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936A -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936A
KR20200056936A KR1020190145254A KR20190145254A KR20200056936A KR 20200056936 A KR20200056936 A KR 20200056936A KR 1020190145254 A KR1020190145254 A KR 1020190145254A KR 20190145254 A KR20190145254 A KR 20190145254A KR 20200056936 A KR20200056936 A KR 2020005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portion
vent
plan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 고루브코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11111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193000B/zh
Publication of KR2020005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01M2/206
    • H01M2/1252
    • H01M2/126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모듈의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의 셀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개시한다. 버스바는 제1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1 셀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2 셀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크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아크부에 연결되는 제1 벤트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아크부에 연결되는 제2 벤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Busbar for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용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compact) 전지 모듈을 위한 버스바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반복적으로 충전되고 방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만 전환할 수 있는 일차 전지와 다르다. 저용량 이차 전지는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소형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되며, 고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hybrid) 차량 등과 같은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 그리고 양극과 음극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전해액은 양극, 음극, 및 전해액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에 주입된다. 케이스의 형상은 전지의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예를 들어,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고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예: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구동용)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전지 셀로 형성되는 전지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지 모듈은 필요한 전력량에 부합하고, 예컨대, 전기 차량의 고출력 이차 전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단위 전지의 전극 단자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전지 모듈은 블록형(block) 구조 또는 모듈형(module)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형 구조에서는, 각 전지 셀은 공통된 집전체 구조와 공통된 전지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다. 모듈형 구조에서는, 서브모듈이 다수의 전지 셀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전지 모듈은 다수의 서브모듈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전지 관리 기능은 모듈 또는 서브모듈 레벨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전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지 모듈은 열 관리 시스템을 갖추며,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통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소비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모듈형 설계에 있어 전지 시스템의 전기적 통합을 제공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셀을 갖는 서브모듈이 직렬로 연결되거나(XpYs),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셀을 포함한 서브모듈이 병렬로 연결된다(XsYp). XpYs 형의 전지 모듈은 고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반면, XsYp 형의 전지 모듈은 셀들의 커패시턴스가 합쳐진다. 이에 XsYp 형의 전지 모듈은 대부분 저용량 셀로 사용된다.
전지 모듈의 전지 셀 및/또는 전지 서브모듈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버스바가 사용된다. 이 버스바는 전지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를 갖는 부하가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전지 모듈 단자에 연결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의 디자인은 상호 연결된 전지 셀의 디자인과, 상호 연결된 전지 서브모듈의 경우 전지 모듈의 특정 XsYp- 또는 XpYs- 구성에 의존한다.
이러한 버스바의 매니폴드 디자인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그 일부는 가령, 전지 모듈의 작동 중 셀 팽창 보상 또는 버스바 내에서 션트 저항의 통합과 같은 측면을 더욱 고려한다. 그런데, 통상적인 버스바는 많은 경우가 전지 모듈의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하기 위해 간단한 바(bar) 형태의 알루미늄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거나 전지 모듈의 전체 높이에 크게 기여하는 복잡한 3차원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련 기술의 일부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며, 전지 모듈 내에서 기계적 응력을 줄이고 콤팩트한 크기를 갖는 전지 모듈의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단점은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피되거나 적어도 완화된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의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의 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버스바를 제공한다. 버스바는 제1 셀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2 셀 단자와 아크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아크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부는 아크를 형성하는 부위로서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 사이에 아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접촉부들은 제1 평면으로 연장하고 아크부는 제1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으로 연장한다. 접촉부들 각각과 아크부는 평면 형상, 즉, 하나의 치수(예: 높이)의 연장이 나머지 2개의 치수(예: 폭, 길이)의 연장보다 상당히 작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접촉부들의 이 상당히 작은 연장의 방향은 아크부에서 상당히 작은 연장의 방향에 대해 수직하다. 접촉부들이 평탄하게 놓인 경우, 아크부는 똑바르게 세워진다.
