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69B1 -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69B1
KR102253669B1 KR1020190014779A KR20190014779A KR102253669B1 KR 102253669 B1 KR102253669 B1 KR 102253669B1 KR 1020190014779 A KR1020190014779 A KR 1020190014779A KR 20190014779 A KR20190014779 A KR 20190014779A KR 102253669 B1 KR102253669 B1 KR 10225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air
dry room
internal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431A (ko
Inventor
남승백
김동권
김종진
황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1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드라이룸 내에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생산 장비가 배치된 부스; 상기 부스에 연결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하는 제습부; 상기 부스 및 상기 제습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되는 통로인 덕트부;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며,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팬필터 유닛; 및 상기 부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팬필터 유닛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드라이룸 내에서 구획되어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부스가 구비되어 국부적인 영역에 대해서만 습도를 제어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영역까지 습도를 제어하는 종래의 드라이룸 보다 공급 풍량을 절감시켜 습도 제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의 내외부 출입시 발생하는 급격한 습도 환경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BOOTH APPARATUS FOR DRY ROOM}
본 발명은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노점 공기의 공급 풍량을 절감시켜 습도 제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장비의 노점 온도 관리가 용이한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과정에서 저습도 환경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저습도 환경 즉, 건조한 분위기는 주로 이차전지 생산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환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습도 환경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과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저습도 분위기를 유지하는 드라이룸(DRY ROOM)이 채용된다. 드라이룸은 넓은 의미로는 공기 중의 수분량을 일정한 값 이하로 제어한 저습도실이다.
특히, 실내의 노점(DEW POINT) 온도가 -10℃ 이하인 경우를 드라이룸이라 한다. 드라이룸은 상대습도 10% ~ 30% 정도의 저습도실과는 구별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룸은 이차전지 생산 공정뿐만 아니라 흡습성 봉합사 제조공정, 동결 냉동건조 식품회사, 자동차 환경 실험실, 저습조건이 필요한 실험실 및 공장 등에서도 사용된다.
도 7은 종래의 드라이룸(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드라이룸(10)은 내부에 각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생산 장비(11)가 설치되며, 드라이룸(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습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습장치(20)는 드라이룸(10) 내의 공기 중 습기를 흡입하여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풍도(30)에 배출하고, 풍도(30) 내부의 제습된 공기는 배출구(31)를 통해 드라이룸(10)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룸(10)에서, 장비 반출입, 점검 등을 위해 드라이룸(10)의 도어(미도시)를 오픈하는 경우, 작업자 공간과 생산 장비(11)의 공간을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된 수분이 드라이룸(10) 내에 배치된 생산 장비(1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산 장비(11) 내의 노점 온도가 상승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상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드라이룸(10)은 특정 노점 온도를 가지도록 습도를 제어해야 하는 생산 장비(11)의 영역과, 특정 노점 온도를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 드라이룸(10)의 영역까지 모두 특정 노점 온도를 가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드라이룸(10)은 습도 제어 영역이 넓기 때문에 저노점 공기를 드라이룸(10)에 다량으로 유입시켜야 하고, 이를 위한 제습장치(20)의 운전시 불필요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습도 제어 영역이 넓기 때문에 정밀한 습도 제어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54660호(1997.07.3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노점 공기의 공급 풍량을 절감시켜 습도 제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스 내에 배치된 생산 장비의 노점 온도 관리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라이룸 내에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생산 장비가 배치된 부스; 상기 부스에 연결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하는 제습부; 상기 부스 및 상기 제습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되는 통로인 덕트부;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며,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팬필터 유닛; 및 상기 부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팬필터 유닛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팬필터 유닛의 일면에 형성된 흡입구가 노출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팬필터 유닛을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필터 유닛을 수용하고, 하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유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이 형성된 박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드라이룸 내에서 구획되어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부스가 구비되어 국부적인 영역에 대해서만 습도를 제어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영역까지 습도를 제어하는 종래의 드라이룸 보다 공급 풍량을 절감시켜 습도 제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의 내외부 출입시 발생하는 급격한 습도 환경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제습부에서 제습된 공기를 덕트부를 통해 부스에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부스 내에 배치된 생산 장비의 노점 온도 관리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팬필터 유닛 및 환기부를 통해 부스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다량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부스의 청정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룸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부스(100), 제습부(미도시), 덕트부(200), 팬필터 유닛(300) 및 환기부(400)를 포함한다.
부스(100)는 패널에 의해 드라이룸 내에서 구획되어 밀폐된 내부 공간(110)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110)은 생산 장비가 배치된다. 이때,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생산 장비는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공정, 조립 공정 및 화성 공정 등을 위해 사용되는 생산 장비일 수 있다.
또한, 부스(100)는 개폐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생산 장비의 반출입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스(100)를 구성하는 패널은 내외부를 차단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부(미도시)는 부스(100)에 연결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공급한다. 즉, 제습부는 저노점 공기를 공급하여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배치된 생산 장비의 저노점 환경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를 생산하는 경우, 제습부는 부스 내부 공간(110)의 상대 습도가 2% 이하로 유지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습부는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덕트부(200)는 부스(100) 및 제습부를 연결하고,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공급되는 통로로서 구비된다.
여기서, 덕트부(200)는 내부에 댐퍼부(210)가 설치된다. 댐퍼부(210)는 개폐가 가능하고, 개도치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210)는 제습부로부터 제습된 공기가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필터 유닛(300)은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연결되고,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며,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팬필터 유닛(300)(Fan Filter Unit; FFU)은 흡입구, 필터부, 팬, 모터부 및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팬필터 유닛(300)은 소형이면서 얇은 팬필터 유닛(300)의 일종인 EFU(Equipment Fan Filter Unit)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팬필터 유닛(300)은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을 향하는 흡입구를 통해 부스 내부 공간(110)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부는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 입자 등을 여과한다. 팬은 모터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여과된 공기는 팬에 의해 토출구를 통과하여 환기부(400)로 토출될 수 있다.
환기부(400)는 부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팬필터 유닛(300)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구비된다. 환기부(400)로 이동한 공기는 외부에 배출되거나 드라이룸의 내부에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팬필터 유닛(300) 및 환기부(400)를 통해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존재하는 공기를 다량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부스(100)의 청정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환기부(400)로부터 드라이룸의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는, 드라이룸의 내부로부터 제습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습부로 순환된 공기는 제습부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후에 덕트부(200)를 통해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다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브라켓(500)은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설치되고, 팬필터 유닛(300)의 일면에 형성된 흡입구가 노출되도록 지지하여 팬필터 유닛(300)을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팬필터 유닛(300)은 한 쌍의 브라켓(500)에 의해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습부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제습 처리하고, 제습된 공기는 덕트부(200)를 통해 부스(100)로 공급된다. 이때, 부스(100)는 제습부로부터 공급된 저노점 공기에 의해 습도가 설정된 값 이하로 유지된다.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배치된 생산 장비가 제품 생산을 진행하는 동안,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존재하는 공기는 팬필터 유닛(300)을 거쳐 정화된 상태로 환기부(400)를 따라 이동한다. 환기부(400)로 이동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습부로 다시 순환하여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덕트부(200)를 통해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는 팬필터 유닛(300) 및 환기부(400)를 통해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존재하는 공기를 다량으로 순환시켜 청정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팬필터 유닛(300)이 부스(100)의 외부에 설치된 박스부(600)의 내부에 수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박스부(600)는 팬필터 유닛(300)을 수용하도록 공간(610)이 형성되고, 하면에 부스 내부 공간(110)의 공기가 유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620)이 형성된다.
부스(100)의 내부 공간(110)에 팬필터 유닛(300)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할 경우, 팬필터 유닛(300)은 박스부(600)의 공간(610)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팬필터 유닛(300)은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620)으로부터 부스 내부 공간(110)의 공기를 흡입하고, 팬필터 유닛(300)의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팬필터 유닛(300)의 팬에 의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환기부(400)로 토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00 : 부스 110 : 부스의 내부 공간
200 : 덕트부 210 : 댐퍼부
300 : 팬필터 유닛 400 : 환기부
500 : 한 쌍의 브라켓 600 : 박스부
610 : 박스부의 공간 620 : 유통공

