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33A -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33A
KR20200052733A KR1020180136084A KR20180136084A KR20200052733A KR 20200052733 A KR20200052733 A KR 20200052733A KR 1020180136084 A KR1020180136084 A KR 1020180136084A KR 20180136084 A KR20180136084 A KR 20180136084A KR 20200052733 A KR20200052733 A KR 2020005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unit
clock
power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1311B1 (en
Inventor
채재권
김병웅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11B1/en
Publication of KR2020005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riving circuit unit of an image display pan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ircuit unit comprises: a first clock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first clock signal at a preset frequency and period and outputting the first clock signal to a first load unit; and a first delay circuit unit delaying a phase of the first clock signal outputted from the first clock genera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generate a second clock signal and transmit the second clock signal to a second load unit. The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may be reduced.

Description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ircuit portion of an image display panel capable of reducing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통신기기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Recent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s main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ad as a flat panel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닛이 추가 구성되어야 했던 액정 표시장치보다 더 유용하게 모바일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s a high luminance, a low driving voltage, and is capable of ultra-thinning, a backlight unit is more usefully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n a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had to be additionally configur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의 평판 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청색을 표시하는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영상 표시패널, 및 영상 표시패널의 화소 영역들에 구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화소 회로들을 제어하는 구동 집적회로들을 포함한다.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an image display panel in which pixel areas displaying red, green, and blue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pixel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nfigured in pixel areas of the image display panel And driving integrated circuits that control the circuits.

각 화소 영역의 화소 회로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집적회로들은 고주파 클럭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일 예로, 구동 집적회로들은 고주파 클럭 신호들에 응답해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전류 또는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들에 따라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 화소의 화소 회로들에 매 수평 라인 단위로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화소들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The driving integrated circuits driving the pixel circuits in each pixel area operate according to high frequency clock signals. For example, driving integrated circuits generate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high frequency clock signals and convert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analog image signal (current or voltage signal). In addition, by supplying analog video signals to the pixel circuits of each pixel in units of horizontal line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each pixel.

일반적으로, 구동 집적회로들은 인쇄 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이나 영상 표시패널의 일 측에 밀착해서 실장되고, 다수의 고주파 클럭 신호들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구동 집적회로들은 전자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간섭을 크게 받는다. 특히, 고주파 클럭 신호들의 위상이 중첩되는 경우에는 그 중첩되는 수만큼 더 전자파가 증폭되기 때문에 전자파 간섭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In general, driving integrated circuits ar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video display panel, and are driven by a plurality of high-frequency clock signals, so driving integrated circuits are electromagnetic (EMI) ) It is greatly affected by interference. Particularly, when the phases of the high-frequency clock signals overlap, the electromagnetic wave is amplified as much as the overlapping number, which inevitably increas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이에, 종래에는 고주파 클럭 신호들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확산 또는 역확산(spreading or De-spreading) 시키거나, 고주파 클럭 신호들의 위상을 천이시켜서 구동 집적회로들로 전송함으로써 EMI 영향을 줄이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 scheme has been proposed to reduce the EMI effect by spreading or de-spreading the energy spectrum of high-frequency clock signals, or by shifting the phase of high-frequency clock signals and transmitting them to driving integrated circuits.

하지만, 종래의 EMI 감소 방안은 고주파 클럭 신호들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확산 또는 역확산 시키기 위한 스펙트럼 변조 유닛이나 위상 변조 유닛 등이 추가로 구성되어야 했기 때문에 그 설계 면적과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들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MI reduction scheme has a problem in that its design area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 because a spectrum modulation unit or a phase modulation unit for spreading or despreading the energy spectrum of high frequency clock signals has to be additionally configured.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고, 위상 지연 전후의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lay the phase of the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lock generation unit, and to drive the circuit unit of the image display panel so that clock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phase delay can be used in different loads or circuits,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Is to provide.

또한, 각각의 클럭 발생부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위상이 다른 클럭 신호들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위상이 서로 다르게 발생된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riving circuit unit of the image display panel to allow each clock generating unit to generate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at different timings, and to use clock signals generated in different phases in different loads or circuits, and It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또한, 각각의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된 클럭 신호들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각각의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energy spectrum of clock signals generated by each clock generator is varied differently, and the driving circuit unit of the image display panel is configured to use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energy spectrums in different loads or circuits. It is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us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of the appended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주기로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클럭 신호를 제1 로드부로 출력하는 제1 클럭 발생부, 제1 클럭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제1 클럭 신호의 위상을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제2 클럭 신호를 제2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1 지연 회로부를 포함한다. The driving circuit part of the video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first clock signal at a preset frequency and period and outputs the first clock signal to the first load part.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the first clock generator output the first clock signal. And a first delay circuit unit generating a second clock signal by delaying the phase of the clock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lock signal to the second load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들에 복수의 서브 화소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패널, 및 외부로부터의 동기 신호들과 적어도 하나의 클럭 신호를 이용해서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클럭 신호 위상을 지연시키거나 위상이 다른 복수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룰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arranged in the crossing regions of the gate and the data line, the image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ynchronization signals from the outside It includes a driving circuit unit that controls a gate and a data line using at least one clock signal and delays at least one clock signal phase or generates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는 외부 또는 제1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1 RC 회로의 제1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1 클럭 신호를 제1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1 필터부, 외부 또는 제2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2 RC 회로의 제2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2 클럭 신호를 제2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2 필터부, 및 외부 또는 제3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제3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3 RC 회로의 제3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3 클럭 신호를 제3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3 필터부를 포함한다.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dulates the energy spectrum of the first clock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or first clock generator using the first RC time constant of the first RC circuit, and the energy spectrum is modulated. The energy spectrum of the second cloc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ilter unit, the external or second clock generator, which transmits the clock signal to the first load unit is modulated using the second RC time constant of the second RC circuit, and the energy spectrum is modulated. Modulates the energy spectrum of the third clock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filter unit and the external or third clock generator to transmit the second clock signal to the second load unit using the third RC time constant of the third RC circuit. And a third filter unit transmitting the third clock signal modulated with the energy spectrum to the third load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들에 복수의 서브 화소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패널, 및 외부로부터의 동기 신호들과 복수의 클럭 신호를 이용해서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제어하며 복수의 클럭 신호별 에너지 스펙트럼을 변조시켜 출력하는 구동 회로부룰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arranged in the crossing regions of the gate and the data line, the image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ynchronization signals from the outside It includes a driving circuit unit that controls a gate and a data line using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d modulates and outputs energy spectra for each clock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는 단순하게 위상 지연 회로만을 추가해서 클럭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위상 지연 전후의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EMI 간섭을 줄일 수 있다. The driving circuit part of the video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an delay the phase of the clock signal by simply adding a phase delay circuit. In addition, EMI interference can be reduced by allowing clock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phase delay to be used in different loads or circuits.

