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054A -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054A
KR20200055054A KR1020207011057A KR20207011057A KR20200055054A KR 20200055054 A KR20200055054 A KR 20200055054A KR 1020207011057 A KR1020207011057 A KR 1020207011057A KR 20207011057 A KR20207011057 A KR 20207011057A KR 20200055054 A KR20200055054 A KR 2020005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uplink reference
transmission
inform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914B1 (ko
Inventor
키우핑 후앙
키우빈 가오
라케쉬 탐라카르
후이 리
룬후아 첸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0005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048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단말측의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은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9월 30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710923315.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LTE Rel-8에서, 최대 4개 계층의 MIMO 전송이 지원될 수 있다.
Rel-9은 중점적으로 MU-MIMO 기술에 대해 강화를 진행하였으며, TM(Transmission Mode, 전송 모드)-8의 MU-MIMO(Multi-User MIMO,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전송에서 최대 4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계층이 지원될 수 있다.
Rel-10은, 8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도입 및 지원하여, 채널 상태 정보의 공간 해상도를 더 한층 향상시키고, 진일보하여 SU-MIMO(Single-User MIMO, 단일―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의 전송 능력을 최대 8개 데이터 계층까지 확장시켰다.
Rel-13 및 Rel-14은 32개의 포트까지 지원하는 FD-MIMO 기술을 도입하여, 풀-디멘젼 및 수직 방향의 빔포밍을 실현한다.
MIMO 기술을 더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규모 안테나 기술을 도입한다. 기지국에 대해, 풀 디지털화 대규모 안테나에 최대 128/256/512개의 안테나 유닛, 및 최대 128/256/512개의 송수신 유닛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안테나 유닛은 하나의 송수신 유닛에 연결된다. 최대 128/256/512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피드백하도록 한다.
단말에 대해, 최대 32/64개의 안테나 유닛의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 및 단말기 양측의 빔포밍을 통해, 거대한 빔포밍 이득을 얻어, 경로 손실에 따른 신호 감쇄를 보상하도록 한다. 특히, 고 주파수 밴드 통신에 있어서, 예컨대 30GHz 주파수 포인트(frequency point) 상에서, 경로 손실로 인해 무선 신호의 커버리지 범위에 한계가 있다. 대규모 안테나 기술을 통해, 무선 신호의 커버리지 범위를 적용가능한 범위내로 확장시킬 수 있다.
관련 기술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코드북 기반의 업링크 전송은 상용되는 업링크 전송 기술이다.
코드북 기반의 업링크 전송 방안에 있어서, 단말(UE)은 업링크 참조 신호(예컨대,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기지국(BS)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한 후, TPMI(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 TRI(송신 랭크 지시자) 및 MCS(변조 및 코딩 책략) 등 단말이 사용하는 정보를 확정하고, UE의 업링크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DCI(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UE에게 예컨대 TRI, TPMI 및 MCS와 같은 업링크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UE는 기지국이 지시한 TRI 및 TPMI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프리코딩/빔포밍을 확정하고, 상기 프리코딩/빔포밍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기지국에 의해 단말이 사용하는 TPMI 및 TRI 정보를 확정하는 것 및 단말이 TPMI 및 TRI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의 프리코딩/빔포밍을 확정하는 것은 모두 코드북을 기반으로 확정해야 한다.
실제 시스템에서, 일부 UE의 하드웨어 구현의 제한으로 인해, 비록 복수 개의 송신 채널이 지원되나, 상이한 채널 사이에 위상 교정을 진행하지 못하는 등 원인으로 말미암아, 모든 송신 채널 상에서 코히어런트 전송(coherent transmission)을 진행하지는 못하는바, 즉 이러한 송신 채널 상에서 복수의 계층(layer, 또는 stream(스트림))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지 못한다.
기지국이 단말의 모든 송신 채널은 모두 코히어런트를 전송가능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업링크 스케줄링을 진행할 경우, 스케줄링 시 추정된 성능이 실제 전송 성능과 부합하지 않아, 업링크 전송 성능을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그 송신 채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하여, 기지국측 및 단말측이 송신 채널에 대해 동일한 가설을 갖도록 확보하여, 업링크 전송 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관련 기술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 채널에 관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인터랙션 정보가 없고, 단말의 송신 채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기반의 기지국의 업링크 스케줄링 방안 및 업링크 액세스 그랜트 방안도 없다.
본 발명은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하여,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 채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관한 인터랙션 정보의 송신 및 수신 방안 및 상기 인터랙션 방안 기반의 자원 구성, 업링크 액세스 그랜트 등 시그널링의 인터랙션 방안을 제안하여, 단말의 업링크 전송 성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방안을 제공한다.
