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069A - 절연 시스템, 절연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절연체 및 절연 재료 - Google Patents

절연 시스템, 절연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절연체 및 절연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069A
KR20200057069A KR1020207011885A KR20207011885A KR20200057069A KR 20200057069 A KR20200057069 A KR 20200057069A KR 1020207011885 A KR1020207011885 A KR 1020207011885A KR 20207011885 A KR20207011885 A KR 20207011885A KR 20200057069 A KR20200057069 A KR 20200057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material
particles
insulator
insulati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픈 랑
닐스 뮐레르
바스테안 플로흐만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05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01B3/004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with conductive additives or condu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40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for high voltage,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ona dischar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기계용 절연 시스템, 특히, 동작 전압들, 즉, 예컨대, 10 kV 이상의 동작 전압들에서 비교적 높은 정격 전압들에 노출되는 발전기, 변압기, 부싱 및/또는 케이블과 같은 고-전압 또는 중-전압 범위의 전기 회전 기계용 절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절연 시스템은 절연체로 구성된 외부 코로나 실딩을 포함하고, 절연체는, 이 절연체의 일부에 대해, 절연 재료로부터 경화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절연 재료에는, 충전제 입자들이 있고, 이러한 충전제 입자들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매립되고 기본적으로 n-도핑된 금속 산화물들이며, 이러한 n-도핑된 금속 산화물들은, 퍼콜레이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복합 재료에서 1 kOhm 내지 1000 kOhm의 면적 저항을 갖고, 동시에, 빈격자점들에서의 국부적인 전기 방전들에 기인하여, 외부 코로나 실딩의 저항이 산소-함유 분위기 하에서 최대 7 디케이드만큼 국부적으로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저항식 필드 제어를 국부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절연 시스템, 절연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절연체 및 절연 재료
본 발명은 전기 기계용 절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 전압들로서 비교적 높은 정격 전압들, 예컨대 10 kV 이상이 가해지는, 예컨대 발전기, 변압기, 부싱(bushing) 및/또는 케이블(cable)과 같은 고-전압 또는 중-전압 범위부터의 전기 회전 기계에 대한 절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절연 시스템은 절연체를 포함하며, 절연체는 절연 재료로부터 경화에 의해 생성가능하다.
진보하는 기술은 훨씬 더 높은 전력 밀도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훨씬 더 강력한 기계들, 예컨대 발전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터보-발전기(turbogenerator)와 같은 강력한 발전기는 특히, 적층형 고정자 코어(core)를 갖는 고정자, 및 발전기 절연 시스템이 위치되는 예컨대 권선 형태의 복수의 발전기 슬롯(slot)들을 가진다.
적층형 코어에 대한 이 권선의 메인(main) 절연부는 높은 전기 부하를 겪는 시스템이다. 동작 중에 고전압들이 발생하고, 고전압 하에 있는 전도체 바(bar)와 접지 전위에 있는 적층형 코어 사이의 절연 볼륨(volume)에서 고전압들이 낮춰져야 한다. 필드(field)의 증가들이 여기서, 적층형 코어에서의 시트(sheet)들의 에지(edge)들에 발생하고, 결국, 부분 방전들이 생기게 한다. 이러한 부분 방전들이 절연 시스템을 만날 때, 이들 부분 방전들은 국부적으로, 매우 극심한 과열로 이어진다. 그 경우, 절연 시스템의 유기 재료들은 예컨대 저분자량의 휘발성 생성물들, 이를테면, CO2로 연속적으로 분해된다.
절연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성분은 소위 외부 코로나 실딩(outer corona shielding), 짧게 OCS이다. 비교적 대형 전기 기계들에 대해, 이러한 외부 코로나 실딩은 권선 절연부의 표면에 적용된다. OCS는 현재, 카본 블랙(carbon black) 및 흑연을 함유하며 수지가 함침된 코로나 실딩 페이퍼(paper)들로 구성된다.