제1 벤트부가 제1 접촉부로부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1 접촉부와 아크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2 벤트부가 제2 접촉부로부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2 접촉부와 아크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각 벤트부는 각각의 접촉부와 아크부 사이의 전환체로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아크부는 가령 변형에 의해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의 관련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아크부의 가소성은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의 상대적인 운동이 아크부에 부가된 기계적 하중에 응답하여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계적 하중은 아크부의 최대 변형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크부의 가소성은 아크부의 손상(파손)없이 접촉부들의 상대적인 운동을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아크부의 변형은 탄력적 또는 유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버스바는 가령 전지 셀의 온도 증가, 전지 셀의 충전 및/또는 노화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지 모듈의 전지 셀의 작은 수축 또는 팽창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본 발명의 버스바는 메인 버스바 평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확장 조인트로서 아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버스바 평면은 전지 모듈의 전지 셀의 셀 단자의 평면에 대해 평면적으로 평행한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아크부는 셀 단자로부터 옆으로 향해 확장 조인트로 작용한다. 아크부의 가소성은 대개 아크부의 확장 즉, 아크의 다리 크기에 의존하므로, 본 발명의 아크부는 전지 모듈의 높이에 크게 관여하는 것 없이 아크부의 변형성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전지 셀의 큰 팽창과 수축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버스바는 그 기계적인 특성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높이를 유리하게 분리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는 제1 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는 버스바를 통해 연결된 셀 단자들의 사이의 거리(제1 방향으로)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1방향은 인접한 전지 셀의 셀 단자 사이의 방향 즉, 통상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 또는 적층 방향에 대응한다. 실시예에서, 버스바의 아크부는 제1 벤트부로부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버스바의 아크부는 제2 벤트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섹션과 제2 섹션에 연결되는 제3 섹션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각기 아크부의 다리를 구성하며, 제3 섹션은 이 아크부의 다리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3 섹션은 제1 섹션 및 제2 섹션 각각의 자유 단부 즉, 제1,2 벤트부에 연결되는 제1,2 섹션의 연결부위를 대향한 부위에 연결된다.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 각각은, 그 자체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아크부는 이들 섹션들의 조합에 의해서만 아크형(대략 U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 각각 또는 일부는 그 자체가 아크형을 갖거나 그 자체가 다른 굴곡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크부의 가소성은 제3 섹션에 대한 제1,2 섹션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1 섹션 및/또는 제2 섹션의 변형 이전에 제3 섹션의 변형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바에서 접촉부들, 벤트부들 및 아크부는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버스바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의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아크부 각각은 스트립 형상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접촉부는 제1 평면으로 연장된 평면 형상 즉, 전지 모듈의 셀 단자의 평면으로 연장된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아크부는 접촉부들과 접촉하는데, 여기서 아크부의 아크는 제1 평면에 평행하고 아크부의 스트립은 제1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제1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령 제1,2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아크부의 연장은, 제1 평면 내에서 일 방향으로의 아크부의 연장을 초과하는 것이 좋고, 제1 방향으로 제1,2 섹션의 연장 및 제2 방향으로 제3 섹션의 연장을 초과하는 것이 좋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제1 평면에 걸쳐지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하나는 제2 평면에 걸쳐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벤트부와 제2 벤트부 각각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각각의 접촉부를 따라 연장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벤트부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면 각각의 제1 섹션 또는 제2 섹션은 길어질 수 있다. 반면, 제1 벤트부 또는 제2 벤트부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면, 각각의 제1 섹션 또는 제2 섹션과 더불어 일체의 유닛을 만든다. 다시 말해, 각 벤트부는 아크부로, 가령 아크부의 제1 섹션 또는 제2 섹션 각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아크부와 접촉부들 사이의 일체화는 접촉부들로부터 위로 절곡되어 아크부에 이어진 벤트부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벤트부의 연장 방향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접촉부들을 연결하는 아크부의 양에 의존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 각각은 평면 평행 방식으로 전지 모듈의 셀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 각각은 직선의 수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이의 전체 표면적이 셀 단자의 접촉면에 평탄하게 놓일 수 있다. 여기서 셀 단자의 접촉면도 직선의 수평한 면인 것이 좋다. 또한,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의 형상과 크기는 전지 모듈의 셀 단자의 형상과 크기에 맞추어지는 것이 좋다. 상세하게는, 제1 접촉부의 형상과 크기는 제1 셀 단자의 형상과 크기에 맞추어지고, 제2 접촉부의 형성과 크기는 제2 셀 단자의 형상과 크기에 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접촉부들의 전체 표면적은 셀 단자와 버스바 사이의 전기적 접촉에 기여하고 이로 인해 버스바의 접촉 저항은 감소될 수 있다.
제2 평면으로 아크부의 높이 즉, 제1,2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아크부의 연장은, 각기 제1 방향으로 제1,2 접촉부의 연장보다 작고 제2 방향으로 제1,2 접촉부의 연장보다 작은 것이 더욱 좋다. 여기서, 제3 방향은 전지 모듈의 높이 방향인 것이 좋다.