업링크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상기 안테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내용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안테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상기 안테나 그룹 정보는 안테나 그룹 수량 정보 및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안테나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총 안테나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의 적어도 일부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단말의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의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 중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는 구체적으로,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오직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4)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5)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가질 경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으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는 정보; 또는
6)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 질 경우,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수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정보; 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그 중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이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되는 것;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가능한 것;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가능한 것; 을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임 -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한다.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은,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내용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이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안테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총 안테나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 중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는 구체적으로,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오직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4)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5)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가질 경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으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는 정보; 또는
6)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 질 경우,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수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정보; 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그 중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이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되는 것;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가능한 것;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가능한 것; 을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임 -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한다.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본 발명은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및
단말이,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상기 안테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가,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
단말에 의해,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과정; 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스케줄링 요청 지시자(SRI), 또는 TPMI 및 和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가,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적어도 하기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에 의하면,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에 의해,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따라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coherent transmission) 관계의 인터랙션을 실현하고; 단말의 업링크 전송 성능을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측의 업링크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의 제1 구현 방안의 플로우 인터랙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의 제2 구현 방안의 플로우 인터랙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의 제3 구현 방안의 플로우 인터랙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측의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또는 기지국의 하드웨어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비록 도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을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을 더 투철하게 이해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채널 품질 측정, 및/또는 빔 측정, 및/또는 시간-주파수 측정 등의 기능을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가리키며, 선택적으로, SRS(사운딩 참조 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이다.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업링크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업링크 전송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1: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1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13: 단말은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14: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의 제1 구현 방안에 있어서, 업링크 전송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1: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일 수 있다.
단계 22: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및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20: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예컨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가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하더라도, 기지국이 송신한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단계 2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상기 안테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24: 단말은 기지국이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내용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업링크 전송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 UE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한다.
단계 2: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단말로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3: 단말은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4: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SRI 및/또는 TPMI, TRI를 확정한다.
단계 5: 기지국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SRI 및/또는 TPMI, TRI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계 6: 단말은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데이터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계 2와 단계 3의 순서 관계는 바뀌어질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할 경우, UE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에 앞서 수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UE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송신하는 단계에 앞서 수행될 수도 있고, 기지국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이 리포팅하는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적어도 안테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테나 그룹 정보는 안테나 그룹 수량 정보 및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안테나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총 안테나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의 적어도 일부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단말의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의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아래 정보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수량;
단말의 전부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
단말의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함;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의 수량;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안테나수;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예컨대 최대 한 개의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함(즉, 안테나간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하지 않음), 또는 최대 2개, 4개의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함 등;
단말이 지원하는 특정값의 개수만큼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그룹의 수량, 상기 특정값은 단말과 기지국이 약정한 값이거나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약정한 규칙에 근거하여 확정된 값으로, 예컨대:
안테나수 안테나 그룹수
1 N1
2 N2
4 N3
안테나수 안테나 그룹수
2 N1
4 N2
8 N3
...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패널의 수량;
단말이 지원하는 각각의 안테나 패널에 포함되는 안테나수;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패널과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 정보;
단말이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의 안테나수;
단말이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의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지 여부;
단말이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의 수량;
단말이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안테나수;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의 지원되는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단말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의 특정값의 개수만큼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그룹의 수량.
선택적으로, 단말이 안테나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하지 않았을 경우, 디폴트로, 단말의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안테나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하지 않았을 경우, 디폴트로, 단말의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들 외에, 단말은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데이터 스트림수 정보를 더 리포팅한다.
일 실시예로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오직 일부 상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태는 단말의 안테나가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 또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함, 또는 오직 일부만이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State(상태) Represent(의미)
1 None transmission chains can coherent transmission(모든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함)
2 Partial transmission chains can coherent transmission(일부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
3 All transmission chains can coherent transmission(전부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
4 Reserved(보류)
일부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할 경우, 단말의 최대 동시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또는 최소 동시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에 대응할 수 있다. 당해 수치는 일 기타 전문적인 정보에 의해 캐리되거나 또는 일정한 약정에 근거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한 것은 2개의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한 것에 대응되는 것으로 약정하는바,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몇몇 안테나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에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안테나 그룹간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상태는 단말의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를 의미하는바, 예컨대:
State(상태) 단말의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1 1
2 2
3 4
4 Reserved(보류)
또는,
State(상태) 단말의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1 1
2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안테나수
3 2
4 4
다른 실시예로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상태는 단말의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를 의미하는바, 예컨대:
State(상태) 단말의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1 1
2 2
3 4
4 Reserved(보류)
또는,
State(상태) 단말의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1 1
2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안테나수
3 2
4 4
단말의 최소 동시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는,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가 하나의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에 속한다고 가정할 경우, 모든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안테나수의 최소값에 대응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2 비트를 사용하여 단말의 안테나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계 2에서, 기지국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할 때,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및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 중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는 구체적으로, 하기 방식들을 포함한다.
방식 1: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방식 2: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방식 3: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도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방식 4: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방식 5: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몇몇 자원 그룹들로 나뉘고,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갖고,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동일 자원 그룹내의 두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 송신에 동시에 사용되지 못한다.
방식 6: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몇몇 자원 그룹들로 나뉘고,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은 업링크 참조 신호 송신에 동시에 사용되지 못한다.
