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511A -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511A
KR20200055511A KR1020180139238A KR20180139238A KR20200055511A KR 20200055511 A KR20200055511 A KR 20200055511A KR 1020180139238 A KR1020180139238 A KR 1020180139238A KR 20180139238 A KR20180139238 A KR 20180139238A KR 20200055511 A KR20200055511 A KR 20200055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hared
web
participant
canv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재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5511A/ko
Publication of KR2020005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28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가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캔버스 상에 콘텐츠를 공유하며 손쉽게 커뮤니케이션하며 공동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되 동시 접속자가 많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브라우저 차이에 대한 호환성 향상을 통해 실시간의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Web-based real-time shared object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참가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캔버스 상에 콘텐츠를 공유하며 손쉽게 커뮤니케이션하며 공동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되 동시 접속자가 많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브라우저 차이에 대한 호환성 향상을 통해 실시간의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에 온라인을 통한 데이터를 가지고 양방향 및 협업으로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작업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온라인 협업은 음성 또는 영상 전화회의를 비롯하여 일종의 단체 채팅방이나 게시판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서로 지리적, 시간적 제약 없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공동작업은 주로 기업에서 많이 사용하게 되며, 대면 작업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원활하게 공유하며 진행 내용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근래에는 통신망의 발달과 압축 기술의 발전으로 대용량의 자료 전달이 용이해져 화상이나 음성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원격협업도 발전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회의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별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가 요구되기도 하며, 일반 사용자들이 개인용 컴퓨터로 무료서비스를 활용한 다자간 회의 및 데이터 공유를 하기에 동시 접속자가 많은 서비스의 특성상 서버에서 여러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병목현상(서버 과부하 현상 등)이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들 간 입력장치, 즉 브라우저의 차이에 따라 이벤트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하거나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공유되는 이벤트의 소실시 공유의 동기화가 보장되지 않기도 했다. 이를 위해서 브라우저의 환경을 강하게 제약(constraint)하는 방법에서도 사용의 불편함이 여전히 있었으며, 기존의 웹 프로토콜 HTTP는 REQUEST, RESPONSE 방식으로 데이터 요청이 없을시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을 수 없어 실시간 데이터 공유를 위해 의미 없는 요청을 수시고 보내야 하며, 이로 인한 많은 자원낭비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17297호(2012.10.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커뮤니케이션하며 공동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되 웹공유 WebSocket 엔진과 Network Interface를 통해 동시 접속자가 많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브라우저 차이에 대한 호환성 향상을 통해 실시간의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은 개설자로부터 개설요청에 따라 동작명령을 위한 메뉴영역과 콘텐츠 및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을 갖고 웹브라우저 자체를 클라이언트로 하는 공유캔버스를 생성하는 작업공간할당부와, 상기 공유캔버스에 접속코드를 부여하여 참여자로부터 접속코드를 통한 상기 공유캔버스로의 접근을 허용 및 관리하며 웹소켓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접속관리부와,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반영하여 상기 공유캔버스를 갱신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공유하는 공유부와,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MQ서버와 DB서버와 스토리지서버를 통해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할당하는 데이터할당부를 구비하는 공유서버; 참여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설정용량 이상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며 접속한 다른 참여자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전송하는 MQ서버; 상기 공유서버를 통해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서버; 상기 스토리지서버와 연계하여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기록하는 위치기록부와, 상기 공유캔버스의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 저장하는 로그기록부를 구비하여 참여자의 접속시 공유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DB서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MQ서버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확장 가능한 구조로, MQTT, AMQP, STOMP 등의 메시지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참여자들 간의 음성, 화상채팅을 지원하는 메시지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유부는 공유캔버스에 입력된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 이동, 추가, 삭제 기능과 함께, 오브젝트가 문서파일인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과, 미디어 파일인 경우 재생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은 공유서버와, MQ서버와, 스토리지서버와 DB서버를 구비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에 있어서, 개설자로부터 