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869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9869A KR20200059869A KR1020180145145A KR20180145145A KR20200059869A KR 20200059869 A KR20200059869 A KR 20200059869A KR 1020180145145 A KR1020180145145 A KR 1020180145145A KR 20180145145 A KR20180145145 A KR 20180145145A KR 20200059869 A KR20200059869 A KR 20200059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switch
- cosmetic
- chamber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65D47/44—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combined with slits opening when container is deformed or when pad is pressed against surface to which contents are to be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를 토출하고, 토출 상태와 도포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를 갖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저장부와 상기 토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를 토출하고, 토출 상태와 도포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를 갖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저장부와 상기 토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 화장료 또는 점도가 높은 화장료를 사용하는 화장품들은 브러시 등의 소정의 화장용 어플리케이터나 사용자의 손에 의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화장품 용기 타입에 따라 화장료를 사용자의 손이나 소정의 도구로 떠내어 사용하거나, 화장품 용기로부터 사용자의 손에 화장료를 토출시킨 후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외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화장료를 토출구로 토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튜브를 짜는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양의 화장료를 손이나 피부에 짜낸 후 손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펴 바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의 토출 특성(토출되는 화장료의 양, 토출 속도, 토출 면적 등) 또는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도포 특성(도포하는 면의 형상, 면적, 굴곡, 거칠기, 재질 등)이 하나로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튜브 형태의 화장품 용기는 하나의 토출구를 갖고 있는 바, 항상 동일한 형태의 토출 특성만을 갖게 된다. 또한, 립 글로스와 같이 토출구에 인접하게 도포면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형상의 도포면에 하나의 토출구만이 제공되어 있을 뿐이어서 항상 동일한 형태의 도포 특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전환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간단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를 토출하고, 토출 상태와 도포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를 갖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저장부와 상기 토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저장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압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가 끼워질 수 있는 스위치 삽입홀이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1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2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2 챔버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 삽입홀에 끼워져 이동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제공되고,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1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통로부; 및 상기 기둥부에 제공되고,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구획하는 구획 벽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스위치가 상승할 때 상기 구획 벽의 일부가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 벽이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구획 벽에 의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로부는 상기 저장부 측에 위치하는 제1 입구와,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하는 제1 출구와,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를 연결하는 제1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로부는 상기 저장부 측에 위치하는 제2 입구와,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하는 제2 출구와,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연결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의 거리, 및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의 거리는 상기 스위치 삽입홀을 형성하는 상기 저장부의 목부의 두께보다 큰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구는 상기 제2 입구보다 더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제2 출구보다 더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제1 입구가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 삽입홀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에 상기 제2 챔버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 중 하나만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화장료를 전달하지 않는 미 사용 상태와, 상기 제1 토출부로 화장료를 토출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토출하는 제3 상태를 갖고,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기 미 사용 상태로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 삽입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기 토출 유닛 측 일 지점에 제공되는 헤드; 및 상기 기둥의 상기 저장부 측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부 내측의 압력을 인가받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스위치 삽입홀의 둘레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에 지지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1 토출부의 하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통로부;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2 토출부의 하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는 상기 기둥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1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2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2 챔버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구획 벽에 의해 화장료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획되고, 상기 헤드 및 상기 기둥에는 상기 구획 벽이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된 상기 구획 벽에 안내되어 왕복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의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특성은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 토출 속도, 토출 면적, 토출홀의 개수, 토출면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 특성은 도포하는 면의 형상, 면적, 굴곡, 거칠기, 재질, 표면 처리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200,000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튜브인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전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하나 이상의 전환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화장료가 토출될 수 없는 미사용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1 토출구로 화장료가 토출되는 제1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2 