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670A -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670A
KR20200059670A KR1020180144682A KR20180144682A KR20200059670A KR 20200059670 A KR20200059670 A KR 20200059670A KR 1020180144682 A KR1020180144682 A KR 1020180144682A KR 20180144682 A KR20180144682 A KR 20180144682A KR 20200059670 A KR20200059670 A KR 20200059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icrofluidic device
measuring
channel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양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670A/ko
Publication of KR2020005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으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1주입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입구; 상기 제1주입구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확장 채널; 기준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2주입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구; 상기 제2주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확장 채널;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보다 폭이 좁은 중간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입구에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는 기준유체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은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이용하여 혈액의 다중생물성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viscosity and RBC aggregation using microfluidic device}
본 발명은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하여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 및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의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출혈 등의 심혈관계 질환은 사전증상 없이 갑작스레 발병하여 사망 또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화학적인(Biochemical) 검출방법으로만은 이와 같은 질병의 조기진단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질병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전에 대처하기 위하여 생물리적(Biophysical) 진단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혈액 생물성치 - 점도, 점탄성, 적혈구 용적률(hematocrit), 변형성, 응집성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고혈압, 당뇨, 흡연 등의 증상에서 혈액 생물성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혈액 생물성치를 측정하는 것은 선행 증상 없이 발병하는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조기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혈액 생물성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오 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혈액 생물성치 중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이오 센서는 혈 유동을 멈추고 다시 흐르게 하는 방법을 통해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측정하였다. 즉, 종래의 바이오 센서는 혈유동을 정지하여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하고, 혈유동 조건하에서 점도를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측정 방법은 혈액 생물성치에 대한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하여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 및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1주입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입구; 상기 제1주입구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확장 채널; 기준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2주입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구; 상기 제2주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확장 채널;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보다 폭이 좁은 중간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입구에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는 기준유체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의 상기 중간 채널은, U 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단과 상기 제1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절곡부의 타단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확장 채널의 폭은 상기 중간 채널의 폭의 20배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제1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주입구에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실린지 펌프와, 상기 제2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실린지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확장 채널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되도록 주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프로세스 입구와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핀치 밸브를 통해 일측이 막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특정관심영역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제1확장 채널 내부에 제1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의 제1이미지 강도(<IRA>)를 측정하며,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2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의 제2이미지 강도(<IRD>)를 측정하며, 적혈구 응집성 지수는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3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에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제1폭(αBlood)을 측정하며, 혈액 점도는, 상기 제1폭(αBlood)과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와 상기 제1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QBlood)과 상기 제2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QPBS)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은, 측정대상유체의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통해 혈액의 다중생물성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1주입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입구; 상기 제1주입구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확장 채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2주입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구; 상기 제2주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확장 채널;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보다 폭이 좁은 중간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하며, 상기 제2주입구를 통해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 기준유체로 채우는 채움 단계; 상기 미세유체소자의 지정된 지점의 이미지 강도 또는 지정된 지점에서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폭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 강도와 폭을 통해 적혈구 응집성, 혈액 점도를 도출하는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의 상기 중간 채널은, U 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단과 상기 제1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절곡부의 타단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의 상기 제1확장 채널의 폭은 상기 중간 채널의 폭의 20배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제1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주입구에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실린지 펌프와, 상기 제2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실린지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 단계에서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상기 제1실린지 펌프를 통해 주입되며, 상기 기준유체는 상기 제2실린지 펌프를 통해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 단계에서,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확장 채널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되도록 주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프로세스 입구와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핀치 밸브를 통해 일측이 