시스템-관련 이유들로, 특히, OCS와 메인 절연부 사이의 계면은 전적으로 세공(pore)들 없이 생성될 수 없기 때문에, 절연 시스템에서의 대응하게 높은 전기장 세기들은 대응하게 높은 전기 부분 방전 활동을 동반하며, 이러한 전기 부분 방전 활동은 동작 중에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외부 코로나 실딩을 완전히 소각하고, 이에 따라, 절연 시스템의 조기 노화 및 최악의 경우 전기 기계의 접지 사고로 이어진다. 이는, 완전하고 회복불가능한 기계 고장에 대응한다.
여기서, 외부 코로나 실딩은, 발전기의 활성 부분에서의 적층형 코어와 메인 절연부 사이의 미리 결정된 파괴(breaking)에 대한 전기 전도성 지점으로서 기능하는 전도성 층을 표현한다. 절연 시스템과 적층형 코어 사이의 장기(long-term) 안정성을 갖는 경계 층은,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기계적 부하들 및 열 팽창에 의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OCS로서, 미리 결정된 파괴 층이 포함되며, 이는 표면 위의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적층형 코어의 시트들은, 부분 방전으로 이어지는 임의의 상당한 필드 과잉들을 방지하기에만 충분히 단락된다. 또한, OCS는, 달리 전기적으로 절연된 시트들 사이의 순환 전류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최소 저항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제조상의 이유들로 또는 기계적 및/또는 열 부하들의 결과로서, 동작 중에 OCS와 적층형 코어 사이에서 틈들 및 세공들의 형태로 결함(defect)들이 발생하며, 동작 동안 이들 결함들에서 부분 방전들이 트리거되기(triggered) 때문에, 부분 방전들의 완전한 방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컨대 EP 3078033으로부터 알려진 선행 기술에 따르면, 절연 시스템의 OCS 층은, 중합 매트릭스(polymeric matrix)에서 강화 섬유들이 있든 없든 평면 및/또는 구상(globular) 형태의 탄소 입자들로 구성된 복합 재료를 함유하고, 이 중합 매트릭스에서, 충전제 농도는 퍼콜레이션(percolation) 임계치를 초과하고,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부분적으로 전도성인 절연체가 절연 시스템에 존재한다.
그러나, 알려진 선행 기술의 단점은, 산소 분위기 하에서는, 다시 말하면, 예컨대, 단순히 불활성 가스(inert gas) 하에서가 아니라 대신에 공기에서는, 절연 시스템에 대해 전기 부분 방전들 및/또는 백열성 부하들의 형태로 대개 작용하는 높은 우세한 전기 부하들 하에서, 특히 우세한 에너지(energetic) 조건들 하에서의 산소가 카본 블랙 또는 흑연을 예컨대 CO2로 변환함으로써 이러한 카본 블랙 또는 흑연을 부식시키고 분해하며, 이에 따라 절연체의 부분 전도율이 또한 파괴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코팅된(coated) 탄소 입자들로 충전되는, 절연 시스템들을 위한 알려진 절연체들보다, 진술된 조건들 하에서, 동작 중에, 다시 말하면, 부분 방전 하에서 산소 저하에 더욱 내성이 있는 충전제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주제의 달성은 제시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전기 회전 기계용 절연 재료이며, 이 절연 재료는, 내부에 매립된 충전제와 함께 경화성 매트릭스 재료 및 경화제를 포함하고, 이 충전제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fraction)를 가지며, 이러한 금속 산화물 입자들은 도핑(doping)을 통해 전도성이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절연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생성가능한 절연체이다. 본 발명의 마지막 추가적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체를 포함하는 절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핑을 통해 전기 전도성이 되는 금속-산화성 입자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분류는 퍼콜레이션 임계치를 초과하는 농도로 절연 재료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코로나 실딩, 오버행(overhang) 코로나 실딩 및/또는 내부 전위 제어로서, 절연 시스템은, 경화성 매트릭스 재료, 경화제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분류를 갖는 절연 재료 덕분에 경화에 의해 생성가능한 절연체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체를 포함하는 절연 시스템이 제시되며, 이 절연체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재료의 경화에 의해 획득가능하고, 외부 코로나 실딩(OCS; outer corona shielding), 오버행 코로나 실딩(OvCS; overhang corona shielding) 및/또는 내부 전위 제어로서 층을 갖는데, 이 층은, 수백 ㎛의 두께를 갖는 이러한 종류의 층의 면적 저항(square resistance)으로서 킬로옴(kiloohm) 내지 메가옴(megaohm) 범위의 저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시스템에서의 외부 