개설요청에 따라 동작명령을 위한 메뉴영역과 콘텐츠 및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을 갖고 웹브라우저 자체를 클라이언트로 하는 공유캔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캔버스에 접속코드를 부여하여 참여자로부터 접속코드를 통한 상기 공유캔버스로의 접근을 허용하며 참여자와 웹소켓을 통한 오브젝트를 전송받는 단계; 참여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설정용량 이상의 데이터를 MQ서버에 별도로 저장하며 접속한 다른 참여자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스토리지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서버와 연계하여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DB서버에 기록하는 단계;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반영하여 상기 공유캔버스를 갱신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공유하는 단계; 상기 DB서버를 통해 상기 공유캔버스의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 저장하고 참여자의 접속시 공유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MQ서버를 통해 참여자들 간의 음성, 화상채팅이 이루어지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캔버스에 입력된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 이동, 추가, 수정, 삭제 기능과 함께, 오브젝트가 문서파일인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과, 미디어 파일인 경우 재생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 웹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들을 웹 서버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쉽게 공동작업의 개설 및 참여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될 수 있으며, 진행 중 의견기록, 자료 업로드 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역동적이고 능동적인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참가자들의 다양한 활동들이 그대로 저장, 기록되며, 이를 분석하여 구성원의 방향성, 목표, 결과도출 등 활용이 가능하며, 회의나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여러 분야를 비롯하여 B2B, B2C 전자상거래, 원격교육, 원격진료, 양방향 커뮤니티, 온라인 경매, 웹 컨퍼런스 등 교육분야나 기업에서 프로젝트 진행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공유서버(1) 및 복수의 단말기를 구비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데스크톱 및 랩톱과 같은 컴퓨터를 비롯하여 각종 스마트 패드나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통칭한다.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각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및 서버를 통해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공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며, 구체적으로 웹에서 공동작업을 하기 위한 공유서버(1)를 기반으로 오브젝트의 공유 및 변화의 대용량처리를 위해 MQ서버(2)와 DB서버(3) 그리고 스토리지서버(4)로 데이터를 할당 처리함으로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시스템 구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이다.
상기 공유서버(1)는 웹(Web) 브라우저로 접속 가능한 콘텐츠공유 웹서버의 구성으로 작업공간할당부(11)와, 접속관리부(12)와, 공유부(13)와, 데이터할당부(14)의 세부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작업공간할당부(11)는 개설자로부터 개설요청에 따라 동작명령을 위한 메뉴영역과 콘텐츠 및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을 갖고 웹브라우저 자체를 클라이언트로 하는 공유캔버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공유서버(1)를 통해 생성된 공유캔버스를 각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공유캔버스는 콘텐츠로 대표되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활용한 교육이나, 회의, 공동작업 등 각자 단말기를 소지한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오브젝트를 삽입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그룹활동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의 삽입 및 삭제, 수정 등의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메뉴영역과,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관리부(12)는 상기 공유캔버스에 접속코드를 부여하여 참여자로부터 접속코드를 통한 상기 공유캔버스로의 접근을 허용 및 관리하며 웹소켓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온라인상에 공동 작업을 위한 공간인 공유캔버스가 생성됨에 따라 작업을 위해 이에 접속할 수 있는 준비 및 참석자 인원관리를 위한 구성으로 공동작업 참가자 중 한 명인 개설자로부터 나머지 참가자와 작업을 위한 개략적인 정보나 프로젝트 명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공유캔버스 접속을 위한 접속코드가 부여되어 이를 통해 인가된 참여자가 작업공간에 초대되어 입·퇴장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작업공간이 제공됨에 따라 할당된 접속코드를 공유서버에서는 개설정보에 포함된 참석자에게 접속코드가 담긴 초대 메시지를 발송하고, 초대 메시지를 받은 참석자가 이에 응하여 작업공간에 해당하는 웹주소 등을 클릭함으로 개설된 공간에 접속하여 작업참여와, 입, 퇴장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유부(13)는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반영하여 상기 공유캔버스를 갱신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공유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웹 소켓 프로토콜을 통해 공유서버와 각 참가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브라우저 사이에 통신을 지원하게 된다.
이때 적용되는 웹 소켓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연결(61611~61619번 포트)을 생성하여 전이중(full-duplex)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유서버와 참가자의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상에 구현되어, 두 장치 간에 실시간 상호 작용하도록 지원한다.
이는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실시간 정보 공유가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한층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공유서버와 단말기가 HTTP를 이용해 한 번 연결한 후에는 필요한 통신 모두를 그 연결 상에서 웹 소켓 전용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 시간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HTTP와 달리 경량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 손실이 적고 자원절약에 효과적이다.