막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특정관심영역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1확장 채널 내부에 제1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의 제1이미지 강도(<IRA>)를 측정하며,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2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의 제2이미지 강도(<IRD>)를 측정하며, 상기 도출 단계에서 적혈구 응집성 지수는,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3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에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제1폭(αBlood)을 측정하며, 상기 도출 단계에서 혈액 점도는, 상기 제1폭(αBlood)과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와 상기 제1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QBlood)과 상기 제2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QPBS)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하여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으로, 적혈구의 응집성을 혈 유동을 멈추고 다시 흐르게 하는 유동 제어 없이 연속적으로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하는 동시에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체외순환중인 혈액 생물성치에 대한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확장 채널, 중간 채널, 제2확장 채널을 수학적 모델링 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의 제1특정관심영역, 제2관심관심영역, 제3특정관심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에 혈액을 주입하였을 때의 제1이미지 강도(<IRA>), 제2이미지 강도(<IRD>), 제1폭(αBlood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단속도에 따른 적혈구 응집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의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을 통해 혈액의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 혈액 점도(μBlood)를 연속적으로 측정한 실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으로,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하여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미세유체소자(100)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는 제1주입구(110), 프로세스 입구(120), 제1확장 채널(130), 제2주입구(140), 제2배출구(150), 제2확장 채널(160), 중간 채널(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대상유체는 혈액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주입되면서 채워지고,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의 지정된 지점의 이미지 강도와 지정된 지점에서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폭을 측정함에 따라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주입구(110)는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지점으로,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상기 제1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주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주입구(110)는 제1실린지 펌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는 상기 측정대상유체(QBlood)가 저장될 수 있는 곳으로,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상기 제1주입구(110)에 주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를 통해 상기 제1주입구(110)로 유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펄스를 형성하면서 주입되는 종래의 측정대상유체와 다르게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는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통해 실험 후에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채워진 혈액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세스 인렛(process inlet)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는 튜브(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230)는 핀치 밸브(231)를 통해 일측이 막혀 있을 수 있다.
효과적으로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해야 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기준유체로 채움으로써 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 상기 튜브(230), 상기 핀치 벨브(231)는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통해 실험 후에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채워진 혈액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튜브(230)의 끝단부는 실린지(미도시) 또는 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핀치 밸브(231)를 열면 실린지(미도시) 또는 탱크(미도시)의 유체가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로 주입된다.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유체가 주입되면, 주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배출구(150)로 배출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통해 실험을 진행한 후에 상기 핀치 벨브(231)를 열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에 존재하는 혈액이 상기 제2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 내부에 혈액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통해 실험을 진행한 후에 상기 튜브(230) 끝에 연결된 실린지(미도시) 또는 탱크(미도시)에 세정액(BSA, PBS)을 채우고 주입하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세정할 수도 있다.
다만, 여기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통해 혈액의 다중생물성치를 측정할 때는, 상기 핀치 벨브(231)를 항상 닫힌 상태로 두어야 혈액의 다중생물성치를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은 상기 제1주입구(110)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주입구(110)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는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은 상기 제1주입구(110)에서 부터 U 형상으로 절곡된 이후에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시 U 형상으로 절곡된 이후에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주입구(140)는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지점으로, 상기 기준유체는 상기 제2주입구(140)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주입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유체는 식염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주입구(140)는 제2실린지 펌프(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지 펌프(220)는 상기 기준유체(QPBS)가 저장될 수 있는 곳으로, 상기 제2실린지 펌프(2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유체는 상기 제2주입구(140)에 주입된다.
상기 제2배출구(150)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지점으로, 상기 기준유체가 상기 제2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구(150)를 통해서는 상기 기준유체와 함께 상기 측정대상유체 배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배출구(150)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 기준유체를 포함하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지점이다.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은 상기 제2주입구(140)와 상기 제2배출구(150)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주입구(140)와 상기 제2배출구(150)는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은 상기 제2주입구(140)에서 부터 U 형상으로 절곡된 이후에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시 U 형상으로 절곡된 이후에 상기 제2배출구(1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채널(170)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과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연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확장 채널(130)과 상기 제2확장 채널(16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중간 채널(170)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중간 지점에서 갈라지면서,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의 중간 지점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절곡부(171), 제1연결부(172), 제2연결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71)는 U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며, 상기 제1연결부(172)는 상기 절곡부(171)의 일단과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을 연통시키는 부분이며, 상기 제2연결부(173)는 상기 절곡부(171)의 타단과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연통시키는 부분이다.