코로나 실딩으로서 그리고/또는 내부 전위 제어로서, 절연체의 층이 존재하며, 이러한 절연체의 층은 경화성 매트릭스, 경화제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분류를 갖는 절연 재료 덕분에 경화에 의해 생성가능한데, 이 층은 대략 100 ㎛ 내지 400 ㎛의 층 두께에서 1 kohm 내지 100 kohm의 면적 저항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시스템은 메인 절연부, 내부 전위 제어(IPC; internal potential control), 외부 코로나 실딩(OCS; outer corona shielding) 및 오버행 코로나 실딩(OvCS; overhang corona shielding)을 포함하며, 절연체의 중합 매트릭스에서의 충전제 분류(들)를 조정함으로써, 104 옴(ohm) 내지 1012 옴 범위에서 전기 저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속 산화물의 선택을 통해, 도핑 원소 및 농도 둘 모두의 관점에서 금속 산화물의 도핑을 통해, 그리고 또한 절연체의 층 두께에 의해, 그리고 또한 변형을 위해, 전술된 가능성들의 임의의 조합들에 의해, 저항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시스템은 예컨대 랩핑 테이프(wrapping tape) 형태의 절연 테이프 및 절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핑된(doped) 금속 산화물의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는 10 이상의 종횡비를 가지며, 이에 따라 혈소판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재료는 경화성 매트릭스 재료에 매립된 복수의 입자 분류들을 갖는다.
이 경우,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상이한 형태들을 갖는 복수의 입자 분류들의 존재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소판-형상 입자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상 입자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형상 입자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단섬유들의 형태로 존재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입자 분류들이 존재하는데, 하나의 입자 분류는 혈소판-형상 입자들을 갖고 하나의 입자 분류는 구상 입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형태의 적어도 2개의 입자 분류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치수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입자 분류들이 존재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나노스케일(nanoscale) 치수를 갖는 입자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스케일(microscale) 치수를 갖는 입자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들은 n-도핑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들은 고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들은 다공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들은 중공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혈소판-형상 입자들은 하나의 나노스케일 및 2개의 마이크로스케일 치수들을 갖는다.
본 맥락에서 "나노스케일"은,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나노미터(nanometer) 범위, 예컨대, 50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nm 미만,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의 치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산화성 재료 ―적어도 하나의 도핑된 충전제 분류의 입자들이 이러한 금속-산화성 재료로 만들어짐― 는 다음의 금속 산화물들, 유리들 및 세라믹(ceramic)들: 이성분 및 삼성분 혼합상의 금속 산화물들, 특히,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주석 아연(zinc stannate), 산화 티타늄, 산화 납, 실리콘 카바이드, 산화 크로뮴, 산화 알루미늄, 이들의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들, 및/또는 도핑에 적절한 추가 금속 산화물들 또는 혼합 금속 산화물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위에서 진술된 금속 산화물들은, 예컨대, 다음의 원소들 그리고 또한 이들 원소들의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들: 안티몬, 불소, 염소, 텅스텐, 몰리브데넘, 철, 인, 황, 니켈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조합들로 사용하여 도핑될 수 있다.
도핑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5 몰(mol)% 내지 30 몰%, 더욱 상세하게는 10 몰% 내지 20 몰%의 범위이다.
