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31A -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31A
KR20200052731A KR1020180136082A KR20180136082A KR20200052731A KR 20200052731 A KR20200052731 A KR 20200052731A KR 1020180136082 A KR1020180136082 A KR 1020180136082A KR 20180136082 A KR20180136082 A KR 20180136082A KR 20200052731 A KR20200052731 A KR 2020005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signal
unit
analog signal
duplex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362B1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3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362B1/ko
Priority to PCT/KR2019/015049 priority patent/WO2020096367A1/ko
Publication of KR2020005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전기 등과 같이 반이중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장치들을 중계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중계 장치는 통신이 필요한 영역 내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로서, 기지국과 단말기(이동국) 간의 통신 혹은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해 준다. 근래 이동 통신의 발달로 이동 통신 서비스 영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많은 중계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그 기술 또한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한편, 전통적인 무선 통신 수단인 무전기도 여전히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의 확보와 더불어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강화 등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반이중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나 방송 서비스에 대한 중계 장치의 개발과 사용은 이동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다.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97406호(단일 주파수 단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736244호(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 종래기술은 제1 이동국에서 제2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와 제2 이동국에서 제1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를 별개로 구비하고, 제1 및 제2 이동국의 후크(hook) 신호를 동기 신호로 이용하여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를 온/오프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는 아날로그 방식의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가 지원하는 대역 전체를 통과(필터링)시킨 후 신호 증폭, 전력 증폭 등을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가 지원하는 대역(예컨대, 420MHz ~ 460MHz의 40MHz 대역) 전체를 통과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지 않는 채널의 주파수도 함께 통과시키게 되며, 따라서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아날로그 방식의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필터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만약 정밀도를 높일 경우에는 회로의 복잡도가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필터 성능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740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624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이중 무선 통신용 주파수 중 실제 사용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증폭시키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중계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송신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안테나 전환부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신호를 수신하는 임의의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상기 AD 변환부 및 상기 채널 선택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중계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고 신호탐지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 탐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상기 채널 선택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상기 DA 변환부로 전송하는 신호 지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은, 복수개의 안테나 중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나머지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과정; 및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이중 무선 통신용 주파수 중 실제 사용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증폭시키기 때문에, 대역폭 감소로 인해 신호 대 잡음비(SNR)를 향상시키고 그 결과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기 때문에, 중계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필터링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계할 신호의 동적영역을 확장시켜 송신 회로부의 성능은 물론 무전기의 수신 성능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중계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기 때문에, 디지털 방식의 다중 협대역 필터 등을 사용하여 신호 대 잡음비(SNR)를 높여 오탐지확률을 줄이고 탐지확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송신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올바른 송/수신 경로가 설정될 때까지 송신을 지연시켜 중계할 신호의 소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선택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SNR의 변화에 따른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탐지하는 방식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8은 협대역 필터 수 변화에 따른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인 무전기의 채널 당 대역폭은 5kHz, 6.5KHz, 12.5kHz 정도이며, 이러한 채널들은 10MHz ~ 70MHz(또는 그 이상)의 대역폭에 상기 채널 당 대역폭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국내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안전기준에 따르면, 반이중 무선 통신용으로 440MHz ~ 45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10MHz의 주파수 대역폭에 대해 채널 당 대역폭 12.5kHz가 할당되어, 총 800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이중 무선 통신용 채널은 업무와 용도에 따라 채널(주파수)별로 사용 주체(예, 관공서, 기업체, 병원)가 대체적으로 정해지게 되며, 관공서, 기업체, 병원 등의 현장에서는 사용승인된 채널(주파수)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주파수)을 선택하여 반이중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각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무전기는 주로 5 ~ 30개 정도의 한정된 채널(주파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며, 그 결과 이들 무전기를 중계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도 원칙적으로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몇 개의 채널(주파수)만 중계할 수 있도록 구현되면 된다.