또한, 하나의 연결로 모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공유서버에 연결한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영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웹 소켓은 버전, 종류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다르나, socket.io API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에 따라 호환되는 웹 소켓을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브젝트의 공유가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다른 사람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현재 누가 데이터를 업로드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업로드 되면 브라우저에 관계없이 새로 고침 없이도 바로 적용되어 모든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유부(13)는 공유캔버스에 입력된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 이동, 추가,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영상콘텐츠를 비롯하여 문자, 도형객체, 이미지, 문서 등 다양한 형식의 오브젝트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으로, 근대 보급이 높은 터치스크린 환경 등에서 간편하고 빠르면서도 보기 좋게 콘텐츠의 삽입 및 정렬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입력영역 내에 복수의 콘텐츠를 겹침 없이 삽입하고 다수의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캔버스를 공유하는 그룹활동에 있어서 더욱 편리한 사용환경이 제공된다.
이와 더불어 공유된 오브젝트가 문서 파일인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을 제공하여 페이지를 넘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음악이나 동영상 등 미디어 파일인 경우 재생, 정지, 전후이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공유캔버스 상에서 동공작업을 위한 대부분의 기능이 이루어질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유 가능한 오브젝트는 텍스트, 문서, 이미지, 파일, 동영상, 웹 링크 주소를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공유서버를 통해 작성수단이 제공되는 이미지 객체나, 투표, 퀴즈 등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른 콘텐츠의 범위가 확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저장된 파일을 넣거나, 자판을 통한 텍스트의 입력이나 클립보드의 내용을 붙여 넣기 하는 방식으로 텍스트나 링크 주소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할당부(14)는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MQ서버(2)와 DB서버(3)와 스토리지서버(4)를 통해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할당하는 구성이다. 즉 웹에서 공동작업을 하기 위해 단일의 공유서버만 구성될 경우 오브젝트의 공유 및 변화의 대용량처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음성, 화상 데이터의 경우 실시간 공유 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매우 크다. 이에 후술되는 MQ서버(2)와 DB서버(3) 그리고 스토리지서버(4)로 역할을 구분하여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시스템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공유서버(1)는 사용자들 간의 공동작업에 따른 오브젝트를 중계해 주는 역할을 하며, 구조는 잘 알려진 IRC 서버와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유서버에 접속시 참여자는 접속코드를 통해 공유서버의 접속 인증을 받는다.
공유서버(1)에 접속된 사용자는 정해진 명령어 내지는 인터페이스상의 메뉴를 통해 공유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거나 공유작업에 참가하거나 또는 새로운 작업공간을 만들 수 있다. 공유서버와의 통신은 JSON 등의 text 포멧으로 이루어진다. 참여자의 단말기와 공동작업 서버는 인터넷상의 WebSocket 표준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본 발명의 작동 환경의 범용성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또한, 공유서버(1)는 다수의 참여자와 인터넷상의 TCP/IP(Sll)표준을 통해 연결되고, 각 참여자들은 각자의 단말기에 웹 공유 엔진과 Network Interface 모듈을 갖고 있으며, 공유서버와 Network Interface 모듈은 인터넷상의 TCP/IP표준을 통해 연결되고, Network Interface 모듈과 웹 공유 엔진은 WebSocket 통해 연결된다.
공유서버와 연결 가능한 참여자 수는 공유서버의 성능과 연결된 Network의 속도에 의존하고 각각의 참여자의 환경에 의존하지 않는다.
상기 MQ서버(2)는 참여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설정용량 이상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며 접속한 다른 참여자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음성, 화상 등을 활용한 공동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등 공유캔버스 특성상 동시 접속자 수가 많기 때문에 대용량처리가 꼭 필요하게 된다. 이때 대용량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 HTML5에서 지원하는 WebSocket과 함께 MQ서버(2)를 통해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MQ는 메시지 큐로서 단말기가 서로 간에 통신을 할 때 공유서버만을 통해서는 상대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에 상시 대기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므로 이를 대비하여 FIFO 방식의 저장 장소인 큐{queue}생성 후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 메시지 큐에 넣어 처리하는 것이다. 즉 상대 단말기가 처리할 시간이 생길 때마다 메시지 큐에 데이터를 확인 후 처리를 하며 각각의 단말기가가 자신의 처리 작업을 하면서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Q서버(2)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확장 가능한 구조로, MQTT, AMQP, STOMT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참여자들 간의 음성, 화상채팅을 지원하는 메시지중계부(21)를 포함한다.