메인 버스바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는 볼록부(bow)에 의해 만들어지는 확장 조인트를 갖는 일반적인 버스바의 디자인의 경우, 이 버스바의 높이는 전지 모듈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이에 볼록부가 작으면, 버스바는 꽤 단단하면서 전지 셀의 많은 팽창과 수축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방향으로 아크부의 연장을 제한하는 것으로 전지 모듈의 높이가 제한된다. 아크부의 가소성이 제1 내지 제3 섹션의 형상과 강도, 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제1및 제2 섹션의 연장에 의해 결정되므로, 전지 모듈의 높이와는 별개이다.
제2 방향으로 각 벤트부의 높이 즉,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각각의 벤트부의 연장은, 각기 제1 방향으로 제1,2 접촉부의 연장보다 작고, 제2 방향으로 제1,2 접촉부의 연장보다 작은 것이 좋다. 벤트부의 높이 즉, 제3 방향으로 벤트부의 높이는 아크부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좋다. 이에 단차부를 형성하지 않고 벤트부는 아크부에 이어진다. 본 발명의 버스바와 같이, 벤트부가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의 연장을 제한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전지 모듈의 높이를 유리하게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평면으로 제3 섹션의 높이 즉, 제3 방향으로 제3 섹션의 연장은 제2 평면으로 제1 섹션 및/또는 제2 섹션의 높이 즉, 제3 방향으로 제1,2 섹션의 연장보다 작다. 제3 섹션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제3 섹션의 강도는 제1,2 섹션의 강도에 비해 감소되며, 이로 인해 제3 섹션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이 변형되기 전에 변형된다. 따라서, 전지 셀 상의 압축력은 가령, 제1 섹션과 제1접촉부 또는 제2 섹션과 제2 접촉부를 통해 전지 셀 단자 상의 토크로 쉽게 전환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3 섹션의 강도는 다른 수단 즉, 제1,2 섹션의 두께(제1 방향으로 연장)에 비해 제3 섹션의 두께를 줄이는 것(제2 방향으로 연장을 줄이는 것)으로 또는, 제1,2 섹션의 재료나 조성과 다른 재료나 조성을 이루는 것으로써, 제1 섹션 및/또는 제2 섹션의 강도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와 연결된 제1 아크부와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와 연결된 제2 아크부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벤트부는 제1 접촉부와 제1 아크부에 연결되고, 제2 벤트부는 제2 접촉부와 제1 아크부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의 버스바는 제3 벤트부와 제4 벤트부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벤트부는 제1 접촉부로부터 제2 평면(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접촉부와 제2 아크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4 벤트부는 제2 접촉부로부터 제2 평면(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접촉부와 제2 아크부에 연결된다. 제1 아크부, 제2 아크부, 제3 아크부 및 제4 아크부 각각은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좋다. 제1,2 접촉부를 연결하는 다중의 아크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접촉부들 사이에 전달될 최대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버스바의 강성을 낮게 유지하면서 전지 셀의 스웰링(swelling)을 보상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벤트부 각각은 제1 방향으로 각각의 접촉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좋다. 즉, 제1 및 3 벤트부는 제1 방향으로 제1 접촉부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및 제4 벤트부는 제1 방향으로 제2 접촉부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나서 제2 아크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반면, 제1 아크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좋다. 제2 방향으로 제1 아크부의 연장, 즉 제2 방향으로 제1 아크부의 제1 및 제2 섹션의 연장은 제2 방향으로 제2 아크부의 연장 즉, 제2 방향으로 제2 아크부의 제1 및 제2 섹션의 연장과 동일한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는 단일 금속 시트로부터 2개의 아크부를 갖는 버스바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아크부는 제1 아크부의 아크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버스바의 측면 연장은 제2 아크부가 있다는 것으로 증가되지 않는 반면, 버스바의 기계적 안정성 및 이의 전류 운송 능력은 증가된다. 제2 평면으로 제1 아크부의 제3 섹션의 높이 즉, 제3 방향으로 제1 아크부의 제3 섹션의 연장은 제2 평면으로 제2 아크부의 제3 섹션의 높이 즉, 제3 방향으로 제2 아크부의 제3 섹션의 연장보다 작은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외부 암의 강도는 내부 암의 강도에 비해 유리하게 감소되고 최적화되는 바, 이에 전지 셀 상의 압축력은 전지 셀 단자 상의 토크로 전환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스바는 복수의 제1 접촉부와 복수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접한 접촉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아크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위에서 설명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다른 버스바는 2개의 연결된 버스바 즉, 실제 4개의 연결된 접촉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접촉부와 복수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이 다른 실시예의 버스바에서, 특정 접촉부는 2개의 접촉부를 갖는 버스바의 세그먼트에 대해 제1 접촉부로 볼 수 있고, 2개의 접촉부를 갖는 다른 버스바의 세그먼트에 대해 제2 접촉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2개의 접촉부를 갖는 버스바뿐만 아니라, 2개 이상, 특히 2*n 개의 접촉부를 갖는 버스바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시를 보다 상세하게 확장하는 것은 자명하다.
