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952A -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952A
KR20200059952A KR1020180145340A KR20180145340A KR20200059952A KR 20200059952 A KR20200059952 A KR 20200059952A KR 1020180145340 A KR1020180145340 A KR 1020180145340A KR 20180145340 A KR20180145340 A KR 20180145340A KR 20200059952 A KR20200059952 A KR 20200059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gnition device
device mounted
ignition
fl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다은
정수웅
정태환
Original Assignee
강다은
정태환
정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다은, 정태환, 정수웅 filed Critical 강다은
Priority to KR102018014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952A/ko
Publication of KR2020005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7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00Mechanical igniters
    • F23Q1/02Mechanical igniters using friction or shock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는 내부에 액상 램프를 보관하는 램프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개구의 안쪽 측면에 구비된 체결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뚜껑부, 뚜껑부의 일 측면에서 안쪽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일측이 램프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 및 일측이 연결부의 안내에 따라 램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싯돌의 인접 영역까지 도달하도록 연결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부싯돌에 불꽃을 발화시키는 발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One-touch ignition device mounted on liquid perfume lamp cap}
본 발명은 원터치 발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향수 램프의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래그런스 램프(fragrance lamp)는 유리 또는 도자기 램프, 램프 내부에 보관된 액상 향수, 액상 향수에 함침된 심지 및 심지의 종단에 연결된 부싯돌로 구성된다. 부싯돌에 불을 불여서 심지에 흡수된 액상 향수를 산화시킴으로써, 향을 대기중에 퍼트리는 방식으로 발향하는 향수 발생 장치를 의미한다.
프래그런스 램프에서 발화 수단은 필수적 구성으로써, 일반적으로는 부싯돌에 성냥이나 라이터를 이용하여 불을 붙이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부싯돌에 커버를 씌워서 불을 꺼서 일정한 향기가 공기 중으로 퍼지도록 한다.
이러한 발화 중에 램프가 쓰러지거나 부싯돌 부위에 종이나 섬유들이 접촉하면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사람의 신체 일부가 접촉하면 화상을 입게되는 등 프래그런스 램프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화 장치와 램프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일체형으로 발화장치와 램프를 제작할 경우에는 부싯돌에 불이 잘 안붙는 문제점과 불을 끄는 경우에 어떻게 화상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새로운 구조의 발화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선행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300540호(공고일 2002년12월27일) 선행문헌 2 : 미국공개특허 US20070202450A1(공개일 2007년08월30일)
상기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액상 향수 램프의 캡에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 발화 장치를 원터치로 조작하여 부싯돌에 발화를 시키고, 손잡이 부위를 이용하여 두껑을 개방한 뒤 불을 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성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발화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는 내부에 액상 램프를 보관하는 램프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개구의 안쪽 측면에 구비된 체결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의 일 측면에서 안쪽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램프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연결부의 안내에 따라 상기 램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싯돌의 인접 영역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부싯돌에 불꽃을 발화시키는 발화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뚜겅부는, 측면에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면부의 안쪽면에는 탄화포에 의해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강화 플락스틱, 세라믹, 합금 등에 내화재료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발화부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충전부재, 상기 에너지 충전부재에 의해서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부재, 상기 가열부재를 턴온/턴오프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열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켜서 외부로 토출하는 불꽃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불꽃 토출부재는, 장축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적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액상 향수 램프의 캡에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 발화 장치를 원터치로 조작하여 부싯돌에 발화를 시킴으로써 간편한 방식으로 발화 조작을 할 수 있고,
손잡이 부위를 이용하여 두껑을 개방한 뒤 불을 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성에 노출되지 않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상 향수 램프에 장착된 발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화 장치와 액상 향수 램프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상 향수 램프에 장착된 발화 장치의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발화 장치의 캡의 안쪽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발화 장치의 발화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면의 축적이나 비율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시 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양, 형태, 치수 또는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상 향수 램프에 장착된 발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원터치 발화 장치(100)는 뚜껑부(110), 연결부(130) 및 발화부(150)를 포함한다.