Claims (4)

  1. 작업자 공간인 드라이룸 내에서 공간을 분리하여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생산 장비가 배치된 부스;
    상기 부스에 연결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하는 제습부;
    상기 부스 및 상기 제습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되는 통로인 덕트부;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며,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팬필터 유닛; 및
    상기 부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팬필터 유닛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드라이룸의 내부에 배출되는 통로인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로부터 상기 드라이룸의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습부로 순환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후에 상기 덕트부를 통해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에 다시 공급되며,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에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팬필터 유닛의 일면에 형성된 흡입구가 노출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팬필터 유닛을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필터 유닛을 수용하고, 하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유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이 형성된 박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4. 삭제
KR1020190014779A 2019-02-08 2019-02-08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KR10225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779A KR102253669B1 (ko) 2019-02-08 2019-02-08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779A KR102253669B1 (ko) 2019-02-08 2019-02-08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431A KR20200097431A (ko) 2020-08-19
KR102253669B1 true KR102253669B1 (ko) 2021-05-18

Family

ID=7226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779A KR102253669B1 (ko) 2019-02-08 2019-02-08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883A (ko) 2022-02-21 2022-03-22 전대연 자율주행기능이 있는 스마트카, 호출 및 탑승알림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812A (ja) * 2004-09-29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リーンルーム設備及びクリーンルームの室圧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45B2 (ja) * 1989-05-09 1996-03-21 富士電機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KR970054660A (ko) 1995-12-27 1997-07-31 배순훈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는 드라이룸 장치
KR101256586B1 (ko) * 2010-05-24 2013-04-19 (주)신성이엔지 자가 환류형 팬필터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812A (ja) * 2004-09-29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リーンルーム設備及びクリーンルームの室圧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431A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148B1 (ko) 환기장치
EP1832150B1 (de) Kühlungssystem für geräte- und netzwerkschränke und verfahren zur kühlung von geräte- und netzwerkschränken
US4191543A (en) Sterile air recycling apparatus
DE202007019005U1 (de) System zur Klimatisierungsregelung
WO2018079618A1 (ja) 植物栽培設備
US10605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aceable multiple filter units
KR102342941B1 (ko)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KR102253669B1 (ko)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KR100985199B1 (ko) 팬필터유닛을 이용한 클린건조기
DE112014004862T5 (de) Durch Überdruckluftstromgebläse betriebene Filtrationsvorrichtung
CN102589061A (zh) 恒温恒湿生产车间及其运行方法
EP2044823B1 (de) Anordnung zur klimatisierung von baugruppen
KR102152266B1 (ko) 드라이룸의 노점온도 관리장치
JP2014070748A (ja) クリーンルームの区画方法、クリーンルーム
JP3516507B2 (ja)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JP2016196985A (ja) クリーンブース装置
JP2001056140A (ja) クリーンルーム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JPH116636A (ja) 空気の温湿度調整装置
KR100671565B1 (ko) 환기시스템
KR20100084818A (ko) 단창구조를 갖는 기능성창호시스템
EP3945255A1 (en) Dry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6741302B2 (ja) 栽培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