하지만, 사용 채널이 지정되어 있는 특정 현장이 아닌 다양한 현장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가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즉, 사용 채널이 다른 무전기)의 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반이중 무선 통신용 주파수 대역 전체 혹은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가 지원하는 대역 전체(예컨대, 420MHz ~ 460MHz의 40MHz 대역)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리고, 비록 중계할 채널(주파수)을 포함하는 일부 주파수 대역(예컨대, 440MHz ~ 450MHz의 10MHz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더라도 여기에는 중계할 채널(주파수)들 사이에 및/또는 인접하여 사용하지 않는 채널(주파수)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없었으며 또한 아날로그 대역통과필터의 한계로 인하여 높은 정밀도를 구현하기도 어려웠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는 안테나 전환부(110), 수신 회로부(120), AD 변환부(130), 신호 탐지부(140), 제어부(150), 채널 선택부(160), DA 변환부(180), 송신 회로부(190) 등을 포함한다.
안테나 전환부(110)는 복수개의 안테나(101, 102)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 회로부(120)로 전달하고, 필터링, 증폭 등의 과정을 거쳐 송신 회로부(1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나머지 안테나로 전달한다. 예컨대, 도 1의 경우, 안테나 전환부(110)는 스위치(switch) 등으로 구성되어, 제1 안테나(101)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 회로부(120)로 전달하고 송신 회로부(1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2 안테나(102)로 전달하며, 제2 안테나(10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 회로부(120)로 전달하고 송신 회로부(1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1 안테나(101)로 전달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2개의 안테나(101, 102)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3개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형태도 물론 가능하다.
수신 회로부(120)는 안테나 전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해 AD(Analog to Digital) 변환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AD 변환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한다. 예컨대, 수신 회로부(120)는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가변이득증폭기(VGA; Variable Gain Amplifier) 등으로 구성되어, 안테나 전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가 지원하는 대역 전체(예컨대, 420MHz ~ 460MHz의 40MHz 대역)만을 또는 그 일부 대역(예컨대, 440MHz ~ 450MHz의 10MHz 대역)만을 통과(필터링)시켜 AD 변환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AD 변환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또한, 수신 회로부(120)는 필요에 따라서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또는 기저대역(baseband)으로 천이한 후 AD 변환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한다.
AD 변환부(130)는 수신 회로부(1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AD 변환부(130)는 표본화기(sampler), 양자화기(quantizer) 등으로 구성되어, 수신 회로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위상과 진폭을 그대로 유지한 채 표본화(sampling)하고 양자화(quantization)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탐지부(140)는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중계할 신호(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예컨대, 신호 탐지부(140)는 크기 산출기(magnitude calculator), 비교기(comparator) 등으로 구성되어,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신호탐지결과(예컨대, 무전기 신호가 탐지된 경우 H(1),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L(0))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신호 탐지부(140)에서 전송된 신호탐지결과에 기초하여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만약 무전기 신호가 있는 경우 현재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그 외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안테나 전환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복수개의 안테나(101, 102)가 순차적으로 수신 회로부(120)와 연결되도록 안테나 전환부(110)를 제어하고 있다가, 신호 탐지부(140)의 신호탐지결과로부터 무전기 신호 탐지가 확인되면 안테나 전환부(110)의 현재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현재 수신 회로부(120)와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계속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나머지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모든 안테나(101, 102)가 수신 회로부(120)와 연결되도록 안테나 전환부(110)를 제어하고 있다가, 신호 탐지부(140)의 신호탐지결과로부터 무전기 신호 탐지가 확인되면 복수개의 안테나(101, 102)가 순차적으로 수신 회로부(120)와 연결되도록 안테나 전환부(110)를 제어하여 현재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를 검출하고, 임의의 안테나의 수신이 검출되면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현재 수신 회로부(120)와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계속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나머지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채널 선택부(160)는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택부(160)의 구체적 기능 및 특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DA 변환부(180)는 채널 선택부(16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DA 변환부(180)는 저항기(resistor),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등으로 구성되어, 채널 선택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회로부(190)는 DA 변환부(18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한 후 전력을 증폭하여 안테나 전환부(190)로 전달한다. 예컨대, 송신 회로부(190)는 대역통과필터,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등으로 구성되어, DA 변환부(18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한 후 안테나가 송신할 수 있는 전력으로 증폭한 다음 안테나 전환부(190)로 전달한다. 또한, 송신 회로부(190)는, 만약 수신 회로부(120)에서 주파수를 천이하였거나 DA 변환기(180)의 출력 주파수가 송신할 주파수와 다르면, 실제 송신할 주파수로 주파수를 천이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택부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선택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선택부(160)는 디지털 필터(162), 스케일러(164) 등을 포함한다.
