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554A - 탁구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탁구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554A
KR20200056554A KR1020180140364A KR20180140364A KR20200056554A KR 20200056554 A KR20200056554 A KR 20200056554A KR 1020180140364 A KR1020180140364 A KR 1020180140364A KR 20180140364 A KR20180140364 A KR 20180140364A KR 20200056554 A KR20200056554 A KR 2020005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shooting
tennis ball
uni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586B1 (ko
Inventor
지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로그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로그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로그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8014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중앙에 위치한 네트를 기준으로 양측이 평판형태의 제1플레이부 및 제2플레이부로 분할되어 탁구공이 바운드 되도록 형성된 탁구대, 상기 탁구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1플레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슈터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상기 제2플레이부로 슈팅하는 슈팅유닛,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탁구공의 낙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의 낙하 위치에 기초하여 인접한 위치의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슈팅하는 탁구 운동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탁구 운동장치{Table Tennis Exerciser}
본 발명은 탁구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리턴된 탁구공의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탁구공을 추가슈팅 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탁구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탁구는 일정한 규격의 탁구대에서 작고 가벼운 공을 라켓으로 주고받으며 경쟁하는 경기로 좁은 장소에서 적은 인원이라도 언제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라켓 스포츠로서, 운동 자체가 별로 과격하지 않아서 남녀노소 누구 나 할 수 있는 종목이다. 따라서 각급 학교의 정규 체육시간, 특별활동 시간에도 이용할 수 있고, 직장인의 건강과 체력의 유지와 증진을 위하여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레크리에이션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그 이용 범위가 넓다.
탁구는 남녀노소 누구를 막론하고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인 동시에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실력을 향상시켜 단식이나 복식 등의 경기를 재미있게 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탁구는 혼자서는 즐길 수 없으며 함께 할 상대방이 있어야 운동이 가능하다. 물론, 일반적으로 탁구공을 슈팅하는 장치는 이미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단순히 슈팅만 할 뿐 실질적인 실력 향상에 도움을 주거 즐거움을 주기에는 무리가 있다.
예컨대, 탁구 경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와 리시브 조차도, 서비스 자에 따라 탁구공의 높이와 속도, 방향이 달라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서만이 효과적인 리시브가 가능하고, 나아가 공격으로도 전환이 가능한 것이.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운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탁구 운동장치의 경우 단순히 탁구공의 리시브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슈팅을 하는 단순한 패턴이 대부분이며, 추가적인 개량기술이라 하더라도, 슈팅 시 탁구공의 방향, 속도 및 거리를 조절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운동장치들을 사용하여 혼자서 연습이나 운동을 즐길 수는 있지만 실제 사람과 하는 운동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실력향상에는 큰 도움이 되지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순한 패턴으로 인해 쉽게 익숙해지며, 이에 따라 오랜 시간 지속적인 사용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슈팅된 탁구공에 대한 사용자의 리턴여부와 방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탁구공을 추가슈팅 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탁구를 구현할 수 있는 탁구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리턴된 탁구공의 속도를 추정하여 대응하는 속도로 탁구공을 추가슈팅 함으로써 실제 운동과 유사한 형태의 탁구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탁구 운동장치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중앙에 위치한 네트를 기준으로 양측이 평판형태의 제1플레이부 및 제2플레이부로 분할되어 탁구공이 바운드 되도록 형성된 탁구대, 상기 탁구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1플레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슈터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상기 제2플레이부로 슈팅하는 슈팅유닛,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리턴된 상기 탁구공의 낙하여부 및 낙하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의 낙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플레이부를 복수 개의 감지영역으로 구획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감지영역 중 상기 탁구공이 감지되는 영역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슈터가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슈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며 가장 인접한 상기 슈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의 추가슈팅 시 이전의 슈팅정보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되는 낙하지점에 기초하여 리턴된 상기 탁구공의 예측경로를 도출하고, 상기 예측경로에 위치한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리턴된 상기 탁구공의 상기 예측경로와 상기 슈터의 최소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슈터에서 추가슈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서 상기 탁구공의 낙하지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탁구공의 낙하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서 복수 개의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팅유닛은 상기 탁구공의 슈팅방향, 회전정도 또는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슈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 개의 슈팅패턴을 가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이 슈팅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감지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 지속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이 슈팅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탁구공을 감지하는 감지시점까지 소요된 리턴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리턴시간에 따라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대응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이 