토출구로 화장료가 토출되는 제2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화장료가 토출될 수 없는 미사용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1 토출구로 화장료가 토출되는 제1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2 토출구로 화장료가 토출되는 제2 상태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화장료가 토출될 수 없는 미사용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1 토출구로 화장료가 토출되는 제1 상태를 보여주고,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중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2 토출구로 화장료가 토출되는 제2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액상 또는 고점도의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110)을 구비하는 저장부(100)와, 저장부(100)의 일측에 제공되어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를 토출하고, 토출 상태와 도포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를 갖는 토출 유닛(200)과, 저장부(100)와 토출 유닛(200)의 사이에 제공되어 화장료의 이동을 조절하는 스위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상 화장료 또는 고점도의 화장료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직, 간접적으로 발생되는 저장부(1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수준의 점도를 가진 화장료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는 흐름성이 있는 화장료로서 200,000cps 이하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10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내부의 저장 공간(110)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100)가 튜브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0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될 수 있고, 화장료를 배출함에 따라 저장 공간(110)의 체적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저장 공간(11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부(100)가 튜브인 경우에는 튜브가 직접 변형됨으로써 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저장 공간(11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 예를 들어 펌프, 가스 공급 장치 등이 저장부(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화장료는 저장부(100)의 내측의 저장 공간(110)에 저장되며, 저장부(100)의 변형 또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저장부(100)의 일측에는 토출 유닛(200)이 연결될 수 있는 목부(102)가 제공되고, 목부(102)의 일 지점에는 스위치 삽입홀(104)이 제공된다. 스위치 삽입홀(104)은 스위치(400)가 끼워져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저장부(100)에 저장된 화장료는 스위치 삽입홀(104)에 끼워진 스위치(400)를 통해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토출 유닛(200)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 유닛(200)은 목부(102)의 일측에 제공되는 바디(210)와, 제1 토출 특성 및 제1 도포 특성을 갖는 제1 토출부(220)와 제1 토출 특성과는 다른 제2 토출 특성 및 제1 도포 특성과는 다른 제2 도포 특성을 갖는 제2 토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 특성은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 토출 속도, 토출 면적, 토출홀의 개수, 토출면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포 특성은 도포하는 면의 형상, 면적, 굴곡, 거칠기, 재질, 표면 처리 방법(예를 들어, 플로킹 처리, 스폰지 부착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가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이 모두 다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토출부(230)가 같은 시간 동안 토출하는 화장료의 양이 제1 토출부(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고, 더 넓은 도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는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어느 하나만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의 토출 특성만 다른 경우, 도포면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토출구의 크기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부(220)는 화장료가 토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토출구(222)와, 제1 토출구(222)를 통해 토출된 화장료를 펴 바를 수 있는 제1 도포면(22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토출부(230)는 화장료가 토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토출구(232)와, 제2 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된 화장료를 펴 바를 수 있는 제2 도포면(2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포면(224)과 제2 도포면(234)은 제1 토출구(222)와 제2 토출구(232)가 형성되어 있는 면으로서 평평하거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률을 가져 펴 바르기에 적합한 용도로 인식될 수 있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기준으로 상측면 일부가 제1 도포면(224)이고, 우측 상방향 측면 일부가 제2 도포면(234)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토출구(222)와 제2 토출구(232)가 모두 복수 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많은 양의 화장료 토출을 위해 제2 토출구(232)의 개수가 제1 토출구(222)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화장료를 용이하게 펴 바르기 위해 제2 도포면(234)의 면적이 제1 토출구(222)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닛(200)은 저장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저장부(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토출 유닛(200)이 고정되는 방법으로는 나사 결합, 접착, 열융착, 후크 결합, 형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목부(102)에 제공된 수나사에 토출 유닛(200)의 내측면에 제공된 암나사가 결합됨으로써 토출 유닛(200)이 저장부(10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또한, 토출 유닛(200)의 내측에는 저장부(100)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제1 토출부(220)로 안내하는 제1 챔버(221)와, 저장부(100)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제2 토출부(230)로 안내하는 제2 챔버(23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는 구획 벽(24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1 챔버(221)는 제1 토출부(220)의 하측 공간이고, 제2 챔버(231)는 제2 챔버(231)의 하측 공간일 수 있으며, 구획 벽(240)은 스위치(400)의 이동 시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 벽(240)은 스위치(400)와 결합됨으로써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를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의 경계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벽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획 벽(240)의 스위치(400)가 끼워지는 부분이 스위치(4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부 절개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00)와 토출 유닛(200)의 사이에는 스위치(400)가 제공되어,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화장료가 제1 토출부(220) 또는 제2 토출부(2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화장료의 이동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400)는 사용자가 저장부(100)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부(100)로부터 제1 토출부(220) 또는 제2 토출부(230)로 화장료를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400)는 스위치 삽입홀(104)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400)가 저장부(100)와 토출 유닛(200)이 결합되어 있는 방향, 즉 도면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400)가 상하 방향 이동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겠다.