단계 2에 있어서,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방식 1, 5, 6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단말로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임 -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한다.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어떤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들이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어떤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방법 1: 오직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의 정보를 지시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 사이에는, 디폴트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예로, 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오직,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하나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구성하고,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고,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며, 이러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 사이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인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두 개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선택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송신하고, 다른 두 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세 번째 및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이 세 번째 및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동일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속할 수도 있고,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는 안테나 그룹에 속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이 세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각각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는 안테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또 예컨대, 기지국은,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한다. 이 경우, 단말은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하나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구성하고, 세 번째 및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하나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구성하며, 이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 사이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일 안테나 그룹에서,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두 개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기타 안테나에서 각각 세 번째 및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두 개의 안테나를 선택한다. 당해 예는 기지국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한 경우에 확장 적용되어,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방법 2: 전부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한다. 예컨대,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수,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지시한다. 기지국과 단말은, 디폴트로,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정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임을 확보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에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에 포함되는 총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3: 선택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총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또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선택적으로, 단말은 반드시 비교적 많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비교적 작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일련 번호 상에 매핑시키고, 비교적 적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비교적 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일련 번호 상에 매핑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비교적 적은 비트를 사용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오직 (1,1,1,1), (2,1,1), (2,2), (3,1), 및 (4)를 포함하며, 지시하는데 3비트가 필요된다. (X1,X2,X3,X4)는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첫 번째 그룹내에 X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포함되고, 두 번째 그룹내에 X2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포함되고, ..., 각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코히어런트 전송되고, 그룹간에는 비코히어런트 전송된다. 단말의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한정을 진행할 경우, 필요한 비트수는 더 적다. 예컨대, 단말이 최대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할 경우, 오직 (1,1,1,1), (2,1,1), (2,2) 이 세 가지 경우를 포함하며, 지시하는데 2비트로 충분하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는 결합하여 인코딩된다. 예컨대, 기지국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고,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구성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가 2 및 4일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최대로 (1,1), (2), (1,1,1,1), (2,1,1), (2,2), (3,1), (4)가 존재하고, 이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는데 필요한 총 비트수는 3이다. 위의 예와 같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한정을 진행할 경우, 필요한 비트수는 더 적다. 즉,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구성을 허용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는데 필요한 비트수,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지시하는데 필요한 비트수를 확정한다.
방법 4: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당해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2, 또는 3일 수 있다. (이런 방식은 빔 관리에 사용되어, 송신 또는 수신빔 스캐닝 시나리오를 진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상이한 송신빔 또는 상이한 수신빔에 대응된다).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임을 확보한다. 단말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해 동일한 안테나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방법 5: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당해 관계는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2 또는 3일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임을 확보한다. 단말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해 동일한 안테나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방법 6: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기지국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당해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2 또는 3일 수 있다(일 응용 시나리오로서,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은 상이한 송신빔 또는 상이한 수신빔에 대응됨).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임을 확보한다. 단말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대해 동일한 안테나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방식 1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상하고, 단말과 기지국은, 디폴트로,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응된다고 정한다. 예컨대, 단말이 리포팅한 NK번째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이 Mk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처음 M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첫 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고, ...,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01
번째 내지
Figure pct00002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k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며, 이렇게 계속 유추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복수 개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는 경우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이 리포팅한 처음 X1개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고,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이 리포팅한 X1+1~X2번째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대응된다. 단말은 기지국의 업링크 참조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이러한 디폴트 방식에 의해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확정한다.
상기의 방식은 기지국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를 구성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확장 적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앞서 소개한 방법 4 내지 6에 대응하며, 여기서는 일 예시적인 예를 해석하는 것으로, 더이상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단말과 기지국은, 디폴트로,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응된다고 정한다. 예컨대, 단말이 리포팅한 NK번째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이 Mk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기지국이 구성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처음 M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첫 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고, ..., 기지국이 구성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03
번째 내지
Figure pct00004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k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며, 이렇게 계속 유추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업링크 참조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이러한 디폴트 방식에 의해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확정한다.
방식 2(또는 방식 2에 대응되는 방식 5 내지 6)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할 경우, 단말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안테나 s를 확정한다. 단말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s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확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이 세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각각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는 안테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방식 2(또는 방식 2에 대응되는 방식 5 내지 6)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단말이 리포팅한 NK번째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이 Mk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기지국이 구성한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이 리포팅한 첫 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는 M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 기지국이 구성한 K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이 리포팅한 k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는 Mk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며, 이렇게 계속 유추할 수 있다. 기지국이 구성한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총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는 단말이 리포팅한 안테나의 총 수량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구성된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총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송신한다.
방식 3(또는 방식 3에 대응되는 방식 5 내지 6)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어떤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들이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어떤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방법 1: 오직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의 정보를 지시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사이에는, 디폴트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기지국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기지국은 오직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한다. 이 경우, 단말은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하나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세 번째 및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며, 이러한 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사이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인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만큼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선택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송신하고, 별도로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만큼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선택하여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송신하고,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만큼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선택하여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송신한다. 단말이 세 번째 및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송신하는 안테나는 동일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속할 수도 있고,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에 속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이 세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각각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방법 2: 전부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한다. 예컨대, 몇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몇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지를 지시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임을 확보한다.
방법 3: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당해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또는 2일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애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임을 확보한다. 단말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대해 동일한 안테나에 의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방법 4, 5, 6은 상기의 방법 4, 5, 6과 유사하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 정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어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도 송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반드시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어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도 송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고 인정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어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도 송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의 단계 3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할 때,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의 단계 4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SRI(SRS 자원 지시 정보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지시 정보) 및/또는 TPMI, TRI 및 MCS를 확정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일정한 룰에 따라 업링크 전송의 계층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확정한다. 당해 룰은 RSRP 최대 룰, 스루풋 최대 룰, 사용자간 간섭을 고려한 룰 등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필요 없이, SRI만 선택하면 된다. 전송 계층수는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와 같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의 계층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때, 오직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범위를 벗어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오직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만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때, 총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가 4인, 오직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수 있다. 후보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어느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된다는 것은, 당해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모두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대응되는 비제로값이 존재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됨을 말하는바, 즉 당해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동일 계층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위해 각각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트래버싱하여, 최적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한다. 하나의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시에 전송되는 조합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3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은, {오직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오직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오직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첫 번째 및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두 번째 및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동시에 전송된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총수량에 대응되는 코드북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기기지국은 동시에 전송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코드북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가중치 변환 후 전체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중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트래버싱하여,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및 그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수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서 선택된 최대 한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트래버싱하여, 최적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5에서, 기지국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SRI, TPMI, TRI를 단말로 송신한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지시 정보는 SRI 지시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지시 정보는 SRI 지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SRI 지시 정보는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지시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지시할 수도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TRI 지시를 진행할 필요 없이, 오직 SRI 지시만 진행하면 된다. SRI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는 데이터 계층수와 같다.