여기서,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폭(WA)은 상기 중간 채널(170)의 폭(WD)의 20배일 수 있다. 즉, WA/WD = 20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 채널(170)의 폭은 상기 절곡부(171), 상기 제1연결부(172), 상기 제2연결부(173)에서 서로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확장 채널(130)과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은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은 width=2000μm 및 depth=100μm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간 채널(170)은 width=100μm 및 depth=100μm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은 width=2000μm 및 depth=100μm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확장 채널(130)과 상기 제2확정 채널(160)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에서 상기 제1주입구(110)와 상기 제2주입구(140)는 상기 중간 채널(170)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와 상기 제2배출구(150)는 상기 중간 채널(170)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놓일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채널(17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주입구(110)가 상기 중간 채널(170)의 하부에 있다면, 상기 제2주입구(140)는 상기 중간 채널(17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중간 채널(170)을 중심으로,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가 상기 중간 채널(170)의 상부에 있다면, 상기 제2배출구(150)는 상기 중간 채널(17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제1확장 채널(130)과 상기 중간 채널(170)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혈액 유동을 정지하지 않고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A/WD = 20 로 하면, 혈액 유동을 정지하지 않고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적혈구 응집성은 전단속도(shear rate)가 바뀜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전단 속도(shear rate)에 따라 RBC aggregation 및 RBC disaggregation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66.7s-1 이상의 전단 속도(shear rate) 에서는 RBC disaggregation이 발생하고, 66.7s-1 미만의 전단 속도(shear rate)에서는 RBC aggregation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제1확장 채널(130)과 상기 중간 채널(170)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전단 속도(shear rate)를 변경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단 속도(shear rate)는 폭이 넓은 채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는데, 폭이 넓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에서는 RBC aggregation이 발생할 수 있고, 폭이 좁은 상기 중간 채널(170)에서는 RBC disaggreg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제1확장 채널(130) - 상기 중간 채널(170) -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지나감에 따라 RBC aggregation - RBC disaggregation - RBC aggregation이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제1확장 채널(130) - 상기 중간 채널(170) -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지나가면서, RBC aggregation - RBC disaggregation - RBC aggregation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이미지 강도로 분석하여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를 통해 상기 제1주입구(110)에 주입할 때,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의 최대 유량은 0.5mL/h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주입구(110)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의 유량은 0.5mL/h 보다 작으며, WA/WD = 20 로 함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제1확장 채널(130) - 상기 중간 채널(170) -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지나가면서, RBC aggregation - RBC disaggregation - RBC aggregation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의 최대 유량은 0.5mL/h 일때,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normal RBC in PBS (적혈구 응집성 안됨) 및 normal RBCs in dextran solution (10 mg/mL) 2개의 혈액을 이용하여 유량조건 별로 제1확장 채널(130) (width=2000 μm 및 depth=100 μm)을 이용하여 이미지 강도 (<I>)를 정량화 한 것이다. 여기서 전단 속도(shear rate,
Figure pat00001
)는
Figure pat00002
으로 계산을 한다. 전단 속도(shear rate)가 66.7s-1 이상에서는 이미지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가 된다. 이를 참고하면, RBC disaggregation을 위해서는 전단 속도(shear rate)가 66.7s-1 이상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WA=2000μm 로 하고, 상기 중간 채널(170)의 WD=100μm로 하며, 상기 제1주입구(110)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의 유량을 0.5mL/h 보다 작게 하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제1확장 채널(130) - 상기 중간 채널(170) -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지나가면서, RBC aggregation - RBC disaggregation - RBC aggregation이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특정관심영역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 강도와 지정된 지점에서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폭을 측정함에 따라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는 다음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확장 채널(130) 내부에 제1특정관심영역(310)(ROI - 480×300 pixels)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310)의 제1이미지 강도(<IRA>)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310)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에서 상기 중간 채널(170)로 연결되는 입구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의 상기 제1확장 채널(130) 내부에 도시된 지점이다.
이후,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제2특정관심영역(320)(ROI - 100×300 pixels)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320)의 제2이미지 강도(<IRD>)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320)은 상기 제2확장 채널(160)에서 상기 중간 채널(170)로 연결되는 입구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의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도시된 지점이다.