또한, 단순하게 전원을 지연시켜서 공급하는 전원 지연 회로만을 추가해서 각각의 클럭 발생부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위상이 다른 클럭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at different timings by simply adding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that simply supplies power by delaying the power supply.

또한, RC 시정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RC 필터 회로를 각각의 클럭 신호 출력단에 추가해서 각 클럭 신호들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에너지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각각의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EMI 간섭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dding an RC filter circuit capable of varying the RC time constant to each clock signal output terminal, the energy spectrum of each clock signal can be varied differently. Accordingly, EMI interference can be reduced by allowing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energy spectrums to be used in different loads or circui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지연 회로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클럭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클럭 신호와 제1 지연 회로부에 의해 위상이 지연된 제 2 클럭 신호를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부의 다양한 적용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5(a)로 도시된 형태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된 제1 클럭 신호, 제1 지연 회로부에 의해 위상 지연된 제2 클럭 신호, 및 제2 지연 회로부에 의해 위상 지연된 제3 클럭 신호를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내지 제3 전원 신호와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를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필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필터부 각각의 에너지 감쇄 특성과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of the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first delay circuit shown in FIG. 2.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shown in FIG. 3 and a second clock signal whose phase is delayed by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respectively.
5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a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unit of the type shown in FIGS. 1 and 5 (a).
7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first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lock generator, the second clock signal phase-delayed by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and the third clock signal phase-delayed by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respectively.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circuit portion of an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first to third power signals and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of FIG. 8, respectively.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part of an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first to third filter units illustrated in FIG. 10.
12 is a graph showing energy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filter units illustrated in FIG. 1 and energy spectrums of the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주요 기술이 적용되는 영상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양자점 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main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a quantum dot display device Dot Display). 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영상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패널(100), 구동 회로부(200), 및 전원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The imag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n image display panel 100, a driving circuit unit 200, and a power supply unit 300.

영상 표시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각각의 화소 영역에 각각의 서브 화소(P)들이 구성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각 서브 화소(P)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이오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각각의 서브 화소(P)들이 각각의 화소 영역에 배열되는 형태는 매트릭스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라이프 형태, 화소를 공유하는 형태, 다이아몬드 형태 등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In the image display panel 100, each sub-pixel P is configured in each pixel area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display an image. Each sub-pixel P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diode driving circuit that independently driv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form in which each sub-pixel P is arranged in each pixel area is not limited to a matrix form, and may be variously arranged in a stripe form, a pixel sharing form, a diamond form, and the like.

각 서브 화소(P)의 다이오드 구동회로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과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각각의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구동회로와 제1 및 제2 전원신호(VDD,GND)의 사이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각각 구성된다. The diode driving circuit of each sub-pixel P has respective gate lines GL, data lines DL and power in pixel regions defined by respective gate lines GL1 to GLn and data lines DL1 to DLm.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ine PL. In addi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configured between the diode driving circuit and the first and second power signals VDD and GND.

다이오드 구동회로들은 각각 연결된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발광 다이오드로 공급하면서도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가 충전되도록 하여 발광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The diode driving circuits supply the analog data signal from the connected data line DL to the light emitting diode, while allowing the analog data signal to be charged to maintain the light emission state.

모바일 통신기기에 적용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부(200)는 적색, 녹색, 청색의 영상 데이터가 매 프레임의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 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들(GL1 내지 GLn, DL1 내지 DLm)을 구동한다.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gates and data lines GL1 to GLn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so that image data of red, green, and blue is displayed as images of every frame. DL1 to DLm).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DCLK, Hsync,Vsync,DE)를 이용하여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게이트 온 신호(예를 들어, 로우 또는 하이 논리의 게이트 전압)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는 게이트 오프 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구동 회로부(200)는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접속된 다이오드 구동회로들이 각각의 게이트 라인(GL) 단위로 순차 구동되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generates gate control signals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using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DCLK, Hsync, Vsync, DE. Then, a gate-on signal (for example, a gate voltage of low or high logic) is sequentially generated using the data control signal and output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Here, the gate-off voltage is supplie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gate-on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Accordingly,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sequentially drives the diode driving circuits connect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in units of each gate line GL.

또한, 구동 회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DCLK,Hsync,Vsync,DE)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부(200)는 복수 레벨의 기준 감마전압들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들의 계조 값(예를 들어, 0계조 값 내지 255계조 값)에 각각 대응되도록 세분화시켜 감마 전압 세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감마전압 세트를 이용해서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은 각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매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 공급되어 영상으로 표시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converts digital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analog image signal using at least one synchronization signal (DCLK, Hsync, Vsync, DE). Specifically,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generates a gamma voltage set by subdividing the reference gamma voltages of a plurality of levels so as to correspond to the grayscale values (eg, 0 grayscale values to 255 grayscale values) of digital image data RGB. . Then, the digital image data (RGB) is converted into an analog image signal using a gamma voltage set. The converted analog image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each data line DL1 to DLm in units of horizontal lines and displayed as an image.

구동 회로부(200)는 외부로부터의 동기 신호(DCLK, Hsync,Vsync,DE)와 내부의 오실레이터 등으로부터 발생된 복수의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GL1 내지 GLn, DL1 내지 DLm)을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회로부(200)는 동기 신호(DCLK, Hsync,Vsync,DE)와 자체 발생된 고주파 클럭 신호들 간의 위상 중첩에 따른 EMI 발생 영향을 크게 받는다.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generates gate and data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generated from external synchronizing signals (DCLK, Hsync, Vsync, DE) and internal oscillators, and generates gate and data lines GL1. To GLn, DL1 to DLm). Therefore,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is greatly affected by EMI generation due to phase overlap between the synchronization signals DCLK, Hsync, Vsync, DE and the self-generated high-frequency clock signals.

이에, 본 발명에서는 클럭 신호들 간의 위상 중첩을 방지하기 위해, 오실레이터 등의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고 위상 지연 전후의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처리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위상이 서로 다른 클럭 신호들이 생성되도록 하고, 위상이 각각 다른 클럭 신호들이 데이터 처리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회로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phase overlap between clock signals, the phase of the clock signal generated by a clock generator such as an oscillator is delayed and clock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phase delay can be used in different loads or processing circuits. . In addition,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are generated at different timings, and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can be used for data processing. Hereinafter, a dr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of the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200)는 제1 클럭 발생부(11), 데이터 인코딩부(201), 데이터 처리부(202), 제1 지연 회로부(111), 데이터 디코딩부(203)를 포함한다.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illustrated in FIG. 2 includes a first clock generator 11, a data encoding unit 201, a data processing unit 202, a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and a data decoding unit 203. .

구체적으로, 제1 클럭 발생부(11)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주기로 제1 클럭 신호(CLK1)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클럭 신호(CLK1)를 데이터 인코딩부(201)와 제1 지연 회로부(111)로 전송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generates a first clock signal CLK1 at a preset frequency and period, and generate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s a data encoding unit 201 and a first delay circuit unit ( 111).