디지털 필터(162)는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채널 주파수(예컨대,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채널 주파수)만을 선택하여 필터링한다. 그리고, 스케일러(164)는 디지털 필터(162)에서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한다.
이를 상술하면, 수신 회로부(120)로부터 채널 주파수가 다른 r1(t), r2(t) 두 개의 신호가 동위상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할 경우, AD 변환부(130)에서 T의 시간주기로 표본화(sampling)되고 AD 변환된 신호의 최대 크기 |x0(mT)|max는, AD 변환기가 선형 특성을 가지므로, 하기 수식 1과 같이 r1(t)의 AD 변환기 출력성분 |r1(mT)|max와 r2(t)의 AD 변환기 출력성분 |r2(mT)|max의 합이 된다.
[수식 1]
|x0(mT)|max = |r1(mT)|max + |r2(mT)|max
그 중 채널 선택부(160)가 r1(t) 성분만 중계하고자 할 경우, 디지털 필터(162)는 r1(mT) 성분을 주로 통과시키고 r2(mT) 성분은 억제한다. 디지털 필터(162)는 통과대역 신호의 증폭도와 통과대역 외의 신호에 대한 억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r2(mT)를 억제하여 그 최대 크기가 Δ(Δ << |r2(mT)|max)가 되도록 하면, 디지털 필터(162)의 출력 x1(mT)는 하기 수식 2와 같이 된다.
[수식 2]
|x1(mT)|max = |r1(mT)|max + Δ < |x0(mT)|max
그 결과, 디지털 필터(162)의 출력신호의 최대 크기는 그 입력신호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r1(t)의 최대 진폭이 0.5Vp(Vp는 첨두치)이고 r2(t)의 최대 진폭이 0.5Vp이며, 16bit AD 변환기의 최대입력 범위가 -1.0V ~ 1.0V이고 변환계수(즉, 1.0V의 입력을 AD 변환할 때 변환 결과 수치)가 215-1이며, 16bit DA 변환기의 입력범위가 -215 ~ 215-1이고 그에 따른 출력범위가 -1.0V ~ 1.0V이며 r2(mT)에 대한 억압도가 40dB(0.01배)인 경우, 디지털 필터(162)의 입력과 출력의 최대값은 각각 하기 수식 3 및 4와 같이 된다. 참고로, 하기 수식 3 및 4에서
Figure pat00001
는 k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의미한다.
[수식 3]
Figure pat00002
[수식 4]
Figure pat00003
그리고, 스케일러(164)는 디지털 필터(162)의 출력을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한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범위가 -215 ~ 215-1인 16bit DA 변환기의 경우, 스케일러(164)는 |x1(mT)|max (=16547)를 |x0(mT)|max (=215-1) 레벨로 1.9802배 업스케일링하여, DA 변환부(180)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동적영역을 확대시킨다.
그러므로, 채널 선택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DA 변환기의 동적영역 한계 때문에 r1(t) 성분을 0.5Vp 밖에 출력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채널 선택부(160)를 사용함으로써 중계할 신호의 출력을 1.9802배 업스케일링 하여 r1(t) 성분을 0.9901V (
Figure pat00004
)까지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영역이 확대되는 이점은 DA 변환부(180)의 출력을 처리하는 송신 회로부(190)로부터 무전기의 수신부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쳐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택부(160)를 거친 신호는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도 향상되어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열잡음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SNR)는 중계할 신호의 전력을 PS라고 하고 열잡음 전력을 PN이라고 할 때 하기 수식 5와 같다.
[수식 5]
SNR = PS/PN
열잡음 성분의 전력은 대역폭에 비례하므로, 열잡음 전력밀도를 N0, 수신 회로부(120)의 대역폭을 BR, 그리고 수신 회로부(120)의 출력 잡음밀도를 PNR라고 하면, PNR은 하기 수식 6과 같다.
[수식 6]
PNR = BR×N0
채널 선택부(160)가 채널 선택을 하여 수신 회로부(120)보다 좁은 대역폭 BS (BS < BR)내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면, 채널 선택된 신호의 잡음전력 PNS은 하기 수식 7과 같다.
[수식 7]
PNS = BS×N0 < PNR
따라서, 채널 선택 전 신호 대 잡음비를 SNRR, 채널 선택 후 신호 대 잡음비를 SNRS이라고 하면, SNRR과 SNRS의 관계는 하기 수식 8과 같다.