n이 정수인 2*n 개의 접촉부를 갖는 버스바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벤트부는 제1 방향 즉, 전지 모듈과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벤트부는 각각의 접촉부와 2개의 아크부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각각의 벤트부는 2개의 아크부에 이어진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에 이어진 벤트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최외곽 접촉부를 제외한 각각의 접촉부의 벤트부는 2개의 아크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각 아크부는 벤트부를 통해 접촉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다른 접촉부의 다른 벤트부를 통해 각각의 다른 접촉부에 연결된다. 다수의 제1,2 접촉부를 갖는 이 실시예의 버스바는, (2*N)pYs 구성을 갖는, 즉 전지 모듈 내에서 병렬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전지 셀과 직렬로 연결된 서브모듈들(각 서브모듈은 병렬도 연결된 적어도 2개 전지 셀로 이루어짐)을 갖는 전지 모듈을 만드는데 유리하다. 버스바의 접촉부의 수는 서브모듈 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전지 셀의 수의 2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가 전지 모듈용 버스바로 제공된다. 여기서 전지 모듈은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한다. 전지 셀과 전지 모듈 내에서 이 전지 셀의 배열에 대해, 전지 모듈은 통상의 전지 모듈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바는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의 셀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장 길이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의 연장 길이는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지 셀의 연장의 적어도 2배, 좋기로는 3배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버스바 연장 길이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지 셀의 연장의 6배(2pYs), 9배(3pYs) 또는 12배(4pYs)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바는 아크부 즉, 버스바에서 가소성을 제공하기 위해 주로 반응하는 부위가 셀 단자 옆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버스바의 구성은 제1 평면에 평행한 아크부의 아크의 연장과 아크부 자체가 셀 단자의 제1 평면에 대해 수직한 제2 평면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스바는 감소된 높이는 갖는 전지 모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바는 아크부의 다리가 접촉부 및/또는 제3 섹션에 대해 연결 부분 주위에서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에 향상된 가소성(변형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버스바의 임의의 변형은 탄성적이거나 유연적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버스바의 유연성은 일반적인 버스바에 비해 증가될 수 있으며 가령, 전지 셀의 스웰링으로 인해 전지 모듈의 크기 변화의 보상은 물론 가령,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전지 모듈의 전지 셀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보상할 수 있다. 아크부의 적어도 일부의 벤딩으로 인한 기계적 하중의 감쇠에 의해, 버스바의 균열 가능성 등은 감소되고 더불어 전지 모듈의 안정성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바는 셀 단자 상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을 유리하게 감소시키며, 파손점에 도달하는 일 없이 연결된 셀 단자의 임의의 변위에 응답하여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각 전지 셀은 전지 케이스, 전지 케이스 상에 배치되어 전지 케이스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캡 조립체, 캡 조립체에 배치되어 전지 셀의 비정상인 작동 조건에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파열되도록 구성된 통기구 및 전기적인 셀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전지 셀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버스바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각 버스바는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버스바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는 제1 극성의 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는 제2 극성의 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는, 전지 모듈(Xs1P 구성)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의 공간 연장에 대응하는 공간 연장을 가지고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는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의 길이 즉, 2개의 전지 케이스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2개의 전지 셀의 연장에 대응하는 각 버스바의 연장은 Xs1p 구성을 이룰 수 있고, 4개의 전지 셀의 연장에 대응하는 각 버스바의 연장은 2pYs 구성 등을 이룰 수 있다. X 전지 셀의 연장에 대응하는 각 버스바의 연장은 전지 모듈의 (X/2)pYs의 구성을 유리하게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전지 모듈의 폭 방향 가령, 동일 전지 셀의 셀 단자 사이의 방향은 제2 방향이다. 전지 셀의 각 단자로부터 전지 셀의 통기구를 향하는 방향은 제2 방향이다. 즉, 이 제2 방향은 제1 극성의 셀 단자 또는 제2 극성의 셀 단자에서의 버스바 위치에 개의치 않고 폭 방향으로 전지 모듈의 중심을 항상 향한다. 제2 평면은 전지 모듈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3 방향은 전지 모듈의 높이 방향이다. 