즉 WebSocket으로 공유서버와 브라우저가 실시간 통신을 지원하며, 상기 MQ서버(2)를 통해 대용량 메시지 전송을 지원한다. 이러한 MQ서버(2)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확장 가능한 구조로 MQTT, AMQP, STOMP 등 잘 알려진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확장성을 도모한다.
상기 스토리지서버(4)는 상기 공유서버(1)를 통해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공유캔버스에 자료가 업로드되면 상기 공유서버(1)에 의해 업로드 및 공유 진행 후 상기 스토리지서버(4)에 실질적으로 저장된다.
이는 후술되는 DB서버(3)에 위치가 기록되며, 만약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경우 상기 DB서버(3)에 변경 로그 기록과 함께 상기 스토리지서버에서 실질적인 데이터 삭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는 상기 공유서버(1)에 구비된 데이터할당부(14)의 통제로 이루어지며, DB서버(3)에 기록, 스토리지서버(4)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저장 및 삭제라는 협업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B서버(3)는 공유캔버스에서 일어는 모든 과정을 기록하는 서버로, 위치기록부(31)와, 로그기록부(32)의 세부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기록부(31)는 상기 스토리지서버와 연계하여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기록하고, 상기 로그기록부(32)는 상기 공유캔버스의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 저장하는 로그기록부를 구비하여 참여자의 접속시 공유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즉 작업공간인 공유캔버스의 생성부터 공유캔버스에 오브젝트의 추가, 삭제, 수정 등의 모든 과정을 저장하여, 사용자는 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첫 번째 단계(S 110)에서는 개설자로부터 개설요청에 따라 동작명령을 위한 메뉴영역과 콘텐츠 및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을 갖고 웹브라우저 자체를 클라이언트로 하는 공유캔버스를 생성한다.
즉 상기 공유서버(1)를 통해 생성된 공유캔버스를 각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공유캔버스는 콘텐츠로 대표되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활용한 교육이나, 회의, 공동작업 등 각자 단말기를 소지한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오브젝트를 삽입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그룹활동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의 삽입 및 삭제, 수정 등의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메뉴영역과,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단계(S 120)에서는 상기 공유캔버스에 접속코드를 부여하여 참여자로부터 접속코드를 통한 상기 공유캔버스로의 접근을 허용하며 참여자와 웹소켓을 통한 오브젝트를 전송받는다.
즉 온라인상에 공동 작업을 위한 공간인 공유캔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준비 및 참석자 인원관리를 위한 구성 접속을 위한 접속코드가 부여되어 이를 통해 인가된 참여자가 작업공간에 초대되어 입·퇴장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오브젝트 전송에는 웹 소켓이 적용되어 접속 시간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통신 손실이 적고 자원절약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연결로 모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공유서버(1)에 연결한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영향이 적고, 오브젝트가 업로드 되면 브라우저에 관계없이 새로 고침 없이도 바로 적용되어 모든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단계(S 130)에서는 참여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설정용량 이상의 데이터를 MQ서버에 별도로 저장하며 접속한 다른 참여자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전송한다. 즉 웹에서 공동작업을 하기 위해 단일의 공유서버만 구성될 경우 오브젝트의 공유 및 변화의 대용량처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음성, 화상 데이터의 경우 실시간 공유 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매우 크다.
이에 MQ서버(2)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MQ는 메시지 큐로서 단말기가 서로 간에 통신을 할 때 공유서버만을 통해서는 상대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에 상시 대기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므로 이를 대비하여 FIFO 방식의 저장 장소인 큐{queue}생성 후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 메시지 큐에 넣어 처리하는 것이다. 즉 상대 단말기가 처리할 시간이 생길 때마다 메시지 큐에 데이터를 확인 후 처리를 하며 각각의 단말기가 자신의 처리 작업을 하면서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S 140)에서는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스토리지서버에 저장한다. 즉 상기 공유캔버스에 자료가 업로드되면 상기 공유서버(1)에 의해 업로드 및 공유 진행 후 상기 스토리지서버(4)에 실질적으로 저장된다.