슈팅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탁구공을 감지하는 감지시점까지 소요된 리턴시간을 통해 상기 탁구공의 리턴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리턴속도에 따라 상기 탁구공의 추가슈팅을 위한 대응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리턴속도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구간범위 내에서는 동일한 대응속도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이 복수로 연속하여 감지되는 경우 추가슈팅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탁구 운동장치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에 의해 리턴된 탁구공의 낙하지점을 감지하고 복수 개 중 해당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슈팅유닛에서 추가슈팅 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속적인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탁구공의 슈팅시점에서 리턴된 탁구공의 낙하지점을 감지하는 감지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해 탁구공의 리턴속도를 추정하고, 이에 대응한 속도로 탁구공을 추가슈팅 함으로써 보다 리얼한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슈팅유닛이 속도, 방향 및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변화시켜 복수 개의 패턴으로 탁구공을 슈팅 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해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탁구대의 영역을 구획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감지유닛이 탁구공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감지영역에 따라 해당 슈팅유닛에서 탁구공이 슈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슈팅유닛에서 탁구공이 추가슈팅 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슈팅된 탁구공이 리턴되어 감지영역에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감지된 탁구공의 속도에 따라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의 전체적인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에서 사용자의 리턴에 따라 탁구공의 슈팅간격 및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에서 리턴되는 탁구공의 낙하위치에 따른 예측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탁구운동장치에서 리턴된 탁구공의 예측경로에 따라 슈터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의자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별도의 대응상대 없이 혼자서도 탁구운동을 즐길 수 있는 장치로서, 탁구대를 중심으로 타측에서 탁구공이 슈팅되며, 사용자가 받아 치는 형태로 즐길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탁구대의 영역을 구획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감지유닛이 탁구공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은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감지영역에 따라 해당 슈팅유닛에서 탁구공이 슈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크게 탁구대(100), 슈팅유닛(200), 감지유닛(300) 및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며, 탁구대(100)의 일측에 상기 슈팅유닛(200)이 배치되고, 반대방향인 타측에 사용자가 위치하여 탁구를 즐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탁구대(100)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상면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에서 탁구공(10)이 바운드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탁구대(100)는 일반적인 탁구대(100)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중앙을 양분하여 가로지르는 형태로 네트(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탁구대(100)는 상기 네트(20)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플레이부(120)와 타측의 제2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레이부(120)는 후술하는 상기 감지유닛(300)이 배치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이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부(120)와 상기 제2플레이부(110)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거의 없으며, 일반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플레이 공간으로 후방에 일정 수준 이상의 빈 공간이 위치해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탁구대(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부(1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2플레이부(110)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감지영역(122, 124, 126)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플레이부(120)는 상기 탁구대(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리시브한 탁구공(10)이 낙하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부(120)가 상기 탁구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 중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한 지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플레이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지영역(122) 내지 제3감지영역(126)으로 구획되며, 후술하는 상기 슈팅유닛(200)과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부(120)는 사용자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별도의 큰 공간은 필요 없으며, 후술하는 상기 슈팅유닛(200)이 설치될 정도의 공간이면 충분하다. 다만, 사용자가 탁구공(10)을 리시브하여 리턴되는 방향이므로, 그물망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완중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탁구대(100)는 상기 제1플레이부(120)와 상기 제2플레이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부(120)는 복수 개의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으로 구획되어 사용자의 리시브에 의해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해 바운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슈팅유닛(200)은, 상기 탁구대(100)의 일측에에서 상기 제1플레이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탁구공(10)을 상기 제2플레이부(110)로 슈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슈팅유닛(200)은 상기 탁구대(100)의 일측에서 상기 제1플레이부(12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한다.
이때, 상기 슈팅유닛(200)은 상기 탁구공(10)의 슈팅방향, 회전정도, 또는 슈팅속도(V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슈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절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슈팅유닛(200)은 제1슈터(210) 내지 제3슈터(230)로 구성되며 각각이 상기 제1플레이부(12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슈팅유닛(200)은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감지영역(122)은 상기 제1슈터(210)와, 상기 제2감지영역(124)은 상기 제2슈터(220)와, 상기 제3감지영역(126)은 상기 제3슈터(230)와 각각 연동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한다.