[수식 8]
SNRR = PS/PNR < SNRS = PS/PNS
결국, 신호 대 잡음비는 채널 선택 전후의 대역폭에 반비례하여 BR/BS 만큼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대 잡음비의 향상은 신호의 품질만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호 탐지부의 탐지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200)는 안테나 전환부(210), 수신 회로부(220), AD 변환부(230), 신호 탐지부(240), 제어부(250), 채널 선택부(260), DA 변환부(280), 송신 회로부(29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와 비교하여 신호 탐지부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신호 탐지부(240)는 채널 선택부(26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중계할 신호(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선택부(260)는 AD 변환부(2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실제 중계할 채널 주파수만을 선택하여 필터링하고 이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한다. 이에 따라, 채널 선택부(260)를 통과한 무전기 신호는 통과 전 보다 동적영역이 확대되고 신호 대 잡음비가 향상되어 신호 품질이 좋아진다.
그러므로, 신호 탐지부(240)가 채널 선택부(26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중계할 신호(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AD 변환부(2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탐지하는 경우보다 탐지 성능이 향상된다.
이를 상술하면, 신호 탐지부(240)의 입력신호를 x(mT)로 나타내면, x(mT)는 하기 수식 9와 같이 반송파(혹은 수신 회로부에서 주파수 천이를 한 경우는 중간 주파수) ωC로 복조된 신호성분 s(mT)와 잡음성분 n(mT)의 합이 된다.
[수식 9]
Figure pat00005
x(mT)는 반송파 혹은 중간 주파수로 변조된 실수이므로, 하기 수식 10과 같이, 복소복조(Complex Demodulation)하여 기저대역에서 실수부 zr(mT)와 허수부 zi (mT)로 구성된 복소수로 zc(mT)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10]
zc(mT) = zr(mT) + jzi (mT) = sr(mT) + nr(mT) + j{si(mT) + ni(mT)}
여기서, sr(mT), si(mT), nr(mT), ni(mT)는 각각 복소수 zc(mT) 중 신호성분의 실수부, 신호성분의 허수부, 잡음성분의 실수부, 잡음성분의 허수부를 나타낸다.
한편, 신호전력 PS와 잡음전력 PN은 각각 하기 수식 11 및 12와 같이 표현된다.
[수식 11]
PS = sr 2(mT) + si 2(mT)
[수식 12]
PN = E{nr 2(mT) + ni 2(mT)}
여기서, E{ }는 기대값(expectation)을 의미한다. 상기 열잡음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호 독립이며 PN을 분산으로 하고 평균이 0인 복소가우시안(Complex Gaussian) 분포를 가지는 확률변수(random variable)이다.
신호 탐지부(2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탐지부(24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탐지부(240)의 일 실시예로, 크기 산출기(244'), 비교기(246') 등으로 구성되어 입력신호 샘플의 크기를 임계치와 비교하고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신호를 탐지하였다고 판정하는 신호 탐지부(24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크기 산출기(244')는 신호 탐지부(240')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는데, 입력신호의 크기 Λ는 하기 수식 1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13]
Figure pat00006
여기서, 열잡음 전력 PN은 실측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채널 선택부(260)의 대역폭, 수신 회로부(220)의 NF(Noise Figure), 수신 회로부(220)의 입력으로부터 AD 변환부(230)까지의 증폭도와 AD 변환부(230)의 변환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비교기(246')는 크기 산출기(244')에서 산출된 입력신호의 크기 Λ를 기 설정된 오탐지확율(Probability of False Alarm) PFA와 탐지확율(Probability of Detection) PD에 따라 결정되는 임계치 (threshold) η와 비교하여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H1을 신호가 있음으로 판정하는 가설이고 H0을 신호가 없다고 판정하는 가설이며 임계치(Threshold)를 η라고 할 때, 가설시험 (Hypothesis Test)은 하기 수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14]
Figure pat00007
여기서, 시험통계(test statistics) Λ는 라이스분포 (Rician Distribution)를 가지는 확률변수이다. 그리고, Λ의 누적분포함수 CDF(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는 하기 수식 15와 같다.