SRI는 독립 인코딩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독립 인코딩의 방식을 사용할 경우, bitmap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바, 즉 하나의 비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고, 각각의 비트의 한 가지 상태는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 가지 상태는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4비트를 사용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지시를 진행하고, 각각의 비트의 상태 1은 당해 자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고, 상태 0은 당해 자원을 선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면, 1101는 첫 번째, 두 번째, 네번째 자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낸다. SRI는 결합 인코딩의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조합을 트래버싱하여, 연합 인코딩을 진행한다. 여전히 기지국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k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할 경우,
Figure pct00005
가지 가능성이 존재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선택의 총 가능수는
Figure pct00006
이고,
Figure pct00007
비트를 사용하여 인코딩을 진행한다. 기지국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였고, 단말은 최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중의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기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가능할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선택의 조합수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조합을 트래버싱하는 조합수보다 작다.
간편성을 위해, 아래에서는 SRI가 하나의 자원을 지시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하는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중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결합 지시의 방식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TPMI와 TRI는 독립 인코딩될 수도 있고, 결합 인코딩될 수도 있다. 독립 인코딩의 경우, DCI는 TRI 지시를 위한 전문적인 영역 및 TPMI를 지시하는 다른 전문적인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PMI의 인코딩 상태수는 TRI에 의해 확정된다. 오직 TRI에 대응되는 모든 코드워드가 재넘버링된 후에 TPMI를 지시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드북은, TRI=1, 2, 3, 4의 경우에 각각 T1, T2, T3, T4개의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TRI=m일 경우, 업링크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오직 TRI=m의 경우에 대응되는 모든 코드워드에 존재하고, TPMI의 일 인코딩 상태는 TRI=m의 경우에 대응되는 일 코드워드에 대응된다.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TRI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log(Tm)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TPMI를 인코딩한다. 다른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각각의 가능한 TRI에 대응되는 최대 코드워드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max log(Tm)개의 비트로 TPMI를 인코딩한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TRI=m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5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근거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수색 범위를 확정한다. TPMI의 인코딩 상태수는 TRI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TPMI의 인코딩 상태수는 TRI에 대응되는 동시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프리코딩 매트릭스수에 대응된다.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TRI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TRI=m이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개수가 Sm일 경우, log(Sm)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TPMI를 인코딩한다. 다른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 조건하에 각각의 가능한 TRI에 대응되는 최대 코드워드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max log(Sm)개의 비트로 TPMI를 인코딩한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TRI=m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TRI의 독립 인코딩 비트수는 TRI의 모든 가능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일 방식으로서,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에 의해 확정된다. 예컨대,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양의 정수이다. 일 방식으로서,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및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 스트림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즉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및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 스트림수의 최소값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양의 정수이다.
TPMI 및 TRI는 결합 인코딩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TPMI와 TRI가 결합 인코딩될 경우, 총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TRI에 대응되는 모든 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개수의 합이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유효 인코딩 상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5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근거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수색 범위를 확정한다. TPMI와 TRI의 결합 인코딩의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TRI의 가능한 값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대응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합과 같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유효 인코딩 상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SRI, TPMI 및 TRI는 결합 인코딩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다. 총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모든 TRI에 대응되는 모든 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이 개수의 합일 수 있다. 또는, 총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에 대응되는 모든 TRI에 대응되는 모든 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개수의 합일 수 있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유효 인코딩 상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해 TPMI와 TRI를 각각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해 TPMI와 TRI를 결합하여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지시한다. 당해 지시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거나 기타 정보와 결합하어 인코딩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의 TPMI, TRI, SRI,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인코딩 방식은 기지국측과 단말측이 사전에 약정해야 한다.
당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단계 6에서, 단말은 업링크 전송의 TPMI 및 데이터 스트림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상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은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한다. 단말이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안테나는 SRI가 지시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의 제2 구현 방안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1: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이다.
단계 32: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전에, 하기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33: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이고;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이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단계 34: 단말은 기지국이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전송지시 정보의 지시 내용을 수신한다.
당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 단계들이 포함된다.
단계 1: UE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리포팅한다.
단계 2: 기지국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계 3: 단말은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 및 미리 정의된 SRS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 리포팅 능력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확정한다.
단계 4: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TPMI, TRI 및 MCS 레벨을 확정한다.
단계 5: 기지국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SRI, TPMI, TRI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계 6: 단말은 업링크 전송의 TPMI 및 데이터 스트림수를 확정한다.
단계 2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할 때, 하기 몇 가지 방식이 있다.
방식 1: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방식 2: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방식 3: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도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방식 4: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
방식 5: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몇몇 자원 그룹들로 나뉘고,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갖고,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동일 자원 그룹내의 두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 송신에 동시에 사용되지 못한다.