여기서, 상기 슈팅유닛(200)은 상기 제1슈터(210) 내지 상기 제3슈터(230)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부(12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었으나, 상기 탁구대(100)의 크기 또는 용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슈팅유닛(20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를 향해 슈팅되는 상기 탁구공(10)의 슈팅 위치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슈팅유닛(200)이 복수 개의 슈터(210, 220, 230)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향 및 패턴으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하여 현실감 있는 탁구를 즐기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제1플레이부(120)상에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제1플레이부(120)상에서 사용자의 리시브에 의해 낙하하는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여부를 감지 및 낙하 지점을 판단하고, 이를 후술하는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감지유닛(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310, 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한 지점이 복수 개의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 중 해당하는 영역을 도출할 수 잇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유닛(300)은 일반적인 광 감지센서나 압력감지센서, 접촉감지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유닛(300)은 두 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로는 광 감지센서(310) 및 접촉감지센서(320)를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부(120)상이 설치된다.
상기 광 감지센서(310)는 복수 개의 발광부(312)와 수광부(314)를 포함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부(120)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312)에서는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기 수광부(314)를 향해 출광하고, 상기 수광부(314)에서는 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광부(314)에서 광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312)와 상기 수광부(314)는 상기 제1플레이부(120)의 폭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쌍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접촉감지센서(320)는 상기 제1플레이부(120)의 면상에서 복수 개가 분산 배치되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접촉감지센서(320)는 상기 제1플레이부(120)상에 얇은 막 형태의 감응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유닛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유닛(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310, 320)를 포함하여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 감지센서(310)와 상기 접촉감지센서(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슈팅에 대한 제어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감지여부를 전달 받아 상기 제1슈터(210) 내지 상기 제3슈터(230)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탁구공(10)이 슈팅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탁구공(10)의 낙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감지영역(122) 내지 상기 제3감지영역(126) 중 낙하지점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영역을 도출한다.
그리고, 상기 탁구공(10)이 낙하된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에 대응하는 상기 슈터(210, 220, 230)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리턴에 의해 상기 탁구공(10)이 상기 제3감지영역(126)에 낙하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3슈터(23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지점이 상기 제1감지영역(122) 내지 상기 제3감지영역(126) 중 해당하는 영역을 도출하고, 이에 대응해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탁구공(10)을 리시브한 방향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탁구공(10)이 슈팅되어 현실적인 탁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이 슈팅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 지속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이 최초 상기 탁구공(10)의 슈팅 이후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탁구공(10)의 리시브를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추가적인 슈팅을 중지한다. 물론, 상기 감지유닛(300)이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슈팅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감지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낙하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도출하고, 이에 대응해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탁구 운동장치의 사용 시 연속적인 랠리를 즐길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하는 패턴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탁구공(10)의 슈팅방향, 회전정도, 슈팅속도(V1) 등을 조절하여 복수 개의 슈팅패턴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슈팅패턴에 대해 단계별로 난이도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알맞도록 난이도를 설정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에서 상기 슈팅패턴을 난이도별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직접 난이도를 클리어하고 다음단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난이도별 표준화를 하여 사용자의 탁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난이도별로 서로 다른 상기 슈팅패턴을 가지며, 사용자들간 실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상기 탁구대(100), 상기 슈팅유닛(200), 상기 감지유닛(300) 및 상기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슈팅된 상기 탁구공(10)의 리턴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슈터(210, 220, 230) 중 어느 하나에서 추가슈팅 함으로써 연속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가 탁구를 즐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탁구 운동장치는 상기 탁구대(10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별도의 회수유닛(미도시)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탁구대(100)가 설치된 바닥면상에 구비되며 상기 슈팅유닛(200)과 연결되어 바닥에 낙하한 상기 탁구공(10)을 회수하여 상기 슈팅유닛(200)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바닥면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되는 유입구(미도시)를 포함하며, 일부가 상기 바닥면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탁구공(10)을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유닛은 수집된 상기 탁구공(10)을 복수 개의 상기 슈팅유닛(200)으로 분배하여 각각 공급한다.
