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508A - 조립식 캣타워 - Google Patents
조립식 캣타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4508A KR20200054508A KR1020180137840A KR20180137840A KR20200054508A KR 20200054508 A KR20200054508 A KR 20200054508A KR 1020180137840 A KR1020180137840 A KR 1020180137840A KR 20180137840 A KR20180137840 A KR 20180137840A KR 20200054508 A KR20200054508 A KR 20200054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pillar
- locking
- protruding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FYFXOXNSNQGX-UHFFFAOYSA-N neodymium atom Chemical compound [Nd] QEFYFXOXNSNQ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조립식 캣타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면과 연결된 케이스기둥과 일단부가 상판과 연결된 고정기둥 및 상기 케이스기둥 및 상기 고정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기둥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기둥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기둥부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캣타워(Cat Tower)는 고양이들이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로써, 중앙의 기둥부 및 기둥부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양이들은 캣타워의 판재를 밟고 올라가거나 내려오면서 자연스럽게 운동을 할 수 있어,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캣타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좁은 장소에 숨는 것을 좋아하는 고양이의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양이들은 케이스의 입구로 들어가 중공부에 머물며 심리적 안정을 가지기도 한다.
통상적인 캣타워는 캣타워의 구성요소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포장 및 배송된 뒤, 묘주가 집에서 조립하여 캣타워를 구성하는 조립식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캣타워는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동시에, 캣타워를 이용하는 고양이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강한 결합 구조를 가져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29호를 참고하면, 천정부와 접하는 상판, 내부가 중공형성되는 결합보스,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보스의 외측과 결합되는 상단봉, 상단봉과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는 하단봉 및 상단봉 및 하단봉의 사이에 위치하여, 나사결합되는 조립식 캣타워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결합을 하는 조립식 캣타워는 나사를 풀고 조임에 따라 들어가는 시간이 증가하고, 드릴이나 드라이버 등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도구가 필수적이었다. 즉, 나사결합 등의 조립구조의 강도가 강하게 형성하는 구성을 추가하면, 그에 따라 조립 시간이 길어지고 조립 방법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조립이 용이하면 구조의 강도가 약해 쉽게 분해되곤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결합구조의 강도를 강화한 조립식 캣타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면과 연결된 케이스기둥과 일단부가 상판과 연결된 고정기둥 및 상기 케이스기둥 및 상기 고정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기둥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기둥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기둥부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벽체;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연결벽체와 이격되어 돌출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돌기;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벽체 및 상기 제1 연결부재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2 연결벽체; 상기 제2 연결벽체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일측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나사 및 양단부에서 돌출된 제1 걸림부재를 가지는 제1 가압부재;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가압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양단부에 상기 제1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마찰력을 통해 상기 기둥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제1 마찰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일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발판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상기 제1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홈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 걸림판; 및 상기 제1 걸림판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고정홈의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부재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나사 및 양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걸림부재를 가지는 제2 가압부재;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2 가압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양단부에 상기 제2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고정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마찰력을 통해 상기 기둥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제2 마찰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일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발판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제2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 걸림판; 및 상기 제2 걸림판의 단부에서 상기 제2 고정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고정홈의 하방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지지홈을 가지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홈과 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지지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결합구조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둥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 고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둥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 고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케이스부(100)에서 상판(290)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상판(290)에서 케이스부(10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캣타워(1)는 케이스부(100), 기둥부(200), 발판(500) 및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00)는 케이스몸체(110), 개폐도어(130) 및 케이스지붕(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케이스몸체(1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면에는 