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247A -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247A
KR20200059247A KR1020207010705A KR20207010705A KR20200059247A KR 20200059247 A KR20200059247 A KR 20200059247A KR 1020207010705 A KR1020207010705 A KR 1020207010705A KR 20207010705 A KR20207010705 A KR 20207010705A KR 20200059247 A KR20200059247 A KR 2020005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ub
wheelbarrow
tray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997B1 (ko
Inventor
안구스 제임스 휴스던
칼 매닝 바우펠
샘 리스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클린 배로우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3698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3698A0/en
Application filed by 클린 배로우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클린 배로우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5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08B17/025Prevention of fouling with liquids by means of devices for containing or collecting sai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4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 B08B9/44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the means being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65F1/004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the partitions being movable, e.g.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8Building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38Garden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Handcar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일 양태에서,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12)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10)의 예가 개시된다. 장치(10)는 리셉터클(16), 끼워진 상태에서 리셉터클(16)에 맞는 필터(18) 및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중력을 통해 리셉터클(16)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셉터클(16)에 대해 외바퀴 손수레(12)를 기울어진 방위에서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체 배열체(19)를 포함한다. 장치, 시스템, 키트 및 관련 사용 방법의 다양한 예들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 년 9 월 12 일에 출원된 호주 가특허 출원 번호 2017903698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내용은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외바퀴 손수레(wheelbarrow)와 같은 도구 및 장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레와 같은 도구와 장비는 여러 가지 이유로 건축 현장에서 사용된다. 외바퀴 손수레의 한 가지 용도는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tray)에 시멘트를 운반하는 것이다. 사용하는 동안, 시멘트는 트레이 내부에 쌓여서 트레이에서 세척되어야 한다.
트레이를 세척하기 위해, 외바퀴 손수레는 사용자에 의해 기울어져, 지면에 놓이거나 추가 보조 사용자에 의해 홀딩(hold)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더러워진 물과 시멘트를 지면이나 배수구로 씻겨 내려간다. 세척되어야 할 도구 및 장비에 대하여, 예를 들어 시멘트가 묻은 트라월(trowel) 또는 페인트가 과다한 페인트 브러시와 유사한 프로세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 및 장비를 세척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고형물(solid)과 오염된 물을 포함한 폐기물 처리와 관련이 있다. 외바퀴 손수레 세척과 관련된 문제는 외바퀴 손수레를 홀딩하거나 두 사람이 필요한 불편함과 관련이 있다. 다른 문제는 더러워진 물과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폐 시멘트 처리와 관련이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상기 식별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 1 주요 양태에 따르면,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wheelbarrow)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리셉터클, 끼워진 상태(fitted condition)에서는 상기 리셉터클에 맞는(fittable) 필터 및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리셉터클 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tipped orientation)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지 배열체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리셉터클은 그 전방벽에 절개부(cut out)를 갖는 터브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절개부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의 적어도 리딩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다른 양태에서, 터브는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 대향하는 측벽, 베이스 및 스커트 림(skirting rim)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지지 배열체(support arrangement)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의 리딩 부분과 맞닿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지지부(tray suppor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지지 배열체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의 리딩 부분의 대향 측면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 개의 트레이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지지 배열체는 2 개의 트레이 지지부가 림에 대해 상승된 제 1 위치와 필터가 2개의 트레이 지지부와 림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림 근처로 2 개의 트레이 지지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터브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배열된 2 개의 트레이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2 개의 트레이 지지부는 절개부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2 개의 트레이 지지부 각각은 바디 및 트레이의 리딩 부분과 맞물리도록 적응된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바디는 절개부의 대향 측면에 근접하여 터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2 개의 트레이 지지부 각각의 돌출부는 절개부를 실질적으로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방위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2 개의 트레이 지지부 각각은 상이한 크기의 트레이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지지 배열체는 외바퀴 손수레를 기울어진 방위로 고정시키도록 배열된 밧줄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밧줄은 절개부의 대향 측면에서 터브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탄성 스트랩(elastic strap)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절개부는 트레이의 리딩 부분을 기울어진 방위로 거침(cradle)으로써 지지 배열체를 제공하도록 형상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절개부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의 리딩 부분의 밑면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어 상기 지지 배열체의 밑면 지지부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절개부는 림으로부터 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중간 섹션으로 연장되는 대향 측면 섹션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간 섹션은 트레이가 리셉터클에 대해 외바퀴 손수레의 휠을 상승시키지 않고 그 위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간 섹션은 중간 섹션과 베이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벽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 베이스에 대해 상승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간 섹션은 그 최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간 립(intermediate lip)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간 립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터브의 정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향 측면 섹션은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를 기울어진 방위에서 거치하도록 형상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향 측면 섹션은 절개부가 중간 섹션을 향해 좁아 지도록 형상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향 측면 섹션은 중간 섹션을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져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측면 섹션은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가 기울어진 방위에서 지탱되는 측면 립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리셉터클의 내측 표면을 실질적으로 정렬시키도록 형상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터브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된 필터 바디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터브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그 전방벽에 절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 대향 측벽, 베이스 및 실질적으로 후방벽, 대향 측벽의 최상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벽의 최상부에 연장되는 스커트 플랩(skirting flap)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의 스커트 플랩은 끼워진 상태에서 터브의 스커트 림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끼워진 상태에서 절개부 최상부로 연장되도록 적응된 중간 플랩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핸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의 스커트 플랩은 복수의 핸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향하는 측벽, 후방벽 및 중간 플랩에서의 스커트 플랩 부분은 각각 핸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적응된 여과 물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여과 물질은 터브에 끼워지도록 사전 성형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여과 물질은 종이, 셀룰로오스, 대마, 바나나 섬유 및 재활용 직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터브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터브의 내측 표면은 필터를 통해 배출구를 향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 시키도록 형상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에 인접한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해 매끄럽지 않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에 인접한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를 통한 유체를 보조하도록 배열된 주름(corrugation), 돌출부, 마루(ridge), 애퍼처(aperture) 및 리세스(rece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터브는 베이스에 근접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배출구는 호스에 끼워지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배출구는 처리 디바이스에 끼워지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통과하는 유체의 pH를 변경하도록 적응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터브 및 필터의 최상부에 안착되도록 적응된 착탈 가능한 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터브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수집하도록 적응된 저장소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저장소는 터브 및 외바퀴 손수레가 위치될 수 있는 바디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바디는 터브 및 외바퀴 손수레가 위치될 수 있는 플랫폼 및 플랫폼으로의 램프(ramp)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터브의 베이스는 외바퀴 손수레가 기울어진 방위로 지지될 수 있는 초기 상태와 터브가 경사진 배수 상태에서 자체 지지되는 경사진 상태 사이에서 터브가 이동 가능하도록 경사진다.
제 2 주요 양태에 따르면, 상기에서 및 여기에서 정의된 장치에 적합한 필터가 제공된다.
제 3 주요 양태에 따르면, 상기에서 및 여기에서 정의된 장치를 위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 4 주요 양태에 따르면, 상기에서 및 여기에서 정의된 장치를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는 플랫폼이 제공된다.
제 5 주요 양태에 따르면, 상기에서 및 여기에서 정의된 장치용 터브가 제공된다.