이때, 상기 바닥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구는 경사진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자연스레 상기 탁구공(10)이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탁구 운동장치의 사용 시 별도로 상기 탁구공(10)을 회수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탁구를 즐기는 전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선택하여 플레이 할 단계를 설정한다. (S110) 그리고 단계의 설정 이후 운동을 시작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한다.(S120)
이후, 상기 감지유닛(300)에서는 상기 탁구공(10)의 슈팅 이후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여부 및 슈팅시점(T1)에서부터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시점까지 걸린 시간을 도출한다(S130).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슈팅 후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감지하는데 까지 소요된 리턴시간(dT)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140).
만약,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에서 탁구공(10)의 낙하가 감지되지 않거나, 감지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경우 사용자가 리턴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슈팅을 중지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영역(122, 124, 126)에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가 연속하여 복수 개로 감지되는 경우 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하중이나 크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탁구공(10)이 올바르게 리턴되지 않거나 다른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슈팅을 중지한다.
하지만, 상기 리턴시간(dT)이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지점이 해당하는 영역을 확인(S150)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슈터(210) 내지 상기 제3슈터(230) 중 해당하는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S160).
그리고, 상기 제1슈터(210) 내지 상기 제3슈터(230) 중 결정된 하나를 통해서 추가적인 탁구공(10)의 슈팅을 진행(S170)하며,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지속적인 랠리를 이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가 동작하며, 사용자가 탁구를 즐길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여러 사용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플레이부(120)와 인접한 벽면 또는 공간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가상의 상대 이미지를 구현해 사용자와 대결을 펼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탁구 운동장치는 별도의 벽면(30)을 통해 상기 탁구대(100)를 기준으로 일측 및 폭 방향에 따른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인 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탁구 운동장치에 상기 제어유닛에서 운동의 진행 중 슈팅유닛(300)에서 슈팅되는 탁구공의 추가적인 슈팅속도 및 슈팅시점이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조절되는 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탁구 운동장치에서 슈팅유닛(200)에서 탁구공(10)이 슈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슈팅된 탁구공(10)이 리턴되어 감지영역(122, 124, 126)에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감지된 탁구공(10)의 속도에 따라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의 리턴 감지 이후 추가슈팅 시 속도 또는 슈팅시점(T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속도(V2)를 도출하고, 도출된 리턴속도(V2)에 따라 상기 탁구공(10)의 초기 슈팅속도(V1)와 별도로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속도 또는 슈팅시점(T1)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리턴시킨 상기 탁구공(10)의 속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추가슈팅 시 슈팅속도(V1) 또는 슈팅시점(T1)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하는 슈팅시점(T1)과 이후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시점(T2)까지 소요되는 리턴시간(dT)을 도출한다.
이때, 상기 슈팅시점(T1)에서 상기 탁구공(10)의 슈팅속도(V1)는 기본 값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패턴에 의해 설정된 상태이며, 상기 감지시점(T2)의 경우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하여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시점을 통해 측정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탁구공(10)이 슈팅되면서 상기 슈팅시점(T1), 및 상기 슈팅속도(V1)가 기록되고, 된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위치 및 감지시점(T2)을 함께 측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시점(T1)과 상기 감지시점(T2)간의 시간 차이를 통해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에 소요된 상기 리턴시간(dT)을 도출하고, 상기 슈팅시점(T1)과, 상기 슈팅속도(V1) 및 상기 리턴시간(dT)을 통해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속도(V2)를 추정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의 슈팅시점(T1)과 슈팅속도(V1)를 기록하고, 이후 상기 탁구공(10)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시점(T2)의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속도(V2)를 도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리턴속도(V2)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턴속도(V2)를 추정하고, 이를 적요하여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시 적용할 대응속도(V3) 또는 대응시점(T3)을 도출한다.