[수식 15]
CDFΛ = 1-Q1(ν,Λ)
여기서, ν = (PS/PN)1/2 = SNR1/2 이고, Q1(ν,Λ)는 Marcum-Q 함수이다.
그리고, 오탐지확률(Probability of False Alarm) PFA 은 ν = 0 일 때 Λ의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즉 1-CDFΛ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탐지확률(Probability of Detection) PD 은 ν = SNR1/2 일 때 Λ의 CCDF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사용된 신호 탐지부(240')에 대해, 예컨대 대역폭이 40MHz, SNR이 0dB인 수신 회로부(220)의 출력이 채널 선택부(260)로 입력될 때, 채널 선택부(260) 출력의 전체 대역폭이 각각 20MHz, 10MHz, 5MHz, 2.5MHz인 경우 채널 선택부(260) 출력의 SNR은 각각 3dB, 6dB, 9dB, 12dB로 향상되는데, 이를 예로 들어 구한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은 도 5와 같다.
그러므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널 선택부(260)가 대역폭을 줄여 감에 따라 SNR이 향상됨으로써 신호 탐지부(240')의 오탐지확률은 줄어들고 탐지확률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탐지부(240)의 다른 실시예로,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한 신호 탐지부(24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신호 탐지부(240")가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탐지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신호 탐지부(240")는 복수개(N개)의 협대역 필터(242"-1 ~ 242"-N), 복수개의 크기 산출기(244"-1 ~ 244"-N), 복수개의 비교기(246"-1 ~ 246"-N), 판정기(248") 등을 포함한다.
수신 회로부(220)의 대역폭 BR이 예컨대 40MHz이고(도 7a 참조), 중계할 채널들이 예컨대 10MHz (BS = BS1 + BS2)의 대역폭에 분산되어 있어 채널 선택부(260)가 10MHz (3MHz + 7MHz)의 중계 대역폭을 선택할 경우(도 7b 참조), 신호 탐지부(240")는 이를 다시 N개의 협대역 필터(242"-1 ~ 242"-N)로 분할하여 필터링한다(도 7c 참조). 협대역 필터(242"-1 ~ 242"-N)는 통과 대역폭이 입력신호의 대역폭에 비해 좁은 필터로서, 그 대역폭이 무전기의 채널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협대역 필터(242"-1 ~ 242"-N)를 거친 N개의 출력은 각각 크기 산출기(244"-1 ~ 244"-N)로 입력되어 그 크기가 산출되며, 각각의 크기 산출기(244"-1 ~ 244"-N)의 출력은 각각 비교기(246"-1 ~ 246"-N)로 입력되어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된다. 그리고, 각각의 비교기(246"-1 ~ 246"-N)의 결과(탐지결과)는 판정기(248")로 입력되고, 판정기(248")는 N개의 비교기(246"-1 ~ 246"-N)의 탐지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신호가 있다고 판정되면 신호가 탐지된 것으로 판정한다(도 7d 참조).
중계 대역폭 이내 하나의 채널에 신호가 입력되고 그 신호전력이 수신 회로부(220) 출력에서 열잡음 대비 0dB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갖는다고 할 때, 수신 회로부(220) 대역폭(예, BR = 40MHz)의 1/4 대역폭(예, BS = 10MHz)을 갖는 채널 선택부(260)를 거침으로써 SNR이 4배(6dB) 증가함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신호 탐지부(240")에서는 채널 선택부(260)에서 선택된 채널 대역폭이 다시 각 협대역 필터(242"-1 ~ 242"-N)에서 1/N로 줄어들기 때문에 각 협대역 필터(242"-1 ~ 242"-N) 출력신호의 SNR은 N배 더 증가하여 ν = [1/{10/(40×N)}]1/2 = 2×N1/2 이 된다.
무전기 신호가 수신되면 하나의 협대역 필터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수식 15에 ν = 2×N1/2 를 대입하고 CCDFΛ 즉, 1-CDFΛ로부터 신호의 탐지확률 PD을 구하면 하기 수식 16과 같다.