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구(101)를 통해 케이스몸체(110)의 내부에 생활물품이나 고양이를 키울 때 사용하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부(100)는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가지고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00) 내부의 적재된 물품이 무게추 역할을 하여, 조립식 캣타워(1)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몸체(110)의 상부면에는 케이스지붕(150)이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지붕(150)은 케이스몸체(110)의 폭 방향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몸체(1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한편, 고양이가 조립식 캣타워(1)를 사용하기 위해 올라가는 발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지붕(150)의 적어도 일부에는 개구인 출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식 캣타워(1)를 사용하는 고양이가 개구(101)를 통해 케이스몸체(110)의 내부로 들어간 뒤, 출입구(103)를 통해 케이스부(100)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조립식 캣타워(1)의 상방에 있던 고양이가 출입구(103)를 통해 케이스몸체(110)의 내부로 들어간 뒤, 개구(101)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지붕(150)은 출입구(103)로 고양이가 용이하게 조립식 캣타워(1)에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구(101)의 일측면에는 개폐도어(1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도어(130)는 케이스몸체(110)의 내측면과 접하며 케이스몸체(1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도어(130)는 개구(101)를 폐쇄하거나 반대로 닫힌 개구(101)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에 물품을 적재한 경우, 사용자는 개폐도어(130)로 개구를 폐쇄하여 고양이가 개구(101)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200)는 케이스부(10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상방면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캣타워(1)를 실내에 설치할 경우, 조립식 캣타워(1)는 케이스부(100)가 지면과 접하고 기둥부(200)의 상단부가 천장에 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실내의 지면과 천장 사이에 위치한 조립식 캣타워(1)는 천장과 지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은 조립식 캣타워(1)의 구성요소들과 지면 또는 천장과의 마찰력을 높이게 된다. 이를 통해, 기둥부(200)는 상단부가 천장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조립식 캣타워(1)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200)는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고분자수지 재질이나 목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수지 재질 또는 목재로 구성된 기둥부는 가볍고 견고함과 동시에 약간의 탄성을 지니고 있어, 조립식 캣타워(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둥부(200)는 케이스기둥(210), 연장기둥(230), 고정기둥(270) 및 상판(29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기둥(210)은 케이스부(100)의 케이스지붕(150)의 중심부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100)와 직접 연결된 케이스기둥(210)은 기둥부(200)의 다른 구성요소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연장기둥(230)은 케이스기둥(210)의 상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기둥(230)의 하단부는 케이스기둥(210)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기둥부(2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연장기둥(23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다른 연장기둥(230)의 하단부가 연장기둥(23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기둥부(200)의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내의 천장의 높이에 따라 연장기둥(230)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천장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다수의 연장기둥(230)을 결합하여 기둥부(200)의 상단부가 천장부에 닿도록 하고, 천장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결합된 연장기둥(230)을 제거하여 조립식 캣타워(1)가 천장과 지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계단 밑이나 복층 구조 등 천장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가까울 경우, 연장기둥(230)을 전부 제거하여 케이스기둥(210)에 바로 고정기둥(270)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연장기둥(230)은 기둥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립식 캣타워(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정기둥(270)은 연장기둥(230) 또는 케이스기둥(21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기둥(270)의 하단부는 연장기둥(230) 또는 케이스기둥(21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기둥(270)의 상단부에는 상판(29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290)은 고무나 고분자 수지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290)은 중심부가 하방을 향해 만곡된 오목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290)은 오목한 중심부에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나사기둥(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기둥은 고정기둥(270)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기둥(27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판(290)은 실내의 천장과 직접 접하며 기둥부(200)와 천장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식 캣타워(1)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된 오목판 형태의 상판(290)은 천장과 밀착되며 변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목한 중심부에 저장된 공기는 상판(29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판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즉, 상판(290)과 천장과 접하며 형성된 공간의 공기압이 외부 공간의 공기압과 기압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290)은 기압차를 통해 조립식 캣타워(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둥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기둥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250) 및 제2 연결부(26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는 기둥부(200)의 케이스기둥(210), 연장기둥(230) 또는 고정기둥(27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50)는 기둥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고, 기둥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결벽체(2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벽체(251)의 내측면에는 체결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25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벽체(25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제1 자석부재(257) 및 연결돌기(255)를 연결한 