제 6 주요 양태에 따르면, 외바퀴 손수레로부터 세척된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터브용 필터가 제공되며, 상기 필터는 터브,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 대향 측벽, 베이스의 절개부에 대응하여 그 전방벽에서의 절개부 및, 실질적으로 후방벽, 대향 측벽의 최상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벽 및 절개부의 최상부에 연장되는 스커트 플랩(skirting flap)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필터는 터브에 끼워지도록 사전 성형된다.
다른 양태에서, 스커트 플랩은 하나 이상의 핸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스커트 플랩은 절개부, 후방벽 및 각각의 대향 측벽에 인접한 핸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는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적응된 여과 물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여과 물질은 가요성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여과 물질은 종이, 셀룰로오스, 대마, 바나나 섬유 및 재활용 직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 7 주요 양태에 따르면, 유체를 사용하여 도구 또는 장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리셉터클, 끼워진 상태에서 리셉터클에 맞는 필터 및 유체 및 임의의 제거된 고형물이 리셉터클의 필터에 수집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에 대하여 세척 도구 또는 장비를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지 배열체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장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터브를 포함하고, 필터는 터브의 내측 표면에 끼워서(fittingly) 실질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상화된다.
다른 양태에서, 터브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터브의 내측 표면은 필터를 통해 배출구를 향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 시키도록 형상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에 인접한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해 매끄럽거나 편평하지 않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필터에 인접한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를 통한 유체를 보조하도록 배열된 주름(corrugation), 돌출부, 마루(ridge), 애퍼처(aperture) 및 리세스(rece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터브는 베이스에 근접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제 8 주요 양태에 따르면,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키트가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리셉터클을 갖는 터브, 끼워진 상태에서 리셉터클에 맞는 사전 형성된 필터 및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중력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셉터클에 대해 외바퀴 손수레를 기울어진 방위에서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체 배열체를 포함한다.
제 9 주요 양태에 따르면,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 지표면 상에 터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터브의 리셉터클에 필터를 끼우는 단계; 적어도 외바퀴 손수레의 리딩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 위에 그리고 상기 터브의 절개부에 의해 수용되는 외바퀴 손수레를 초기 방위로 터브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리셉터클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로 들어 올리는 단계; 지지 배열체를 이용하여 외바퀴 손수레를 기울어진 방위에서 홀딩(hold)하는 단계;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에 세척 유체를 인가하는 단계; 및 필터내 고형 물질을 포획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및 포획된 고형 물질을 폐기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 10 주요 양태에 따르면,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가 제공되며, 상기 스탠드는 트레이 내의 물질 또는 유체가 트레이로부터 지지 표면을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를 갖는 외바퀴 손수레를 지지하도록 적응된다.
제 11 주요 양태에 따르면,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시스템은 : 리셉터클;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 또는 유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리셉터클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에서 지지하도록 적응된 스탠드; 및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셉터클 사이에 위치된 필터를 포함한다.
제 12 주요 양태에 따르면,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지지하는 단계로서, 트레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 위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유체 물질 혼합물이 상기 트레이로부터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로 통과되도록 필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체 물질 혼합물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일부 고형 물질이 상기 필터에 의해 포획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내의 상기 유체 물질 혼합물이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 유체를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 제한적인 예로서 단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사시 정면도이다.
도 2는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장치의 제 1 예 및 기울어진 방위(tipped orientation)의 외바퀴 손수레를 예시하는 사용시 측면 은폐 상세도이다.
도 7은 기울어진 방위에 장치 및 외바퀴 손수레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후방 사시도이고, 지지 배열체(support arrangement)의 트레이 지지부(tray support)는 외바퀴 손수레와 맞물린 제 2 위치에 있다.
도 8은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후방 사시도이고, 지지 배열체의 트레이 지지부는 외바퀴 손수레와 맞물리기 전 제 1 위치에 있다.
도 9는 장치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내부에 저장소를 갖는 플랫폼 상에 위치된 기울어진 방위에 장치 및 외바퀴 손수레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플랫폼 상에 위치된 기울어진 방위에 장치 및 외바퀴 손수레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사시 정면도이다.
도 12는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사시 정면도이다.
도 13은 장치의 제 2 예를 예시한 분해도이다.
도 14는 장치의 제 2 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장치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장치의 제 3 예를 예시하는 사시 후방 측면도이다.
도 17은 장치의 제 3 예를 예시하는 측 단면도이다.
도 18은 장치의 제 3 예를 예시한 분해도이다.
도 19는 장치의 제 3 예의 전방 아래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장치의 제 3 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전개된 상태에서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의 제 4 예의 스탠드(stand)를 예시하는 사시 정면도이다.
도 22는 전개된 상태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를 예시한 사시 배면도이다.
도 23은 전개된 상태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전개된 상태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를 예시한 배면도이다.
도 25는 전개된 상태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스탠드가 적재 상태(stowed condition)를 향해 접히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스탠드 위에 기울어지고 상승된 상태에 외바퀴 손수레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필터를 갖는 용기 및 스탠드를 포함하는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 예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외바퀴 손수레(12)와 같은 도구 및 장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10)의 제 1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구 및 장비는 고형 물질, 슬러리 및 잔해와 같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과 같은 세척 유체를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장치(10)는 리셉터클(receptacle)(16)을 제공하는 터브(tub)(14), 끼워진 상태(fitted condition)에서는 리셉터클(16)에 맞도록 형상화된 필터(18) 및 리셉터클(16)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tipped orientation)로 외바퀴 손수레(12)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홀딩하도록 구성된 지지 배열체(19)를 포함한다.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12)의 트레이(20) 내의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리셉터클(16)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질을 리셉터클(16)로 씻어내기 위해 물과 같은 세척 유체가 트레이(20)에 인가되고 고형 물질은 필터(1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획되고 물은 필터(18)를 통과한다.
터브(14)는 절개부(cut out)(24)을 갖는 전방벽(22), 전방벽(22)에 대향하는 후방벽(26), 대향하는 측벽(28), 베이스(base)(30) 및 후방벽(26), 대향하는 측벽(28)의 최상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벽(22)의 최상부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스커트 림(skirting rim)(32)을 포함한다. 스커트 림(32)은 개별 벽(22, 26, 28)과 동일하거나 더 넓은 폭일 수 있다.
터브(14)의 벽(22, 26, 28)은 리셉터클(16) 내로 개구(34)를 형성하고, 베이스(30)의 플랫폼 영역이 개구(34)보다 작도록 베이스(30)를 향해 약간 테이퍼져 있다.
절개부(24)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적어도 트레이(20)의 리딩 부분(leading portion)(36)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되며, 절개부(24)와 트레이(20) 사이의 끼움에 의존하여 트레이(20)를 거치하고(cradle)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절개부(24)는 외바퀴 손수레(12)를 기울어진 방위에서 지지하고 홀딩함으로써 지지 배열체(19)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절개부(24)는 리셉터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트레이(20)와 직접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절개부(24)는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 지지부(48)와 조합하여 지지 배열체(19)의 일부를 형성한다.