다섯 번째 단계(S 150)에서는 상기 스토리지서버와 연계하여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DB서버에 기록한다. DB서버(3)에 위치가 기록되며, 만약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경우 상기 DB서버(3)에 변경 로그 기록과 함께 상기 스토리지서버에서 실질적인 데이터 삭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는 상기 공유서버(1)에 구비된 데이터할당부(14)의 통제로 이루어지며, DB서버(3)에 기록, 스토리지서버(4)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저장 및 삭제라는 협업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 번째 단계(S 160)에서는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반영하여 상기 공유캔버스를 갱신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공유한다.
이는 영상콘텐츠를 비롯하여 문자, 도형객체, 이미지, 문서 등 다양한 형식의 오브젝트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으로, 근대 보급이 높은 터치스크린 환경 등에서 간편하고 빠르면서도 보기 좋게 콘텐츠의 삽입 및 정렬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입력영역 내에 복수의 콘텐츠를 겹침 없이 삽입하고 다수의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캔버스를 공유하는 그룹활동에 있어서 더욱 편리한 사용환경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MQ서버를 통해 참여자들 간의 음성, 화상채팅이 이루어지는 단계(S 161)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후 공유캔버스에 입력된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 이동, 추가, 삭제 기능과 함께, 오브젝트가 문서파일인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과, 미디어 파일인 경우 재생기능을 제공하는 단계(S 162)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유 가능한 오브젝트는 텍스트, 문서, 이미지, 파일, 동영상, 웹 링크 주소를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공유서버를 통해 작성수단이 제공되는 이미지 객체나, 투표, 퀴즈 등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른 콘텐츠의 범위가 확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저장된 파일을 넣거나, 자판을 통한 텍스트의 입력이나 클립보드의 내용을 붙여 넣기 하는 방식으로 텍스트나 링크 주소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곱 번째 단계(S 170)에서는 상기 DB서버를 통해 상기 공유캔버스의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 저장하고 참여자의 접속시 공유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상기 위치기록부(31) 및 로그기록부(32)를 통해 작업공간인 공유캔버스의 생성부터 공유캔버스에 오브젝트의 추가, 삭제, 수정 등의 모든 과정을 저장하여, 사용자는 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공유서버 11: 작업공간할당부
12: 접속관리부 13: 공유부
14: 데이터할당부 2: MQ서버
21: 메시지중계부 3: DB서버
31: 위치기록부 32: 로그기록부
4: 스토리지서버

Claims (6)

  1.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개설자로부터 개설요청에 따라 동작명령을 위한 메뉴영역과 콘텐츠 및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을 갖고 웹브라우저 자체를 클라이언트로 하는 공유캔버스를 생성하는 작업공간할당부(11)와, 상기 공유캔버스에 접속코드를 부여하여 참여자로부터 접속코드를 통한 상기 공유캔버스로의 접근을 허용 및 관리하며 웹소켓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접속관리부(12)와,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반영하여 상기 공유캔버스를 갱신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공유하는 공유부(13)와,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MQ서버(2)와 DB서버(3)와 스토리지서버(4)를 통해 처리되도록 데이터를 할당하는 데이터할당부(14)를 구비하는 공유서버;
    참여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설정용량 이상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며 접속한 다른 참여자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전송하는 MQ서버(2);
    상기 공유서버(1)를 통해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서버(4);
    상기 스토리지서버(4)와 연계하여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기록하는 위치기록부(31)와, 상기 공유캔버스의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 저장하는 로그기록부(32)를 구비하여 참여자의 접속시 공유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DB서버(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Q서버(2)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확장 가능한 구조로, MQTT, AMQP, STOMP를 포함하는 메시지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참여자들 간의 음성, 화상채팅을 지원하는 메시지중계부(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부(13)는 공유캔버스에 입력된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 이동, 추가, 수정, 삭제 기능과 함께, 오브젝트가 문서파일인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과, 미디어 파일인 경우 재생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4. 공유서버(1)와, MQ서버(2)와, 스토리지서버(4)와 DB서버(3)를 구비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에 있어서,
    개설자로부터 개설요청에 따라 동작명령을 위한 메뉴영역과 콘텐츠 및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을 갖고 웹브라우저 자체를 클라이언트로 하는 공유캔버스를 생성하는 단계(S 110);
    상기 공유캔버스에 접속코드를 부여하여 참여자로부터 접속코드를 통한 상기 공유캔버스로의 접근을 허용하며 참여자와 웹소켓을 통한 오브젝트를 전송받는 단계(S 120);
    참여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설정용량 이상의 데이터를 MQ서버(2)에 별도로 저장하며 접속한 다른 참여자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S 130);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스토리지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 140);
    상기 스토리지서버(4)와 연계하여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DB서버에 기록하는 단계(S 150);
    참여자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를 반영하여 상기 공유캔버스를 갱신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공유하는 단계(S 160);
    상기 DB서버(3)를 통해 상기 공유캔버스의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 저장하고 참여자의 접속시 공유캔버스의 최종상태를 항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S 1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Q서버(2)를 통해 참여자들 간의 음성, 화상채팅이 이루어지는 단계(S 16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공유캔버스에 입력된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 이동, 추가, 삭제 기능과 함께, 오브젝트가 문서파일인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과, 미디어 파일인 경우 재생기능을 제공하는 단계(S 16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방법.