결과적으로, 외부 코로나 실딩에서 충전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예컨대, 103 옴 내지 105 옴 범위, 더욱 상세하게는 104 옴 구역의 작은 면적 저항들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제 입자들에 적절한 재료는, 입자들로서 생성될 수 있고 복합 절연체의 형태로 경화성 매트릭스에 매립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얇은 층들로 가공될 수 있는 모든 n-전도성 반도체들이다.
예컨대, n-전도성 충전제 입자들은 또한, 코팅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 분위기 하에서, 충전제 입자들은, 주목할만한 표면상 공핍(superficial depletion) 경계 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도핑에 의해, OCS의 유용한 저항 범위를 달성하는데, 즉, 예컨대, 102 옴 내지 107 옴 범위에서 달성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발견은, 적절하게 생성되면 그리고 n-전도성 도핑이 주어지면 금속-산화성 충전제 입자들이, 산소 결핍(vacancy)들을 갖는 공핍 경계 층들에서의 발현의 결과로서 전자 공여체들로서 적절하다는 것이다. 부분 방전들의 경우, 이들 공핍 경계 층들은 하위 층들로 넓어지고, 이에 따라 고-저항 구역을 국부적으로 생기게 하며, 이러한 고-저항 구역에서는, 단순히 전위에 의해 부분 방전들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서, 오버행 코로나 실딩의 특성들이 국부적으로 존재하고 이에 따라 부분 방전을 트리거(trigger)할 수 있는 전기장이 저항식으로(resistively) 제어되는 정도까지, 퍼콜레이팅된(percolated) 입자 네트워크(network)의 전기 저항은 절연체에서의 산소 결핍들에 따라 증가한다. 이에 따라서, 층에 존재하는 결함들은 자기-패시베이션(self-passivation)을 경험한다. 동일한 부하 하에서, 절연체들에 탄소 입자들이 있는 종래의 OCS 층들은 완전히 파괴된다.
산화 분위기 하에서 그리고 고온에서는, 예로서 산화 주석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되는 금속 산화물의 표면 경계 층은, 전자 공여체들로서의 역할을 하고 여기에서 선호하여 사용되는 산소 결핍들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동작 중에, 이러한 산소 결핍들과 함께 생성된 OCS는, 오버행 코로나 실딩의 원리와 유사하게 전기장의 저항식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저항 구조를 국부적으로 가지는데, 국부장 세기 및 이에 따른 국부적인 부분 방전 활동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압에 대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
이에 따라서, 존재하는 n-전도성 재료 전반에 걸쳐 있는 기존의 결함은, 자기-산화 공핍 경계 층들의 결과로서, 말하자면 저항식 제어를 제공하는 자신만의 고-저항 층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결과적으로, 결함에서의 부분 방전 활동은 진정되거나 또는 전적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자기-조절 층이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고-저항 공핍 경계 층들을 갖는 산화 주석 입자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 1은, 2개의 산화 주석 입자 공핍 경계 층들(11)로부터의 전자들(13)에 의해 상호 반발이 있는 2개의 산화 주석 입자들(12) 사이의 계면의 전위 장벽(10)을 도시한다.
도 2는 산화 주석 입자들에서의 결함들의 형성 에너지(energy)들을 도시한다. 산화 주석 입자들에 대한 산소 결핍들의 형성 에너지는,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 0 eV 구역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서, 이 재료에서, 산소 결핍들은 환원 분위기 하에서 형성될 수 있고 산화 분위기 하에서 다시 사라질 수 있다.
도 3은 시험(testing) 용도를 위한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험된 특성은 메인 절연부, 내부 전위 제어, 외부 코로나 실딩 및 오버행 코로나 실딩을 갖는 절연 시스템의 동작 시 발생하는 종류의 부분 방전들 하에서의 전기 노출였다. 시험된 시편은 외부 코로나 실딩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절연체를 포함했다. 이러한 도 3은 시편(2)이 놓여 있는 플레이트(plate) 전극(1), 그 다음에,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의 로드(rod) 전극(5), 그리고 커버(cover)(4) 및 환형 지지부(3)를 도시한다. 부분 방전은 화살표(6)에 의해 표현된다.