방식 6: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몇몇 자원 그룹들로 나뉘고,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은 업링크 참조 신호 송신에 동시에 사용되지 못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단말과 기지국은, 디폴트로,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응된다고 정한다. 예컨대, 단말이 리포팅한 NK번째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이 Mk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처음 M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첫 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고, ...,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08
번째 내지
Figure pct00009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k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며, 이렇게 계속 유추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복수 개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는 경우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이 리포팅한 처음 X1개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고,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단말이 리포팅한 X1+1~X2번째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 그룹에 대응된다. 단말은 기지국의 업링크 참조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이러한 디폴트 방식에 의해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확정한다.
상기의 방식은 기지국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를 구성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확장 적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앞서 소개한 방법 4 내지 6에 대응하며, 여기서는 일 예시적인 예를 해석하는 것으로, 더이상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단말과 기지국은, 디폴트로,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응된다고 정한다. 예컨대, 단말이 리포팅한 NK번째 코히어런트 전송 안테나 그룹이 Mk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기지국이 구성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처음 M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첫 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고, ...., 기지국이 구성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10
번째 내지
Figure pct00011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단말이 리포팅한 k번째 안테나 그룹에 대응되며, 이렇게 계속 유추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업링크 참조 신호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이러한 디폴트 방식에 의해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할 경우, 단말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안테나 s를 확정한다. 단말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s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확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이 세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각각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는 안테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선택적으로,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되는 것으로 약정한다.
선택적으로,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는 모두 비코히어런트 전송되는 것으로 약정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모두 비코히어런트 전송되는 것으로 약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의 제3 구현 방안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1: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하고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수신한다.
단계 42: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43: 수신된 또는 확정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44: 단말은 기지국이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계층수 및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계 2: 단말은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또한, 업링크 참조 신호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계 3: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계층수 및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확정한다.
단계 4: 기지국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SRI, TPMI, TRI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계 5: 단말은 업링크 전송의 TPMI 및 데이터 스트림수를 확정한다.
단계 1에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데는 하기와 같은 몇 가지 방식이 있다.
방식 1: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는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또는 안테나수 또는 단말이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수보다 작거나 같다.
방식 2: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하고,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적용된다(이런 방식은 빔 관리에 사용가능함). 선택적으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는 단말이 지원하는 하나의 panel(패널)이 포함하는 안테나수와 같다(이런 방식은 다중 panel 전송에 사용가능하다. 물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가 반드시 panel의 안테나수와 같은 것으로 한정하지 않을 수도 있는바, panel의 안테나수보다 작을 수도 있다).
방식 3: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안테나간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오직 이 구성을 채용할 수 밖에 없다.
방식 4: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오직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수 및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적용된다.
본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단말은 전송 능력 정보 또는 안테나 구조 정보를 리포팅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기 정보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한다:
UE가 지원하는 최대 안테나수, 또는 안테나수;
단말이 안테나간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패널(panel) 수;
단말이 지원하는 각각의 안테나 panel내의 안테나수.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가 1이면, 단말이 안테나간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의 상기의 리포팅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확정한다.
단계 2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또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를 선택하여, 이러한 안테나들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상이한 단말은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단말은 꼭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단말은 또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 송신했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는 어떤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들이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어떤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방법 1: 오직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지시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 사이에, 디폴트로,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예로,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단말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전송하고, 기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사용하는 안테나 상호간 및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안테나 s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단말은 기지국에게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한다. 기지국은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고,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고, 네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며, 이러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 사이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수신한 후 TPMI 및 TRI를 확정할 때, 오직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매트릭스 선택할 수 있다.
방법 2: 전부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한다. 예컨대,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에 포함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지시한다. 기지국과 단말은,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약정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여, 코드북 중의 프리코딩 부분 집합에 대한 제한(즉, 오직 코드북 중의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가능함)을 확정한다.
방법 3: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이룬다고 가정하고, 기지국과 단말은, 단말이 비교적 많은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비교적 작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일련 번호 상에 매핑시키고, 비교적 적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을 비교적 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일련 번호 상에 매핑시킨다고 약정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비교적 적은 비트를 사용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고,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는 오직 (1,1,1,1), (2,1,1), (2,2), (3,1), (4)를 포함하며, 3비트만으로 충분하다. (X1, X2, X3, X4)는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이 존재함을 의미하고, 첫 번째 그룹내에 X1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두 번째 그룹내에 X2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코히어런트 전송되고, 그룹간에는 비코히어런트 전송된다. 단말의 전송 능력에 근거하여 한정을 진행할 경우, 필요한 비트수는 더 적다. 예컨대, 단말이 최대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히어런트 전송을 지원할 경우, 오직 (1,1,1,1), (2,1,1), (2,2) 이 세 가지 경우를 포함하며, 지시하는데 2비트로 충분하다.
방법 4: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단말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한다. 당해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내지 3일 수 있다.
방법 5: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며,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한다. 당해 관계는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2 또는 3일 수 있다.
방법 6: 기지국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고, 단말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당해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될 수 있다. 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구체적인 지시 방법은 방법 1, 2 또는 3일 수 있다.
방법 7: 적어도 아래 정보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한다: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전부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함;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지 여부.