절개부(24)는 스커트 림(32)으로부터 림(32)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베이스(3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간 섹션(40)으로 연장되는 대향 측면 섹션(38)을 포함한다. 중간 섹션(40)의 높이는 트레이(20)가 리셉터클(16)에 대해 외바퀴 손수레(12)의 휠(42)을 상승시키지 않고 그 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이는 휠(42)이 일반적으로 전체 외바퀴 손수레(12)의 상승 없이 또는 들어 올림 없이 지표면과 컨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중간 섹션(40)은 최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간 립(intermediate lip)(44)을 포함한다. 중간 립(44)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터브(14)의 전방벽(2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대향 측면 섹션(38)은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12)의 트레이(20)를 거치하도록 형상화되고 만곡지거나 또는 경사져서 절개부(24)는 중간 섹션(40)을 향해 좁아진다. 측면 섹션(38)은 외바퀴 손수레(12)의 트레이(20)가 기울어진 방위로 지탱되는 개별 측면 립(46)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지지 배열체(19)는 기울어진 방위로 트레이(20)의 리딩 부분(36)과 맞닿도록 배열된 한 쌍의 트레이 지지부(48)를 포함한다. 한 쌍의 트레이 지지부(48)는 외바퀴 손수레(1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정지부(stop)를 제공하는 동시에 트레이(20)의 림을 끼워서 홀딩하는 리테이너(retainer)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 예에서, 트레이 지지부(48)는 절개부(24)에 인접한 전방벽(22)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50) 및 트레이(20)의 리딩 부분(36)과 맞물리도록 적응된 바디(50)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5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트레이 지지부(4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며, 여기서 트레이 지지부(48)는 림(3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되어 필터(18)가 끼워지는 것을 허용한다. 필터(18)가 맞으면, 트레이 지지부(48)는 필터(18)의 최상부의 림(32)에 인접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지지부(48)는 또한 필터(18)를 제자리에 포획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예에서, 돌출부(52)는 그것들 사이에 더 좁은 갭을 정의하는 후방의 가장 큰 돌출부(54) 및 그것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갭을 정의하는 전방의 가장 작은 돌출부(56)를 포함한다. 이는 돌출부(52)가 상이한 크기를 갖는 트레이(20)와 맞닿게 한다. 돌출부(52) 사이의 노치(notch)(58)는 또한 외바퀴 손수레를 기울어진 방위에서 보유하기 위해 트레이(20)의 림을 포획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예에서, 트레이 지지부(48)는 생략될 수 있으며, 특히 절개부(24)는 트레이(20)를 단단히 홀딩하도록 적응된다. 더구나, 다른 예에서, 트레이 지지부(48)는 아래의 제 2 예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배열체(19)는 외바퀴 손수레(12)를 기울어진 방위로 고정하도록 배열된 밧줄(tether)(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밧줄(60)은 절개부(24)의 대향 측면에서 터브(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적응된 대향 단부에 후크(hook)(64)를 갖는 탄성 스트랩(elastic strap)(62)이다. 스트랩(62)은 세척 특별히, 보다 격렬한 세척 및 문지르기(scrubbing) 동안 외바퀴 손수레(12) 주위를 통과하여 외바퀴 손수레(12)를 고정 시킬 수 있다.
이제 필터(18)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터(18)는 리셉터클(16)의 내측 표면(62)을 실질적으로 정렬시키도록 미리 형상화될 수 있다. 필터(18)는 터브(14)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된 필터 바디(64)를 포함한다. 필터 바디(64)는 절개부(68)를 갖는 전방벽(66), 후방벽(70), 대향하는 측벽(72) 및 베이스(74)를 포함한다. 절개부(68)는 터브(14)의 절개부(24)에 대응한다.
스커트 플랩(76)은 실질적으로 후방벽(70), 대향하는 측벽(72)의 최상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벽(66)의 최상부에 연장된다. 필터(18)의 스커트 플랩(76)은 끼워진 상태에서 터브(14)의 스커트 림(32)의 최상부에 배열된다. 필터(18)는 끼워진 상태에서 절개부(24) 최상부로 연장되도록 적응된 중간 플랩(78)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대향하는 측벽들, 후방벽 및 중간 플랩에서의 핸들 스커트 플랩(76)은 각각 핸들(80)을 포함한다. 핸들(80)은 일반적으로 필터(18)의 걸쇠(clasp)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터브(14)에 돌출하여 연장된다.
물질의 관점에서, 필터(18)는 종이, 셀룰로오스, 대마(hemp), 바나나 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인조 직물 및 재활용 직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 물질은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여과된 고형 물질은 시멘트 및 이의 일부, 예를 들어 모래 및 자갈일 수 있다. 유체는 필터(18)를 통과하여 리셉터클(16)의 베이스(30)를 향하는 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이 예에서, 여과 물질은 약 180 GSM의 중량 및 5-10㎛의 세공 보유 크기(pore retention size)를 갖는 단일 계층 셀룰로오스를 갖는 여과지(filter paper)일 수 있다. 여과지는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로 습식 강화될 수 있다. 세척 유체는 필터를 통해 배출하는데 약 20 분이 걸릴 수 있다. 여과 프로세스는 최저 지점의 필터에 안착된 포획된 고형물/침전물이 2 차 필터로서 작용할 때 '필터 케이크(filter cake)'로 알려진 현상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터브(14)는 리셉터클(16)이 배출되는 배출구(82)를 포함하고, 터브(14)의 리셉터클(16)의 내측 표면(62)은 필터(18)를 통해 배출구(82)를 향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 시키도록 적응된다. 리셉터클(16)의 내측 표면(62) 일반적으로 터브(14)의 중앙 및 후면을 향해 경사지고 배출구(82)는 터브(14)의 중앙 및 후면에 제공된다.
필터(18)에 인접한 내측 표면(62)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필터(18)에 대해 매끈하지 않거나 평평하지 않게 됨으로써 필터(18)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 시키도록 적응된다. 보다 상세하게, 이 예에서, 필터(18)에 인접한 내측 표면(62)은 본질적으로 유체가 필터(18)를 통과하여 배출구(8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도록 골(trough)(86)를 통해 공간 또는 도관을 제공하면서 필터(18)를 지지하는 마루(ridge)(84) 및 골(86) 형태의 표면 피처(feature)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마루(84) 및 골(86)이 제공되면서, 내측 표면(62)에는 예컨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름(corrugation), 돌출부, 마루, 애퍼처(aperture) 및 리세스(recess)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표면 피처가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표면 피처는 또한 필터(18) 아래에 끼워지는 예를 들어, 와이어 메쉬 바스켓(wire mesh basket)과 같은 별도의 부품 또는 인서트(insert)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출원에서 고려된다.
배출구(82)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출구(82)는 호스(88) 및/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90)에 끼울 수 있게 배열된다. 이 예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90)는 통과하는 유체의 pH를 변경 시키도록 적응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90)는 하우징(92) 및 하우징(92) 내의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 백(94) 내에 보유된 이온 교환 매체(93)를 포함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90)는 일부 예에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온 교환 매체(93)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와 같은 양이온 교환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예들에서, 장치(10)는 필터(18) 자체를 생략할 수 있고, 아마도 배출구(82)와 유체 처리 디바이스(90) 또는 호스(88) 사이에 사전 또는 사후 필터를 갖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9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이 본 출원에서 고려된다.