스위치(400)의 토출 유닛(200) 방향 이동은 저장부(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 변화에 의해 이뤄질 수 있고, 스위치(400)의 저장부(100) 방향 이동은 탄성부재(46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스위치(40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토출 유닛(200) 방향으로 이동되고, 탄성부재(460)에 의해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원상태 또는 원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력이 스위치(400)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 또는 그 때의 위치로서 도 2에 개시된 상태인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이해된다.
스위치(400)는 스위치 삽입홀(104)에 끼워져 이동되는 기둥(410)과, 기둥(410)의 토출 유닛(200)측 일 지점에 제공되는 헤드(420)와, 기둥(410)의 저장부(100)측 일 지점에 제공되는 가압부(430)와, 기둥(410)에 제공되어 화장료를 제1 챔버(221)로 안내하는 제1 통로부(440)와, 기둥(410)에 제공되어 화장료를 제2 챔버(231)로 안내하는 제2 통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410)은 내측에 제1 통로부(440) 및 제2 통로부(45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통로부(440) 및 제2 통로부(450) 이외의 경로로 화장료가 토출 유닛(200)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스위치 삽입홀(104)과 기둥(410)의 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420)는 기둥(410)의 토출 유닛(200)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460)에 의한 스위치(400)의 원위치 복귀 시, 스위치 삽입홀(104) 주위의 목부(102)에 걸림으로써 스위치(4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헤드(420)의 상단부에는 구획 벽(240)이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끼움 홈(422)이 제공될 수 있다. 끼움 홈(422)은 플레이트 형상의 구획 벽(24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헤드(420)의 상측면으로부터 측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둥(410)의 일 지점까지 연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400)의 상방 이동 시 구획 벽(240)은 끼움 홈(422)의 내측으로 더욱 깊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끼움 홈(422)은 스위치(400)의 이동 시 스위치(400)가 요동되지 않고, 정위치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둥(410)은 스위치 삽입홀(104)에 끼워져 일 방향으로 안내되는데, 구획 벽(240)이 끼움 홈(422)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스위치(400)의 이동 중에 유지됨으로써, 스위치(400)는 정해진 경로와 위치를 따라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잇다.
끼움 홈(422)의 깊이는 스위치(400)가 최대 상승했을 때 구획 벽(240)의 단부가 홈의 가장 깊은 위치에 닿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끼움 홈(422)이 스위치(400)의 상방 이동 변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가압부(430)는 기둥(410)의 저장부(100)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저장부(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넓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430)가 기둥(410)에 수직인 평면 플레이트로서, 기둥(410)의 단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저장부(100)를 가압하는 경우, 저장 공간(110) 내부에는 전 방향에 걸쳐 부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압력은 스위치(400)의 전 부분에 가해지게 되는데, 스위치(400)는 유일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목부(102)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방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4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직접적인 압력은 가압부(430)의 저면에 가해지는 압력(P)이다. 이에 의해, 가압부(430)의 크기가 커질수록 스위치(400)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스위치(400)는 더욱 용이하게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부(430)의 면적은 사용되는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의 크기 및 화장료의 점도, 목표 토출량 등에 따라 다르게 최적화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둥(410)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기둥(410)에는 제1 통로부(440)와 제2 통로부(450)가 제공된다.