전지 셀의 셀 단자는 제1 방향으로 평탄하면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특징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용 버스바는 전지 모듈의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지 셀의 스웰링에 의한 전지 모듈의 크기 변화의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충격에 의한 전지 셀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한 보상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특징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며, 그 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예시로서 제공되어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본 발명의 양태 및 특징을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 및 특징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필요하지 않은 프로세스, 요소 및 기술은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서, 구성요소, 층 및 영역의 상대적인 크기는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열거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할 수 있는"의 사용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단수형의 용어는 문맥상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열거 항목의 임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 목록 앞에 선행할 때, 전체 구성요소 목록을 수식하고 목록의 개별 구성요소를 수식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 "약"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정도가 아닌 근사치로 사용되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측정된 또는 계산된 값의 내재적 편차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라는 용어가 수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는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값을 중심으로 한 값의 ±5 %의 범위를 나타낸다.
도 1은 음극의 제1 모듈 단자(91)와 양극의 제2 모듈 단자(9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12개의 각형 전지 셀(10)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전지 모듈(90)을 도시하고 있다. 즉, 전지 모듈(90)은 12s1p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전지 셀(10)은 캡 조립체(14)가 전지 케이스(13) 상에 배치된 전지 케이스(13)를 가지며, 여기서 캡 조립체(14) 내에는 통기구(99)가 배치된다. 전지 모듈(90) 내에 전지 셀(10)은 인접한 전지 셀(10)의 제1 측벽이 서로 마주 보도록 넓은 측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적층된다. 결과적으로, 전지 모듈(9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넓은 모듈 측면(96) 및 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좁은 모듈 측면(97)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한다. 각 쌍의 인접한 전지 셀(10)의 하나의 양극 단자(11 또는 제1 셀 단자) 및 하나의 음극 단자(12 또는 제2 셀 단자)는 버스바(9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페이서(94)는 최외측 전지 셀(10)의 외향하는 넓은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전지 모듈(90)을 길이 방향으로 종단시킨다. 리본(95)은 전지 모듈(90) 주위를 둘러 길이 방향으로 압축한다. 도 1의 실시예는 버스바(93)가 가장 간단하게 이루어진 디자인을 보여 주고 있다. 여기서 각 버스바(93)는 단지 금속 시트의 평탄한 스트립, 즉,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바 형태의 조각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디자인을 갖는 버스바(93)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지 모듈(90)의 한 섹션에 대한 버스바(93)를 도시하며, 도 3에서 좌측 도면은 이 버스바(93)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우측 도면은 이 버스바(9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버스바(93)는 메인 버스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는 즉, 전지 모듈(90)의 높이 방향으로 향하는 볼록부(bow, 98)에 의해 구현되는 확장 조인트로 설계된다. 이러한 버스바(93)의 확장 길이는 볼록부(98)의 높이가 전지 모듈(90)의 높이를 증가시킬 때에 제한된다. 이에 따라 볼록부(98)가 작으면, 버스바(93)는 상당한 강성을 가지고 더 큰 셀 팽창과 수축을 허용하지 않는 바, 이로 인해 기계적 위험과 결과적으로 전기적 고장이 전지 모듈(90)에서 많이 발생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50)의 디자인을 도시한 것으로 도 4에서 좌측 도면은 버스바(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우측 도면은 버스바(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지 모듈(90)의 한 섹션에 대한 버스바(5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50)는 제1 셀 단자(11)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제1 접촉부(21)와, 제2 셀 단자(12)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제2 접촉부(2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접촉부(21,22)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제1 평면 내에서 연장되어 평면의 셀 단자(11, 12)에 형상과 크기를 맞추어 장착된다. 따라서, 셀 단자(11,12)의 상면에 접촉부(21,22)가 놓이고 용접, 납땜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 이들이 연결됨으로써 버스바(50)와 전지 셀(10)의 연결이 가능해 진다.