데이터 인코딩부(201)는 제1 클럭 발생부(11)로부터 입력되는 제1 클럭 신호(CLK1)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인코딩한다. 데이터 인코딩부(201)는 제1 클럭 신호(CLK1)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적어도 한 수평 라인이나 프레임 단위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부(20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ata encoding unit 201 encodes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nput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The data encoding unit 201 may store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in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or frame unit in the internal memory according to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ransmit the image data RGB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02.

데이터 처리부(202)는 데이터 인코딩부(20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처리 또는 보상한다. 데이터 처리부(202)는 영상 데이터의 밝기나 색도 등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값을 내부 메모리에서 읽어들이고, 해당 알고리즘과 보상 값을 이용해서 영상 데이터의 계조 값 등을 보상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202 processes or compensates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encoding unit 201 with a preset algorithm. The data processing unit 202 reads a compensation value for compensating for brightness or chromaticity of the image data from the internal memory, and compensates for the gradation value of the image data using the corresponding algorithm and the compensation value.

제1 지연 회로부(111)는 제1 클럭 발생부(11)로부터 입력되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제2 클럭 신호(CLK2)를 생성한다. 즉, 제1 지연 회로부(111)는 제1 클럭 발생부(11)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미리 설정된 1/2주기 또는 1주기 등의 기간 동안 지연시키고, 지연된 제1 클럭 신호(CLK1)를 제2 클럭 신호(CLK2)로 출력한다.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generates a second clock signal CLK2 by delaying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nput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for a period of a predetermined period. That is,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delay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nput in real time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for a period of a predetermined 1/2 cycle or 1 cycle, and the delayed first The clock signal CLK1 is output as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제1 지연 회로부(111)에서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은 제1 클럭 신호(CLK1)의 위상 대비 1/2주기 또는 1주기 등의 기간 동안 지연되는바,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은 제1 클럭 신호(CLK1)의 위상과 서로 반전된 상태로 출력 및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클럭 신호(CLK1)의 위상과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이 서로 반전된 상태로 출력 및 유지되면, 제1 클럭 신호(CLK1)와 제2 클럭 신호(CLK2)에 따른 EMI는 서로 상쇄될 수 있다. The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output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is delayed for a period of 1/2 cycle or 1 cycle compared to the phase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so that the second clock signal ( The phase of CLK2) may be output and maintained in an inverted state to that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When the phases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 phases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re output and maintained in an inverted state, EMI according to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is Can cancel each other.

데이터 디코딩부(203)는 제1 지연 회로부(111)로부터의 제2 클럭 신호(CLK2)를 이용해서, 상기 보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다른 내장 메모리나 영상 처리 회로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ata decoding unit 203 may decode the compensated image data and transmit it to another internal memory or image processing circuit using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지연 회로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클럭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클럭 신호와 제1 지연 회로부에 의해 위상이 지연된 제 2 클럭 신호를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3 is a circuit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first delay circuit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first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shown in FIG. 3 and a second clock signal whose phase is delayed by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respectively.

도 3에 도시된 제1 지연 회로부(111)는 제1 저항 소자(R1)를 통해 반전 단자(-)로 제1 클럭 신호(CLK1)를 입력받고, 제1 커패시터(C)를 통해서는 비반전 단자(+)로 제1 클럭 신호(CLK1)를 입력받아서, 제2 저항 소자(R2)를 통해 피드백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증폭 소자(OP1)를 포함한다. The first delay circuit 111 shown in FIG. 3 receive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through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to the inverting terminal (-), and non-inverted through the first capacitor C.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s input to the terminal (+), and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output according to a clock signal fed back through the second resistor element R2. And an amplifying element OP1.

증폭 소자(OP1)의 제1 클럭 신호(CLK1) 지연 주기는 비반전 단자(+)에 병렬로 연결된 제3 저항 소자(R3)의 가변 저항값과 제2 저항 소자(R2)를 통해 피드백되는 클럭 신호의 주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제1 내지 제3 저항 소자(R1 내지 R3)와 제1 커패시터(C)의 용량에 따른 RC 시정수는 증폭 소자(OP1)가 2/1 주기 또는 1주기의 기간(d1) 동안 제1 클럭 신호(CLK1)를 지연시켜서 출력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다. The delay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of the amplifying element OP1 is a clock that is fed back through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of the third resistor element R3 and the second resistor element R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It can be set by the period of the signal. Accordingly, the RC time constant according to the capacities of the first to third resistive elements R1 to R3 and the first capacitor C is the first time during the period d1 of 2/1 cycle or 1 cycle of the amplification element OP1. The clock signal CLK1 is set in advance so as to be delayed and output.

이러한 회로 구성에 의해, 제1 지연 회로부(111)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1/2주기 또는 1주기의 기간(d1) 동안 지연시켜서 제2 클럭 신호(CLK2)로 출력하는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럭 신호(CLK1)의 위상과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은 서로 반전된 상태로 출력 및 유지될 수 있다. With this circuit configuration,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delay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for 1/2 period or 1 period period d1 and outputs it as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hase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may be output and maintained in an inverted state.