뚜껑부(110)는 램프(200)의 상부에 위치한 개구에 체결된다. 뚜껑부(110)의 직경은 램프(200)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되고, 뚜껑부(110)는 램프(200)의 상부 개구의 안쪽측면에 구비된 체결 부재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는 나사산 형태로 가공되고, 뚜껑부(110)의 하부 측면도 나사산 형태로 가공됨으로써, 서로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탈거될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뚜껑부(110)는 램프(200)의 상부 개구에 체결되는 하부 부분과 연결부(130)와 체결되는 상부 부분으로 구분되고, 하부 부분의 직경은 상부 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되된다. 뚜껑부(110)는 원통형태를 기본 형태로 설계되고, 하부 부분의 중심부와 상부 부분의 중심부는 일치되도록 설계한다.
뚜껑부(110)의 하부 부분은 측면에 나사산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램프(200)의 개구의 안쪽에 구비된 나사산 구조와 체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뚜껑부(110)의 상부 부분은 측면에 복수의 개구를 구비함으로써 뚜껑부(110)의 내부로 산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통 통로를 제공한다.
반면에, 뚜껑부(110)의 상부 부분은 상부면에 개구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부싯돌에 불이 점화된 경우에 불꽃이 상부로 치솟는 것을 막는다. 또한, 뚜껑부(110)의 상부 부분의 안쪽면에는 탄화포로 코팅을 함으로써, 부싯돌에 점화로 인하여 불꽃이 접촉하더라도 연소하지 않도록 내연 소재로써 기능하게 한다.
연결부(130)는 뚜껑부(110)의 일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연결부(130)는 뚜껑부(110)의 안쪽 중심부까지 연장됨으로써, 램프(200)의 부싯돌(230)의 상부에 연결부(130)의 일측 종단이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연결부(13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화부(150)가 안쪽 삽입됨으로써 발화부(150)의 일측 종단이 램프(200)의 부싯돌(230)의 상부에서 10mm 이하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부(130)는 발화부(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발화부(150)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설계되고, 발화부(150)의 단면 크기보다 크게 설계함으로써, 내부에 발화부(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30)는 뚜껑부(110)의 안쪽으로 발화부(150)가 넘어가지 않도록 종단면에는 발화부(150)의 불꽃 토출부재(157)만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좁아지는 차단 블록을 더 구비한다.
연결부(130)는 강화 플라스틱, 세라믹, 합금 또는 이들의 결합된 재료로 구성되고, 연결부(130)는 외면이 내화 재료로 코팅됨으로써, 불꽃에 의해서 타지 않는 불연성 특징을 갖는다.
연결부(130)는 발화부(150)가 체결될 경우에 발화부(150)에 구비된 스위치 부재(155)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수단은 푸쉬 버튼 방식, 슬라이딩 버튼 방식 등 스위치 부재(155)의 형태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발화부(150)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충전부재(151), 전기적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가열 부재(153), 가열 부재의 동작을 턴온/턴오프 시키는 스위치 부재(155), 가열 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켜서 외부로 토출시키는 불꽃 토출부재(157)를 포함한다.
에너지 충전 부재(151)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수단이다. 에너지 충전 부재(151)는 USB 2.0, USB 3.0, DC 어댑터, AC 어댑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 가능하다. 에너지 충전 부재(151)는 가열 부재(153)로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한다.
가열 부재(153)는 에너지 충전 부재(151)로 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가열 부재(153)는 가열 코일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면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가열 부재(153)는 열이 일정한 임계값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가열 방지 수단을 구비한다. 가열 부재(153)는 발생한 열을 불꽃 토출 부재(157)로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수단을 구비한다.