제1 접촉부(21)는 제1 평면에 대해 수직한 제2 평면으로 연장된 제1 벤트부(41)를 포함한다. 제1 평면은 제1,2 셀 단자(11,1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고, 제2 평면은 전지 케이스(13)의 측벽에 평행 즉, 전지 셀(10)과 전지 모듈(9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접촉부(22)는 제2 평면으로 연장된 제2 벤트부(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벤트부(41)는 제1 접촉부(21)와 일체이고 제2 벤트부(42)는 제2 접촉부(22)와 일체이다.
제1 실시예의 버스바(50)는 제1 접촉부(21)와 제2 접촉부(22)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아크부(30)를 더욱 포함한다. 아크부(30)는 제1 평면에 대해 수직한 제2 평면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아크부(30)가 다른 2개의 치수보다 상당히 작은 하나의 치수를 가지면서 평탄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접촉부(21)는 평탄하게 놓이고 아크부(30)는 똑바로 세워진다. 제1 벤트부(41)는 제1 접촉부(21)와 아크부(30)와 연결되고, 제2 벤트부(42)는 제2 접촉부(22)와 아크부(3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2 접촉부(21,22), 제1,2 벤트부(41,42) 및 아크부(30)는 일체로 구성되어 한 몸을 이룬다. 제1 실시예의 버스바(50)는 아크가 제1 평면 내에 놓이거나 측면을 향하는 아크부(30)를 제공한다. 이에 아크부(30)의 길이는 전지 모듈(90)의 높이에 기여하지 않으며 버스바(50)의 기계적 특성 즉, 이의 가소성은 전지 모듈의 높이와 별개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아크부(30)는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1 벤트부(41)로부터 연장된 제1 섹션(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상호 대체된 인접한 전지 셀(10)의 셀 단자(11,12)를 따라가는 방향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섹션(31)은 제2 방향으로 제1 벤트부(41)로부터 이어진다. 또한, 아크부(30)는 제2 방향으로 제2 벤트부(42)로부터 연장되어 이어진 제2 섹션(32)을 포함한다. 제1 섹션(31)과 제2 섹션(32)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섹션(33)에 의해 기계적/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2 및 3 섹션(31,32,33)의 조합으로 아크부(30)의 아크 형상이 형성되고, 제1,2 섹션(31,32)에 의해 아크의 다리가 형성된다.
제2 평면으로 아크부(30)의 높이 즉,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아크부(30)의 연장은, 제1 방향으로 제1,2 접촉부(21,22)의 연장보다 작고, 제2 방향으로 제1,2 접촉부(21,22)의 연장보다 작다. 제2 평면으로 제3 섹션(33)의 높이 즉, 제3 방향으로 제3 섹션(33)의 연장은 제2 평면으로 제1 섹션(31) 및/또는 제2 섹션(32)의 높이 즉, 제3항으로 제1 섹션(31) 및/또는 제2 섹션(32)의 연장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의 제1 실시예는, 옆으로 향하는 큰 아크부(30)를 갖는 버스바(50)를 포함한 전지 모듈(90)을 개시하며, 이에 따라 전지 모듈(90)의 높이 증가 없이 전지 셀(10)의 보다 큰 팽창과 수축을 허용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50)의 디자인 도시한다. 도 6에서 좌측 도면은 버스바(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우측 도면은 버스바(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지 모듈(90)의 한 섹션에 대한 버스바(50)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의 버스바(50)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실시예의 버스바(50)와 동일한 부분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제2 실시예의 버스바(50)는 제1 접촉부(21)와 제2 접촉부(22)를 연결하는 2개의 아크부(30.1, 30.2)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버스바(50)와 다르다.