따라서, 데이터 인코딩부(201)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이용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인코딩하고, 데이터 디코딩부(203)는 제1 클럭 신호(CLK1)와는 위상이 반전된 제2 클럭 신호(CLK2)를 이용해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 인코딩부(201)와 데이터 디코딩부(203)는 위상이 서로 반전되어 EMI가 상쇄된 제1 클럭 신호(CLK1)와 제2 클럭 신호(CLK2)를 각각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인코딩부(201)와 데이터 디코딩부(203)가 인접하게 배치되더라도 EMI에 따른 영향은 최소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data encoding unit 201 encodes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using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 data decoding unit 203 is out of phase with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mage data may be decoded using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In this way, since the data encoding unit 201 and the data decoding unit 203 use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whose phases are inverted to each other and the EMI is canceled, respectively, the data encoding unit ( Even if the 201) and the data decoding unit 203 are arranged adjacently, the influence of EMI can be minimiz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부의 다양한 적용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a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먼저 참조하면, 구동 회로부(200)는 단일 칩(1-chip) 형태로 집적되어 구성되지 않고, 복수의 제1 내지 제2 블럭(BL1, BL2, BL3) 영역에 분할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200)는 각각의 집적회로로 분할 구성되어, 제1 내지 제2 블럭(BL1, BL2, BL3) 영역으로 구분된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이나 인쇄회로 필름 등에 분리된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집적회로에는 제1 클럭 신호(CLK1)나 제2 클럭 신호(CLK2) 등을 더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지연 회로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블럭 영역(BL1)의 집적회로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생성해서 이용하고, 제1 클럭 신호(CLK1)를 지연시킨 제2 클럭 신호(CLK2)를 제2 블럭 영역(BL1)의 집적회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럭 영역(BL2)의 집적회로는 제2 클럭 신호(CLK2)를 이용하고, 제2 클럭 신호(CLK2)를 지연시킨 제3 클럭 신호(CLK3)를 제3 블럭 영역(BL3)의 집적회로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클럭 신호들을 지연시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5 (a),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is not integrated and configured in a single chip form,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rst to second blocks BL1, BL2, and BL3 regions. It may be. For example,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is divided into respective integrated circuits, and is separated into different printed circuit boards or printed circuit films separated into first to second block areas BL1, BL2, and BL3. It can be mounted. In this case, a delay circuit unit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first clock signal CLK1 or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in each integrated circuit. That is, the integrated circuit of the first block region BL1 generates and use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that delay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s used as the second block region BL1. ). In addition, the integrated circuit of the second block region BL2 uses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he third clock signal CLK3 delaying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is integrated in the third block region BL3. The clock signals can be delayed and transmitted in a manner that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부(200, 200+1, 200+2)는 단수가 아닌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 다른 인쇄회로 기판이나 영상 표시패널(100)에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구동 회로부(200, 200+1, 200+2)가 서로 다른 각각의 인쇄회로 기판이나 영상 표시패널(100)에 분리 구성되어, 멀티 형태의 영상 표시패널(100)을 구동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회로부(200, 200+1, 200+2)에는 제1 클럭 신호(CLK1)나 제2 클럭 신호(CLK2) 등을 더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지연 회로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첫번째 구동 회로부(200)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생성해서 이용하고, 제1 클럭 신호(CLK1)를 지연시킨 제2 클럭 신호(CLK2)를 두번째 구동 회로부(20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구동 회로부(200+1)는 제2 클럭 신호(CLK2)를 이용하고, 제2 클럭 신호(CLK2)를 지연시킨 제3 클럭 신호(CLK3)를 세번째 구동 회로부(200+2)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클럭 신호들을 지연시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b), the driving circuit units 200, 200 + 1 and 200 + 2 may be configured in plural rather than singular, and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printed circuit boards or image display panels 100. That is, the plurality of driving circuit units 200, 200 + 1, and 200 + 2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on different printed circuit boards or image display panels 100 to drive the multi-type image display panel 100. have. Similarly, a delay circuit unit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first clock signal CLK1 or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driving circuit units 200, 200 + 1, and 200 + 2. That is,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200 generates and uses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ransmits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delaying the first clock signal CLK1 to the second driving circuit unit 200 + 1. Can be.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circuit unit 200 + 1 uses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ransmits the third clock signal CLK3 delaying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to the third driving circuit unit 200 + 2. In this way, clock signals can be delayed and transmitted.

도 6은 도 1 및 도 5(a)로 도시된 형태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unit of the type shown in FIGS. 1 and 5 (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로부(200)는 래치부(204), 제2 지연 회로부(222), 제2 데이터 처리부(205), 및 출력 버퍼부(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latch unit 204, a second delay circuit unit 222, a second data processing unit 205, and an output buffer unit 206.

구체적으로, 제2 블럭(BL2) 영역에 구성된 래치부(204)는 제1 지연 회로부(111)에서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CLK2)를 이용해서 영상 데이터를 래치 메모리에 래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래치부(204)는 데이터 디코딩부(203)에서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래치 메모리에 적어도 한 수평 라인분씩 래치시킬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latch unit 204 configured in the second block BL2 area may latch the image data into the latch memory using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output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Here, the latch unit 204 may latch the image data decoded by the data decoding unit 203 in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in the latch memory.

제2 지연 회로부(222)는 제1 지연 회로부(111)에서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을 미리 설정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제3 클럭 신호(CLK3)를 생성하고, 제3 클럭 신호(CLK3)를 제2 데이터 처리부(205)로 출력한다.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222 generates a third clock signal CLK3 by delaying the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output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generates a third clock signal CLK3. The signal CLK3 is output to the second data processing unit 205.

제2 데이터 처리부(205)는 제3 클럭 신호(CLK3)를 이용해서 래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한 수평 라인분씩 읽어들이고, 적어도 한 수평 라인분씩의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적어도 한 수평 라인분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출력 버퍼부(206)를 통해 영상 표시패널(100)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 전송될 수 있다. The second data processing unit 205 may read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latch memory by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by using the third clock signal CLK3, and convert the image data by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into an analog image signal. . Accordingly, the analog image signal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lines DL1 to DLm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output buffer unit 206.

도 7은 제1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된 제1 클럭 신호, 제1 지연 회로부에 의해 위상 지연된 제2 클럭 신호, 및 제2 지연 회로부에 의해 위상 지연된 제3 클럭 신호를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7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first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lock generator, the second clock signal phase-delayed by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and the third clock signal phase-delayed by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제2 지연 회로부(222)는 제1 지연 회로부(111)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제2 클럭 신호(CLK2)를 미리 설정된 1/2주기 또는 1주기 등의 기간(d2) 동안 지연시켜서, 지연된 제2 클럭 신호(CLK2)를 제3 클럭 신호(CLK3)로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222 sets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input in real time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111 during a period d2 such as a preset 1/2 cycle or 1 cycle. By delaying, the delayed second clock signal CLK2 is output as the third clock signal CLK3.

이에 따라, 제2 지연 회로부(222)에서 출력되는 제3 클럭 신호(CLK3)의 위상은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 대비 1/2주기 또는 1주기 등의 기간(d2) 동안 지연되는바,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과 제3 클럭 신호(CLK3)의 위상은 서로 반전된 상태로 출력 및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클럭 신호(CLK2)의 위상과 제3 클럭 신호(CLK3)의 위상이 서로 반전된 상태로 출력 및 유지되면, 제2 클럭 신호(CLK2)와 제3 클럭 신호(CLK3)에 따른 EMI는 서로 상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hase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output from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222 is delayed for a period d2 such as 1/2 cycle or 1 cycle compared to the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The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he phase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may be output and maintained in an inverted state. When the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he phase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are output and maintained in an inverted state, EMI according to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he third clock signal CLK3 is Can cancel each other.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circuit portion of an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회로부(200)는 전원 입력부(301),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 제1 증폭부(211), 제2 클럭 발생부(22),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 제2 증폭부(212), 제3 클럭 발생부(33)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unit 301, a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a first amplification unit 211, and a second clock generation unit ( 22), a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a second amplifying unit 212, a third clock generator 33 further includes.