여기서, 상기 대응시점(T3)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감지시점(T2) 이후 추가슈팅 이 시작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써, 상기 리턴속도(V2)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대응시점(T3)과 상기 감지시점(T2) 사이의 시간은 짧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응속도(V3)는 상기 감지유닛(300)을 통해 도출된 상기 리턴속도(V2)에 대응하여 추가슈팅 시 적용하는 슈팅속도(V1)로써, 상기 리턴속도(V2)에 따라 대응속도(V3) 역시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여부뿐만 아니라, 상기 리턴속도(V2)를 추정해 추가슈팅 시 이를 반영하여 대응속도(V3) 또는 대응시점(T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추가슈팅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턴속도(V2)에 따라 상기 대응속도(V3) 및 상기 대응시점(T3)을 도출하는 방법은, 미리 데이터화 된 설정값을 통해 리턴속도(V2)에서 가감하여 도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속도(V3)와 상기 리턴속도(V2)가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대응시점(T3)과 상기 대응속도(V3)를 각각 모두 도출하고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시 모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어느 하나만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어유닛에서 상기 대응속도(V3)를 도출하지 않고 상기 대응 시간만을 도출하여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에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상기 리턴속도(V2)를 추정하지 않고, 상기 슈팅시점(T1) 및 상기 감지시점(T2)만을 이용해 상기 대응시점(T3)을 도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의 리턴 지점에 따라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슈팅유닛(200)을 통해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속도를 추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시 상기 대응속도(V3) 및 대응시점(T3)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리턴속도(V2)를 복구 개의 속도구간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간범위 내에서는 동일한 상기 대응속도(V3)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추가슈팅 하는 상기 탁구공(10)의 상기 대응속도(V3)가 단순화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이 복수 개의 상기 슈팅패턴을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 저 난이도에서는 상기 리턴속도(V2)를 복수 개의 구간별로 분류하여 균일하게 상기 대응속도(V3)를 설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유닛에서 고 난이도로 설정되는 경우, 상술한 상기 슈팅패턴의 변화와 함께 상기 리턴속도(V2)를 분류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상기 대응속도(V3)를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을 조절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원하는 난이도를 선택 후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슈팅한다(S210). 여기서, 상기 탁구공(10)의 슈팅 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시점(T1) 및 슈팅속도(V1)를 기록한다(S220).
이후, 상기 제어유닛은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에 대해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측정된 상기 탁구공(10)의 감지여부 및 상기 감지시점(T2)의 정보를 전달(S230)받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리턴시간(dT)을 도출한다(S240).
그리고, 도출된 상기 리턴시간(dT)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리턴을 실패로 간주하여 추가슈팅을 중지한다(S250).
그러나, 상기 리턴시간(dT)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리턴시간(dT)을 통해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속도(V2)를 추정한다(S260).
이후, 설정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리턴속도(V2)를 근거하여, 기 설정된 정보 또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을 위한 상기 대응시점(T3)을 도출(S270)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속도(V3)를 도출한다(S280)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도출된 상기 대응시점(T3) 및 상기 대응속도(V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S290). 이때, 상기 감지시점(T2)의 측정 시 상기 제1슈터(210) 내지 상기 제3슈터(230) 중 상기 탁구공(10)의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
이후, 다시 상기 탁구공(10)의 리턴 여부 및 상기 감지시점(T2)을 측정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200)에서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시 적용된 상기 대응시점(T3) 및 상기 대응속도(V3)는, 상기 슈팅시점(T1) 및 상기 슈팅속도(V1)로 적용하여 다시 리턴속도(V2)를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상술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사용자가 탁구 운동을 현실에 준하는 형태로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가 상기 탁구대(100), 상기 슈팅유닛(200), 상기 감지유닛(300) 및 상기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지점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복수 개 중 가장 인접한 슈터(210, 220, 230)를 통해 상기 탁구공(10)이 추가슈팅 되고, 이와 함께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속도 및 시점이 조절된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에서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예상경로를 도출해 복수 개의 슈터(210, 220, 230)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 슈팅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10)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슈터(210, 220, 230)에서 추가슈팅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단순히 상기 탁구공(10)의 낙하가 감지된 위치 및 영역만을 가지고 상기 제어유닛에서 추가슈팅을 수행하는 상기 슈터(210, 220, 230)를 특정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이전의 슈팅정보를 이용하여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10)의 추가슈팅 시 이전슈팅의 정보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낙하지점에 기초하여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를 도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이전 슈팅 시 상기 탁구공(10)의 슈팅위치, 방향, 각도, 속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탁구공(10)을 받아 치는 개략적인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에서 특정된 상기 탁구공(10)의 위치와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10)의 감지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예측경로상에서 인접한 상기 슈터(210, 220, 23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슈터(210)에서 슈팅된 상기 탁구공(10)이 사용자에 의해 리턴되어 제2감지영역(124)에서 낙하한다. 이때, 상기 탁구공(10)의 리턴시점 위치와 상기 탁구공(10)이 감지된 제2영역에서의 위치인 P1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인 W1을 도출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위치가 상기 제2감지영역(124)이지만, 상기 제어유닛에서 예측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인 W1은 제2감지영역(124)을 경유한 후 제3감지영억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에서는 상기 탁구공(10)이 올바르게 리턴된 것으로 인식한 후 상기 제3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3슈터(23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10)이 상기 제2감지영역(124)에서 감지되는 경우 단순히 제2슈터(22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탁구공(10)의 예상경로를 도출해 이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추가슈팅을 하는 상기 슈터(210, 220, 230)를 선택한다.