가열 부재(153)는 히트 코일 방식 이외에도 열전 소자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열 부재(153)는 복수의 열전 소자를 어레이 방식으로 배열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스위치 부재(15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열 부재(153)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스위치 부재(155)는 사용자의 제1 조작에 의해서 에너지 충전 부재(151)에서 가열 부재(153)로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부재(155)는 사용자의 제2 조작에 의해서 에너지 충전 부재(151)에서 가열 부재(153)로 전달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부재(155)는 사용자의 제3 조작에 의해서 에너지 충전 부재(151)에서 가열 부재(153)로 일정한 시간 동안만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제1 제어신호 내지 제3 제어신호는 스위치 부재(155)의 조작 방식을 다르게 하여 설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 부재(155)를 하나의 버튼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스위치 부재(155)를 짧게 누르면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치 부재(155)를 조금 길게 누르면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의 발생을 위한 누름 시간보다 더 길게 누르면 제3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치 부재(155)는 제어 신호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LED 발광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ED 발광 수단은 제어 신호의 종류별로 색깔을 다르게 하는 발광 수단이거나, 발광 빈도를 다르게 하는 발광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부재(155)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충전 부재(151) 및 가열 부재(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충전 부재(151), 가열 부재(153), 스위치 부재(155) 및 불꽃 토출부재(157)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불꽃 토출부재(157)는 스위치 부재(155)의 조작에 따라 가열 부재(153)의 동작에 의해서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킨다. 불꽃 토출부재(157)는 발화체가 코팅된 발화 수단에 열이 가해져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발화체는 열이 가해지면 불꽃 및 열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발화 재료는 인(P) 등의 발화성 재료를 이용한다. 불꽃 토출부재(157)는 방식에 따라 플라즈마 라이터 방식, 터보라이터 방식, 가스 라이터 방식 등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화 장치와 액상 향수 램프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발화 장치(100)는 뚜껑부(110)의 안쪽에 부싯돌(230)을 포함하고, 뚜껑부(110)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부(130)의 안내에 따라 발화부(150)가 부싯돌(230)의 상부에 고정되게 위치한다.
발화 장치(100)는 발화부(150)가 연결부(130)로부터 손쉽게 탈거될 수 있고, 손쉽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발화부(150)의 일측 종단부에 스위치 부재(155)를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발화부(150)의 측면에 스우치 부재(155)를 구비할 수 있고, 스위치 부재(155)는 버튼식, 슬라이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램프부(200)는 액상 향수를 보관하는 램프(210)와 램프(210)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와 개구을 커버하며 개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부싯돌(230) 및 부싯돌(230)의 일 측에 연결되서 램프(210)에 보관되는 액상 향수에 함침되는 심지(250)로 구성된다.
부싯돌(230)은 램프(210)의 개구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과, 개구보다 외부로 노출 부분으로 구분되고, 노출 부분에 불꽃이 가해지면 불이 붙게 된다. 부싯돌(230)는 차돌, 인을 함유하는 차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심지(250)는 액상 향수를 흡수할 수 있는 면화, 목화, 비단, 양털, 캐시미어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심지(250)는 한가닥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가닥을 서로 엮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상 향수 램프에 장착된 발화 장치의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램프(210)의 상부 부로 노출되도록 부싯돌(230)이 위치하고, 부싯돌(230)의 하부에는 심지(250)가 연결되서 램프(210)에 보관된 액상 향수를 흡수함으로써 부싯돌(230)까지 액상 향수가 이동될 수 있다. 부싯돌(230)의 상부에는 발화부(150)의 일측 종단이 위치하게 되고, 발화부(150)에 의해서 생성된 불꽃이 전달되서 부싯돌(230)에 불이 붙는다.