장치(10)는 터브(14) 및 필터(18)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적응된 착탈 가능한 트레이 또는 터브(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착탈 가능한 트레이(96)는 림(32)의 최상부에 안착되는 배출 개구 및 날개(wing)(98)를 갖는 리셉터클(97)을 포함한다. 착탈 가능한 트레이 또는 터브(96)는 더 작은 도구 및 장비를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절개부(24)는 생략될 수 있고 터브(14) 및 필터(18)는 외바퀴 손수레 이외의 도구 및 장비를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부 예에서, 장치(10)는 터브(14)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수집하도록 적응된 저장소(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99)는 터브(14) 및 외바퀴 손수레가 위치될 수 있는 플랫폼(87)을 제공하는 바디(85) 내에 제공된다. 바디(85)는 플랫폼(87)으로의 램프(89)를 포함한다. 저장소(99)는 호스(88) 및/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90)에 연결될 수 있는 유입구(91)를 포함한다. 저장소(99)는 일시적인 폐기물 저장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터브(14) 및 다른 컴포넌트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의 컴포넌트는 함께 기능하는 시스템 또는 키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브, 필터, 플랫폼 저장소 및 유체 처리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의 컴포넌트는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시, 외바퀴 손수레(12)를 유체로 세척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저장소(99)의 지표면 또는 플랫폼(87)에 터브(14)를 위치시킨다. 트레이 지지부(48)는 상승될 수 있고, 필터(18)는 터브(14)의 리셉터클(16)에 끼워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트레이 지지부(48)는 필터(18)를 고정시키기 위해 낮춰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외바퀴 손수레(12)는 초기 방위에서 터브(14)를 향해 이동되고 외바퀴 손수레(12)의 적어도 리딩 부분(36)은 리셉터클(16) 위로 그리고 터브(14)의 절개부(24)에 의해 수용된다. 그런 다음 외바퀴 손수레(12)는 리셉터클(16)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위로 이동되어 외바퀴 손수레(12)의 트레이(20) 내의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리셉터클(16) 내로 이동 가능하다. 트레이는 외바퀴 손수레(12)를 기울어진 방위로 홀딩하기 위해 지지 배열체(19)의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지지부(48)와 맞닿는다. 외바퀴 손수레(12)는 선택적으로 밧줄(60)로 기울어진 방위에서 보유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물과 같은 세척 유체가 외바퀴 손수레(12)의 트레이(20)에 인가되고, 고형물 및 물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혼합물이 리셉터클(16) 내로 씻겨진다. 외바퀴 손수레(12)는 이 시점에서 제거될 수 있거나 건조하기 위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고형 물질은 필터(18) 내에 실질적으로 포획되고 유체는 배출구(82)를 통해 호스(88) 및/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90)로 통과한다. 그런 다음 유체는 물에 더 가까운 pH, 즉 약 7의 pH로 조절되도록 처리된다. 일단 유체가 필터(18)를 통과하고 나면, 외바퀴 손수레(12)가 제거되고(이미 수행되지 않은 경우) 트레이 지지부(48)는 필터(18)를 방출하도록 상승될 수 있다. 필터(18)는 그런 다음 핸들(80)을 통해 제거될 수 있고 필터 및 고형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외바퀴 손수레, 장비 및 도구는 단일 필터(18)를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시멘트로 막히는 것과 같이 여과를 억제하는 지점까지 더러워지면, 필터가 교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폐수 및 시멘트와 같은 임의의 고형 물질을 포획하면서 외바퀴 손수레 및 도구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포획된 물질을 안전하게 폐기하기 위해 필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나머지 물은 폐기 또는 처리를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지지 배열체는 외바퀴 손수레를 핸즈 프리 세척을 위해 홀딩되는 것을 허용하고 통합된 절개부는 전체 외바퀴 손수레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외바퀴 손수레를 기울일 수 있다. 도구는 터브 위의 세척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고 폐수가 함유되게 하면서 외바퀴 손수레와 도구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제 2 예
이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유사한 숫자의 시퀀스는 유사한 부분(즉, 10, 110 등)을 나타내는 장치(110)의 제 2 예가 제공된다. 장치(110)의 이 제 2 예의 많은 컴포넌트는 전술한 제 1 예와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오히려, 주요 피처와 차이점이 강조된다.
장치(110)의 제 2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치(110)의 제 2 예는 제 1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터브(114)는 조립 상태에서 함께 끼워진 하단 터브 섹션(115) 및 상단 터브 섹션(117)을 포함하는 두 부분으로 제공된다.
상단 터브 섹션(117)은 외바퀴 손수레(12)의 트레이(20)를 지지하고 거치하도록 형상화되는 그 전방벽(122)에 절개부(124)을 갖는 지지 배열체(119)를 포함하고 그리고 트레이 지지부(148)는 상단 터브 섹션(117)의 대향하는 측벽(128)에 일체로 형성된다. 트레이 지지부(48)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에 대한 정지부(stop)를 제공하기 위해 트레이(20)의 폭보다 좁은 갭을 정의하도록 서로를 향해 방위된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제 1 예와 같이, 돌출부(152)는 그것들 사이에 더 좁은 갭을 정의하는 후방의 가장 큰 돌출부(154) 및 그것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갭을 정의하는 전방의 가장 작은 돌출부(156)를 포함한다. 이는 돌출부(152)가 상이한 크기를 갖는 트레이(20)와 맞닿게 한다. 장치(110)는 또한 트레이 지지부(48)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를 보유하기 위한 밧줄(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터브 섹션(115)은 베이스(130), 대향하는 측벽(129), 대향하는 전방벽 및 후방벽(131) 및 스커트 림(skirting rim)(132)을 포함한다. 하단 터브 섹션(115)은 필터(118)가 끼워서 수용되는 개구(134)를 정의하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리셉터클(116)을 제공한다. 제 1 예 와 같이, 리셉터클(116)의 내측 표면(162)은 편평하거나 매끄럽지 않으며 필터(118)를 통한 유체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마루(184) 및 골(186)를 포함한다.
그러나, 물론 애퍼처, 파도 모양(undulation) 등과 같은 다른 표면 피처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배출구(182)는 호스(188) 및/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90)가 끼워질 수 있는 베이스(130)에 인접한 후방벽에 위치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190)는 제 1 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 예에서, 필터(118)는 하단 터브 섹션(115)에 맞도록 직사각형 형상이고, 전방벽(168), 후방벽(170), 대향하는 측벽(172) 및 베이스(174)를 포함한다. 스커트 플랩(skirting flap)(176)은 벽(168, 170, 172) 주위로 연장된다. 스커트 플랩(176)은 하단 터브 섹션(115)의 스커트 림(132) 위로 연장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플랩(176)은 사용 동안에 필터(118)를 제자리에 보유하는 것을 보조하는 상단 및 하단 터브 섹션(115, 117) 사이에서 포획될 수 있다. 필터(118)의 물질은 제 1 예와 동일할 수 있고 여기서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필터(118)는 상단 및 하단 터브 섹션(115, 117)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될 때 필터(118)를 제거하기 위해 액세스 가능한 핸들(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예는 또한 사용시에 상단 터브 섹션(118)의 최상부에 안착되는 착탈 가능한 트레이(19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또한 제 1 예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필터(118)는 상단 터브 섹션(117)이 하단 터브 섹션(115)에 끼워지기 전에 하단 터브 섹션(115) 내에 설치된다.