상기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제1확장 채널(130) - 상기 중간 채널(170) -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지나가면서, RBC aggregation - RBC disaggregation - RBC aggregation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혈구 응집성 지수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혈액 점도(μBlood)는 다음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 채널(160)에서는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 및 상기 기준유체(식염수)가 co-flowing stream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두 유체의 interface를 정량화함에 따라 혈액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제3특정관심영역(330)(ROI - 480×250 pixels)을 선정하고, 상기 제1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330)에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제1폭(αBlood)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 및 상기 기준유체(식염수)의 interface는 상기 제1폭(αBlood)을 통해 정량화 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330)은 제2확장 채널(160)의 하단부(상기 제2배출구(150)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의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도시된 지점이다.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상기 제1폭(αBlood)과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μPBS)와 상기 제1주입구(110)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QBlood)과 상기 제2주입구(140)에 주입되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QPBS)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co-flowing stream in single channel의 원리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 기준유체를 각각의 2개의 channel로 나눈다. 그 이후, Poiseuille flow equation (ΔP=RㆍQ)를 각각 두 유체에 적용하면, ΔP=RBlood ㆍQBlood = RPBS ㆍQPBS 를 만족한다. (도 2(b)는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이다.)
여기서,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이므로, 위의 2식을 이용하면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μPBS 는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 αBlood 는 상기 제1폭, QBlood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 QPBS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이다. 다만, 수학식 2를 유도할 때, 실질적은 real boundary 조건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해 수정계수(CF)를 실험 혹은 수치해석으로 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정계수(CF)는 수학식 3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정계수(CF) 까지 적용한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최종적으로 수학식 4와 같을 수 있게 된다.
Figure pat00008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 상기 제1폭(αBlood)을 측정한 것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3개의 특성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혈구 응집성에 의하여 이미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보다 큰 것을 알 수 있고, 이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폭(αBlood)도 시간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바뀌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은 주입 단계(S110), 채움 단계(S120), 측정 단계(S130), 도출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통해 혈액의 다중생물성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주입 단계(S110)는 상기 제1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하며, 상기 제2주입구(140)를 통해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혈액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주입구(110)는 제1실린지 펌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는 상기 측정대상유체(QBlood)가 저장될 수 있는 곳으로, 상기 주입 단계(S110)에서는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상기 제1주입구(110)에 주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린지 펌프(210)를 통해 상기 제1주입구(110)로 유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펄스를 형성하면서 주입되는 종래의 측정대상유체와 다르게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의 최대 유량은 0.5mL/h 일 때, 상기 제1확장 채널(130)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주입구(140)는 제2실린지 펌프(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지 펌프(220)는 상기 기준유체(QPBS)가 저장될 수 있는 곳으로, 상기 주입 단계(S110)에서는 상기 제2실린지 펌프(2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유체를 상기 제2주입구(140)에 주입한다.
상기 채움 단계(S120)는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준유체로 채우는 단계로, 상기 주입 단계(S110)를 통해 주입된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 기준유체를 상기 미세유체소자(100)를 채운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스 입구(120)는 튜브(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230)는 핀치 밸브(231)를 통해 일측이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채움 단계(S120)에서는 상기 핀치 밸브(231)를 통해 상기 튜브(230)를 막고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에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 기준유체를 채우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측정 단계(S130)는 상기 미세유체소자(100)의 지정된 지점의 이미지 강도 또는 지정된 지점에서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폭을 측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도출 단계(S140)는 상기 측정 단계(S130)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 강도와 폭을 통해 적혈구 응집성, 혈액 점도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특정관심영역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단계(S130)에서는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소자의 지정된 지점의 이미지 강도 또는 지정된 지점에서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폭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출 단계(S140)에서는 상기 측정 단계(S130)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 강도 또는 폭을 통해 상기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 혈액 점도(μBlood)가 도출된다.