선택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어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도 송신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어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도 송신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에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어떠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도 송신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
단계 3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계층수 및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확정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일정한 룰에 따라 업링크 전송의 계층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를 확정한다. 당해 룰은 RSRP 최대 룰, 스루풋 최대 룰, 사용자간 간섭을 고려한 룰 등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필요 없이, SRI만 선택하면 된다. 전송 계층수는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와 같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의 계층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때, 오직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범위를 벗어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하고, 단말은 오직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만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함을 지시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때, 총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가 4인, 오직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할 수 있다. 후보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어느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된다는 것은, 당해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모두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 대응되는 0이 아닌 값이 존재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됨을 말하는바, 즉 당해 두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동일 계층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위해 각각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트래버싱하여, 최적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한다. 하나의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시에 전송되는 조합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3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은, {오직 첫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오직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오직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첫 번째 및 두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첫 번째 및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두 번째 및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동시에 전송된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총수량에 대응되는 코드북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기기지국은 동시에 전송된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코드북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가중치 변환 후 전체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중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트래버싱하여,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및 그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전송 계층수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서 선택된 최대 한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트래버싱하여, 최적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한다.
단계 4에서, 기지국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SRI, TPMI, TRI를 단말로 송신한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지시 정보는 SRI 지시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지시 정보는 SRI 지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SRI 지시 정보는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지시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지시할 수도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오직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TRI 지시를 진행할 필요 없이, 오직 SRI 지시만 진행하면 된다. SRI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수는 데이터 계층수와 같다.
SRI는 독립 인코딩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독립 인코딩의 방식을 사용할 경우, bitmap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바, 즉 하나의 비트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고, 각각의 비트의 한 가지 상태는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 가지 상태는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을 경우, 4비트를 사용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지시를 진행하고, 각각의 비트의 상태 1은 당해 자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고, 상태 0은 당해 자원을 선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면, 1101는 첫 번째, 두 번째, 네번째 자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낸다. SRI는 결합 인코딩의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조합을 트래버싱하여, 연합 인코딩을 진행한다. 여전히 기지국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k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할 경우,
Figure pct00012
가지 가능성이 존재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선택의 총 가능수는
Figure pct00013
이고,
Figure pct00014
비트를 사용하여 인코딩을 진행한다. 기지국이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구성하였고, 단말은 최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중의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기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가능할 경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선택의 조합수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조합을 트래버싱하는 조합수보다 작다.
간편성을 위해, 아래에서는 SRI가 하나의 자원을 지시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하는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중의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결합 지시의 방식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TPMI와 TRI는 독립 인코딩될 수도 있고, 결합 인코딩될 수도 있다. 독립 인코딩의 경우, DCI는 TRI 지시를 위한 전문적인 영역 및 TPMI를 지시하는 다른 전문적인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PMI의 인코딩 상태수는 TRI에 의해 확정된다. 오직 TRI에 대응되는 모든 코드워드가 재넘버링된 후에 TPMI를 지시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포함할 경우, 4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코드북은, TRI=1, 2, 3, 4의 경우에 각각 T1, T2, T3, T4개의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TRI=m일 경우, 업링크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오직 TRI=m의 경우에 대응되는 모든 코드워드에 존재하고, TPMI의 일 인코딩 상태는 TRI=m의 경우에 대응되는 일 코드워드에 대응된다.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TRI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log(Tm)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TPMI를 인코딩한다. 다른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각각의 가능한 TRI에 대응되는 최대 코드워드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max log(Tm)개의 비트로 TPMI를 인코딩한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TRI=m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5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근거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수색 범위를 확정한다. TPMI의 인코딩 상태수는 TRI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TPMI의 인코딩 상태수는 TRI에 대응되는 동시에,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프리코딩 매트릭스수에 대응된다.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TRI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TRI=m이고,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개수가 Sm일 경우, log(Sm)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TPMI를 인코딩한다. 다른 일 방식으로서, TPMI의 인코딩 비트수는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 조건하에 각각의 가능한 TRI에 대응되는 최대 코드워드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예컨대 max log(Sm)개의 비트로 TPMI를 인코딩한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TRI=m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TRI의 독립 인코딩 비트수는 TRI의 모든 가능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일 방식으로서,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에 의해 확정된다. 예컨대,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양의 정수이다. 일 방식으로서,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구성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및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 스트림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즉 TRI의 모든 가능한 값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및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 스트림수의 최소값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양의 정수이다.
TPMI 및 TRI는 결합 인코딩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TPMI와 TRI가 결합 인코딩될 경우, 총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TRI에 대응되는 모든 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개수의 합이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유효 인코딩 상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5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에 근거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수색 범위를 확정한다. TPMI와 TRI의 결합 인코딩의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TRI의 가능한 값에 대응되는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대응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합과 같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유효 인코딩 상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SRI, TPMI 및 TRI는 결합 인코딩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다. 총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모든 TRI에 대응되는 모든 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이 개수의 합일 수 있다. 또는, 총 유효 인코딩 상태수는 모든 가능한 동시에 전송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에 대응되는 모든 TRI에 대응되는 모든 가능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개수의 합일 수 있다. 인코딩 비트수에 대응되는 상태가 유효 인코딩 상태수보다 많을 경우, 여분의 상태는 보류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해 TPMI와 TRI를 각각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선택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해 TPMI와 TRI를 결합하여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지시한다. 당해 지시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거나 기타 정보와 결합하어 인코딩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의 TPMI, TRI, SRI,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의 인코딩 방식은 기지국측과 단말측이 사전에 약정해야 한다.
