아치상태 구분장치{Foot arches state separator}
본 발명은 발아치(foot arches)상태 구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족'은 발바닥의 움푹 파인 부분인 족궁(足弓, 발아치)이 높아진 변형을 일컫는다. 발은 체중을 지탱하고, 고르지 못한 지형에 적응하여 적절하게 몸을 나아가고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그중에서도 발바닥의 움푹 파인 부분인 족궁(足弓, 발아치)은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서 발이 받는 충격을 분산하고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요족(凹足, pes cavus)이란 발바닥의 안쪽에 있는 아치가 정상 범위보다 높이 올라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발의 형태는 걸을 때 발이 땅에 닿을 때 자연스럽게 안쪽으로 회전하는 회내(回內, pronation) 운동을 제한하고 이로 인해 발이 지면의 충격을 크게 받게 된다.
요족의 경우, 발앞꿈치의 외반(外反, valgus, 발목의 휘어짐 정도)이 6˚ 이상이면 비복근(장딴지근)에 직접적인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종골 요족(踵骨凹足, calcaneocavus)의 경우 짧아져 있는 종골(발꿈치뼈)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방사선 측방 사진을 통해 종골 피치각(calcaneal pitch angle, 종골의 바닥과 발이 닿는 바닥면 사이의 각도)이 30˚ 이상임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서 있는 상태에서도 발의 외반(外反) 변형을 살펴볼 수 있다. 정상적인 양발의 각도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15˚이며, 만일 15˚ 이상의 각도가 나타날 경우 요족의 가능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족 [凹足, Pes Cavus]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자생한방병원)
이와 같은 발아치의 상태를 용이하고 신속정확하게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면 발 건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도출해서 영상으로 표시하고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구분해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아치상태가 용이하고 신속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419호(공개일자 2010년11월22일) "발의 3차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이와 같은 "발의 3차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은 발바닥의 표면의 3차원 형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아울러 발바닥의 압력분포형태(압력분포모양)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저장한 후,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들로부터 맞춤 신발창의 제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도출해서 영상으로 표시하고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구분해서 표시하도록 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도출해서 영상으로 표시하고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구분해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발아치상태 구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평평한 윗면에 복수개의 압력 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 및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표시하고 상기 도출된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다수의 발아치상태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하는 발아치상태 구분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좌측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총압력과 사용자의 우측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총압력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인 것으로 도출될 경우 사용자의 몸무게가 한쪽 발바닥으로 편중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각 압력감지신호를 보정해서 사용자의 몸무게가 한쪽 발바닥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는 상기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각 압력 세기에 따라 감지하여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각 압력 세기를 각 명암으로 치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아치상태를 낮은아치(low arch), 보통아치(normal arch)와, 높은아치(high arch)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도출해서 영상으로 표시하고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구분해서 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아치상태가 용이하고 신속정확하게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아치상태 구분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치상태 구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아치상태 구분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발바닥 압력 감지부(10), 발아치상태 구분부(20) 및 표시부(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치상태 구분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발아치상태를 낮은아치, 보통아치 또는 높은아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낮은아치는 평발로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는 평평한 윗면에 복수개의 압력 센서가 배열되고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켜 발아치상태 구분부(20)로 제공한다. 이때 복수개의 압력 센서는 평평한 윗면에 매립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발바닥 압력 감지부(10)와 발아치상태 구분부(20) 사이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를 자유롭게 옮겨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센서가 평평한 윗면에 매립된 상태로 촘촘하게 배열될수록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촘촘하게 감지할 수 있고 발아치상태 영상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표시하고 도출된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다수의 발아치상태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 등 일반적인 표시장치를 사용한다.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좌측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총압력과 사용자의 우측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총압력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인 것으로 도출될 경우 사용자의 몸무게가 한쪽 발바닥으로 편중된 것으로 판단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보정해서 사용자의 몸무게가 한쪽 발바닥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는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각 압력 세기에 따라 감지하여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각 압력 세기를 각 명암으로 치환하여 표시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각 압력 세기를 각 명암으로 치환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압력이 센 부분일수록 어둡게 표시하고 압력이 약한 부분일수록 밝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서있을 때 자신의 발바닥의 어느 부분에 압력이 많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바닥의 각 부분에 가해지는 각 압력 세기 정보를 의료용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아치상태를 도 2와 같이 낮은아치, 보통아치와, 높은아치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표시부(30)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키 입력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발아치상태 구분부(20)의 동작을 사용자가 키 입력에 의해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도출해서 영상으로 표시하고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구분해서 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아치상태가 용이하고 신속정확하게 표시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평평한 윗면에 복수개의 압력 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발바닥 압력 감지부(10); 및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표시하고 상기 도출된 발아치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발아치상태를 다수의 발아치상태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하는 발아치상태 구분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좌측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총압력과 사용자의 우측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총압력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인 것으로 도출될 경우 사용자의 몸무게가 한쪽 발바닥으로 편중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각 압력감지신호를 보정해서 사용자의 몸무게가 한쪽 발바닥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는 상기 윗면을 밟고 서있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각 부분의 압력을 각 압력 세기에 따라 감지하여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상기 발바닥 압력 감지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압력 세기에 따른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발아치상태를 영상으로 도출해서 표시부(30)에 각 압력 세기를 각 명암으로 치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아치상태 구분부(20)는 발아치상태를 낮은아치, 보통아치와, 높은아치 중에 하나로 구분해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KR1020180145880A 2018-11-23 2018-11-23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KR20200060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80A KR20200060827A (ko) 2018-11-23 2018-11-23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80A KR20200060827A (ko) 2018-11-23 2018-11-23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27A true KR20200060827A (ko) 2020-06-02

Family

ID=7109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80A KR20200060827A (ko) 2018-11-23 2018-11-23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8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418B1 (ko) * 2022-03-31 2022-10-07 조성희 발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의 온라인 판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418B1 (ko) * 2022-03-31 2022-10-07 조성희 발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의 온라인 판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437B2 (ja) 足の診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靴またはインソールのフィッティング・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Alexander et al. The assessment of dynamic foot-to-ground contact forces an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 review of the evolution of current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US7493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insoles for footwear
Rosenbaum et al.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s. Technical background and clinical applications
Giacomozzi et al. Potentialities and criticalities of plantar pressure measurements in the study of foot biomechanics: devices, methodologies and applications
CN106714914B (zh) 运动姿势分析装置以及运动姿势分析信息生成方法
US20200146592A1 (en) Foot sole pressure measurement instrument,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20190082794A1 (en) Sole measuring device
JP6644298B2 (ja) 歩行データ取得装置および歩行データ取得システム
CN105919217A (zh) 一种足底压力传感鞋及压力检测方法
US201000305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fitting insoles to a patient
US10798986B2 (en) Shoe
KR20200060827A (ko) 발아치상태 구분장치
US7582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ot assessment
KR100697327B1 (ko)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KR102214513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인솔 시스템
CN113057623B (zh) 平足症筛查步态分析系统
KR102285315B1 (ko) 족압 측정 장치
JP2013233269A (ja) 変位測定機能を有する靴
Yan et al. Mechanics of jazz shoes and their effect on pointing in child dancers
WO2013153806A1 (ja) 整形疾患リスク評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Gill et al. Arch height mediation of obesity‐related walking in adults: contributors to physical activity limitations
KR101708462B1 (ko) 보행정보 측정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2197859B1 (ko) 발본기구 시스템
KR20210014232A (ko) 족압 분석을 통한 재활치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