한편, 도 11을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탁구공(10)이 리턴되어 낙하한 위치인 P2는 도 10과 동일하게 상기 제2감지영역(124) 내에 위치하지만, 상기 제어유닛에서 도출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인 W2는 상기 제3감지영역(126)(126)으로 가지 않고 상기 제2감지영역(124)내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탁구공(10)이 낙하한 위치인 P1과 P2는 모두 상기 제2영역내에 위치하지만, 실제 위치에서의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가 W1과 W2로 다르게 도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슈터(220) 및 상기 제3슈터(230)에서 각각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탁구공(10)이 리턴되어 낙하하는 지점이 상기 제2영역 내라 하더라도 이전 슈팅된 상기 탁구공(10)의 슈팅정보를 통해 각각 다른 예상경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는 상기 슈터(210, 220, 230)가 상이하게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탁구운동장치는 단순히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위치에 따라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는 슈터(210, 220, 230)의 위치를 정하는 것만이 아니라,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를 도출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슈터(210, 220, 230)에서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슈터(210, 220, 230) 중 리턴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를 따라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어느 하나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하며, 상기 예측경로상에 상기 슈터(210, 220, 23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정 범위 이내에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와 일정범위 이내에서 근접한 상기 슈터(210, 220, 23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
여기서, 상기 탁구공(10)의 예측경로와 상기 슈터(210, 220, 230)의 최소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추가슈팅을 하고, 만약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슈팅을 중지하여 랠리를 새로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의 대결 상대인 본 발명의 탁구 운동장치가 상기 탁구공(10)을 받아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점수를 올릴 수 잇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감지영역(122) 내지 상기 제3감지영역(126)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슈터(210) 내지 상기 제3슈터(230)를 구비하여 각각이 연동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10)의 낙하지점과 이전슈팅에서의 슈팅정보를 통해 상기 탁구공(10)이 리턴되는 예측경로를 추가로 적용하여 상기 슈터(210, 220, 230)에서 상기 탁구공(10)을 추가슈팅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운동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현실적이고 리얼한 탁구를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탁구대
110: 제2플레이부
120: 제1플레이부
200: 슈팅유닛
210, 220, 230: 슈터
300: 감지유닛
310: 광 감지센서
320: 접촉감지센서
10: 탁구공
20: 네트
30: 벽면

Claims (15)

  1.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중앙에 위치한 네트를 기준으로 양측이 평판형태의 제1플레이부 및 제2플레이부로 분할되어 탁구공이 바운드 되도록 형성된 탁구대;
    상기 탁구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1플레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슈터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상기 제2플레이부로 슈팅하는 슈팅유닛;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리턴된 상기 탁구공의 낙하여부 및 낙하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탁구공의 낙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탁구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플레이부를 복수 개의 감지영역으로 구획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감지영역 중 상기 탁구공이 감지되는 영역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슈터가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탁구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슈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며 가장 인접한 상기 슈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운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의 추가슈팅 시 이전의 슈팅정보와 상기 감지유닛에서 감지되는 낙하지점에 기초하여 리턴된 상기 탁구공의 예측경로를 도출하고, 상기 예측경로에 위치한 상기 슈터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탁구 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리턴된 상기 탁구공의 상기 예측경로와 상기 슈터의 최소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슈터에서 추가슈팅 하는 탁구 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서 상기 탁구공의 낙하지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탁구공의 낙하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운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플레이부상에서 복수 개의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유닛은,
    상기 탁구공의 슈팅방향, 회전정도 또는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슈팅하는 탁구 운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 개의 슈팅패턴을 가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운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탁구공이 슈팅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감지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 지속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도록 제어하는 탁구 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이 슈팅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탁구공을 감지하는 감지시점까지 소요된 리턴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리턴시간에 따라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대응시점을 조절하는 탁구 운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슈팅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이 슈팅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탁구공을 감지하는 감지시점까지 소요된 리턴시간을 통해 상기 탁구공의 리턴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리턴속도에 따라 상기 탁구공의 추가슈팅을 위한 대응속도를 조절하는 탁구 운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리턴속도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구간범위 내에서는 동일한 대응속도로 상기 탁구공을 추가슈팅 하는 탁구 운동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에서 상기 탁구공이 복수로 연속하여 감지되는 경우 추가슈팅을 중지하는 탁구 운동장치.