[수식 16]
PD = 1- CDFΛ = 1-Q1(2×N1/2,Λ)
한편, 신호가 없을 때 N개의 협대역 필터 모두에서 신호가 없다고 판정하는 경우가 아니면 오탐지가 되며, N개의 각 협대역 필터는 서로 다른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므로 상호 독립이고 신호가 없어서 ν가 0 이므로, 상기 수식 15에 ν = 0을 대입하고 그 값을 N번 곱하여 신호가 없을 때 N개의 협대역 필터 모두에서 신호가 없다고 판정할 확률을 구한 후, 전체확률 1에서 그 값을 감하여 신호가 없을 때 신호가 있다고 판정하는 오탐지확률 PFA를 구하면 하기 수식 17과 같다.
[수식 17]
PFA = 1- CDFΛ N = 1- {1- Q1(0,Λ)}N
이에 따라, N이 1, 2, 4, 8, 16 일 때 탐지확률 PD와 오탐지확률 PFA를 ROC 곡선으로 나타내면 도 8과 같다. 도 8에서, N = 1 인 경우는 채널 선택부(260)가 10MHz만 통과시킨 상태에서 신호 탐지부(240')에 협대역 필터가 없는 상태와 같으므로 앞서 도 5에서 나타낸 SNR에 대한 ROC 곡선 중 SNR = 6dB일 경우와 동일하다 (참고로, 도 8에서는 도 5보다 수평축(PFA)의 범위를 확대하였음). 그리고, N = 2, 4, 8, 16 과 같이 신호 탐지부(240")에 사용된 협대역 필터의 수가 늘어날수록 각 필터의 대역폭이 좁아짐에 따라 탐지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감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한 신호 탐지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신호 탐지부(140)는 AD 변환부(130)의 출력신호에 대해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탐지한다. 이 경우, 신호 탐지부(140)는 AD 변환부(130)의 출력신호 대역폭(예, BR = 40MHz) 전체에 대해 복수개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실제 중계할 채널의 대역폭(예, BS = 10MHz)에 대해서만 복수개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 탐지부(140)는 복수개의 협대역 필터 중 임의의 협대역 필터를 통과한 채널에서 신호가 탐지되면, 해당 협대역 필터를 통과한 채널 또는 그 채널을 포함한 일부 대역만 통과시키도록 채널 선택부(160)의 제어하도록, 예컨대 채널 선택부(160)의 선택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는 안테나 전환부(310), 수신 회로부(320), AD 변환부(330), 신호 탐지부(340), 제어부(350), 채널 선택부(360), 신호 지연부(370), DA 변환부(380), 송신 회로부(39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와 비교하여 채널 선택부와 DA 변환부 사이에 신호 지연부가 구비된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신호 지연부(370)는 채널 선택부(360)와 DA 변환부(380) 사이에 구비되어 채널 선택부(36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 시킨 후 DA 변환부(380)로 전송한다. 예컨대, 신호 지연부(370)는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채널 선택부(36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디지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임시 저장하였다가 DA 변환부(38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신호 지연부(370)에서의 지연시간은 신호 탐지부(340)로 AD 변환부(330)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후 무전기 신호 탐지에 의해 제어부(350)가 안테나 전환부(310)의 상태를 제어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에서 채널 선택부(360)의 처리 시간을 뺀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만약 채널 처리부(360)의 처리 시간이 충분히 길 경우에는 신호 지연부(370)는 생략되어 제1 실시예와 같이 구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400)는 안테나 전환부(410), 수신 회로부(420), AD 변환부(430), 신호 탐지부(440), 제어부(450), 채널 선택부(460), 신호 지연부(470), DA 변환부(480), 송신 회로부(49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4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200)와 비교하여 채널 선택부와 DA 변환부 사이에 신호 지연부가 구비된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4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2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신호 지연부(470)는 채널 선택부(460)와 DA 변환부(480) 사이에 구비되어 채널 선택부(46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 시킨 후 DA 변환부(480)로 전송한다. 예컨대, 신호 지연부(470)는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채널 선택부(46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디지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임시 저장하였다가 DA 변환부(48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신호 지연부(470)에서의 지연시간은 신호 탐지부(440)로 채널 선택부(460)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후 무전기 신호 탐지에 의해 제어부(450)가 안테나 전환부(410)의 상태를 제어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신호 지연부를 구비하는 제3 및 제4 실시예의 경우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올바른 송/수신 경로가 설정될 때까지 송신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에서 소실되는 파형 및/또는 정보 없이 중계할 수 있으며, 특히 블록단위로 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방식의 무전기에 유용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전환부에 복수개의 안테나가 연결되고 제어부가 안테나 전환부의 연결상태를 제어한 후 수신 회로부, AD 변환부, 채널 선택부, DA 변환부, 송신 회로부 등을 통해 무전기 신호를 중계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 중계하는 경로와 제2 안테나에서 제1 안테나로 중계하는 경로를 별개로 형성하고 각각 수신 회로부, AD 변환부, 채널 선택부, DA 변환부, 송신 회로부를 구비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2.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로서,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안테나 전환부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신호를 수신하는 임의의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부 및 상기 채널 선택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중계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고 신호탐지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 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탐지부는 상기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 대역 또는 이를 포함하는 대역을 복수개의 협대역으로 분할한 후 중계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협대역 중 임의의 협대역에서 중계할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신호가 탐지되는 협대역을 선택하도록 상기 채널 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의 대역폭은 하나의 채널 주파수 대역폭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상기 DA 변환부로 전송하는 신호 지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모두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탐지되면 상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10.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으로서,