제1 통로부(440)는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제1 챔버(221)로 화장료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통로로서, 저장부(100) 측에 위치하는 제1 입구(442)와, 토출 유닛(200) 측에 위치하는 제1 출구(444)와, 이들을 연결하는 제1 유로(4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구(442)와 제1 출구(444)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들 사이의 거리는 스위치 삽입홀(104)을 형성하는 목부(102)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입구(442)는 저장 공간(110)에 위치되고, 제1 출구(444)는 제1 챔버(221)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저장 공간(110)의 화장료가 제1 통로부(440)를 통해 제1 챔버(221)에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40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입구(442)는 스위치 삽입홀(104)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 챔버(221)의 화장료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제2 통로부(450)는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제2 챔버(231) 화장료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통로로서, 저장부(100) 측에 위치하는 제2 입구(452)와, 토출 유닛(200) 측에 위치하는 제2 출구(454)와, 이들을 연결하는 제2 유로(4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구(452)와 제2 출구(454)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들 사이의 거리는 스위치 삽입홀(104)을 형성하는 목부(102)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입구(452)는 저장 공간(110)에 위치되고, 제2 출구(454)는 제2 챔버(231)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저장 공간(110)의 화장료가 제2 통로부(450)를 통해 제2 챔버(231)에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400)가 상승함에 따라, 제2 입구(452)는 스위치 삽입홀(104)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 챔버(231)의 화장료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구(442)는 제2 입구(452)보다 더 토출 유닛(200) 측에, 즉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40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입구(442)가 먼저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될 수 있다. 즉, 제1 챔버(221)의 화장료 공급이 제2 챔버(231)의 화장료 공급보다 먼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구(444)도 제2 출구(454)보다 더 토출 유닛(200) 측에, 즉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40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출구(444)가 먼저 토출 유닛(200)의 내측 공간에 공간에 진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챔버(221)의 화장료 공급이 먼저 이뤄질 수 있다.
위의 제1 입구(442), 제2 입구(452)의 위치 관계와 제1 출구(444), 제2 출구(454)의 위치 관계에 의해 제1 챔버(221)의 화장료 공급이 제2 챔버(231)의 화장료 공급보다 먼저 이뤄지게 된다. 즉, 제1 토출부(220)로 화장료가 먼저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221)의 화장료 공급이 제2 챔버(231)의 화장료 공급보다 먼저 끊기게 된다. 즉, 제1 토출부(220)를 통한 화장료 토출이 완료된 후 제2 토출부(230)를 통한 화장료 토출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로부(440)와 제2 통로부(450)는 둘 중에 하나만 저장 공간(110)과 제1 챔버(221) 또는 제2 챔버(231)가 연통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출구(454)의 위치는 제1 입구(442)가 스위치(400)의 상승에 의해 완전히 스위치 삽입홀(104)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에 제2 챔버(231)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챔버(221)의 화장료 공급이 종료된 후 제2 챔버(231) 화장료가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토출부(220)를 통한 화장료 토출이 완료된 후, 제2 토출부(230)를 통한 화장료 토출이 이뤄질 수 있다. 즉, 제2 토출부(230)를 통한 화장료의 토출이 선택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출구(454)가 제1 입구(442)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출구(454)가 제1 입구(442)와 제1 출구(444)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가 2개가 제공되고 이를 위한 통로도 2개가 제공되며, 구획 벽에 의해 챔버도 2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양의 화장료를 토출하거나, 서로 다른 도포면을 갖는 형태의 토출부가 3개 이상 제공되고, 그에 따라 통로 및 챔버도 3개 이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가 서로 다른 토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통로부(440)와 제2 통로부(450)는 서로 다른 유로 구성을 갖거나 서로 다른 유로 단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로부(440) 및 제2 통로부(450)의 입구와 출구가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유로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460)는 스위치(400)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목부(102)와 가압부(430)의 사이에 제공되어 일측은 목부(102)에 지지되고 타측은 가압부(430)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460)는 압축 스프링이며, 사용자가 저장부(100)를 가압함으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가압부(43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스위치(4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460)는 원 상태에서도 소정 상태 