발화부(150)의 발화 조작을 위해서 연결부(130)에 구비된 조작 부재(131)를 눌러서 발화부(150)의 발화를 기동시킬 수 있다. 조작 부재(131)는 이외의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고, 발화부(150)에 구비되 스위치 부재(155)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발화 장치의 캡의 안쪽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발화 장치(100)의 뚜껑부(110)의 안쪽 상부면에는 탄화포로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탄화포는 탄소 섬유를 분사시켜서 코팅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탄화포는 비가연성 재료에 탄소 섬유를 접착제로 붙여서 구성될 수도 있다. 탄화포는 탄소 소재로 구성되고 내열온도가 550℃ 이상인 것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발화 장치의 발화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발화부(130)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충전부재(131), 에너지 충전부재(131)에 의해서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부재(133), 가열부재를 턴온/턴오프하는 스위치 부재(135) 및 스위치부재(135)의 조작에 따라 가열부재(133)의 동작에 의해서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켜서 외부로 토출하는 불꽃 토출부재(137)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에너지 충전 부재(131) 및 가열 부재(133)는 발화부(130)의 몸체에 실장되어 있다. 에너지 충전 부재(131)는 스위치 부재(135)에 의해서 기동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가열 부재(133)로 전달한다. 가열 부재(133)는 불꽃 토출부재(137)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 불꽃 토출 부재(137)에 인접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불꽃 토출부재(137)는 화염 분출 방향(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즉 불꽃 토출부재(137)는 길이 연장 수단에 의해서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
100 : 원터치 발화 장치
110 : 뚜껑부
130 : 연결부
131 : 에너지 충전 부재
133 : 가열 부재
135 : 스위치 부재
137 : 불꽃 토출부재
150 : 발화부
200 : 액상 향수를 보관하는 램프
210 : 램프
230 : 부싯돌
250 : 심지

Claims (4)

  1.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액상 램프를 보관하는 램프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개구의 안쪽 측면에 구비된 체결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의 일 측면에서 안쪽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램프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연결부의 안내에 따라 상기 램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싯돌의 인접 영역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부싯돌에 불꽃을 발화시키는 발화부;를 포함하는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측면에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면부의 안쪽면에는 탄화포에 의해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강화 플락스틱, 세라믹, 합금 등에 내화재료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부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충전부재, 상기 에너지 충전부재에 의해서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부재, 상기 가열부재를 턴온/턴오프하는 스위치 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열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켜서 외부로 토출하는 불꽃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불꽃 토출부재는, 장축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KR1020180145340A 2018-11-22 2018-11-22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KR20200059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40A KR20200059952A (ko) 2018-11-22 2018-11-22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40A KR20200059952A (ko) 2018-11-22 2018-11-22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52A true KR20200059952A (ko) 2020-05-29

Family

ID=7091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40A KR20200059952A (ko) 2018-11-22 2018-11-22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9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0Y1 (ko) 2002-10-04 2003-01-10 방재원 토르마린을 이용한 향수 발산장치
US20070202450A1 (en) 2006-02-08 2007-08-30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atalytic burner for combustion of liquid fu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0Y1 (ko) 2002-10-04 2003-01-10 방재원 토르마린을 이용한 향수 발산장치
US20070202450A1 (en) 2006-02-08 2007-08-30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atalytic burner for combustion of liquid fu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6978B1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EP3085257B1 (en) Electronic smoking device
US20160100456A1 (en) Hand-held Multi-Function Heating Device
ES2279571T3 (es) Aparato caliente portatil con calentador catalitico con sistema mejorado de ignicion.
US5928605A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WO2015149403A1 (zh) 一种电子烟
WO2015192290A1 (zh) 电子烟
JP2010538235A (ja) ガス作動加熱ユニットおよび不発火燃焼気化装置
US8244115B2 (en) Combination flashlight and a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TW201431573A (zh) 能夠加速揮發之精油揮發裝置
JPS6137370A (ja) 液化ガスを用いた熱ごて
JPH0744011U (ja) ライターが取りつけられた筆記具
US20160040877A1 (en) Electronic candle lighter
KR20200059952A (ko) 액상 향수 램프 캡에 장착되는 원터치 발화 장치
WO2023131260A1 (zh) 加热不燃烧烟具
US4733651A (en) Portable curling iron
US5649824A (en) Portable heating device
US20220235929A1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JP3285502B2 (ja) 液体燃料用燃焼器具
US1894300A (en) Pocket lighter
EP4082364A1 (en) A heat transfer assembly
EP3942231B1 (en) Smart candle platform
JP7306782B2 (ja) スマートキャンドル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システム
CN110332563B (zh) 香烟点燃器
CN216079781U (zh) 一种超净工作台内使用的酒精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