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565A -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565A
KR20200052565A KR1020180135628A KR20180135628A KR20200052565A KR 20200052565 A KR20200052565 A KR 20200052565A KR 1020180135628 A KR1020180135628 A KR 1020180135628A KR 20180135628 A KR20180135628 A KR 20180135628A KR 20200052565 A KR20200052565 A KR 2020005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inting booth
booth
temperature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준
Original Assignee
곽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준 filed Critical 곽상준
Priority to KR102018013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565A/ko
Publication of KR2020005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급기부; 급기부의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급기부가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여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조절부; 및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를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구동함으로써,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도록 공기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APPARATUS OF AIR CONDITIONING FOR PAINTING BOOTH}
본 발명은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절부를 도장 부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에 연결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도장 부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 공정은 피도체가 완성된 후, 피도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외관의 심미성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수행된다.
한편, 도장 공정 라인 중 중상도 공정에서는 피도체의 원활한 도장 작업을 위하여 급기 및 배기 장치를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피도체에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여 건조 효율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 예로써,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82317호(도장 건조장치)에서는 자동차 등의 도장 부분을 건조하기 위하여 상부에 승강 가이드가 수직으로 입설된 수평 프레임과, 승강 가이드를 따라 승강되고 건조등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 수평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어 승강대에 일 측단이 고정되고 승강 가이드의 상단부에 설치된 권회 롤러에 권회된 승강로프를 감거나 풀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장 건조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의 경우, 전체가 아닌 어느 일 측면에 대하여 부분 집중적으로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인 것에 불과하고, 또한, 외부 온도 및 습도 조건에 관계 없이 일정한 온도 및 습도 조건의 공기를 도장된 부분마다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어 작업 효율이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부에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절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피도체의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는,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급기부; 급기부의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급기부가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여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조절부; 및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를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구동함으로써,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도록 공기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어부는,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높을 경우, 공기 조절부가 난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로 난방 기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어부는, 도장 부스 내부 온도가, 상기 외부 온도보다 낮을 경우, 공기 조절부가 냉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로 냉방 기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는, 도장 부스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댐퍼는, 접이식 및 회전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동하는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외부 온도에 따라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급기부의 공기 토출구에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도장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절부를 도장 부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에 연결하여, 외부 온도와 도장 부스 내부의 온도 측정 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도장 부스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댐퍼에 구비된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의 공기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공정 수행 후, 더욱 우수한 품질을 갖는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급기부의 공기 토출구에 여과 필터가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도장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의 안정성을 확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의 평입면도의 일 예.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조절부가 냉방 및 난방 모드로 구동하는 흐름도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온도에 따라 공기 조절부의 구동 모드가 제어되는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절부를 도장 부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에 연결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도장 부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피도체의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참고도를 도시하였다.