압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400)는 헤드(420)가 목부(102)에 걸린 상태에 의해 하방 이동이 제한되는 바, 스위치(400)는 안정적으로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용기(10)는 저장부(100) 또는 토출 유닛(200)에 결합되어 토출 유닛(20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닛(20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형태의 결합부(212)가 형성되고, 캡(300)의 내측에는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캡(300)과 저장부(100) 또는 토출 유닛(200)의 결합 수단으로는 공지의 여러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저장부(100)에 힘을 가해 짜는 형태로 화장료를 토출 유닛(200)을 통해 토출시킬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저장부(100)에 가하는 힘에 따라 화장료는 제1 토출부(220) 및 제2 토출부(23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은 미 사용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구획 벽(240)은 소정 깊이 끼움 홈(422)에 끼워진 상태일 수 있으며, 구획 벽(240)에 의해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상태에서는 화장료가 제1 챔버(221)나 제2 챔버(231) 공급되는 상태가 아니므로, 구획 벽(240)의 일부가 절개되거나 천공되어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획 벽(240)의 절개부나 천공부는 스위치(400)의 상승에 의해 차단되도록 위치된다.
스위치(400)는 탄성부재(46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으나, 헤드(420)가 목부(102)의 상부에 걸려 있으므로 하방 이동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입구(442)와 제2 입구(452)는 저장 공간(110)에 위치하여 화장료가 제1 통로부(440) 및 제2 통로부(450)로 인입될 수는 있으나, 제1 출구(444)와 제2 출구(454)가 모두 스위치 삽입홀(104)의 둘레면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화장료가 제1 챔버(221)나 제2 챔버(231) 토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미 사용 상태에서 제1 출구(444)와 제2 출구(454)가 모두 스위치 삽입홀(104)의 둘레면에 막혀 있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이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저장 공간(110)에 위치됨으로써 화장료의 토출이 차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부(100)에 외력을 가해 누르게 되면, 저장 공간(110)의 내부에는 압력(P)이 발생되고, 이 압력은 스위치(400)의 이동이 허용된 상방으로 가압부(430)를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가압부(430)를 제외한 다른 부분, 예를 들어 기둥(410)에도 압력이 작용하나, 스위치(400)는 기둥(410)의 측방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한 이동이 허용되지 않고, 이러하 압력들은 서로 상쇄될 수 있으므로 스위치(400)의 이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이때, 저장 공간(110)의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이 탄성부재(460)의 탄성력보다 클 수 있도록 탄성부재(460)의 탄성계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에 의해 스위치(400)는 점차 상방으로 이동되어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토출부(220)를 통해 화장료가 토출될 수 있는 제1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입구(442)는 저장 공간(110)에 위치되고, 제1 출구(444)는 제1 챔버(22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통로부(440)는 비로소 제1 입구(442)와 제1 출구(444)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부(100)를 더 짜게 되면, 화장료는 제1 통로부(440)를 통해 제1 챔버(221) 전달되고, 제1 챔버(221) 전달된 화장료는 제1 토출구(22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부(220)를 통해 토출되는 양은 제2 토출부(230)를 통해 토출되는 양보다 더 적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통로부(440)의 유로 단면적이 제2 통로부(450)의 유로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제1 토출구(222)가 제2 토출구(232)보다 적은 개수로 마련되거나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포면(224)은 제2 도포면(234)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두드려 바르는 형태에 적합한 용도로 제1 토출부(22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는 구획 벽(240)에 의해 연통되지 않도록 구획되어 있으므로,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는 제1 토출부(220)를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금 더 강한 힘으로 저장부(100)를 짜게 되면, 가압부(430)에 더 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의해 스위치(400)는 더 상방으로 이동되어,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 토출부(230)를 통해 화장료가 토출될 수 있는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출구(444)가 제1 챔버(221)에 위치되나, 제1 입구(442)가 스위치 삽입홀(104)의 둘레면에 막히거나 제1 챔버(221)에 위치함으로써 제1 통로부(440)를 통한 화장료 이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대신, 제2 입구(452)가 저장 공간(110)에 위치되고, 제2 출구(454)가 제2 챔버(23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제2 통로부(450)의 제2 입구(452)와 제2 출구(454)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부(100)를 더 짜게 되면, 화장료는 제2 통로부(450)를 통해 제2 챔버(231) 전달되고, 제2 챔버(231) 전달된 화장료는 제2 토출부(2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2 토출부(230)를 통한 토출은 제1 토출부(220)와 서로 다른 토출 특성 또는 서로 다른 도포 특성을 가져 좀 더 많은 양의 화장료를 토출해 넓게 펴 바르는 용도로 화장품 