상기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는, 상기 측정 단계(S130)에서, 상기 제1확장 채널(130) 내부에 제1특정관심영역(310)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310)의 제1이미지 강도(<IRA>)를 측정하며,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제2특정관심영역(320)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320)의 제2이미지 강도(<IRD>)를 측정하여, 상기 도출 단계(S140)에서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310)은 상기 제1확장 채널(130)에서 상기 중간 채널(170)로 연결되는 입구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의 상기 제1확장 채널(130) 내부에 도시된 지점이며,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320)은 상기 제2확장 채널(160)에서 상기 중간 채널(170)로 연결되는 입구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의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도시된 지점이다.
상기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상기 제1확장 채널(130) - 상기 중간 채널(170) - 상기 제2확장 채널(160)을 지나가면서, RBC aggregation - RBC disaggregation - RBC aggregation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적혈구 응집성 지수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상기 측정 단계(S130)에서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제3특정관심영역(330)을 선정하며, 상기 제1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330)에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제1폭(αBlood)을 측정하고, 상기 도출 단계(S140)에서 상기 제1폭(αBlood)과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μPBS)와 상기 제1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QBlood)과 상기 제2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QPBS)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대상유체(혈액) 및 상기 기준유체(식염수)의 interface는 상기 제1폭(αBlood)을 통해 정량화 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330)은 제2확장 채널(160)의 하단부(상기 제2배출구(150)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의 상기 제2확장 채널(160) 내부에 도시된 지점이다.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μPBS 는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 αBlood 는 상기 제1폭, QBlood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 QPBS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이다. 다만, 수학식 2를 유도할 때, 실질적은 real boundary 조건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해 수정계수(CF)를 실험 혹은 수치해석으로 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정계수(CF)는 수학식 7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1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정계수(CF) 까지 적용한 상기 혈액 점도(μBlood)는 최종적으로 수학식 8과 같을 수 있게 된다.
Figure pat00012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은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 혈액 점도(μBlood)를 연속적으로 측정한 실시 예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RBC aggregation을 다양하게 바꾸기 위하여, 덱스트란(dextran) 농도 (Cdextran=0, 5, 10, and 15 mg/mL)로 준비했다. 이후, normal RBCs를 각각 덱스트란 용액(dextran solution)에 주입하여 헤마토크릿 50%를 맞췄다. 이와 함께, 혈액(측정대상유체) 및 식염수(기준유체)는 제1실린지 펌프(210) 및 제2실린지 펌프(220)를 이용하여 동일한 유량으로 주입을 했다. 도 7은 덱스트란(dextran)의 농도 및 유량 변화에 따라 취득한 이미지이다.
도 8(a)는 주입유량 변화에 따라 제1이미지 강도(<IRA>) 및 제2이미지 강도(<IRD>)를 보여주고 있다.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1이미지 강도(<IRA>)가 현저하게 증가하며, 주입유량이 증가할수록 제1이미지 강도(<IRA>)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하여, 제2이미지 강도(<IRD>)는 제1이미지 강도(<IRA>) 대비하여 이미지 강도의 변화가 낮다.
도 8(b)는 덱스트란(Dextran) 농도 및 주입유량 변화에 따른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감소하지만,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도 8(c)는 혈 유동을 멈추고 다시 흐르게 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적혈구 응집성 지수(AICM)를 측정한 것이며,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측정된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와 종래의 방법으로 측정된 적혈구 응집성 지수(AICM)를 비교한 것이다.
도 8(d)의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AIPM)과 (AICM)은 R2>0.97 이므로, (AIPM)과 (AICM)은 충분히 상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AIPM)과 (AICM)이 충분한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을 통해 혈 유동을 멈추고 다시 흐르게 하지 않으면서 연속적으로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9(a)는 유량 및 덱스트란(dextran) 농도에 따른 제1폭(αBlood )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9(b)는 수학식 4 및 수학식 8을 이용하여 도출된 혈액 점도(μBlood)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 살펴보면, 및 도 9(b)를 참조하면,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높을수록 제1폭(αBlood )을 측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0.4 mL/h 이상의 유량조건에서 혈액의 점도가 측정 가능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9(b)를 살펴보면,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5 mg/mL 이하에서는 유량의 증가에 따라, 점도가 감소한다. 이는 전형적인 혈액의 점도 특성이다 (i.e., shear-thinning fluid).