연장선(L)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제2 연결부(260)의 체결부재(267)는 체결홈(253)에 삽입되며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제1 연결부(250) 또는 제2 연결부(26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재(267)가 체결홈(253)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여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연결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250)는 제1 연결부재(254)의 중심부에서 기둥부(200)의 폭 방향 단면과 유사한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254)는 제1 연결부재(254)의 외주면과 제1 연결벽체(251)의 내측면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연결부재(254)와 제1 연결벽체(251)의 사이에 제1 연결홈(2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결합 과정에서 제2 연결부(260)의 제2 연결벽체(261)가 제1 연결홈(25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홈(252)을 구성하는 제1 연결부재(254) 및 제1 연결벽체(251)는 제2 연결벽체(261)의 외주면과 접하며 제2 연결벽체(261)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연결벽체(251) 및 제1 연결부재(254)는 제2 연결부(260) 및 제1 연결부(250)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54)는 상단부의 외주면에 연결돌기(25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연결돌기(255)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돌기(255)의 외주면을 라운드 처리하여, 조립식 캣타워(1)를 조립 중인 사용자가 연결돌기(255)로 인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254)의 상단부에는 원판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1 자석부재(25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석부재(257)는 철, 니켈, 네오디뮴 등의 강자성체 금속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강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로 구성된 제1 자석부재(257)는 사전에 자기쌍극자 정렬 과정을 거쳐 원판의 평면에 N극 및 S극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영구자석인 제1 자석부재(257)는 외부의 동력 없이 지속적으로 자기장을 외부로 투영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자석부재(257)와 연결돌기(255)는 제1 연결부재(254)의 상면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돌기(255)는 제1 연결부재(254)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제1 자석부재(257)는 제1 자석부재(257)의 중심이 연결돌기(255)의 중심을 이어 연장한 선이 연장선(L)에 위치하도록 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렬로 배치된 제1 자석부재(257)는 후술할 제2 자석부재(265)와의 결합을 통해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석부재(257)가 일렬로 배치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제2 자석부재(265) 또한 동일하게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렬로 배치된 제1 자석부재(257)와 제2 자석부재(265)는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체결이 완료된 시점에서 서로 마주보며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자석부재(257)는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체결이 완료된 상황에서 자석 간의 인력을 최대치가 되도록 하여, 조립 과정에서 자력으로 인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260)는 기둥부(200)의 케이스기둥(210), 연장기둥(230) 또는 고정기둥(270)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기둥(230)의 일단부에는 제1 연결부(25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연결부(26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연장기둥(230)이 제1 연결부(250) 및 제2 연결부의 연결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260)는 기둥부(200)의 타단부에서 기둥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연결벽체(26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제2 연결벽체(261)의 내부에는 제2 연결홈(2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홈(262)에는 제1 연결부(250)의 제1 연결부재(254)가 삽입되며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홈(262)은 제1 연결부재(254)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 연결벽체(261)로 제1 연결부재(25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벽체(261)는 제1 연결부(250)의 연결돌기(25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삽입홈(26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63)은 연결돌기(255)가 제2 연결벽체(261)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홈(262)의 제1 연결부(250)를 향한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석부재(26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부재(265)는 제1 자석부재의 일렬로 된 배치에 대응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부재(265)는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자석부재(257)의 중심선을 이은 연장선(L)과 제2 자석부재(265)를 이은 선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자석부재(257) 및 제2 자석부재(265)의 상호간 인력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벽체(261)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267)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67)는 제1 연결부(250)의 체결홈(253)에 끼워진 뒤, 회전을 통해 체결홈(253)과 밀착되어 제1 연결부(250)와 제2 연결부(260)의 체결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267)의 일측면에는 체결홈(253)의 내측면과 접하는 체결돌기(268)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68)는 체결홈(253)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제1 연결부(250) 또는 제2 연결부(260)의 회전을 방지하여, 제1 연결부(250) 및 제2 연결부(260)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발판(500)은 기둥부(20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500)은 외주면이 라운드 처리된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주면이 라운드 처리된 발판(500)은 고양이가 조립식 캣타워(1)를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모서리에 긁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발판(500)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층상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층상 구조 형태를 이루는 발판(500)은 조립식 캣타워(1)를 사용하는 고양이가 발판(500)을 차례대로 밟아 높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반대로 발판(500)을 차례대로 밟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발판(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방을 향해 만곡된 반구 형태의 오목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재(510)는 발판(5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반구의 