그런 다음,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2개의 시편들(2):
- 좌측에는, 시험 후에, 사실상 손상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체인 베딩(bedding) 매트릭스 및 그 내부의 도핑된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입자 분류, 및
- 우측에는, 국부적으로 완전한 파괴를 겪은, 종래의 카본 블랙/흑연-충전 절연체를 갖는 비교 시편을 비교하여 도시한다.
수시간에 걸쳐 시험 코팅(coating)들 상에 바 전극을 이용하여 부분 방전들이 트리거된 시험들에서, 절연체 ―이 절연체의 전기 전도율은 본 발명의 도핑된 금속 산화물 입자들에 의해 생성됨― 는 부분 방전들에 대해 상당히 더 높은 저항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입자 방전 노출 조건들 하에서, 종래의 카본 블랙/흑연-충전 절연체들이 이미 완전한 홀(hole)을 가져서 이에 따라 국부적으로는 전적으로 "침식(eaten up)"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절연체로 구성된 시편은 사실상 극미량의 부식도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전기의 절연 시스템에서의 파괴된 사이트(site)의 경우, 종래의 외부 코로나 실드(shield)는 연속적인 용해를 경험할 것이며, 속도(rapidity)가 증가함에 따라 결함이 성장하여서, 증가하는 필드 세기들 및 이에 따른 부분 방전 활동들의 결과로서 메인 절연부에 대한 응력 및 이러한 메인 절연부의 파괴를 동반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교 층, 이 예에서는, 도핑된 산화 주석으로 충전된 절연체를 갖는 좌측 시편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식성 뿐만 아니라, 상당히 증가된 저항 프로파일(profile)도 나타낸다.
도 5는 부분 방전들에 의해 응력을 받는, 도 4로부터의 좌측 시편의 그 구역에 대한 저항의 측정을 도시하며, 예상대로, 대략 104 옴의 "정상" OCS 저항 범위로부터 대략 109 옴의, OvCS의 저항 범위로 저항의 시프트(shift)가 관찰되었다. 이 효과는 표면 경계 층들에 기인하고 ―이와 관련하여, 도 1과 비교하라―,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방전들의 국부 에너지 및 산화 분위기의 존재를 통한 표면 경계 층들의 산화에 기인한다. 좌측 시편의 경우의 결과는 국부적으로, OvCS 저항 구조이며, 이에 의해, 전기장은 저항식으로 제어되고, 이에 따라 국부장 세기 및 이에 따른 국부적인 부분 방전 활동은 동일한 전압에 대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된다. 이에 따라서, 존재하는 n-전도성 재료 전반에 걸쳐 있는 기존의 결함은, 자기-산화 공핍 경계 층들의 결과로서, 말하자면 저항식 제어를 제공하는 자신만의 고-저항 층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결과적으로, 결함에서의 부분 방전 활동은 진정되거나 또는 전적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외부 코로나 실드용 자기-조절 절연체가 형성된다.
도 5는 도핑된 산화 주석 입자들이 충전제 분류로서 절연체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코로나 실딩 시험 층의 부분 방전-응력을 받은 사이트에 대한 저항의 측정된 시프트를 도시한다.