즉, 도 9(a) 및 도 9(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은 혈액 유량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조건에서, 혈 유동을 멈추고 다시 흐르게 하지 않으면서 이미지 강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적혈구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측정을 할 수 있고, 동시에 제1폭(αBlood )을 정량화 함으로써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a)는 연동 펌프(peristaltic pump)로 순환되고 있는 혈액(측정대상유체)을 미세유체소자로 주입함으로써, 적혈구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유체 안정제(fluidic stabilizer)는 유동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식염수(기준유체)는 제2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0.5 mL/h로 주입한다.
도 10(b)-(1)은 유체 안정제(fluidic stabilizer)를 사용하지 않은 조건으로, 제1이미지 강도(<IRA>) 및 제2이미지 강도(<IRD>) 및 유량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제1이미지 강도(<IRA>) 및 제2이미지 강도(<IRD>)가 주기적으로 바뀌고 있다.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 및 제1폭(αBlood )의 시간변화에 따른 측정결과는 그림 8(b)-2와 같다.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증가할수록,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는 증가하며, 제1폭(αBlood )이 증가한다.
도 10(c)는 유체 안정제(fluidic stabilizer)를 사용한 경우이다. 유체 안정제(fluidic stabilizer)에 의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혈액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유체 안정제(fluidic stabilizer) 내에서 적혈구 응집성이 연속적을 발생함에 따라서, 적혈구 응집성 지수(AIPM)가 점점 감소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일정하게 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혈액의 점도는 덱스트란(dextran) 농도가 클수록 시간경과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10(a), 도 10(b), 도 10(c)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은 혈액의 유량을 제어하고 있고,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으며, 더불어 혈액의 점도가 동시에 측정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은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하여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혈 유동을 멈추고 다시 흐르게 하는 유동 제어 없이 적혈구의 응집성을 연속적으로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은 적혈구 응집성을 측정하는 동시에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체외순환중인 혈액 생물성치에 대한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미세유체소자 110...제1주입구
120...프로세스 입구 130...제1확장 채널
140...제2주입구 150...제2배출구
160...제2확장 채널 170...중간 채널
171...절곡부 171...제1연결부
172...제2연결부 210...실린지 펌프
220...제2실린지 펌프 230...튜브
231...핀치 밸브 310...제1특정관심영역
320...제2특정관심영역 330...제2특정관심영역
S110...주입 단계
S120...채움 단계
S130...측정 단계
S140...도출 단계

Claims (18)

  1. 측정대상유체의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로서,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1주입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입구;
    상기 제1주입구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확장 채널;
    기준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2주입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구;
    상기 제2주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확장 채널;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보다 폭이 좁은 중간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입구에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는 기준유체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채널은,
    U 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단과 상기 제1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절곡부의 타단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 채널의 폭은 상기 중간 채널의 폭의 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주입구에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실린지 펌프와,
    상기 제2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실린지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확장 채널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입구와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핀치 밸브를 통해 일측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7. 제1항에 있어서,
    특정관심영역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 채널 내부에 제1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의 제1이미지 강도(<IRA>)를 측정하며,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2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의 제2이미지 강도(<IRD>)를 측정하며,
    적혈구 응집성 지수는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를 통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3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에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제1폭(αBlood)을 측정하며,
    혈액 점도는, 상기 제1폭(αBlood)과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와 상기 제1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QBlood)과 상기 제2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QPBS)을 통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
  10. 측정대상유체의 적혈구 응집성 및 혈액 점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를 통해 혈액의 다중생물성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소자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1주입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입구; 상기 제1주입구와 상기 프로세스 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확장 채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2주입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구; 상기 제2주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확장 채널;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확장 채널과 상기 제2확장 채널보다 폭이 좁은 중간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하며, 상기 제2주입구를 통해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상기 측정대상유체와 상기 기준유체로 채우는 채움 단계;