구체적으로, 제1 블럭(BL1) 영역에 구성된 전원 입력부(301)는 외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DC 등의 정격 전원으로 변압하여 제1 전원 신호(Vcc1)를 생성한다. 이에, 전원 입력부(301)는 제1 클럭 발생부(11)에 제1 전원 신호(Vcc1)를 공급함으로써, 제1 전원 신호(Vcc1) 입력 타이밍에 제1 클럭 발생부(11)가 제1 클럭 신호(CLK1)를 생성하도록 구동시킨다.Specifically, the power input unit 301 configured in the first block BL1 region converts commercial power from the outside into rated power such as DC to generate a first power signal Vcc1. Accordingly, the power input unit 301 supplies the first power signal Vcc1 to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so that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is the first clock at the input timing of the first power signal Vcc1. It is driven to generate the signal CLK1.

전원 입력부(301)는 제1 전원 신호(Vcc1)를 제1 클럭 발생부(11)로 공급함과 동시에,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로 공급한다. 제1 클럭 발생부(11)는 제1 클럭 신호(CLK1)를 데이터 인코딩부(201) 등의 제1 로드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ower input unit 301 supplies the first power signal Vcc1 to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may transmit the first clock signal CLK1 to the first load unit 210 such as the data encoding unit 201.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는 전원 입력부(301)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전원 신호(Vcc1)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제2 전원 신호(Vcc2)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는 제1 전원 신호(Vcc1)를 제1 클럭 신호(CLK1)의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킨 후, 제2 전원 신호(Vcc2)를 출력한다.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delays the first power signal Vcc1 input from the power input unit 301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outputs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Specifically,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delays the first power signal Vcc1 for a period of 1/2 cycle or 1 cycle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nd then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is output.

제1 증폭부(211)는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 신호(Vcc2)의 전압 레벨이 제1 전원 신호(Vcc1)의 전압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증폭시켜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amplifying unit 211 may amplify and output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output from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to be the same as the voltage of the first power signal Vcc1. .

제2 블럭(BL2) 영역에 구성된, 제2 클럭 발생부(22)는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 또는 제1 증폭부(211)로부터 제2 전원 신호(Vcc2)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제2 클럭 신호(CLK2)를 생성 및 출력한다. 제2 클럭 발생부(22)는 제2 클럭 신호(CLK2)를 데이터 디코딩부(203) 등의 제2 로드부(2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second clock generator 22 configured in the second block BL2 region is second to the timing at which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is input from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or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211. The clock signal CLK2 is generated and output. The second clock generation unit 22 may transmit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to the second load unit 220 such as the data decoding unit 203.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는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나 제1 증폭부(211)를 통해 제2 전원 신호(Vcc2)를 공급받는다. 이에,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는 제1 전원 지연 공급부(310)나 제1 증폭부(211)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전원 신호(Vcc2)를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제3 전원 신호(Vcc3)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는 제2 전원 신호(Vcc2)를 제2 클럭 신호(CLK2)의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킨 후, 제3 전원 신호(Vcc3)를 출력한다.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receives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through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or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211. Accordingly,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delays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310 or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211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reby generate a third power signal ( Vcc3). Specifically,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delays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for a period of 1/2 cycle or 1 cycl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hen the third power signal (Vcc3) is output.

제2 증폭부(212)는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에서 출력되는 제3 전원 신호(Vcc3)의 전압 레벨이 제2 전원 신호(Vcc2)의 전압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증폭시켜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amplifying unit 212 may amplify and output the voltage level of the third power signal Vcc3 output from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to be the same as the voltage of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

제3 블럭(BL3) 영역에 구성된, 제3 클럭 발생부(33)는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 또는 제2 증폭부(212)로부터 제3 전원 신호(Vcc3)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제3 클럭 신호(CLK3)를 생성 및 출력한다. 제3 클럭 발생부(33)는 제3 클럭 신호(CLK3)를 래치부(204) 등의 제3 로드부(2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third clock generator 33 configured in the third block BL3 region is third at a timing at which the third power signal Vcc3 is input from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or the second amplification unit 212. The clock signal CLK3 is generated and output. The third clock generator 33 may transmit the third clock signal CLK3 to the third load unit 230 such as the latch unit 204.

도 9는 도 8의 제1 내지 제3 전원 신호와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를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first to third power signals and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of FIG. 8, respectively.

도 9를 참조하면, 제1 클럭 발생부(11)는 전원 입력부(301)로부터 제1 전원 신호(Vcc1)가 입력 타이밍에 제1 클럭 신호(CLK2)를 생성한다. 이에, 전원 입력부(301)의 제1 전원 신호(Vcc1) 출력 타이밍과 제1 클럭 발생부(11)의 제1 클럭 신호(CLK2) 출력 타이밍은 동기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generates a first clock signal CLK2 at the input timing of the first power signal Vcc1 from the power input unit 301. Accordingly, the timing of outputting the first power signal Vcc1 of the power input unit 301 and the timing of outputting the first clock signal CLK2 of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are synchronized.

제2 전원 지연 공급부(320)는 전원 입력부(301)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전원 신호(Vcc1)를 제1 클럭 신호(CLK1)의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d1) 동안 지연시킨 후 제2 전원 신호(Vcc2)를 생성해서 제2 클럭 발생부(22)로 전송한다.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320 may transmit the first power signal Vcc1 input from the power input unit 301 for a period d1 of one cycle of one half cycle or one cycle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After the delay,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clock generator 22.

따라서, 제2 클럭 발생부(22)로 입력되는 제2 전원 신호(Vcc2)의 입력 타이밍에 대응해서, 제2 클럭 발생부(22)는 제1 클럭 신호(CLK1)보다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d1) 동안 지연된 후에 제2 클럭 신호(CLK2)를 출력하게 된다.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input timing of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input to the second clock generator 22, the second clock generator 22 is 1/2 cycle or 1 cycle from the first clock signal CLK1.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is output after being delayed for a period d1 of one of the periods.

이후, 제3 전원 지연 공급부(330) 또한 제2 전원 신호(Vcc2)를 제2 클럭 신호(CLK2)의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d2) 동안 지연시킨 후 제3 전원 신호(Vcc3)를 생성해서 제3 클럭 발생부(33)로 전송하게 된다. Thereafter, the third power delay supply unit 330 also delays the second power signal Vcc2 for a period d2 of 1/2 cycle or 1 cycl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and then the third power The signal Vcc3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clock generator 33.

이에 따라서, 제3 클럭 발생부(33)로 입력되는 제3 전원 신호(Vcc3)의 입력 타이밍에 대응해서, 제3 클럭 발생부(33)는 제2 클럭 신호(CLK2)보다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d2) 동안 지연된 후에 제3 클럭 신호(CLK3)를 출력하게 된다.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input timing of the third power signal Vcc3 input to the third clock generator 33, the third clock generator 33 is 1/2 cycle or more than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The third clock signal CLK3 is output after being delayed for a period d2 of any one period.