제2 아크부(30.2)는 제1 아크부(30.1)의 아크 내에 배치되며 양 아크부(30.1, 30.2)는 각기 제1,2 및 3 섹션(31.1, 31.2, 32.1, 32.2, 33.1, 3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방향으로 양 아크부(30.1, 30.2)의 제1,2 섹션(31.1, 31.2, 32.1, 32.2)의 연장은 서로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2 방향으로 제1 아크부(30.1)의 연장은 제2 방향으로 제2 아크부(30.2)의 연장과 서로 동일하다. 이에 양 아크부(30.1, 30.2)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2 실시예의 버스바(50)도 제1 실시예의 버스바(5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금속 시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벤트부(41)는 제1 접촉부(21)와 제1 아크부(30.1)를 연결하고 제2 벤트부(42)는 제2 접촉부(22)와 제1 아크부(30.1)를 연결한다. 또한, 제3 벤트부(43)는 제2 평면으로 제1 접촉부(2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접촉부(21)와 제2 아크부(30.2)를 연결하며, 제4 벤트부(44)는 제2 평면으로 제2 접촉부(22)로부터 연장되어 제2 접촉부(22)와 제2 아크부(30.2)를 연결한다. 제1 내지 제4 벤트부(41, 42, 43, 44)는 각기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2 아크부(30.1, 30.2)는 각기 벤트부(41,42,43,44)를 통해서만 제1,2 접촉부(21,22)와 접촉한다. 제2 실시예의 버스바(50)는 전지 모듈(90)의 높이 손상없이 셀 단자(11,12) 사이의 연결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아크부(30.1)의 제3 섹션(33.1)의 높이는 제2 아크부(30.2)의 제3 섹션(33.2)의 높이보다 작다. 다시 말해, 제3 방향으로 제1 아크부(30.1)의 제3 섹션(33.1)의 연장은 제3 방향으로 제2 아크부(30.2)의 제3 섹션(33.2)의 연장보다 작다. 여기서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해 수직하며 이는 전지 모듈(90)의 높이 방향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아크부(30.1)의 강도가 제2 아크부(30.2)의 강도보다 작으며 이에 제1 아크부(30.1)가 먼저 변형되며, 이로 인해 접촉부(21,22) 상의 압축이 셀 단자(11,12) 상에 작용하는 토크로 변환되는 것을 피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50)의 디자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좌측 도면은 버스바(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우측 도면은 버스바(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지 모듈(90)의 한 섹션에 대한 버스바(50)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의 버스바(50)에 대한 설명에서 제1,2 실시예의 버스바(50)와 동일한 부분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제3 실시예의 버스바(50)는 각각의 제1,2 아크부(30.1, 30.2)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제1 접촉부(21)와 2개의 제2 접촉부(22)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1,2 실시예의 버스바(50)와 다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접촉부(21)는 전지 모듈(90)의 2개의 제1 셀 단자(11)에 연결되고 2개의 제2 접촉부(22)는 전지 모듈(90)의 2개의 제2 셀 단자(12)에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전지 모듈(90)의 섹션은 2p2s의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버스바(50)는 총 4개의 접촉부(21,22)의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부(21,22)는 하나의 셀 단자(11,12)에 연결되는데, 이때 접촉부(21,22)는 연결되는 셀 단자(11,12)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접한 접촉부(21,22)는 제1 아크부(30.1)와 제2 아크부(30.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2개의 아크부(30.1, 30.2)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인접한 접촉부(21,22)의 조합은 제1,2 접촉부(21,22)로서의 지정에 관계없이 도 6 및 도 7를 통해 설명된 것과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의 버스바(5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모듈을 갖는 전지 모듈(90)을 위한 제2 실시예의 버스바(50)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서브모듈은 적어도 2개의 병렬 연결된 전지 셀(10)을 포함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전지 셀 11 양극 셀 단자
12 음극 셀 단자 13 전지 케이스
14 캡 조립체 21 제1 접촉부
22 제2 접촉부 30 아크부
30.1 제1 아크부 30.2 2 아크부
31 제1 섹션 32 제2 섹션
33 제 3 세션 41 제1 벤트부
42 제2 벤트부 43 제 3 벤트부
50 버스바 90 전지 모듈
91 음극 모듈 단자 92 양극 모듈 단자
93 버스바 (종래 기술) 94 스페이서
95 리본 96 넓은 모듈 측면
97 좁은 모듈 측면 98 볼록부 (종래 기술)
99 통기구

Claims (15)

  1. 전지 모듈의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의 셀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로서,
    제1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1 셀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접촉부;
    상기 제1 평면으로 연장되어 제2 셀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접촉부;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크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아크부에 연결되는 제1 벤트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아크부에 연결되는 제2 벤트부
    를 포함하는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제1 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아크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벤트부로부터 연장된 제1 섹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벤트부로부터 연장된 제2섹션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으로 연결하는 제3 섹션을 포함하는 버스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 상기 제1 벤트부, 상기 제2 벤트부 및 상기 아크부는 단일체로 구성된, 버스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트부와 상기 제2 벤트부는 각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중 각각의 하나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아크부로 이어진, 버스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는 각기 평면 평행 방식으로(in a plane-parallel manner)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1 셀 단자와 상기 제2 셀 단자 중 각각의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의 형상과 크기는 상기 전지 모듈의 상기 제1 셀 단자와 상기 제2 셀 단자의 각각의 하나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버스바.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으로 상기 아크부, 상기 제1 벤트부 및 상기 제2 벤트부의 높이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2 접촉부의 연장보다 작은, 버스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으로 상기 제3 섹션의 높이가 상기 제2 평면으로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의 높이보다 작은, 버스 바.