    제1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
  11.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중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나머지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과정; 및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
KR1020180136082A 2018-11-07 2018-11-07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175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82A KR102175362B1 (ko) 2018-11-07 2018-11-07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PCT/KR2019/015049 WO2020096367A1 (ko) 2018-11-07 2019-11-07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82A KR102175362B1 (ko) 2018-11-07 2018-11-07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31A true KR20200052731A (ko) 2020-05-15
KR102175362B1 KR102175362B1 (ko) 2020-11-06

Family

ID=7061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82A KR102175362B1 (ko) 2018-11-07 2018-11-07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5362B1 (ko)
WO (1) WO20200963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6415A1 (en) * 2004-09-01 2009-05-07 Tsuyoshi Kashima Relay, and relaying method
KR20090132481A (ko) * 2008-06-19 200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와 이를 구비한 중계국
KR101097406B1 (ko) 2010-07-21 2011-12-23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단일 주파수 단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736244B1 (ko) 2015-10-16 2017-05-16 주식회사 엑시노스 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7534A1 (fr) * 2009-12-02 2011-06-09 France Telecom Procede de transmission d'un signal numerique pour un systeme marc semi-orthogonal avec relais half-duplex, produit programme et dispositif relais correspondants
US9515696B2 (en) * 2012-03-16 2016-1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half-duplex FDD operation in LTE FDD network
CN105493416A (zh) * 2013-08-29 2016-04-13 库姆网络公司 全双工中继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6415A1 (en) * 2004-09-01 2009-05-07 Tsuyoshi Kashima Relay, and relaying method
KR20090132481A (ko) * 2008-06-19 200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와 이를 구비한 중계국
KR101097406B1 (ko) 2010-07-21 2011-12-23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단일 주파수 단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736244B1 (ko) 2015-10-16 2017-05-16 주식회사 엑시노스 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367A1 (ko) 2020-05-14
KR102175362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6225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s
CN112312436B (zh) 一种提升LoRa私有协议网关接收灵敏度的方法及装置
JP2005537727A (ja) 差動超広帯域信号を受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972174B2 (en) Digital repeater system
KR101097406B1 (ko) 단일 주파수 단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736244B1 (ko) 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CN114285433B (zh) 一种无线通信组件、方法及终端设备
CN103067036B (zh) 一种非连续频谱的射频接收装置及其方法
KR100259868B1 (ko)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CN106788813B (zh) 一种干扰信号检测、消除装置、方法以及移动终端
KR102175362B1 (ko)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JPH09275356A (ja) 複数モード移動無線装置
KR102175374B1 (ko)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US20140274193A1 (en) Out-of-band noise and overload protection
KR102175387B1 (ko)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WO2000057592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blocage de communication
US10461839B2 (en) Digital repeater system
US20190068154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s
KR102175384B1 (ko) 광역 서비스를 위한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175386B1 (ko) 광역 서비스를 위한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US20210160773A1 (en) Sleep-mode for ethernet controller
KR101514986B1 (ko) 에너지 분산 소비형 하이브리드 무선통신 중계기
KR100548180B1 (ko) 휴대 인터넷 무선중계기의 순방향 및 역방향 절체제어신호 추출장치
CN114499558A (zh) 同频干扰抵消装置
KR200212451Y1 (ko) 이동통신용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