여기서, 처음으로, 절연 시스템용 절연 재료가 제시되고, 이 절연 재료에서, 중합 매트릭스에 매립된 충전제 입자들이 OCS에 사용되며, 이러한 충전제 입자들은 원리적으로 n-도핑된 금속 산화물들이며, 이러한 n-도핑된 금속 산화물들은, 한편으로, 퍼콜레이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복합 재료에서 1 kohm 내지 1000 kohm의 면적 저항을 갖고, 다른 한편으로, 동시에, 결함들에서의 국부적인 전기 방전들의 결과로서, 산소-함유 분위기 하에서 최대 7 디케이드(decade)만큼 OCS 저항의 국부적인 상승을 유발하며, 따라서 국부적으로 증가된 저항 구역은, 오버행 코로나 실드(OvCS; overhang corona shield)와 유사하게, 국부적인 저항식-용량식 필드 제어처럼 기능한다. 부분 방전들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응력의 결과로서, 입자들의 전기화학 특성들은, 입자들이 OCS 층으로 자동으로 발달(develop)하도록 변경된다. 그러므로, 본 맥락에서, 시스템을 "자기-치유" 또는 자기-"패시베이팅(passivating)"으로서 지칭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전기 회전 기계들의 절연 시스템들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킨다.

Claims (15)

  1. 전기 회전 기계용 절연 재료로서,
    내부에 매립된 충전제 및 경화제를 갖는 경화성 매트릭스(matrix)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fraction)가 존재하며,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들은 도핑(doping)을 통해 전기 전도성이 되는,
    절연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는 퍼콜레이션(percolation) 임계치를 초과하는 농도로 존재하는,
    절연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핑된(doped) 금속 산화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는 10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
    절연 재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이고, 도핑된 금속 산화물로 만들어지며, 그리고 상기 경화성 매트릭스 재료에 매립된 복수의 입자 분류들이 존재하는,
    절연 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형태들을 갖는 복수의 입자 분류들이 존재하는,
    절연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는 구체들의 형태, 즉, 구상(globular) 입자들을 갖는 형태로 존재하는,
    절연 재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치수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입자 분류들이 존재하는,
    절연 재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나노스케일(nanoscale) 치수를 갖는 입자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하는,
    절연 재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스케일(microscale) 치수를 갖는 입자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분류가 존재하는,
    절연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의 전도성 입자들은 n 도핑을 갖는,
    절연 재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의 전도성 입자들은 고체인,
    절연 재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다음의 금속 산화물들: 이성분 및 삼성분 혼합상의 금속 산화물들, 특히,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주석 아연(zinc stannate), 산화 티타늄, 산화 납, 실리콘 카바이드, 산화 크로뮴, 산화 알루미늄, 이들의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들, 및/또는 도핑에 적절한 추가 금속 산화물들 또는 혼합 금속 산화물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절연 재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핑 원소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조합들로 다음의 원소들: 안티몬, 불소, 염소, 텅스텐, 몰리브데넘, 철, 인, 황, 니켈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절연 재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연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획득가능한 절연체.
  15. 절연 시스템으로서,
    메인(main) 절연부, 외부 코로나 실딩(outer corona shielding) 및 오버행(overhang) 코로나 실딩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코로나 실딩은 제14항에 따른 절연체를 갖는,
    절연 시스템.
KR1020207011885A 2017-09-28 2018-09-18 절연 시스템, 절연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절연체 및 절연 재료 KR20200057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93641.2A EP3462463A1 (de) 2017-09-28 2017-09-28 Isolationssystem, isolationsstoff und isolationsmaterial zur herstellung des isolationssystems
EP17193641.2 2017-09-28
PCT/EP2018/075166 WO2019063358A1 (de) 2017-09-28 2018-09-18 Isolationssystem, isolationsstoff und isolationsmaterial zur herstellung des isolations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069A true KR20200057069A (ko) 2020-05-25

Family

ID=5997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885A KR20200057069A (ko) 2017-09-28 2018-09-18 절연 시스템, 절연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절연체 및 절연 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35331B2 (ko)
EP (2) EP3462463A1 (ko)
KR (1) KR20200057069A (ko)
CN (1) CN111357060B (ko)
WO (1) WO2019063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2463A1 (de) 2017-09-28 2019-04-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Isolationssystem, isolationsstoff und isolationsmaterial zur herstellung des isolations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285C1 (de) * 1998-08-28 2000-04-27 Siemens Ag Glimmschutzband
WO2010077665A2 (en) * 2008-12-08 2010-07-08 Tisol, Llc Multicomponent nanoparticle materials and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DE102010041594A1 (de) 2010-09-29 2012-03-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Füllstoff zur Steuerung von elektrischen Potentialen in Transformatoren, Generatoren oder dergleichen