단계 5에서, 단말은 업링크 전송의 TPMI 및 데이터 스트림수를 확정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는 기지국이 지시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를 사용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TPMI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 채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관한 인터랙션 정보의 송신 및 수신 방안, 및 당해 인터랙션 방안에 기반한 자원 구성, 업링크 액세스 그랜트 등 시그널링의 인터랙션 방안을 제시하여, 기지국과 단말이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의 가설을 갖도록 하는바, 따라서 업링크 전송 성능을 확보한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1: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단계 52: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53: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단계 52 이전에,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계 51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계 52 이전에,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내용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이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안테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총 안테나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 중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는 구체적으로,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오직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4)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5)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가질 경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으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는 정보; 또는
6)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 질 경우,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수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정보; 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그 중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이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되는 것;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가능한 것;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가능한 것; 을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임 -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한다.
단계 51는 구체적으로,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 이전에,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단계 53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측의 방법으로서,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단말측의 방법에 대응된다.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관련된 모든 구현 방식은 모두 당해 실시예에 적용되며, 마찬가지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및
단말이,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상기 안테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을 구현하며,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의 실시예는 모두 상기 단말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마찬가지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가,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
단말에 의해,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과정; 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말의 구조도는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함께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스케줄링 요청 지시자(SRI), 또는 TPMI 및 和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의 실시예도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에서 기지국과 관련된 구현 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의 구현 방식은 모두 상기 기지국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마찬가지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가,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의 구조도는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함께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된다는 가설을 토대로, 기지국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된다는 가설을 토대로, 기지국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된다는 가설을 토대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사전에 약정한다.
그리고,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실시형태의 단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임의의 실시형태는 모두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기기는 송신 기기(즉, 기지국) 및 수신 기기(즉, 단말)을 포함하며, 송신 기기와 상기 송신 기기에 액세스하는 수신 기기 사이에 다운링크 전송 및 업링크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관련 기술에 따른 기기 중의 기지국 또는 기타 타입의 전송 포인트 기기일 수 있고, 단말은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두 가지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바, 예컨대 기지국은 기타 단말에 대한 구성 조작을 진행가능한 단말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기지국이 복수 개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고 인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오직 RF 유닛(예컨대 리모트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 RRU로 약칭))을 포함하거나, 또는 베이스 밴드 및 RF 이 두 부분(예컨대, 액티브 안테나(Active antenna))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오직 베이스 밴드(예컨대, 베이스 밴드 유닛(Baseband Unit, BBU로 약칭))를 포함할 수 있거나; 어떠한 에어 인터페이스 계층의 디지털/RF 기능도 포함하지 않고, 고계층 신호 처리만 책임지며, 에어 인터페이스 계층의 베이스 밴드 처리를 모두 액티브 안테나에 맡길 수 있다. 물론, 기타 다양한 네트워크 의 구현도 가능하다.
단말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 약칭)로 칭할 수 있거나, 또는 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MS로 약칭),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으로 약칭)를 거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휴대폰(또는 '셀룰러' 폰으로 칭함), 이동 단말을 갖는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또한 휴대용 ,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 있는데,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로 약칭) 단말 또는 머신 투 머신(Machine to Machine, M2M로 약칭) 단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하나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벡터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프리코딩 벡터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빔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빔일 수도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빔 및 프리코딩의 구체적인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기타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예컨대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 기능 구획인 것으로, 실제로 구현될 때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는바,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한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다. 또는, 일부 특징들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되거나 토론된 상호간의 커플링이나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직접될 수 도 있고, 각각의 유닛의 개별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두개의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한개의 유닛에 집적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의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적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플러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는 집적된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한대의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몇몇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디스크, 휴대용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Read 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의 각종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는 본 발명의 선택가능한 실시형태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원리를 일탈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일부 개량 및 윤색을 더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 및 윤색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일러둔다.

Claims (80)

  1. 업링크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상기 안테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내용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안테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그룹 정보는 안테나 그룹 수량 정보 및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안테나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총 안테나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의 적어도 일부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단말의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의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안테나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 중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는 구체적으로,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오직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4)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5)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가질 경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으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는 정보; 또는
    6)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 질 경우,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수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그 중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이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되는 것;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가능한 것;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가능한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임 -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6. 제4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지시자(SRI), 또는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TPMI) 및 송신 랭크 지시자(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지시자(SRI), 또는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TPMI) 및 송신 랭크 지시자(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3. 제4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4.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단독으로 지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내용은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및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2. 제35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하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 송신 채널, 송수신 유닛(TXRU) 또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4. 제35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안테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안테나 그룹내의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는 총 안테나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7.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코히어런트 전송가능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동일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모든 포트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 중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는 구체적으로,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오직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간에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4)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다른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일부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정보; 또는