KR1020180139238A 2018-11-13 2018-11-13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5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38A KR20200055511A (ko) 2018-11-13 2018-11-13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38A KR20200055511A (ko) 2018-11-13 2018-11-13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11A true KR20200055511A (ko) 2020-05-21

Family

ID=7091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38A KR20200055511A (ko) 2018-11-13 2018-11-13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55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62B1 (ko) 2021-02-04 2021-06-21 주식회사 서경산업 웹 기반의 시설물 관리 공유 시스템
KR102288944B1 (ko) * 2021-04-06 2021-08-12 박철우 Mqtt 기능을 활용한 유무선 음성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39818B1 (ko) * 2020-10-22 2021-12-15 에이치투오시스템테크놀로지(주) 엠큐티티 프로토콜 기반 다자간 모바일 정보 공유 시스템
KR20220101336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트랜스코스모스코리아 양방향 화면공유를 통한 보이는 고객상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297A (ko) 2011-04-15 2012-10-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장 네트워크 기반 회의록 요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297A (ko) 2011-04-15 2012-10-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장 네트워크 기반 회의록 요약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818B1 (ko) * 2020-10-22 2021-12-15 에이치투오시스템테크놀로지(주) 엠큐티티 프로토콜 기반 다자간 모바일 정보 공유 시스템
KR20220101336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트랜스코스모스코리아 양방향 화면공유를 통한 보이는 고객상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67362B1 (ko) 2021-02-04 2021-06-21 주식회사 서경산업 웹 기반의 시설물 관리 공유 시스템
KR102288944B1 (ko) * 2021-04-06 2021-08-12 박철우 Mqtt 기능을 활용한 유무선 음성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807B2 (en) Method and software for enabling n-way collaborative work over a network of computers
KR20200055511A (ko) 웹 기반 실시간 공유 오브젝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9178957B2 (en) Application and data agnostic collaboration services
CN101427257B (zh) 在实时协作性会话中跟踪并编辑资源
US9210200B1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connecting users to operating nodes
JP2012531637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ラボ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7015681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vely displaying information to an invited participant
US8630395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ultiuser communication
BRPI0708275A2 (pt) arquitetura de definição de escopos de subsistema para subsalas em um espaço virtual
Berena et al. Shared virtual presentation board for e-Meeting in higher education on the WebELS platform
Kouki et al. Telelearning via the Internet
KR20030096146A (ko) 무선 인터넷과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협업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1687901B1 (ko)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들 사이의 판서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Naber et al. Transferring an interactive display service to the virtual reality
US20230385768A1 (en) Workspace Video Collaboration
KR100360538B1 (ko)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비실시간 상호 웹 발표방법 및 시스템
KR102339818B1 (ko) 엠큐티티 프로토콜 기반 다자간 모바일 정보 공유 시스템
SAEED et al. Design And Implement Video And Chat Application Using Mesh Network
Siltanen et al. Gaze-aware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 for multiparty collaboration
KR20000063224A (ko) 화상회의시 자료 공유, 마우스 에뮬레이션 및 회의록 작성방법
War et al. Study of Peer-to-peer Network Video Conferencing System
Kamolphiwong et al. A design framework of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in distributed systems
TR2021018363A2 (tr) Vi̇deo konferans üzeri̇nden bi̇lgi̇ paylaşim si̇stemi̇
Villardier et al. A synchronous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distance education and teleworking
JPH07321781A (ja) 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