용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상태와 마찬가지로 제2 상태에서도 제1 챔버(221)와 제2 챔버(231)는 구획 벽(240)에 의해 연통되지 않도록 구획되어 있으므로,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는 제2 토출부(230)를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을 완료하고, 저장부(100)에 가하던 외력을 거두게 되면 스위치(400)는 탄성부재(460)의 복원력에 의해 도 2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통로부(440)와 제2 통로부(450)는 모두 차단되고, 화장료의 토출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화장품 용기(10)는 제1 토출부(220)와 제2 토출부(230)를 통해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전환하여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저장부(100)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이와 같은 토출 특성 및 도포 특성 중 하나 이상을 전환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부;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를 토출하고, 토출 상태와 도포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를 갖는 토출 유닛; 및 저장부와 토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저장부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부로부터 제1 토출부 또는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2는, 저장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고, 저장부의 변형에 의해 저장 공간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며, 스위치는 압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항목 1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3은, 저장부의 일측에는 스위치가 끼워질 수 있는 스위치 삽입홀이 제공되고, 스위치는 스위치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4는,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제1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1 챔버와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제2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2 챔버가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5는, 스위치는,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 삽입홀에 끼워져 이동되는 기둥부; 기둥부에 제공되고, 저장 공간과 제1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통로부; 및 기둥부에 제공되고, 저장 공간과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6은,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구획하는 구획 벽이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7은, 스위치에는 스위치가 상승할 때 구획 벽의 일부가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고, 구획 벽이 끼움 홈에 삽입되어 있을 때, 구획 벽에 의해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8은, 제1 통로부는 저장부 측에 위치하는 제1 입구와, 토출 유닛 측에 위치하는 제1 출구와, 제1 입구와 제1 출구를 연결하는 제1 유로를 포함하고, 제2 통로부는 저장부 측에 위치하는 제2 입구와, 토출 유닛 측에 위치하는 제2 출구와, 제2 입구와 제2 출구를 연결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제1 입구와 제1 출구의 거리, 및 제2 입구와 제2 출구의 거리는 스위치 삽입홀을 형성하는 저장부의 목부의 두께보다 큰 항목 1 내지 항목 7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9는, 제1 입구는 제2 입구보다 더 토출 유닛 측에 위치되고, 제1 출구는 제2 출구보다 더 토출 유닛 측에 위치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0은, 제2 출구는 제1 입구가 스위치의 이동에 의해 스위치 삽입홀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에 제2 챔버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위치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1은,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제1 통로부와 제2 통로부 중 하나만 저장 공간과 제1 챔버 또는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2는, 스위치는 화장료를 전달하지 않는 미 사용 상태와, 제1 토출부로 화장료를 토출하는 제1 상태와,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토출하는 제3 상태를 갖고, 스위치의 일측에 제공되어 스위치를 미 사용 상태로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1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3은, 스위치는,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 삽입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기둥의 토출 유닛 측 일 지점에 제공되는 헤드; 및 기둥의 저장부 측 일 지점에 제공되어 저장부 내측의 압력을 인가받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탄성부재의 일측은 스위치 삽입홀의 둘레에 지지되고, 타측은 가압부에 지지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2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4는, 스위치는, 제1 상태에서 저장 공간과 제1 토출부의 하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통로부; 및 제2 상태에서 저장 공간과 제2 토출부의 하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하고, 제1 통로부와 제2 통로부는 기둥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3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5는,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제1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1 챔버와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제2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2 