    상기 미세유체소자의 지정된 지점의 이미지 강도 또는 지정된 지점에서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폭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 강도와 폭을 통해 적혈구 응집성, 혈액 점도를 도출하는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의 상기 중간 채널은,
    U 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단과 상기 제1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절곡부의 타단과 상기 제2확장 채널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의 상기 제1확장 채널의 폭은 상기 중간 채널의 폭의 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상기 제1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주입구에 상기 측정대상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실린지 펌프와, 상기 제2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주입구에 상기 기준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실린지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 단계에서 상기 측정대상유체는 상기 제1실린지 펌프를 통해 주입되며, 상기 기준유체는 상기 제2실린지 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에서,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확장 채널의 유체의 전단 속도를 66.7s-1 이하로 형성되도록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입구와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핀치 밸브를 통해 일측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는,
    특정관심영역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취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1확장 채널 내부에 제1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특정관심영역의 제1이미지 강도(<IRA>)를 측정하며,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2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이미지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특정관심영역의 제2이미지 강도(<IRD>)를 측정하며,
    상기 도출 단계에서 적혈구 응집성 지수는, 상기 제1이미지 강도(<IRA>)와 상기 제2이미지 강도(<IRD>)를 통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2확장 채널 내부에 제3특정관심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제3특정관심영역에 상기 측정대상유체가 채워지는 제1폭(αBlood)을 측정하며,
    상기 도출 단계에서 혈액 점도는, 상기 제1폭(αBlood)과 상기 기준유체의 점도와 상기 제1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측정대상유체의 유량(QBlood)과 상기 제2주입구에 주입되는 상기 기준유체의 유량(QPBS)을 통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방법 .
KR1020180144682A 2018-11-21 2018-11-21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200059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82A KR20200059670A (ko) 2018-11-21 2018-11-21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82A KR20200059670A (ko) 2018-11-21 2018-11-21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70A true KR20200059670A (ko) 2020-05-29

Family

ID=7091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682A KR20200059670A (ko) 2018-11-21 2018-11-21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6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289B1 (ko)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한 혈액의 다중생물성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20180185839A1 (en) Microfluidic Device For Real-Time Clinical Monitoring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Whole Blood Coagulation
EP2323547B1 (de)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blutvolumens und/oder blutvolumenstrom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Kang et al. A highly accurate and consistent microfluidic viscometer for continuous blood viscosity measurement
KR101580644B1 (ko) 유동 혈액 측정 장치
KR101681170B1 (ko) 혈액의 생물성치 측정용 미세유체기구
KR101136814B1 (ko)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Kang Microfluidic-based measurement of RBC aggregation and the ESR using a driving syringe system
JP4480586B2 (ja) 血液運搬ラインの血液の流量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Szafraniec et al. Feature tracking microfluidic analysis reveals differential roles of viscosity and friction in sickle cell blood
US20090240123A1 (en) Determining relative blood hematocrit level using an automated integrated fluid delivery and blood access device
KR20150140743A (ko) 발한억제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미세유체 평가 시스템 및 연관된 방법
KR20200059670A (ko)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 점도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119977B1 (ko) 적혈구 변형성 측정기구 및 그 방법
Kang RBC deformability measurement based on variations of pressure in multiple micropillar channels during blood delivery using a disposable air-compressed pump
KR101802290B1 (ko) 미세유체소자를 기반으로 한 혈액의 생물성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181803B1 (ko) 혈압 및 적혈구 응집성 측정 기구 및 그 방법
KR102140384B1 (ko) 적혈구 응집성 및 침강률 동시 측정 기구 및 그 방법
US20110244508A1 (en)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thrombocyte function of the blood
US5340991A (en) Fluorokinetic analysis of diffusion from a vessel
KR102131269B1 (ko) 미세유체소자를 사용하는 혈액의 다중생물성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769451B1 (ko) 적혈구 변형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20180024110A1 (en) Fluidic device for quantifying the dynamic permeability and hydraulic conductivitiy of living tissue layers
KR101865088B1 (ko) 혈소판 기능 및 점도 검사 장치
Gopalakrishnan et a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rtable, Benchtop, Hydrostatic Model to Acquire and Analyze Quantitative Data on Unused and Failed Hydrocephalus Cath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