이렇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1 내지 제3 전원 지연 공급부(310,320,330)가 순차적으로 각각 전원 신호(Vcc1,Vcc2,Vcc3)를 지연시킨 후 각각의 제1 내지 제3 클럭 발생부(11,22,33)로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제1 내지 제3 클럭 발생부(11,22,33)가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LK1 내지 CLK3)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단순하게 전원을 지연시켜서 공급하는 제1 내지 제3 전원 지연 공급부(310,320,330)만을 추가해서 각각의 제1 내지 제3 클럭 발생부(11,22,33)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위상이 다른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LK1 내지 CLK3)들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power delay supply units 310, 320, and 330 sequentially delay the power signals Vcc1, Vcc2, Vcc3, respectively, and then each of the first to third clock generators By transmitting to (11,22,33), each of the first to third clock generators 11,22,33 can sequentially output the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CLK1 to CLK3. Accordingly, only the first to third power delay supply units 310, 320 and 330, which are supplied by simply supplying power by delay, are added, so that each of the first to third clock generators 11, 22, and 33 have different phases at different timings. The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CLK1 to CLK3 may be genera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part of an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 회로부(200)는 서로 다른 RC 회로의 RC 시정수를 이용해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LK1 내지 CLK3)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각각 변조해서, 제1 내지 제3 로드부(210,220,230)로 공급하는 제1 내지 제3 필터부(F1,F2,F3)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modulates the energy spectrums of the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CLK1 to CLK3 by using RC time constants of different RC circuit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to third load units ( 210,220,230 further includes first to third filter units F1, F2, and F3.

구체적으로, 제1 필터부(F1)는 제1 클럭 발생부(11)에서 발생되는 제1 클럭 신호(CLK1)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1 RC 회로의 제1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한다. 그리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1 클럭 신호(CLK1)를 데이터 인코딩부(201) 등의 제1 로드부(210)로 전송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filter unit F1 modulates the energy spectrum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generated by the first clock generator 11 using the first RC time constant of the first RC circuit. The energy spectrum modulated first clock signal CLK1 is transmitted to a first load unit 210 such as a data encoding unit 201.

제2 필터부(F2)는 제2 클럭 신호(CLK2)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2 RC 회로의 제2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한다. 그리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2 클럭 신호(CLK2)를 데이터 디코딩부(203) 등의 제2 로드부(220)로 전송한다. The second filter unit F2 modulates the energy spectrum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using the second RC time constant of the second RC circuit. The energy spectrum modulated second clock signal CLK2 is transmitted to a second load unit 220 such as a data decoding unit 203.

제3 필터부(F3)는 제3 클럭 신호(CLK3)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3 RC 회로의 제3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한다. 그리고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3 클럭 신호(CLK3)를 래치부(204) 등의 제3 로드부(230)로 전송한다. The third filter unit F3 modulates the energy spectrum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using the third RC time constant of the third RC circuit. Then, the third clock signal CLK3 having the modulated energy spectrum is transmitted to the third load unit 230 such as the latch unit 204.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필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필터부 각각의 에너지 감쇄 특성과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1 is a circuit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first to third filter units illustrated in FIG. 10. 12 is a graph showing the energy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filter units shown in FIG. 1 and the energy spectrums of the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도 11(a) 제1 필터부(F1)는 제1 클럭 신호(CLK1) 전송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저항 소자(R1), 및 제1 저항 소자(R1)와는 병렬로 제1 클럭 신호(CLK1) 전송 라인과 저전위 전압 단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 제1 RC 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제1 필터부(F1)는 제1 RC 회로로 구성된 제1 저항 소자(R1), 및 제1 커패시터(C1)의 용량에 따라 제1 RC 시정수가 설정되고, 제1 RC 시정수에 따라 제1 클럭 신호(CLK1)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변조시켜 출력한다. 11 (a) The first filter unit F1 has a first clock signal CLK1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and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clock signal CLK1 transmission line. ) A first RC circuit including a first capacitor (C1) connected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low potential voltage stage.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part F1 is the first RC time constant is se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and the first capacitor C1 composed of the first RC circuit, and according to the first RC time constant The energy spectrum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is modulated and output.

이에, 도 12(a)로 도시된 제1 필터부(F1)의 필터링 에너지 감쇄 특성에 따라, 제1 필터부(F1)를 통해 출력되는 제1 클럭 신호(CLK1)의 에너지 스펙트럼은 특정 주파수(MHz) 기간 단위로 그 에너지가 가변 및 감쇄되어 출력된다. 제1 RC 시정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주기(예를 들어, 100MHz(f1),200MHz(f2),300MHz(f3)) 주기 중 200MHz(f2) 주기(fa)에서 가장 낮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filtering energy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filter unit F1 shown in FIG. 12 (a), the energy spectrum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output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F1 has a specific frequency ( MHz) The energy is variable and attenuated in units of a period and output. The first RC time constant may be set to be the lowest in the 200 MHz (f2) period fa among the preset frequency periods (for example, 100 MHz (f1), 200 MHz (f2), and 300 MHz (f3)) periods.

이에, 제1 필터부(F1)를 통해 출력되는 제1 클럭 신호(CLK1)의 클럭 펄스별 에너지(xdBm)는 100MHz(f1), 200MHz(f2), 300MHz(f3)의 주기 단위로 가변되되, 200MHz(f2) 주기에서 가장 낮게 감쇄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nergy (xdBm) for each clock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CLK1 output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F1 is varied in period units of 100 MHz (f1), 200 MHz (f2), and 300 MHz (f3). It may be output to attenuate the lowest in the 200MHz (f2) period.

도 11(b) 제2 필터부(F2)는 제2 클럭 신호(CLK2) 전송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 소자(R1,R2), 및 제1 저항 소자(R1)와는 병렬로 제2 클럭 신호(CLK2) 전송 라인과 저전위 전압 단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 제2 RC 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제2 필터부(F2)는 제2 RC 회로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저항 소자(R1,R2), 및 제1 커패시터(C1)의 용량에 따라 제2 RC 시정수가 설정되고, 제2 RC 시정수에 따라 제2 클럭 신호(CLK2)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변조시켜 출력한다. 11 (b) The second filter unit F2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elements R1 and R2 connected to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transmission line, and the first resistance element R1. 2 clock signal CLK2 and a second RC circuit including a first capacitor C1 connected between a transmission line and a low potential voltage stage. Accordingly, the second filter part F2 is configured with a second RC time constant according to the capac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 elements R1 and R2 and the first capacitor C1 composed of the second RC circuit, and the second The energy spectrum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is modulat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RC time constant.