도 1의 1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는, 바람직하게 급기부(100), 공기 조절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급기부(100)는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급기부(100)의 공기 토출구에는 여과 필터(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여과 필터(150)는,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2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급기부(100)에 있어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도장 부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여과 필터(150)는, 활성탄소섬유 부직포와 이온 교환 섬유 부직포를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Tetrahydrofuran)에 침지시켜 제조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중 여과 구조로 필터로 구성되어, 황사, 미세먼지 및 제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공기 조절부(110)는, 상술한 급기부(100)의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급기부(100)에서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기 설정된 조건은, 도장 부스(200)에서 피도체를 도장, 열처리 및 냉각하는 공정에 이용되는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조건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연결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값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공기 조절부(110)는, 제어부(120)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데, 상술한 제어부(120)는 도장 부스(200)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110)를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구동함으로써, 도장 부스(20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도록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어부(120)는, 도장 부스(200)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높을 경우, 공기 조절부(110)가 난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급기부(10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기류를 난방 기류로 전환하여 도장 부스(200) 내부로 난방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술한 제어부(120)는, 상술한 도장 부스(200)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낮을 경우, 공기 조절부(110)가 냉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급기부(10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기류를 냉방 기류로 전환하여 도장 부스(200) 내부로 냉방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절부(110)를 도장 부스(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100)에 연결하여, 외부 온도와 도장 부스(200) 내부의 온도 측정 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도장 부스(200)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장 부스(200)의 일측에 배기부(130) 및 댐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배기부(130)는, 공기 순환용 팬(fan)등이 구비되어 도장 부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상술한 배기부(130)가 구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도장 부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반복적으로 배출해냄으로써, 도장 부스(200) 내부에서 공기가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피도체의 건조 효율을 극대화하며,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 환경의 개선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댐퍼는 도장 부스(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량 조절용 모터가 부착된 것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댐퍼는 접이식 및 회전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동하는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도장 부스(200) 내부를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도록 셋팅하기 위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상술한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도장 부스(2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장 부스(2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제어 외에도, 공기량까지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정 수행 후, 더욱 우수한 품질을 갖는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절부(110)를 도장 부스(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100)에 연결하여, 외부 온도와 도장 부스(200) 내부의 온도 측정 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도장 부스(200)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댐퍼에 구비된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장 부스(200) 내부의 공기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공정 수행 후, 더욱 우수한 품질을 갖는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급기부(100)의 공기 토출구에 여과 필터(150)가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도장 부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의 안정성을 확립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부스(200)에 설치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의 평입면도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는,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급기부(110), 급기부(110)의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급기부(110)가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여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조절부, 도장 부스(200)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공기 조절부를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구동함으로써 도장 부스(200)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도록 공기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술한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의 구동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조절부가 냉방 및 난방 모드로 구동하는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도장 부스(200) 내부로 냉방 기류가 공급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부(110)와 연결된 공기 조절부가 제어부의 구동 명령에 의하여 도장 부스(200) 내부로 냉방 기류를 공급하는 실시 예인 것으로서, 이때, 상술한 제어부의 구동 명령은 외부 온도와 도장 부스(200) 내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도장 부스(200) 내부의 온도가 더 높아 도장 부스(200) 내부로 냉방 기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때,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면, 공기는 외부에서 급기부(110)를 통해 도장 부스(200)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 조절부에 의하여 냉방 기류로 전환되고, 이렇게 전환된 냉방 기류는 도장 부스(200)에서 피도체의 건조를 수행하며, 공기 순환용 팬 등이 구비된 배기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냉방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외부 공기가 공기 조절부에서 냉방 기류로 전환되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냉방 기류를 외부로 반복적으로 배출해내어 냉방 기류의 원활한 순환을 도우면서, 피도체의 건조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도장 부스(200) 등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이 수행되는 피도체의 도장 작업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서는 도장 부스(200) 내부로 난방 기류가 공급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부(110)와 연결된 공기 조절부가 제어부의 구동 명령에 의하여 도장 부스(200) 내부로 난방 기류를 공급하는 실시 예인 것으로서, 이때, 상술한 제어부의 구동 명령은 외부 온도와 도장 부스(200) 내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도장 부스(200) 내부의 온도가 더 낮아 도장 부스(200) 내부로 난방 기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때, 도장 부스(200) 내부에서 난방 기류의 흐름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기는 