제 3 예
이제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유사한 숫자의 시퀀스는 유사한 부분(즉, 10, 210 등)을 나타내는 장치(210)의 제 3 예가 제공된다. 장치(210)의 이 제 3 예의 많은 컴포넌트는 상술된 제 1 예와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오히려, 주요 피처와 차이점이 강조된다.
장치(210)의 제 3 예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210)의 제 3 예는 다시 제 1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터브(214)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전체적인 수평 위치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상화된다.
보다 상세하게, 이 예에서, 터브(214)는 하단 부분(215)과 상단 부분(217) 사이에 단차(step)(219)가 제공되도록 상단 부분(217)에 단차가 있는 하단 부분(215)을 갖는 리셉터클(216)을 포함한다. 단차(219)는 터브(14)는 하단 부분(215)의 베이스(230) 상에 놓이거나 또는 터브가 개별적으로 하단 부분(215) 및 상단 부분(217)의 코너(221, 223) 상에 놓이는 각진 위치로 롤오버(roll over)될 수 있게 한다.
단차(219)는 터브(14)가 물질 및 해당 물질 내에 고형 물질로 축적된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하여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통해 하단 부분(215)에 더 많이 축적되거나 쌍이게 한다. 이 기울어진 방위에서, 단차(219)는 하단 부분 및 상단 부분(215, 217) 사이에 분배기(227)를 제공하여, 물질 즉 고체가 적은 유체가 상단 부분(217)에 존재한다. 이는 상단 부분에 필터(218)를 차단하는 더러워진 물질이 적을수록 필터(218)가 보다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돕는다. 단차(219)는 또한 호스(288) 및/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290)가 위치될 수 있는 누크(nook)(229)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터브(214)는 하단 부분 및 상단 부분(215, 271)에 개별적으로 2 개의 배출구(282a, 282b)를 포함한다. 2 개의 배출구(282a 및 282b)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집된 고형 물질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진 위치에서 상승된다.
2 개의 배출구(282a 및 282b)는 도관(283a, 283b)을 통해 내부적으로 유체 처리 디바이스(290)에 연결되어 경사진 위치에서 리셉터클(216)의 하단 부분 및 상단 부분(215, 217)의 가장 낮은 지점에서 경로(A 및 B)를 통한 유체 배출을 허용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290)는 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호스(288)에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필터(218)는 예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필터(218)의 형상은 또한 터브(214)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차(231)를 포함한다. 장치(210)는 예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절개부(224) 및 트레이 지지부(248)를 포함하고, 이러한 부분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사용시, 터브(214)는 초기에 외바퀴 손수레(12)의 리딩 부분(36)이 절개부(224)에 의해 수용되고 트레이 지지부(48)에 의해 지지되거나 위치되는 초기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밧줄(260)은 외바퀴 손수레(12)를 터브(214)에 보유 및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외바퀴 손수레(12)의 밧줄은 전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자립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단 외바퀴 손수레(12)가 세척되고 고형물 및 물을 포함하는 물질이 터브(214)의 리셉터클(216)내에 있다. 외바퀴 손수레(12)는 터브(214)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터브(214)는 배출구(282a, 282b)로부터의 배수를 허용하도록 각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214)는 필요에 따라 여과 및 배수를 보조하기 위해 요동(rock)될 수 있다. 필터(218)는 일단 더러워지면 제거되고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제 4 예
도 21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외바퀴 손수레(312)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310) 형태의 장치(305)의 제 4 예가 도시된다. 스탠드(310)는 외바퀴 손수레(312)의 트레이(316) 내의 물질 또는 유체가 트레이(316)로부터 지지 표면(314)을 향한 방향으로 중력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표면(314)에 대하여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방위에서 상승되도록 외바퀴 손수레(312)를 지지하도록 적응된다.
스탠드(310)는 지지 표면(314)에 대해 배열된 리셉터클(322)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320)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어서, 상승된 기울어진 방위에서 트레이(316)로부터의 물질 또는 유체가 리셉터클(322)을 향하고 포획되도록 한다.
리셉터클(322)은 트레이(316) 내의 물질 또는 유체가 트레이(314)로부터 리셉터클(322)을 향한 방향으로 중력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리셉터클(314)은 유체 또는 물질을 수집, 포획, 지향(direct) 또는 좁은 통로로 흐르게(funnel)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일 수 있고, 용기, 터브, 컨테이너, 파이프, 깔때기, 배수구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리셉터클(322)은 터브 또는 용기(32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표면(314)의 배열은 단차(stepped) 표면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면, 또는 직선형 또는 경사진 지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3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탠드(310)는 외바퀴 손수레(312)의 제 1 부분(330)이 지지될 수 있는 제 1 지지부(328) 및 외바퀴 손수레(312)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기울어진 방위에서 보유하기 위해 제 1 부분(330) 위에 상승된 외바퀴 손수레(312)의 제 2 부분(334)을 지지하도록 적응된 제 2 지지부(332)를 갖는 프레임(326)을 포함한다. 스탠드(310)는 스탠드(310)의 리딩 또는 유입구 단부(343)를 향한 제 1 레그(leg)(342) 및 스탠드(310)의 대향 단부(345)를 향한 제 2 레그(344)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328)는 외바퀴 손수레(312)의 휠 단부(336)를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제 2 지지부(332)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312)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유하도록 트레이(316) 및 핸들(338)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제 1 지지부(328)는 외바퀴 손수레가 기울어진 방위로 피벗되고 제 2 지지부(332)와 맞물릴 수 있는 휠 정지부(wheel stop)(3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지지부(328)는 2 개의 이격된 길이방향 프로임 부재(346) 각각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342, 344)를 통해 지지 표면(14) 위로 상승된 2 개의 이격된 길이 방향 프레임 부재(346)를 갖는 프레임(326)의 전체적으로 수평 섹션이다.
휠 정지부(340)는 길이 방향 프레임 부재(346)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크로스 부재(348)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328)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328)를 갖는 개방 프레임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제 1 지지부(328)은 외바퀴 손수레(312)의 휠 단부(336)를 지지하기 위한 플랫폼 또는 다른 수단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332)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316)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암(35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암(350)은 트레이(316)의 대향 측면을 탄성적으로 홀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튀어 오를 수 있다(예컨대, 스프링 스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350)은 벌어지고 암들(350) 사이에서 트레이(316)의 끼워 맞춤 보조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회전된 단부(356)를 포함한다.
스탠드(310)는 제 1 지지부(328)에 리딩되고 제 1 지지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바퀴 손수레(312)가 램프(352)를 제 1 지지부(328)로 휠업(wheel up)하도록 배열된 램프(35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342, 344) 및 램프(352)는 외바퀴 손수레(312)가 기울어진 방위로 지지될 수 있는 전개된 상태와 일반적으로 평평한 적재 상태 사이에서 스탠드(310)가 접힐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다.