챔버가 제공되고,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구획 벽에 의해 화장료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획되고, 헤드 및 기둥에는 구획 벽이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4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6은, 스위치는 끼움 홈에 삽입된 구획 벽에 안내되어 왕복 이동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5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7은, 저장 공간의 내측의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가압부는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스위치가 이동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6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8은, 토출 특성은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 토출 속도, 토출 면적, 토출홀의 개수, 토출면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도포 특성은 도포하는 면의 형상, 면적, 굴곡, 거칠기, 재질, 표면 처리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7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9는, 화장료는 200,000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18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20은, 저장부는 튜브인 항목 1 내지 항목 19의 화장품 용기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화장품 용기
100: 저장부
110: 저장 공간 102: 목부
104: 스위치 삽입홀 200: 토출 유닛
210: 바디 212: 결합부
220: 제1 토출부 221: 제1 챔버
222: 제1 토출구 224: 제1 도포면
230: 제2 토출부 231: 제2 챔버
232: 제2 토출구 234: 제2 도포면
240: 구획 벽 300: 캡
400: 스위치 410: 기둥
420: 헤드 422: 끼움 홈
430: 가압부 440: 제1 통로부
442: 제1 입구 444: 제1 출구
450: 제2 통로부 452: 제2 입구
454: 제2 출구 460: 탄성부재
110: 저장 공간 102: 목부
104: 스위치 삽입홀 200: 토출 유닛
210: 바디 212: 결합부
220: 제1 토출부 221: 제1 챔버
222: 제1 토출구 224: 제1 도포면
230: 제2 토출부 231: 제2 챔버
232: 제2 토출구 234: 제2 도포면
240: 구획 벽 300: 캡
400: 스위치 410: 기둥
420: 헤드 422: 끼움 홈
430: 가압부 440: 제1 통로부
442: 제1 입구 444: 제1 출구
450: 제2 통로부 452: 제2 입구
454: 제2 출구 460: 탄성부재
Claims (20)
-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장료를 토출하고, 토출 상태와 도포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를 갖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저장부와 상기 토출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저장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압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화장품 용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가 끼워질 수 있는 스위치 삽입홀이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1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2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2 챔버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 삽입홀에 끼워져 이동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제공되고,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1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통로부; 및
상기 기둥부에 제공되고,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구획하는 구획 벽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스위치가 상승할 때 상기 구획 벽의 일부가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 벽이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구획 벽에 의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부는 상기 저장부 측에 위치하는 제1 입구와,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하는 제1 출구와,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를 연결하는 제1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로부는 상기 저장부 측에 위치하는 제2 입구와,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하는 제2 출구와,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연결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의 거리, 및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의 거리는 상기 스위치 삽입홀을 형성하는 상기 저장부의 목부의 두께보다 큰 화장품 용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는 상기 제2 입구보다 더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제2 출구보다 더 상기 토출 유닛 측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제1 입구가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 삽입홀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에 상기 제2 챔버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 중 하나만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화장품 용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화장료를 전달하지 않는 미 사용 상태와, 상기 제1 토출부로 화장료를 토출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토출부로 화장료를 토출하는 제3 상태를 갖고,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기 미 사용 상태로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 삽입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기 토출 유닛 측 일 지점에 제공되는 헤드; 및