볼록한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반구 형태의 오목부재(510)는 좁은 공간을 선호하는 고양이의 습관을 이용하여, 조립식 캣타워(1)를 사용하는 고양이가 오목부재(510)의 내부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목부재(510)는 고양이가 머무르는 휴식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발판(500)은 고정부(700)를 통해 기둥부(2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00)는 제1 고정부(800) 및 제2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 고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고정부(800)는 제1 가압부재(810) 및 제1 고정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810)는 기둥부(200)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부(200)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기둥이면, 제1 가압부재(810)는 기둥부(200)의 형태에 대응되어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재(810)의 일측면에는 제1 가압부재(810)의 일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제1 가압부재(810)와 나사결합되는 제1 가압나사(8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둥부(200)의 외측면에 제1 고정부(800)를 결합한 뒤, 제1 가압나사(811)를 조여 제1 고정부(800)와 기둥부(2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가압부재(810)는 제1 가압나사(811)로 기둥부(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반원 형태의 제1 가압부재(810)의 양단부에서 제1 걸림부재(8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재(813)는 제1 걸림판(814) 및 제1 걸림턱(8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판(814)은 제1 가압부재(810)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턱(815)은 제1 걸림판(814)의 단부에서 제1 걸림판(814)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재(813)와 마주보는 면에 제1 고정부재(8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830)는 제1 가압부재(810)와 동일하게 기둥부(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830)는 제1 걸림부재(813)와 마주보는 면에 상단부가 개방된 제1 고정홈(8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홈(831)은 제1 걸림턱(815)이 접하는 면에 제1 고정부재(830)의 외주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걸림홈(8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810)의 제1 걸림부재(813)가 제1 고정부재(830)의 제1 고정홈(83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1 가압부재(810)와 제1 고정부재(830)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810)와 제1 고정부재(83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제1 고정부(800)는 기둥부(200)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기둥부(20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턱(815)은 제1 걸림홈(832)에 끼워지며, 결합된 상태의 제1 고정부(8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걸림부재(813)는 나사 등 다른 구성요소 없이 제1 고정부재(830) 및 제1 가압부재(81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한편, 두 구성 사이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결합된 상태의 제1 가압부재(810) 및 제1 고정부재(830)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두 구성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부재(810)를 고정하고 제1 고정부재(83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 걸림부재(813)가 상방이 개방된 제1 고정홈(831)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고정부(800)의 위치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제1 가압부재(810) 및 제1 고정부재(830)를 용이하게 분리한 뒤, 원하는 장소로 각 구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가압부재(810)의 제1 걸림부재(813)를 제1 고정부재(830)의 제1 고정홈(831)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재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정부(800)는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1 고정홈(831)의 하방에는 제1 지지턱(835)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턱(835)은 제1 걸림부재(813)의 하부면과 접하며, 제1 걸림부재(813)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고정부재(830) 또는 제1 걸림부재(813)가 의도하지 않는 이동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1 고정부재(830)는 기둥부(200)와 접하는 내측면에 제1 마찰부재(833)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찰부재(833)는 라텍스 등의 천연고무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 합성고무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된 제1 마찰부재(833)는 제1 고정부(800)가 기둥부(200)의 외측면과 접하며 고정될 때, 제1 고정부(800)와 기둥부(200) 사이에서 압력으로 인해 눌려 변형될 수 있다. 변형된 제1 마찰부재(833)는 복원력으로 기둥부(200)의 외측면에 압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마찰부재(833)는 제1 고정부(800)와 기둥부(200)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부재(830)의 외측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제1 지지부재(85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재(850)는 지면과 평행한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850)의 일측면에는 타측면까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발판고정홀(85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500)은 도 3에 도시한 제1 발판고정홀(851)을 통해 제1 고정부(8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발판(500)의 하면에는 제1 발판고정홀(851)에 대응되도록 발판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발판고정홀(851) 및 발판(500)을 관통하는 나사로 나사결합을 실시하여 제1 고정부(800)에 발판(500)을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고정부(900)는 제2 가압부재(910) 및 제2 고정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910)는 기둥부(200)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부(200)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기둥이면, 제2 가압부재(910)는 기둥부(200)의 형태에 대응되어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재(910)의 일측면에는 제2 가압부재(910)의 일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제2 가압부재(910)와 나사결합되는 제2 가압나사(9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둥부(200)의 외측면에 제2 고정부(900)를 결합한 뒤, 제2 가압나사(911)를 조여 제2 고정부(900)와 기둥부(2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가압부재(910)는 제2 가압나사(911)로 기둥부(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반원 형태의 제2 가압부재(910)의 양단부에서 제2 