외부에서 급기부(110)를 통해 도장 부스(200) 내부로 유입되고, 이때, 공기 조절부에 의하여 난방 기류로 전환되며, 이렇게 전환된 난방 기류는 도장 부스(200)에서 피도체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난방 기류의 공기 흐름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냉방 기류의 실시 예에서 보았던 공기의 흐름과는 달리, 도장 부스(200) 내부로 공급되어 피도체의 건조를 수행한 난방 기류가 급기부(110)로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번 열처리된 난방 기류를 순환을 통하여 재이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한번 열 처리된 난방 기류를 순환을 통하여 재 이용하게 됨으로써, 공기 조절부를 통해 소정의 온도만 재 상승 시키면 되기 때문에 열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지속적으로 공기의 기류가 지속적으로 순환됨으로써, 피도체에 대한 건조 효율 역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온도에 따라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 모드가 제어되는 일 예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내부 설정 온도가 25℃로 동일하고, 외부 온도가 상술한 내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를 2000에, 외부온도가 상술한 내부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를 2100에 도시하여, 제어부가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2000을 살펴보면, 2000은 내부 설정 온도가 25℃일 때, 외부 온도가 35℃로 외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더 높은 경우인 것으로서, 이때, 제어부는 급기부(100)에서 공기 조절부(110)를 통해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하여 상술한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 모드를 냉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로 냉방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2100에서는 내부 설정 온도가 25℃일 때, 외부 온도가 0℃로서, 외부 온도가 더 낮은 경우인 것으로서, 이때, 제어부는 급기부(100)에서 공기 조절부(110)를 통해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하여 상술한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 모드를 난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로 난방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2000 및 2100의 실시 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가 도장 부스 내부에 설정된 온도와 도장 부스 외부에서 측정된 온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기 조절부(1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도장 부스 내부를 단 시간에 설정된 조건에 도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개폐 도어가 구비된 댐퍼(140)로부터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도장 부스 내부의 공기량 또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장,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의 수행 시, 공정 상 품질을 더욱 향상하면서 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외부 공기를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급기부;
    상기 급기부의 공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급기부가 상기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여 상기 도장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조절부; 및
    상기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기 조절부를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구동함으로써, 상기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도록 상기 공기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장 부스의 내부 온도가, 상기 외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공기 조절부가 난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도장 부스 내부로 난방 기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장 부스 내부 온도가, 상기 외부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공기 조절부가 냉방 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도장 부스 내부로 냉방 기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도장 부스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접이식 및 회전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동하는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장 부스 내부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의 공기 토출구에는,
    상기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도장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KR1020180135628A 2018-11-07 2018-11-07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KR20200052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28A KR20200052565A (ko) 2018-11-07 2018-11-07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28A KR20200052565A (ko) 2018-11-07 2018-11-07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65A true KR20200052565A (ko) 2020-05-15

Family

ID=7067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28A KR20200052565A (ko) 2018-11-07 2018-11-07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5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009A (ko) 2021-04-16 2022-10-26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 배출량 조절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009A (ko) 2021-04-16 2022-10-26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 배출량 조절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203B2 (en) Spray booths
US10213807B2 (en) Coating and curing drying system
CN207439077U (zh) 一种涤纶纤维染色烘干机
KR20200135671A (ko)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200052565A (ko) 도장 부스의 공기 조화 장치
KR101434622B1 (ko) 도장설비의 급기장치 및 급기 방법
CN111780534A (zh) 一种基于侧通风结构的料盘架定轨移动干燥机
CN210070142U (zh) 一种模块化笼式新风机组
CN102589061B (zh) 恒温恒湿生产车间及其运行方法
CN207936375U (zh) 一种新式厂房降温系统
CN202581615U (zh) 恒温恒湿生产车间
CN213078924U (zh) 一种车辆水性漆喷漆系统
JPH0975802A (ja) 塗装補修ライン及び塗装補修ブース
CN104197417B (zh) 户式化科技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9285572A (ja) 熱風循環方式を改善した燃料節減型塗装ブース
JP2019100588A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KR100632131B1 (ko) 자동차 도장 열처리 설비
CN208779897U (zh) 一种带热风导流板的烘房
DE20309327U1 (de) Vorrichtung zum Lackieren und Trocknen von Fahrzeugen und Fahrzeugteilen
KR102123648B1 (ko) 냉방기를 갖는 급기장치와 여과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도장부스
KR102253669B1 (ko)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KR102195683B1 (ko) 냉풍 공급이 가능한 도장실의 공조시스템
CN210376198U (zh) 混凝土温度抗裂性试验用温度膨胀加载组件的养护装置
US1562762A (en) Drying apparatus
KR200387297Y1 (ko) 도장부스용 연료절감형 히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