상기 기둥의 상기 저장부 측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부 내측의 압력을 인가받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스위치 삽입홀의 둘레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에 지지되는 화장품 용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1 토출부의 하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통로부;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제2 토출부의 하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는 상기 기둥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의 내측에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1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장료를 상기 제2 토출부로 안내하는 제2 챔버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구획 벽에 의해 화장료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획되고,
상기 헤드 및 상기 기둥에는 상기 구획 벽이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된 상기 구획 벽에 안내되어 왕복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의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특성은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 토출 속도, 토출 면적, 토출홀의 개수, 토출면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 특성은 도포하는 면의 형상, 면적, 굴곡, 거칠기, 재질, 표면 처리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200,000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 화장품 용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튜브인 화장품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145A KR102508268B1 (ko) | 2018-11-22 | 2018-11-22 | 화장품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145A KR102508268B1 (ko) | 2018-11-22 | 2018-11-22 | 화장품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9869A true KR20200059869A (ko) | 2020-05-29 |
KR102508268B1 KR102508268B1 (ko) | 2023-03-09 |
Family
ID=7091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5145A KR102508268B1 (ko) | 2018-11-22 | 2018-11-22 | 화장품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826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930Y1 (ko) * | 2005-03-22 | 2005-06-03 | 변영광 | 액상화장품 용기 |
KR101403741B1 (ko) | 2012-12-14 | 2014-06-03 | 오세웅 | 화장품 용기 |
KR101559167B1 (ko) * | 2015-04-01 | 2015-10-12 | 주식회사 뉴앤뉴 | 튜브 용기 |
-
2018
- 2018-11-22 KR KR1020180145145A patent/KR1025082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930Y1 (ko) * | 2005-03-22 | 2005-06-03 | 변영광 | 액상화장품 용기 |
KR101403741B1 (ko) | 2012-12-14 | 2014-06-03 | 오세웅 | 화장품 용기 |
KR101559167B1 (ko) * | 2015-04-01 | 2015-10-12 | 주식회사 뉴앤뉴 | 튜브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8268B1 (ko) | 2023-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8562B2 (en) |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 |
JP5102690B2 (ja) | 定量注出容器 | |
US6454135B1 (en) | Dual liquid dispensing packages | |
JP5674386B2 (ja) | 二液吐出器 | |
KR101378719B1 (ko) | 파우더 토출 용기 | |
US686040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 |
NZ199131A (en) | Dispensing striped toothpaste from container using piston | |
HUT70997A (en) | Spray pump package employing multiple orifices for dispensing liquid in different spray patterns with automaticall adjusted optimized pump stroke for each pattern | |
JP2006517859A (ja) | 分配ノズル | |
US10150125B2 (en) | Discharge head for a metering dispenser and a metering dispenser | |
KR200469033Y1 (ko) |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 |
US10314379B2 (en) | Make-up item comprising an applicator and a make-up product dispenser | |
KR102508268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200030577A (ko) | 액체 디스펜서 | |
KR100895882B1 (ko) |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 |
EP1590096B1 (en) |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 |
TW201943465A (zh) | 噴出器 | |
JP5554613B2 (ja) | 内容物押出容器 | |
US7597218B2 (en) | Pump with mechanical means for effective priming and drip prevention | |
US11241073B2 (en) |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refillable inner container | |
JP2023014754A (ja) | エアゾール型吐出容器 | |
KR102111598B1 (ko) | 토출 배율이 조절되는 펌프형 화장품 케이스 | |
KR101923389B1 (ko) | 유체 디스펜서 | |
KR102074203B1 (ko) | 두 가지 토출 모드를 갖는 디스펜서 | |
CA1066157A (en) | Rechargeable applicator for dispensing substan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