걸림부재(913)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부재(913)는 제2 걸림판(914) 및 제2 걸림턱(9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판(914)은 제2 가압부재(910)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판(914)은 하나의 단부에서 복수개로 형성되되, 각각의 제2 걸림판(914)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턱(915)은 제2 걸림판(914)의 단부에서 다른 제2 걸림판(914)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걸림부재(913)는 제2 고정홈(931)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제2 가압부재(910)와 제2 고정부재(93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격이 발생하여, 복수개의 제2 걸림부재(913)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제2 걸림부재(913)가 제2 고정홈(931)과 접하며 제2 고정부재(930)와 제2 걸림부재(913)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걸림부재(913)는 외부에서의 충격이 발생하여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제2 가압부재(910)와 제2 고정부재(93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걸림부재(913)와 마주보는 면에 제2 고정부재(9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930)는 제2 가압부재(910)와 동일하게 기둥부(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930)는 제2 걸림부재(913)와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가 개방된 제2 고정홈(9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홈(931)은 제2 걸림턱(915)과 접하는 면에 제2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910)의 제2 걸림부재(913)가 제2 고정부재(930)의 제2 고정홈(93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2 가압부재(910)와 제2 고정부재(930)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910)와 제2 고정부재(93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제2 고정부(900)는 기둥부(200)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기둥부(20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턱(915)은 제2 걸림홈에 끼워지며, 결합된 상태의 제2 고정부(9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걸림부재(913)는 나사 등 다른 구성요소 없이 제2 고정부재(930) 및 제2 가압부재(91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한편, 두 구성 사이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결합된 상태의 제2 가압부재(910) 및 제2 고정부재(930)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두 구성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압부재(910)를 고정하고 제2 고정부재(930)를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2 걸림부재(913)가 하방이 개방된 제2 고정홈(931)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고정부(900)의 위치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제2 가압부재(910) 및 제2 고정부재(930)를 용이하게 분리한 뒤, 원하는 장소로 각 구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2 가압부재(910)의 제2 걸림부재(913)를 제1 고정부재(830)의 제2 고정홈(931)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재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고정부(900)는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제2 걸림부재(913)의 하방에는 제2 지지턱(917)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재(930)은 제2 지지턱(917)과 맞닿는 면에 지지홈(9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턱(917)은 지지홈(935)에 끼워지며 제2 고정홈(931)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턱(917)이 제2 고정부재(930)의 하부면 중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2 고정부재(930) 또는 제2 걸림부재(913)가 의도하지 않는 이동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고정부(800) 또는 제2 고정부(900)를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육하는 고양이의 몸무게가 무겁지 않다면, 제1 고정부재(830)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분리하는 제1 고정부(8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고정부재(8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보다 사용자의 체중을 실어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것이 힘을 가하는 데 더 용이하기 때문에, 분리 및 재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제1 고정부(8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양이가 성숙하여 체중이 무거울 경우, 상방으로 밀어올려 분리를 실시할 수 있는 제2 고정부(9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고정부(900)는 제2 지지턱(917)을 통해 제2 고정부재(930)를 하면에서 지지하여, 무거운 고양이가 발판(500)에 올라가더라도 제2 고정부재(930)와 제2 가압부재(9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식 캣타워(1)는 상황에 따라 제1 고정부(800) 및 제2 고정부(900)를 용이하게 취사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제2 고정부재(930)는 기둥부(200)와 접하는 내측면에 제2 마찰부재(933)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찰부재(833)는 라텍스 등의 천연고무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 합성고무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된 제2 마찰부재(933)는 제2 고정부(900)가 기둥부(200)의 외측면과 접하며 고정될 때, 제2 고정부(900)와 기둥부(200) 사이에서 압력으로 인해 눌려 변형될 수 있다. 변형된 제2 마찰부재(933)는 복원력으로 기둥부(200)의 외측면에 압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마찰부재(933)는 제2 고정부(900)와 기둥부(200)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재(930)의 외측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제2 지지부재(95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재(950)는 지면과 평행한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950)의 일측면에는 타측면까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발판고정홀(95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500)은 도 4에 도시한 제2 발판고정홀(951)을 통해 제2 고정부(9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발판(500)의 하면에는 제2 발판고정홀(951)에 대응되도록 발판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발판고정홀(951) 및 발판(500)을 관통하는 나사로 나사결합을 실시하여 제2 고정부(900)에 발판(500)을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조립식 캣타워
100 : 케이스부
101 : 개구 103 : 출입구
110 : 케이스몸체 130 : 개폐도어
150 : 케이스지붕 200 : 기둥부
210 : 케이스기둥 230 : 연장기둥
250 : 제1 연결부 251 : 제1 연결벽체
252 : 제1 연결홈 253 : 체결홈
254 : 제1 연결부재 255 : 연결돌기
257 : 제1 자석부재 260 : 제2 연결부
261 : 제2 연결벽체 262 : 제2 연결홈
263 : 삽입홈 265 : 제2 자석부재
267 : 체결부재 268 : 체결돌기
270 : 고정기둥 290 : 상판
500 : 발판 510 : 오목부재
700 : 고정부 800 : 제1 고정부.