    5)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가질 경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으며, 동일 자원 그룹내의 임의의 두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갖는다는 정보; 또는
    6)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여러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어 질 경우, 임의의 두 개의 자원 그룹은 동일한 업링크 참조 신호수 및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포함하며,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수량 및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1)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그 중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이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되는 것; 또는
    2)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이 소재하는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응용가능한 것; 또는
    3)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가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하나의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지시하며, 상기 관계는 모든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 그룹에 응용가능한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와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이거나; 또는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과 상기 안테나 그룹 사이의 매핑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3.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임 -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4. 제34항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이 가능하고, 상이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그룹내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7. 제53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8. 제37항, 제53항,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
  59.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에 대응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고, 상기 안테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5.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이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는 단계 -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함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6.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각각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코히어런트 전송가능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 및 상기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전송 스트림수 및 사용되는 안테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는 SRI, 또는 TPMI 및 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9.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0.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기지국이 확정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단말이 리포팅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에 포함되는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사이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5.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을 위해 구성한 업링크 참조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6.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참조 신호 포트간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확정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지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스케줄링 요청 지시자(SRI), 또는 TPMI 및 和TRI, 또는 TPMI, TRI 및 SRI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8. 제73항, 제74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코히어런트 전송 관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의 지시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9.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3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업링크 전송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3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11057A 2017-09-30 2018-09-25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 KR102345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23315.7A CN109600208B (zh) 2017-09-30 2017-09-30 一种上行传输、配置方法、终端及基站
CN201710923315.7 2017-09-30
PCT/CN2018/107212 WO2019062681A1 (zh) 2017-09-30 2018-09-25 一种上行传输、配置方法、终端及基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054A true KR20200055054A (ko) 2020-05-20
KR102345914B1 KR102345914B1 (ko) 2022-01-03

Family

ID=6590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057A KR102345914B1 (ko) 2017-09-30 2018-09-25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84246B2 (ko)
EP (1) EP3691212B1 (ko)
JP (1) JP7249334B2 (ko)
KR (1) KR102345914B1 (ko)
CN (1) CN109600208B (ko)
WO (1) WO2019062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2166B2 (en) * 2017-11-16 2021-04-06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MO transmission
CN108768599B (zh) * 2018-04-02 2022-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WO2019191932A1 (zh) * 2018-04-04 2019-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天线的选择方法和装置
CN110838857B (zh) 2018-08-17 2022-01-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0037207A1 (en) * 2018-08-17 2020-02-20 Idac Holdings, Inc. Beam management for multi-trp
CN110838856B (zh) * 2018-08-17 2021-11-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0061953A1 (zh) * 2018-09-27 2020-04-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测量配置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2399403B (zh) * 2019-08-16 2022-03-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调度信息确定方法及装置
US11632754B2 (en) * 2020-02-06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multiple SRS in the same subframe
BR112022021589A2 (pt) * 2020-05-15 2022-12-06 Apple Inc Equipamento de usuário,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e método de operação de uma estação-base para sinalização de transmissão de potência total
CN111901878A (zh) * 2020-05-20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信号传输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CN114070519B (zh) * 2020-08-07 2023-05-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636270A (zh) * 2020-10-29 2023-08-22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指示探测参考信号资源的技术
WO2022188004A1 (zh) * 2021-03-08 2022-09-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和装置、资源确定方法和装置
WO2022188087A1 (en) * 2021-03-11 2022-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oherent mimo capability
CN116156521A (zh) * 2021-11-17 2023-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633507A (zh) * 2022-02-11 2023-08-2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定位信号的发送和接收测量方法和装置
WO2023209675A1 (en) * 2022-04-29 2023-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port group information repor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860A1 (en) * 2007-04-27 2008-10-30 Nokia Siemens Networks Oy Coherent and non-coherent control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2175B (zh) * 2008-05-16 2012-07-04 西安理工大学 基于垂直分层空时编码的自由空间mimo光通信系统
JP2011040841A (ja) 2009-08-07 2011-02-24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EP2541797B1 (en) 2010-02-23 2018-1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
US8588324B2 (en) 2011-10-18 2013-11-19 Nokia Siemens Networks Oy Precod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joint transmission
CN103259582B (zh) * 2012-02-17 2018-08-14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多点协同传输预编码方法、终端及基站
EP2893665B1 (en) * 2012-09-04 2019-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reference signal resource allocation
CN103051580B (zh) * 2012-12-14 2015-08-19 北京大学 一种tdma系统中上行控制信道传输方法
CN104038319B (zh) 2013-03-04 2018-12-21 夏普株式会社 多发射点合作系统的信道状态信息反馈与用户设备
US9729219B2 (en) * 2014-02-06 2017-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signaling and using beam forming quality indicators
CN104936047A (zh) * 2015-06-08 2015-09-23 上海交通大学 基于滤波器多载波调制技术的无源光网络上行传输系统
CN106452697B (zh) * 2015-08-04 2019-08-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数据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US10333670B2 (en) * 2016-05-06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with collisions in asymmetric carrier aggregation
BR112019026710A2 (pt) 2017-06-16 2020-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ondagem de enlace ascendente de múltiplos recursos e transmissão em subconjuntos de anten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860A1 (en) * 2007-04-27 2008-10-30 Nokia Siemens Networks Oy Coherent and non-coherent control signal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0447 *
3GPP R1-17157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1212A1 (en) 2020-08-05
CN109600208A (zh) 2019-04-09
WO2019062681A1 (zh) 2019-04-04
EP3691212B1 (en) 2024-05-01
US11284246B2 (en) 2022-03-22
US20200275260A1 (en) 2020-08-27
CN109600208B (zh) 2021-06-04
JP2020536413A (ja) 2020-12-10
JP7249334B2 (ja) 2023-03-30
EP3691212A4 (en) 2020-11-11
KR102345914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914B1 (ko) 업링크 전송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기지국
US119625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354244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
CN110071749B (zh) 一种天线选择指示方法、装置和系统
EP3780443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device,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device
TWI679871B (zh) 資料傳輸方法、裝置、網路側設備和使用者設備
US11005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TW201911774A (zh) 一種上行傳輸碼本確定方法及設備
KR102544386B1 (ko)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TWI692264B (zh) 波束管理方法、網路設備和終端
US11277176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11435846A (zh) 一种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2054831B (zh)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
WO2016106696A1 (zh) 一种预编码矩阵指示pmi的反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