이에, 도 12(b)로 도시된 제2 필터부(F2)의 필터링 에너지 감쇄 특성에 따라, 제2 필터부(F2)를 통해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CLK2)의 에너지 스펙트럼은 특정 주파수(MHz) 기간 단위로 그 에너지가 가변 및 감쇄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2 RC 시정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주기(예를 들어, 100MHz(f1), 200MHz(f2), 300MHz(f3)) 주기 중 100MHz(f2) 주기(fb)에서 가장 낮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filtering energy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ilter unit F2 shown in FIG. 12 (b), the energy spectrum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output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F2 has a specific frequency ( MHz) The energy is variable and attenuated in units of a period and output. For example, the second RC time constant may be set to be the lowest in a 100 MHz (f2) period fb of a preset frequency period (eg, 100 MHz (f1), 200 MHz (f2), 300 MHz (f3)) period Can be.

이에, 제2 필터부(F2)를 통해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CLK2)의 클럭 펄스별 에너지(xdBm)는 100MHz(f1), 200MHz(f2), 300MHz(f3)의 주기 단위로 가변되되, 100MHz(f1) 주기에서 가장 낮게 감쇄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nergy (xdBm) for each clock pul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CLK2 output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F2 is varied in period units of 100 MHz (f1), 200 MHz (f2), and 300 MHz (f3). It may be output so as to be the lowest attenuation in the 100MHz (f1) period.

도 11(c) 제3 필터부(F3)는 제3 클럭 신호(CLK3) 전송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저항 소자(R1,R2), 및 제1 저항 소자(R1)의 전단과 후단에 제1 저항 소자(R1)와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를 포함하는 제3 RC 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제3 필터부(F3)는 제3 RC 회로로 구성된 제1 저항 소자(R1), 및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용량에 따라 제3 RC 시정수가 설정되고, 제3 RC 시정수에 따라 제3 클럭 신호(CLK3)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변조시켜 출력한다. 11 (c) The third filter unit F3 includes first resistor elements R1 and R2 connected in series to the third clock signal CLK3 transmission line, and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And a third RC circuit including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ance element R1. Thus, the third filter unit F3 is a third RC time constant is se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an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1 and C2 composed of the third RC circuit, and the third The energy spectrum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is modulat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RC time constant.

이에, 도 12(c)로 도시된 제3 필터부(F3)의 필터링 에너지 감쇄 특성에 따라, 제3 필터부(F3)를 통해 출력되는 제3 클럭 신호(CLK3)의 에너지 스펙트럼은 특정 주파수(MHz) 기간 단위로 그 에너지가 가변 및 감쇄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3 RC 시정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주기(예를 들어, 100MHz(f1), 200MHz(f2), 300MHz(f3)) 주기 중 300MHz(f3) 주기(fc)에서 가장 낮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filtering energy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filter unit F3 illustrated in FIG. 12 (c), the energy spectrum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output through the third filter unit F3 is a specific frequency ( MHz) The energy is variable and attenuated in units of a period and output. For example, the third RC time constant may be set to be lowest in a 300 MHz (f3) period (fc) of a preset frequency period (eg, 100 MHz (f1), 200 MHz (f2), 300 MHz (f3)) period Can be.

이에, 제3 필터부(F3)를 통해 출력되는 제3 클럭 신호(CLK3)의 클럭 펄스별 에너지(xdBm)는 100MHz(f1), 200MHz(f2), 300MHz(f3)의 주기 단위로 가변되되, 300MHz(f3) 주기에서 가장 낮게 감쇄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nergy (xdBm) for each clock pulse of the third clock signal CLK3 output through the third filter unit F3 is varied in cycle units of 100 MHz (f1), 200 MHz (f2), and 300 MHz (f3). It may be output to be the lowest attenuation in the 300MHz (f3) period.

이와 같이. 구동 회로부(200)는 서로 다른 RC 회로를 구비한 제1 내지 제3 필터부(F1,F2,F3)를 이용해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LK1 내지 CLK3)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각각 변조할 수 있다. 이에, 에너지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각각의 클럭 신호들을 각각 다른 로드나 회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EMI 간섭을 줄일 수 있다. like this.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may modulate the energy spectrums of the first to third clock signals CLK1 to CLK3, respectively, by using the first to third filter units F1, F2, and F3 having different RC circuits. . Accordingly, EMI interference can be reduced by allowing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energy spectrums to be used in different loads or circui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영상 표시패널
111: 제1 지연 회로부
200: 구동 회로부
201: 데이터 인코딩부
202: 제1 데이터 처리부
203: 데이터 디코딩부
204: 래치부
205: 제2 데이터 처리부
206: 출력 버퍼부
222: 제1 지연 회로부
300: 전원 공급부
100: video display panel
111: first delay circuit unit
200: driving circuit part
201: data encoding unit
202: first data processing unit
203: data decoding unit
204: latch part
205: second data processing unit
206: output buffer unit
222: first delay circuit unit
300: power supply

Claims (13)