810 : 제1 가압부재 811 : 제1 가압나사
813 : 제1 걸림부재 814 : 제1 걸림판
815 : 제1 걸림턱 830 : 제1 고정부재
831 : 제1 고정홈 832 : 제1 걸림홈
833 : 제1 마찰부재 835 : 제1 지지턱
850 : 제1 지지부재 851 : 제1 발판고정홀
900 : 제2 고정부 910 : 제2 가압부재
911 : 제2 가압나사 913 : 제2 걸림부재
914 : 제2 걸림판 915 : 제2 걸림턱
917 : 제2 지지턱 930 : 제2 고정부재
931 : 제2 고정홈 933 : 제2 마찰부재
935 : 지지홈 950 : 제2 지지부재
951 : 제2 발판고정홀
101 : 개구 103 : 출입구
110 : 케이스몸체 130 : 개폐도어
150 : 케이스지붕 200 : 기둥부
210 : 케이스기둥 230 : 연장기둥
250 : 제1 연결부 251 : 제1 연결벽체
252 : 제1 연결홈 253 : 체결홈
254 : 제1 연결부재 255 : 연결돌기
257 : 제1 자석부재 260 : 제2 연결부
261 : 제2 연결벽체 262 : 제2 연결홈
263 : 삽입홈 265 : 제2 자석부재
267 : 체결부재 268 : 체결돌기
270 : 고정기둥 290 : 상판
500 : 발판 510 : 오목부재
700 : 고정부 800 : 제1 고정부.
810 : 제1 가압부재 811 : 제1 가압나사
813 : 제1 걸림부재 814 : 제1 걸림판
815 : 제1 걸림턱 830 : 제1 고정부재
831 : 제1 고정홈 832 : 제1 걸림홈
833 : 제1 마찰부재 835 : 제1 지지턱
850 : 제1 지지부재 851 : 제1 발판고정홀
900 : 제2 고정부 910 : 제2 가압부재
911 : 제2 가압나사 913 : 제2 걸림부재
914 : 제2 걸림판 915 : 제2 걸림턱
917 : 제2 지지턱 930 : 제2 고정부재
931 : 제2 고정홈 933 : 제2 마찰부재
935 : 지지홈 950 : 제2 지지부재
951 : 제2 발판고정홀
Claims (10)
-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면과 연결된 케이스기둥과 일단부가 상판과 연결된 고정기둥 및 상기 케이스기둥 및 상기 고정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기둥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발판; 및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기둥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기둥부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벽체;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연결벽체와 이격되어 돌출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돌기;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벽체 및 상기 제1 연결부재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2 연결벽체;
상기 제2 연결벽체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일측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나사 및 양단부에서 돌출된 제1 걸림부재를 가지는 제1 가압부재;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가압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양단부에 상기 제1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마찰력을 통해 상기 기둥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제1 마찰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일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발판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상기 제1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홈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 걸림판; 및
상기 제1 걸림판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고정홈의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부재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지지턱을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나사 및 양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걸림부재를 가지는 제2 가압부재;
상기 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2 가압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양단부에 상기 제2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고정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마찰력을 통해 상기 기둥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제2 마찰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일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발판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제2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 걸림판; 및
상기 제2 걸림판의 단부에서 상기 제2 고정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고정홈의 하방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지지홈을 가지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홈과 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지지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턱을 포함하는 조립식 캣타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840A KR102181409B1 (ko) | 2018-11-12 | 2018-11-12 | 조립식 캣타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840A KR102181409B1 (ko) | 2018-11-12 | 2018-11-12 | 조립식 캣타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4508A true KR20200054508A (ko) | 2020-05-20 |