이 예에서, 한 쌍의 암(350)은 한 쌍의 암(350)과 제 2 레그(344)가 서로 동시에 접히도록 제 2 레그(44)의 개별 레그와 각각 연접될 수 있다. 램프(352)는 제 1 레그(342)보다 넓고, 적재 상태에서 제 1 레그(34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그 밑면에 리세스(3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레그(344)는 파스너(349)(볼트 또는 핀과 같은)가 제 1 지지부(328)의 대응하는 개구(351)에 끼워질 수 있는 개구(347)를 포함하여, 끼워진 배치 상태에서 제 2 레그(344)의 잠금을 허용한다. 제 1 레그(342)는 90도 지나서 회전되고 제 1 지지부(328)와 맞닿아서 스탠드(310)의 중량에 의해 보유되는 것에 유의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상세하게 시스템(320)으로 돌아가면, 시스템(320)은 바람직하게는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312)의 트레이(316) 아래에 배열된 용기(324)와 함께 배열된다. 용기(324)는 일반적으로 제 2 레그(344)를 이용하여 용기(324)에 프레임(326)의 2 개의 이격된 길이 방향 프레임 부재(346) 아래에 끼워진다. 암(350)은 세척 유체(예를 들어, 물)인 트레이에 인가될 때 용기(324)의 일 단부를 향하여 또는 용기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고, 트레이(316) 내의 유체 물질 혼합물은 중력을 통해 용기(324)를 향해 그리고 용기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320)은 트레이(316)와 용기(324)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필터(360)를 더 포함한다. 필터(360)는 유체 물질 혼합물의 고형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획하여 이러한 물질을 세척 유체로부터 분리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세척 유체는 비교적 청결하게 유지되며 상기 예 1 내지 3에 따라 재사용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필터(360)는 용기(324)의 개구에 걸쳐 고정될 수 있거나 프레임(310)으로부터 현수(suspend)될 수 있다. 필터(3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오 패브릭(geo-fabric) 또는 종이, 대마 등과 같은 여과 물질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필터(360)는 용기(324)에 끼워지도록 적응된 카트리지 또는 유닛과 같은 착탈 가능하거나 교체 가능할 수 있다. 필터(360)의 사용은 필터(360)를 통과한 함유된 물의 재사용을 허용한다. 다음 날 시멘트 믹서에 다시 넣거나 작은 수중 펌프를 이용하여 다른 장소로 펌핑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용기(324)는 초과 세척된 물이 중력을 통해 다른 위치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밸브 및 탭(ta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마개 구멍(hole) 및 용기(324)의 바닥 위로 100mm 위에 호스가 부착된 플러그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바퀴 손수레 스탠드(310)의 높이는 더 높은 측면을 갖는 용기(324)에 맞도록 올려질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320)을 사용하여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는 방법으로 돌아가면, 방법은 일반적으로 램프(352)를 사용하여 외바퀴 손수레(312)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제 1 지지부(328)에서 그 휠 단부(336)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휠 단부(336)는 휠 정지부(340)와 맞닿고 핸들(338)은 트레이(316)가 제 2 지지부(332)에 의해 이 예에서 트레이(316)의 대향 측면을 탄력적으로 포획 및 지지하는 암(350)에 의해 지지되는 기울어진 방위로 피벗되도록 들어 올려진다. 그런 다음, 트레이(316)가 용기(324) 위에 위치된 기울어진 방위에서 외바퀴 손수레(312)가 지지된다. 스탠드(310)가 적재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먼저 이동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부 예들에서, 필터(360)는 실질적으로 유체 물질 혼합물이 트레이(16)로부터 필터(360)를 통해 용기(324) 내로 통과되도록 배열되고; 및 유체 물질 혼합물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일부 고형 물질이 필터(360)에 의해 포획되고 트레이(316) 내의 유체 물질 혼합물이 용기(324)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트레이(316)에 물과 같은 세척 유체를 인가한다. 물질 필터일 수 있는 필터(360)는 수집된 고형물과 함께 버려질 수 있으며, 포획된 물은 재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구 및 장비, 특히 외바퀴 손수레의 쉽고, 편리하며,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관련 시스템 및 사용 방법의 예가 설명되었다.
제공된 예는 폐수와 시멘트와 같은 고형 물질을 포획하면서 외바퀴 손수레와 도구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포획된 물질을 안전하게 폐기하기 위해 필터가 제거될 수 있으며, 나머지 물은 폐기 또는 처리를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지지 배열체는 외바퀴 손수레를 핸즈 프리 세척을 위해 홀딩되는 것을 허용하고 통합된 절개부는 전체 외바퀴 손수레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외바퀴 손수레를 기울일 수 있다. 도구 또는 다른 장비는 터브 위의 세척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고 폐수가 함유되게 하면서 외바퀴 손수레와 도구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한다.
필터는 끼움이 용이하도록 사전 성형될 수 있으며, 함유된 포획 물질의 제거 및 폐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의 내측 표면은 필터를 지나 유체, 전형적으로 물의 이동을 돕는 표면 피처를 포함하고,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보다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현장에서 유체, 특히 폐수가 폐기될 수 있도록 여과 후 유체의 pH를 조정하는 것을 돕는다.
일 예에서, 장치는 외바퀴 손수레가 수집 용기 위에서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상승된 기울어진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외바퀴 손수레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는 쉽게 접고 운반될 수 있다. 스탠드는 스탠드, 수집 용기 및 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의 배열은, 외바퀴 손수레가 수집 용기 위에서 일반적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가 고형 물질을 수집함으로써 안전하게 재사용되거나 폐기될 수 있는 수집 용기에 세척 유체, 전형적으로 물은 남기고 수집된 고형 물질은 버려질 수 있도록 된다.
본 명세서 및 후속하는 청구 범위 전체에서, 문맥 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 그룹을 배제하지 않고 지칭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임의의 공지된 내용 또는 임의의 선행 간행물에 대한 언급은 공지된 내용 또는 종래 기술의 간행물이 이 명세서가 관련된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인정 또는 승인 또는 제안이 아니며, 그렇게 취해져서도 안 된다.
본 발명의 특정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출원에 제공된 개시 내용으로부터 개시되거나 명백한 특징의 대안적인 조합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에 제공된 개시 내용으로부터 개시되거나 명백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70)

  1.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wheelbarrow)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리셉터클, 끼워진 상태(fitted condition)에서 상기 리셉터클에 맞는(fittable) 필터 및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tipped orientation)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지 배열체(support arrangement)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그 전방벽에 절개부(cut out)를 갖는 터브(tub)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적어도 상기 트레이의 리딩 부분(leading protion)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 대향하는 측벽, 베이스(base) 및 스커트 림(skirting rim)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배열체는 상기 트레이의 리딩 부분과 기울어진 방위에서 맞닿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배열체는 상기 트레이의 리딩 부분의 대향 측면을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홀딩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2 개의 트레이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배열체는 2 개의 트레이 지지부가 상기 림에 대해 상승된 제 1 위치와 상기 필터가 상기 2개의 트레이 지지부와 상기 림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림 근처로 상기 2 개의 트레이 지지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터브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배열된 상기 2 개의 트레이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트레이 지지부는 상기 절개부의 대향 측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트레이 지지부 각각은 바디 및 상기 트레이의 리딩 부분과 맞물리도록 적응된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절개부의 대향 측면들에 근접하여 상기 터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트레이 지지부의 각각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절개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서로를 향해 방위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트레이 지지부 각각은 상이한 크기의 트레이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배열체는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고정하도록 배열된 밧줄(tether)을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밧줄은 상기 절개부의 대향 측면에서 상기 터브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탄성 스트랩(elastic strap)인, 장치.