영상 표시패널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주기로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1 로드부로 출력하는 제1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클럭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제1 클럭 신호의 위상을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1 지연 회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In th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gate and data lines of the video display panel,
The driving circuit part
A first clock generator which generates a first clock signal at a preset frequency and period and outputs the first clock signal to a first load unit;
And a first delay circuit unit generating a second clock signal by delaying a phase of the first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lock signal to a second load uni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 회로부는
제1 저항 소자를 통해 반전 단자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입력받고, 제1 커패시터를 통해서는 비반전 단자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서, 제2 저항 소자를 통해 피드백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증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 소자의 제1 클럭 신호 지연 주기는 상기 비반전 단자에 병렬로 연결된 제3 저항 소자의 가변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소자를 통해 피드백되는 클럭 신호의 주기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The first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through the first resistor element, and the first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through the first capacitor, and according to the clock signal fed back through the second resistor element. And an amplifying element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first clock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first clock signal delay period of the amplification element is preset by a variable resistance value of a third resistanc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a period of a clock signal fed back through the second resistance elemen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지연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를 이용해서 영상 데이터를 래치 메모리에 래치시키는 제3 로드부;
상기 제1 지연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2 클럭 신호의 위상을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제3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지연 회로부; 및
상기 제2 지연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3 클럭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래치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circuit part
A third load unit that latches image data into a latch memory by using a second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A second delay circuit unit delaying a pha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generate a third clock signa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third clock signal; And
And a data processing unit to output the latched image data to the outside using a third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 회로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미리 설정된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상기 제2 클럭 신호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지연 회로부는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미리 설정된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켜서 상기 제3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delay circuit unit
The first clock signal is delayed for a period of one of 1/2 preset periods or 1 period, and is output as the second clock signal.
The second delay circuit unit
The second clock signal is delayed for a period of one of 1/2 preset periods or 1 period and output as the third clock signal.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발생부에 제1 전원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전원 신호 공급 타이밍에 상기 제1 클럭 발생부가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전원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제2 전원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전원 지연 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원 지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신호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제2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클럭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input unit supplying a first power signal to the first clock generator to control the first clock generator to generate the first clock signal at the first power signal supply timing;
A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delaying the first power signal input from the power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outputting the second power signal as a second power signal;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a second clock signal at a timing at which the second power signal is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지연 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전원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지연시켜서 제3 전원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전원 지연 공급부; 및
상기 제2 전원 지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3 전원 신호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제3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3 클럭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delaying the second power signal input from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outputting the second power signal as a third power signal;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a third clock signal at a timing at which the third power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지연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 신호를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킨 후 상기 제2 전원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전원 지연 공급부는 상기 제2 전원 신호를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1/2주기 또는 1주기 중 어느 한 주기의 기간 동안 지연시킨 후 상기 제3 전원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ower delay supply unit
The first power signal is delayed for a period of 1/2 cycle or 1 cycle of the first clock signal, and then output as the second power signal.
The second power delay supply unit outputs the second power signal as the third power signal after delaying for a period of 1/2 cycle or 1 cycle of the second clock signal.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제1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1 RC 회로의 제1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1 클럭 신호를 제1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2 RC 회로의 제2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2 클럭 신호를 제2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3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3 RC 회로의 제3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3 클럭 신호를 제3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3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The method of claim 6,
An energy spectrum of the first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modulated using a first RC time constant of the first RC circuit, and transmitting the first clock signal modulated with the energy spectrum to a first load unit 1 filter unit;
A second filter unit for modulating the energy spectrum of the second clock signal using a second RC time constant of the second RC circui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lock signal modulated with the energy spectrum to a second load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lter unit for modulating the energy spectrum of the third clock signal using a third RC time constant of the third RC circuit, and transmitting the third clock signal modulated by the energy spectrum to a third load uni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들에 복수의 서브 화소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패널;
상기 외부로부터의 동기 신호들과 적어도 하나의 클럭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제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럭 신호 위상을 지연시키거나 위상이 다른 복수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장치.
An image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disposed at intersections of the gate and the data line to display an image;
The gate and data lines are controlled us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clock signal, and the first to delay the at least one clock signal phase or generate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It comprises the drive circuit part in any one of Claims 8 thru | or 8,
Video display device.
영상 표시패널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외부 또는 제1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1 RC 회로의 제1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1 클럭 신호를 제1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1 필터부;
외부 또는 제2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2 RC 회로의 제2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2 클럭 신호를 제2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2 필터부; 및
외부 또는 제3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제3 클럭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3 RC 회로의 제3 RC 시정수를 이용해 변조하고,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이 변조된 제3 클럭 신호를 제3 로드부로 전송하는 제3 필터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In th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gate and data lines of the video display panel,
The driving circuit part
The energy spectrum of the first clock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or first clock generator is modulated using a first RC time constant of the first RC circuit, and the first clock signal modulated with the energy spectrum is transmitted to a first load unit A first filter unit;
The energy spectrum of the second clock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or second clock generator is modulated using a second RC time constant of the second RC circuit, and the second clock signal modulated with the energy spectrum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oad unit A second filter unit; And
The energy spectrum of the third clock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or third clock generator is modulated using a third RC time constant of the third RC circuit, and the third clock signal modulated with the energy spectrum is transmitted to a third load unit. Including a third filter uni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C 회로는
제1 클럭 신호 전송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저항 소자와는 병렬로 상기 제1 클럭 신호 전송 라인과 저전위 전압 단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C 회로는
상기 제2 클럭 신호 전송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저항 소자와는 병렬로 상기 제2 클럭 신호 전송 라인과 저전위 전압 단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RC 회로는
상기 제3 클럭 신호 전송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저항 소자의 전단과 후단에 상기 제1 저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RC circuit
A first resistor element connected in series with a first clock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a first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lock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a low potential voltage stage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ance element,
The second RC circuit
First and second resistance elements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clock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first capacitor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clock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the low potential voltage stage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ance element, ,
The third RC circuit
A first resistor elemen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clock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or element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resistor element,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제 9 항에 있어서,
제1 RC 시정수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클럭 펄스별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3 주기 단위로 가변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 중 제2 주기에서 가장 낮게 감쇄되어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제2 RC 시정수는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클럭 펄스별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3 주기 단위로 가변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 중 제1 주기에서 가장 낮게 감쇄되어 출력되도록 설정되며,
제3 RC 시정수는 상기 제3 클럭 신호의 클럭 펄스별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3 주기 단위로 가변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 중 제3 주기에서 가장 낮게 감쇄되어 출력되도록 설정된,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RC time constant is set so that the energy for each clock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is variable in preset first to third period units, and is output at the lowest attenuation in the second period among the first to third periods. ,
The second RC time constant is set such that the energy of each clock pulse of the second clock signal is varied in preset first to third period units, and is output at the lowest attenuation in the first period among the first to third periods. ,
The third RC time constant is set so that the energy for each clock pulse of the third clock signal is variable in preset first to third period units, and is set to be output with the lowest attenuation in the third period among the first to third periods.
The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video display panel.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들에 복수의 서브 화소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패널;
상기 외부로부터의 동기 신호들과 복수의 클럭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클럭 신호별 에너지 스펙트럼을 변조시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 10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장치.
An image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disposed at intersections of the gate and the data line to display an image;
Controlling the gate and data line using the external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d 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energy spectru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y one of the 10th to 12th terms. Including the drive circuit portion described in,
Video display device.
KR1020180136084A 2018-11-07 2018-11-07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11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84A KR102511311B1 (en) 2018-11-07 2018-11-07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84A KR102511311B1 (en) 2018-11-07 2018-11-07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33A true KR20200052733A (en) 2020-05-15
KR102511311B1 KR102511311B1 (en) 2023-03-16

Family

ID=7067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84A KR102511311B1 (en) 2018-11-07 2018-11-07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2628A (en) * 2020-11-23 2021-06-22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data loading method thereof
WO2022025713A1 (en) *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220A (en) * 2006-08-30 2008-03-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lay locked loop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00077741A (en)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20100114165A (en) * 2009-04-15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ohd of modulating and demodulating a signal, sign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220A (en) * 2006-08-30 2008-03-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lay locked loop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00077741A (en)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20100114165A (en) * 2009-04-15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ohd of modulating and demodulating a signal, sign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13A1 (en) *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US11978389B2 (en) 2020-07-30 2024-05-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N113012628A (en) * 2020-11-23 2021-06-22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data load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311B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631B1 (en) Display device
US1018618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pulse-width-modulated brightness control
JP491800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249235B2 (en) Timing controller,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JP5376792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62925B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30875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218245B2 (en) Overdrive circuit for display device
US2011029208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10068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447642B1 (en) Display device performing clock modul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CN100373441C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70126568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398178B2 (en) Pixel driving circuit,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JP2006350342A (en)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102511311B1 (en) Driving circuit unit for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38546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063642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10035507A1 (en) Display device performing local dimming
KR20130026903A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205373B2 (en) Display apparatus to mitigate dimming phenomen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5570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90012053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0951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KR2009005358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