KR1020180140364A 2018-11-15 2018-11-15 탁구 운동장치 KR10212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64A KR102129586B1 (ko) 2018-11-15 2018-11-15 탁구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64A KR102129586B1 (ko) 2018-11-15 2018-11-15 탁구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54A true KR20200056554A (ko) 2020-05-25
KR102129586B1 KR102129586B1 (ko) 2020-07-02

Family

ID=7091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64A KR102129586B1 (ko) 2018-11-15 2018-11-15 탁구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79A1 (ko) * 2021-12-17 2023-06-22 패스트퐁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687U (ja) * 1994-12-20 1995-10-31 有限会社メディアックス 卓球練習装置
JP2002095782A (ja) * 2000-09-25 2002-04-02 Hama Bowl:Kk 卓球競技装置
KR20030031322A (ko) * 2001-10-13 2003-04-21 (주)이도전자 탁구 게임기
KR101114595B1 (ko) * 2009-07-24 2012-02-20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CN204073341U (zh) * 2014-04-08 2015-01-07 姚发芳 一种乒乓球对练机
KR101564191B1 (ko) * 2015-01-15 2015-10-28 조병구 탁구 연습 장치
CN206730435U (zh) * 2017-05-11 2017-12-12 山东省产品质量检验研究院 一种自发球式兵乓球训练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7191B (en) * 1996-06-04 1999-05-01 Food Industry Development Res Institute Bifidobacteria strains with acid, bile salt and oxygen tolerance and their culture method the invention relates to bifidobacteria strains with acid, bile salt and oxygen tolerance and their culture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687U (ja) * 1994-12-20 1995-10-31 有限会社メディアックス 卓球練習装置
JP2002095782A (ja) * 2000-09-25 2002-04-02 Hama Bowl:Kk 卓球競技装置
KR20030031322A (ko) * 2001-10-13 2003-04-21 (주)이도전자 탁구 게임기
KR101114595B1 (ko) * 2009-07-24 2012-02-20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CN204073341U (zh) * 2014-04-08 2015-01-07 姚发芳 一种乒乓球对练机
KR101564191B1 (ko) * 2015-01-15 2015-10-28 조병구 탁구 연습 장치
CN206730435U (zh) * 2017-05-11 2017-12-12 山东省产品质量检验研究院 一种自发球式兵乓球训练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79A1 (ko) * 2021-12-17 2023-06-22 패스트퐁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KR20230093117A (ko) * 2021-12-17 2023-06-27 패스트퐁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586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2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ed golf
EP0777438A1 (en) A user controlled combination video game and exercise system
KR101974911B1 (ko)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EP1202236A2 (en) Skill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US112075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ed golf
US8177642B2 (en) Game control program,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device
JP5334185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KR101803507B1 (ko)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CA3134897C (en) Automatic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US8251789B2 (en) Game control program,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device
US20220409942A1 (en) Hopscotch trampoline
KR102129586B1 (ko) 탁구 운동장치
US8025560B2 (en) Game control program,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device
JP2007152057A (ja) 打撃系練習機
TWI402091B (zh) 遊戲機及遊戲程式
JP2727154B2 (ja) カ−ドゲ−ム装置
KR102464742B1 (ko) 탁구 게임 연습 장치
KR102212704B1 (ko) 터링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540397B1 (ko)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CN211050861U (zh) 一种交互式运动训练设备
KR101816845B1 (ko)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스크린 야구 진행에 참여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oeger Volleyball drills
KR20230132004A (ko) 좌우타격이 가능한 가상 골프 장치
KR20230132005A (ko) 승부결과를 예측하는 가상 골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