  14.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트레이의 리딩 부분을 기울어진 방위에서 거치(cradle)하도록 형상화되어 지지 배열체를 제공하는, 장치.
  15.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상기 트레이의 리딩 부분의 밑면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어, 상기 지지 배열체의 밑면 지지부를 제공하는, 장치.
  16. 제 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림으로부터 상기 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중간 섹션으로 연장되는 대향 측면 섹션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외바퀴를 상승시키지 않고 그 위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승되어 상기 전방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간 섹션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연장되는,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최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간 립(intermediate lip)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립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상기 터브의 전면으로부터 상대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측면 섹션은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를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거치하도록 형상화되는,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측면 섹션은 상기 절개부가 상기 중간 섹션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상화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측면 섹션은 상기 중간 섹션을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지는, 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섹션은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상기 트레이가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지탱되는 측면 립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리셉터클의 내측 표면을 실질적으로 정렬시키도록 형상화되는, 장치.
  26. 제 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터브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된 필터 바디를 포함하는, 장치.
  27. 제 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터브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그 전방벽에 절개부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 대향하는 측벽, 베이스 및 실질적으로 상기 후방벽, 대향 측벽의 최상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방벽의 최상부에 연장하는 스커트 플랩을 포함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스커트 플랩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터브의 상기 스커트 림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 최상부로 연장되도록 적응된 중간 플랩(intermediate flap)을 포함하는, 장치.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스커트 플랩은 복수의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측벽, 후방벽 및 중간 플랩에서의 스커트 플랩의 일부는 각각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적응된 여과 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물질은 상기 터브에 끼워지도록 미리 성형된,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물질은 종이, 셀룰로오스, 대마, 바나나 섬유 및 재활용 직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37. 제 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은 상기 배출구 쪽으로 상기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도록 형상화되는, 장치.
  38. 제 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인접한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해 매끄럽지 않은, 장치.
  39. 제 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인접한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를 통한 유체를 보조하도록 배열된 주름(corrugation), 돌출부, 마루(ridge), 애퍼처(aperture) 및 리세스(rece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40. 제 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호스에 끼워지도록 배열되는,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처리 디바이스에 끼워지도록 배열되는,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통과하는 유체의 pH를 변경시키도록 적응된, 장치.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터브 및 상기 필터의 최상부에 안착하도록 적응된 착탈 가능한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장치.
  45.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터브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상기 터브 및 상기 외바퀴 손수레가 위치될 수 있는 바디를 포함하는,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터브 및 상기 외바퀴 손수레가 위치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대한 램프(ramp)를 제공하는, 장치.
  48. 제 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베이스는 상기 외바퀴 손수레가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지지될 수 있는 초기 상태와 상기 터브가 경사진 배수 상태에서 자체 지지되는 경사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터브가 이동 가능하도록 경사진, 장치.
  49.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에 적응된 필터.
  50.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용 유체 처리 디바이스.
  51.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용 저장소를 포함하는 플랫폼.
  52.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용 터브.
  53. 외바퀴 손수레로부터 세척된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터브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터브의 절개부에 대응하여 전방벽에 있는 절개부,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 대향 측벽, 베이스 및, 실질적으로 상기 후방벽, 대향 측벽의 최상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방벽 및 상기 절개부의 최상부에 연장되는 스커트 플랩(skirting flap)을 포함하는, 필터.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터브에 끼워지도록 미리 성형된, 필터.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플랩은 하나 이상의 핸들을 포함하는, 필터.
  56.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플랩은 상기 절개부, 후방벽 및 각각의 대향 측벽에 인접한 핸들을 포함하는, 필터.
  57.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체로부터 고형 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적응된 여과 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58.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물질은 가요성인, 장치.
  59.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물질은 종이, 셀룰로오스, 대마, 바나나 섬유 및 재활용 직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60. 유체를 사용하여 도구 또는 장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리셉터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에 맞는 필터 및 상기 유체 및 임의의 제거된 고형물이 상기 리셉터클의 필터에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에 대하여 세척하는 상기 도구 또는 장비를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치 배열체를 포함하는,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터브(tub)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에 끼워서 실질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상화된, 장치.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은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도록 형상화되는, 장치.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인접한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촉진시키도록 매끄럽게 또는 편평하게 되지 않는, 장치.
  64.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인접한 상기 터브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를 통한 유체를 보조하도록 배열된 주름(corrugation), 돌출부, 마루(ridge), 애퍼처(aperture) 및 리세스(rece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장치.
  66.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키트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리셉터클을 갖는 터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에 맞는 미리 성형된 필터 및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에서 홀딩하도록 적응된 지지 배열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키트.
  67. 유체로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지표면 상에 터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터브의 리셉터클에 필터를 끼우는 단계(fitting);
    c. 적어도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리딩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 위에 그리고 상기 터브의 절개부에 의해 수용되는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초기 방위로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로 들어 올리는 단계(lifting);
    e. 지지 배열체를 이용하여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기울어진 방위에서 홀딩(hold)하는 단계;
    f.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에 세척 유체를 인가하는 단계;
    g. 상기 필터내 고형 물질을 포획하는 단계;
    h. 상기 필터 및 포획된 고형 물질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8.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트레이 내의 물질 또는 유체가 상기 트레이로부터 지지 표면을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에서 상기 트레이를 갖는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지지하도록 적응된, 스탠드.