  8. 제2항에 있어서,
    제1 아크부와 제2 아크부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벤트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아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벤트부는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아크부에 연결되며,
    제3 벤트부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아크부에 연결되고, 제4 벤트부가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아크부에 연결되는, 버스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트부, 상기 제2 벤트부, 상기 제3 벤트부 및 상기 제4 벤트부는 각기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중 각각의 하나를 따라 연장된, 버스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아크부의 연장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아크부의 연장과 동일한, 버스바.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부는 상기 제1 아크부의 아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평면으로 상기 제1 아크부의 상기 제3 섹션의 높이가 상기 제2 평면으로 상기 제2 아크부의 상기 제3 섹션의 높이보다 작은, 버스바.
  12.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접촉부와 복수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버스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트부와 상기 제2 벤트부는 각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벤트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촉부의 각각의 것과 2개의 아크부를 연결하는, 버스바.
  14.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전지 셀;
    제1항 내지 제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며,
    각 버스바는 적어도 2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각 버스바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는 제1 극성의 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는 제2 극성의 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전지 셀은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캡 조립체, 통기구 및 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 모듈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이고, 상기 셀 단자에서 상기 통기구를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이며,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전지 모듈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셀 단자는 상기 제1 평면으로 연장된, 전지 모듈.
KR1020190145254A 2018-11-14 2019-11-13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00056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11116.1A CN111193000B (zh) 2018-11-14 2019-11-14 用于电池模块的汇流条和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6144.0 2018-11-14
EP18206144.0A EP3654410B1 (en) 2018-11-14 2018-11-14 Busbar for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936A true KR20200056936A (ko) 2020-05-25

Family

ID=6431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54A KR20200056936A (ko) 2018-11-14 2019-11-13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54410B1 (ko)
KR (1) KR20200056936A (ko)
HU (1) HUE059852T2 (ko)
PL (1) PL365441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238B1 (fr) * 2020-06-04 2022-07-29 Accumulateurs Fixes Organe de connexion pour relier deux accumulateu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0254B2 (en) * 2007-12-25 2013-04-16 Byd Co. Ltd. End cover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DE102010019708A1 (de) * 2010-05-07 2011-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eicherzellenverbinder und Speichermodul
DE102012204591A1 (de) * 2012-03-22 2013-09-26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Bauelement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Bauelement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DE102012217368A1 (de) * 2012-09-26 2014-03-27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element in Omega-Form zur elektrischen Verbindung von Batteriezellen eines Batteriemoduls
CN105428580B (zh) * 2015-05-08 2016-11-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动力电池的连接器、动力电池模组、动力电池包、汽车
EP3323160B1 (en) * 2015-09-30 2019-12-25 BYD Company Limited Connector for power batteries, power battery moduel,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9852T2 (hu) 2023-01-28
EP3654410A1 (en) 2020-05-20
EP3654410B1 (en) 2022-08-10
PL3654410T3 (pl)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5022B2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figuration of alternative orientation
US7580245B2 (en) Capacitor device
EP27656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P2038942B1 (en) Safety kit for secondary battery
US9012068B2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0542238B1 (ko) 전지 모듈
US9178206B2 (en) Battery module
KR20130133118A (ko) 전지 모듈 및 전지팩
US9837687B2 (en) Battery module
US11967737B2 (en) Busbar for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US20230089670A1 (en)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EP3644408B1 (en) Battery module
JPWO2019003928A1 (ja) バスバー及び電池積層体
JP7253743B2 (ja) 電池積層体
CN110620209A (zh) 具有多个电极的电池及使用该电池的电池模块
KR20200056936A (ko)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EP2450979B1 (en) Battery module
KR20200049587A (ko)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전지 모듈
KR102436424B1 (ko) 이차 전지
JP2019186118A (ja) 蓄電装置
CN111193000B (zh) 用于电池模块的汇流条和电池模块
JP2016189342A (ja) 電源装置
KR102598260B1 (ko) 전지모듈
US20230299437A1 (en) All solid secondary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EP3358644B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