KR102181409B1 KR102181409B1 (ko) | 2020-11-23 |
Family
ID=7091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7840A KR102181409B1 (ko) | 2018-11-12 | 2018-11-12 | 조립식 캣타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140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5560B1 (ko) * | 2020-09-28 | 2020-12-02 | 김원도 | 포스트용 풋보드 클램핑세트 |
KR20230001429U (ko) * | 2022-01-06 | 2023-07-13 | 김민수 | 조립 편의성과 구조 안정성 및 설치 가변성이 우수한 조립식 캣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9453A (ko) | 2022-02-07 | 2023-08-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려동물용 타워 |
KR20220000497U (ko) | 2022-02-11 | 2022-03-02 | 최강수 | 드럼형 캣타워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0995U (ko) * | 2013-08-27 | 2015-03-09 | 이승배 | 모듈을 이용한 고양이용 복합 생활시설 |
KR20150141000A (ko) * | 2014-06-09 | 2015-12-17 | 김상성 | 캣타워 및 플레이트 조립체 |
KR200481829Y1 (ko) | 2014-11-14 | 2016-11-15 | 김영욱 | 조립식 캣타워 |
CN205813167U (zh) * | 2016-05-11 | 2016-12-21 | 德清爱舍宠物用品有限公司 | 多级猫爬架 |
KR20160148143A (ko) * | 2015-06-16 | 2016-12-26 | 정태연 | 링 행거를 구비하는 스탠드 옷걸이 |
KR200484207Y1 (ko) * | 2016-03-15 | 2017-08-23 | (주)아소리빙 | 행거부속물 거치용 홀더 |
-
2018
- 2018-11-12 KR KR1020180137840A patent/KR1021814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0995U (ko) * | 2013-08-27 | 2015-03-09 | 이승배 | 모듈을 이용한 고양이용 복합 생활시설 |
KR20150141000A (ko) * | 2014-06-09 | 2015-12-17 | 김상성 | 캣타워 및 플레이트 조립체 |
KR200481829Y1 (ko) | 2014-11-14 | 2016-11-15 | 김영욱 | 조립식 캣타워 |
KR20160148143A (ko) * | 2015-06-16 | 2016-12-26 | 정태연 | 링 행거를 구비하는 스탠드 옷걸이 |
KR200484207Y1 (ko) * | 2016-03-15 | 2017-08-23 | (주)아소리빙 | 행거부속물 거치용 홀더 |
CN205813167U (zh) * | 2016-05-11 | 2016-12-21 | 德清爱舍宠物用品有限公司 | 多级猫爬架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5560B1 (ko) * | 2020-09-28 | 2020-12-02 | 김원도 | 포스트용 풋보드 클램핑세트 |
KR20230001429U (ko) * | 2022-01-06 | 2023-07-13 | 김민수 | 조립 편의성과 구조 안정성 및 설치 가변성이 우수한 조립식 캣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1409B1 (ko) | 2020-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54508A (ko) | 조립식 캣타워 | |
KR101181409B1 (ko) |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81829Y1 (ko) | 조립식 캣타워 | |
US20180142464A1 (en) | Anchor device | |
KR101978647B1 (ko) | 캣타워 조립체 | |
MX2011010456A (es) | Conector para sistema de entablado. | |
US20140080674A1 (en) | Trampoline Swingset Suspension | |
KR20190033860A (ko) | 캣 타워 | |
KR20190007613A (ko) | 조립식 캣타워 지주의 연결구조 | |
JP4364813B2 (ja) | 猫用遊具 | |
JP2002315465A (ja) | 猫用の遊戯装置 | |
KR20150141000A (ko) | 캣타워 및 플레이트 조립체 | |
KR101969973B1 (ko) |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 |
JP3212092U (ja) | ボルダリングウォール | |
US10081948B2 (en) | Combination of elements to construct a threshold ramp construction, ramp construction, and method to construct a threshold ramp construction | |
KR200432757Y1 (ko) | 조립식 평상 | |
KR102412512B1 (ko) | 축 지지 장치 | |
KR102090996B1 (ko) | 연결 가능한 안전 손잡이 | |
KR200493166Y1 (ko) | 방묘문 | |
KR200196453Y1 (ko) | 실내 바닥용 조립깔판 | |
JP2004278157A (ja) | 免震装置、及び建築物の免震構造 | |
KR101694510B1 (ko) | 비닐하우스용 골조 침하방지캡 | |
KR200494521Y1 (ko) | 캣타워용 조립키트 | |
KR102619308B1 (ko) | 수영장용 사다리 | |
KR102712409B1 (ko) | 코너 캐슬 캣 타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