  69.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리셉터클;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 내의 물질 또는 유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기울어진 방위에서 지지하도록 적응된 스탠드;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셉터클 사이에 위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70. 외바퀴 손수레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울어진 방위에서 상기 외바퀴 손수레를 지지하는 단계로서, 트레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 위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유체 물질 혼합물이 상기 트레이로부터 필터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로 통과되도록 상기 필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물질 혼합물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일부 고형 물질이 상기 필터에 의해 포획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내의 상기 유체 물질 혼합물이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 유체를 상기 외바퀴 손수레의 트레이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10705A 2017-09-12 2018-09-11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18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3698A AU2017903698A0 (en) 2017-09-12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Wheelbarrow
AU2017903698 2017-09-12
PCT/AU2018/050981 WO2019051539A1 (en) 2017-09-12 2018-09-11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247A true KR20200059247A (ko) 2020-05-28
KR102180997B1 KR102180997B1 (ko) 2020-11-20

Family

ID=6572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705A KR102180997B1 (ko) 2017-09-12 2018-09-11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276623A1 (ko)
EP (1) EP3681646B1 (ko)
JP (1) JP6826236B2 (ko)
KR (1) KR102180997B1 (ko)
CN (1) CN111479636B (ko)
AU (3) AU2018333834B2 (ko)
CA (1) CA3075519A1 (ko)
SG (1) SG11202002238RA (ko)
WO (1) WO20190515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088A (ko) 2021-02-10 2023-10-1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7493A1 (en) * 2000-11-17 2003-03-13 Schulte David L. Shale shaker
US20030084522A1 (en) * 2001-08-28 2003-05-08 Sam Daniels Wheelbarrow dump ramp
US20080023376A1 (en) * 2003-02-12 2008-01-31 Z Scree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other materials
US20130181406A1 (en) * 2008-01-08 2013-07-18 Oystar North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lacing and attaching formed filters into brewing cup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436A (en) * 1887-04-05 Dumping-platform
US1424451A (en) * 1920-02-03 1922-08-01 Orlando C Crandall Combined sand and gravel screen
US3819070A (en) * 1970-01-07 1974-06-25 Florig Equipment Co Inc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
GB2052311B (en) * 1979-06-01 1982-12-15 Donington J Garden sieve
US4350584A (en) * 1980-06-02 1982-09-21 Donington Jerrold H Garden sieve
DE3231186C2 (de) * 1981-09-30 1985-09-05 Kugler GmbH & Co KG, 7031 Bondorf Behälter zum Entwässern von Schlamm
CN2043897U (zh) * 1989-03-02 1989-09-06 郑昌信 一种手推车式振动筛分砂机
US5143102A (en) * 1990-03-12 1992-09-01 Graymills Corporation High pressure parts cleaner and method
US5335784A (en) * 1992-10-30 1994-08-09 Tyler And Kerouac Manufacturing And Development Dump platform materials screener
JPH08131873A (ja) * 1994-11-08 1996-05-28 Ube Ind Ltd 固結泥土解砕装置
US5624038A (en) * 1995-08-28 1997-04-29 Curtis; Thomas M. Curved free standing garden sieve
US6334538B1 (en) * 1998-11-25 2002-01-01 L. Ronnie Nettles Stall cleaner
US6872029B2 (en) * 1999-08-27 2005-03-29 Kristar Enterprises, Inc. Hard bodied high capacity catch basin filtration system
US6554301B2 (en) * 2001-07-12 2003-04-29 Sterling Handling Equipment, Inc. Rollbar support unit
US20030201616A1 (en) * 2002-04-26 2003-10-30 Friel Michael Vincent Wheel barrow liner
US20040227314A1 (en) * 2003-05-15 2004-11-18 Black Charles E. Wheelbarrow stand with tilt leveling mechanism
US20070158922A1 (en) * 2004-06-15 2007-07-12 Ames True Temper, Inc. Wheelbarrow with pivoting hopper and stand
US7479225B1 (en) * 2005-08-15 2009-01-20 Timothy Venable Waste material containment apparatus and disposal process
US20080164668A1 (en) * 2007-01-10 2008-07-10 William Kurt Feick Boltless Wheelbarrow Bumper
AU2008200412B1 (en) 2008-01-25 2008-05-29 Owen Charles Weston Improved Skip
US20090321294A1 (en) * 2008-03-13 2009-12-31 Deluca Jr Phillip Victor Multi-use adjustable fit wash-out waste containment apparatus for cement transport equipment and tools
US20090295109A1 (en) * 2008-04-21 2009-12-03 Winter David C Wheelbarrow
US20110197980A1 (en) * 2010-02-18 2011-08-18 Sullivan Timothy E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wet concrete residue from dispensing element of concrete delivery vehicles
US8858794B2 (en) * 2010-09-22 2014-10-14 Wayne Lappeman Sediment collecting container
CA2817449C (en) * 2010-11-10 2015-10-20 Innovative Concrete Solutions And Systems Concrete mixing truck chut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8684186B2 (en) * 2011-06-03 2014-04-01 Carl T. Westgard Sifting implem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762535A1 (en) * 2011-12-21 2013-06-21 Jayson King Load box for storage tank containment
FR3007745B1 (fr) * 2013-06-28 2016-02-05 Thierry Suviri Dispositif d'obturation des reservoirs d'eau stagnante
AU2013101628A4 (en) * 2013-12-12 2014-01-16 The Trustee For 3P Unit Trust Wheelbarrow Sifter
DE102014001837B3 (de) * 2014-02-11 2015-03-19 Felix Kaiser Stützfuß für eine Schubkarre
CN203902582U (zh) * 2014-04-18 2014-10-29 陕西彬长文家坡矿业有限公司 一种煤矿用自动卸载过滤推车
US10265882B2 (en) * 2015-01-30 2019-04-23 Leslie R. Connard, III Dual container concrete mixing transport truck chute washout system
US9943982B2 (en) * 2015-01-30 2018-04-17 Leslie R. Connard, III Concrete mixing transport truck chute washout system
CN205098784U (zh) * 2015-10-21 2016-03-23 钟元 一种制冷垃圾桶
CN206142236U (zh) * 2016-09-23 2017-05-03 广州联帆科技有限公司 便捷式垃圾回收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7493A1 (en) * 2000-11-17 2003-03-13 Schulte David L. Shale shaker
US20030084522A1 (en) * 2001-08-28 2003-05-08 Sam Daniels Wheelbarrow dump ramp
US20080023376A1 (en) * 2003-02-12 2008-01-31 Z Scree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other materials
US20130181406A1 (en) * 2008-01-08 2013-07-18 Oystar North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lacing and attaching formed filters into brewing cu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088A (ko) 2021-02-10 2023-10-1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79636A (zh) 2020-07-31
EP3681646A1 (en) 2020-07-22
EP3681646B1 (en) 2024-06-05
SG11202002238RA (en) 2020-04-29
AU2018333834B2 (en) 2020-03-26
AU2021101453A4 (en) 2021-05-13
KR102180997B1 (ko) 2020-11-20
JP6826236B2 (ja) 2021-02-03
AU2018333834A1 (en) 2020-02-20
JP2020537608A (ja) 2020-12-24
US20200276623A1 (en) 2020-09-03
EP3681646A4 (en) 2020-11-11
WO2019051539A1 (en) 2019-03-21
CN111479636B (zh) 2023-05-30
NZ763168A (en) 2020-12-18
CA3075519A1 (en) 2019-03-21
AU2020101104A4 (en)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675B2 (en) Drain water filter assembly
US9943982B2 (en) Concrete mixing transport truck chute washout system
US20150196182A1 (en) Water Recycling System for Mobile Surface Cleaners
US7761953B2 (en) Mop bucket bag insert
US20090044832A1 (en) Portable concrete washout facility
US20120241389A1 (en) Mop bucket filter
US11064842B2 (en) Washing bucket for household, commercial and industrial use for cleaning mops and for chemical cleaning
KR102180997B1 (ko) 외바퀴 손수레 세척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9937636B2 (en) Concrete mixing transport truck chute washout system
US10773279B2 (en) Mop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mop
US10265882B2 (en) Dual container concrete mixing transport truck chute washout system
EP31425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ard surface flooring
NZ76316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wheelbarrow
US10251523B2 (en)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a floor cleaning device
US20170258284A1 (en) Portable Liquid-Recycling Liquid-Reusing Cleaning System for Hard Surface Flooring
WO2016170431A1 (en) Portable liquid-recycling liquid-reusing cleaning system for hard surface flooring
EP3484625B1 (en) Washout apparatus
WO2000000077A1 (en) An improved bucket
US20220304521A9 (en) Mop washing bucket
US20050247329A1 (en) Nap paint roller cleaner
US201603311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ard surface flooring
WO2020018208A1 (en) Mop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mop
JPH079412U (ja) 汚泥処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