DE102011080884A1 (de) 2011-08-12 2013-02-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schichtung mit hoher Koronabeständigkei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zu
EP2645540A1 (de) 2012-03-28 2013-10-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Glimmschutzwerkstoff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2205563A1 (de) * 2012-04-04 2013-10-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Isoliersystem mit Endenglimmschu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Endenglimmschutzes
DE102013200499A1 (de) * 2013-01-15 2014-07-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ilden eines Glimmschutzes
DE102013215713A1 (de) * 2013-06-28 2014-12-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Oberflächenbeschichtung zur Potentialabführung an nichtstatischen Anlagen und Verfahren
DE102014203740A1 (de) * 2014-02-28 2015-09-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Glimmschutzsystem, insbesondere Außenglimmschutzsystem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4203744A1 (de) 2014-02-28 2015-09-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fähiges Glimmschutzpapier, insbesondere für den Außenglimmschutz
DE102014226097A1 (de) 2014-12-16 2016-06-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Glimmschutzmaterial mit einstellbarem Widerstand
DE102015209594A1 (de) 2015-05-26 2016-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derstandsbelag für einen Glimmschutz einer elektrischen Maschine
DE102016205195A1 (de) * 2016-02-02 2017-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rmring für eine Transformatorspule
EP3462463A1 (de) 2017-09-28 2019-04-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Isolationssystem, isolationsstoff und isolationsmaterial zur herstellung des isolation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2463A1 (de) 2019-04-03
EP3688774B8 (de) 2024-01-03
CN111357060A (zh) 2020-06-30
EP3688774B1 (de) 2023-11-22
US20200312483A1 (en) 2020-10-01
WO2019063358A1 (de) 2019-04-04
CN111357060B (zh) 2023-03-10
EP3688774A1 (de) 2020-08-05
US11735331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ivda et al. Characterization of epoxy microcomposite and nanocomposite materials for power engineering applications
CN107646163B (zh) 用于电机的电晕屏蔽的防护覆层
RU2658323C2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против тлеющего разряда, в частности внешняя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против тлеющего разряд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JP2009118719A (ja) 電気絶縁材として用いられる非線形誘電体
Das et al. Effect of filler treatment and crosslinking on mechanical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carbon black‐fille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composites
US10736249B2 (en) Conductive corona shielding paper, in particular for outer corona shielding
KR20200057069A (ko) 절연 시스템, 절연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절연체 및 절연 재료
US20150093499A1 (en) Insulating material for rotating machines
CN109991467B (zh) 过电压的证实
CN110494932B (zh) 用于dc电气部件的绝缘材料
US10862362B2 (en) Corona shielding system and electrical machine
Pirondelli et al. Surface and breakdown resistance of polyethylene-based nano-dielectrics containing graphene-like additives
Mukhopadhyaya A Review on Insulators in Transmission Line—Progress and Comparative Studies
He et al. Influence of series gap structures on lightning impulse characteristics of 110-kv line metal–oxide surge arresters
Balachandran Aging and Degradation Studies in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Iizuka et al. Fabrication and PD-initiated Breakdown of Simulated Mica Tape Insulation Containing Epoxy Nanocomposites
WO2022201279A1 (ja) 半導電性部材、固定子コイルおよび回転電機
US20180005722A1 (en) Corona Shielding Material With An Adjustable Resistance
Varanasi et al. Mitigation of Electrical Stresses on Outdoor Polymeric Insulator Using Nano-Zinc Oxide Coating: Simul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Lee et al. Preci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ccelerated Aging System for DC TP Power Cables
Xie et al. Space charge dynamics of epoxy/micro-Al2O3 composites under multi-physical fields
Okada et al. Reduction of void discharges in materials with additive of Azo-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