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259A -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259A
KR20200052259A KR1020200052940A KR20200052940A KR20200052259A KR 20200052259 A KR20200052259 A KR 20200052259A KR 1020200052940 A KR1020200052940 A KR 1020200052940A KR 20200052940 A KR20200052940 A KR 20200052940A KR 20200052259 A KR20200052259 A KR 20200052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ag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to KR102020005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259A/ko
Publication of KR2020005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버튼을 구비한 카드 디바이스 또는 BLE 태그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결제 금액 수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및 태그와 연동되어 결제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로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SYSTEM FOR MOBILE PAYMENT USING TAG}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버튼을 구비한 카드 디바이스 또는 BLE 태그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금 지급이 주로 이루어지던 시대에서, 기술 발전에 따라 마그네틱 띠를 구비한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 방식이 제안 및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 카드 등은 편리한 온라인 결제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오프라인 결제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응대하기 위하여 각 카드 가맹점에서 결제 인프라를 새로이 구비하여야 하여, 점주의 부담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NFC의 경우, 사용자가 단말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작동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케이스에 교통카드 등을 넣고 다니면 혼선이 생겨 결제를 위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현재 아이폰의 경우 NFC를 애플페이에만 독점사용하고 있는 바, 결제 서비스의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카드 디바이스에 배치되는 인터넷 버튼, 상점, 상점의 POS, 상점의 카드결제기(CAT), 상점의 테이블에 구비되는 BLE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결제 금액 수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및 태그와 연동되어 결제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로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현존하는 카드 결제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직접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과 연동하여 그 주문 및 결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단말 내 결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결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버튼 카드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POS 테이블, 식당 테이블에 구비되는 BLE 버튼(510)을 이용한 결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카드 결제기가 없는 영세가게, 카드 결제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배달원 등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카드 결제기를 구비한 상점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결제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상점의 POS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결제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점의 POS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버튼을 이용하여 결제 기관과 사용자 단말을 중개한다.
이러한 태그 버튼은 POS, 테이블, 게임기, 자판기, ATM기(일반 ATM과 모니터 없는 ATM), 노상 주차 결제 시스템에 구비되거나, 이동하는 서비스종사원이 구비하는 것 등 다양한 양태로 배치/구비된다.
이하에서는, 태그 버튼이 배치/구비되는 다양한 양태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110)는 인터넷 버튼의 형태로 카드 디바이스(100)의 일면에 부착되며, 버튼 누름에 의해 연동을 위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대표적 예로서 블루투스 비콘 메시지로서, 이러한 방식 외에도 NFC, QR 코드 인식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과 연동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전술한 블루투스 비콘 메시지의 경우, 카드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태그(110)에 대한 버튼 누름 동작에 따라 블루투스 비콘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 연동되고, 카드 디바이스(100)는 가맹점의 카드 리더기(210)에 의해 리딩(reading)되어 해당 결제기관 정보를 전달하고, 머천트 ID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내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인식을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단말을 점포 내에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카드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태그(110)에 대한 버튼 누름 동작 및 마그네틱 리딩을 통해, 현존하는 카드 리더기에 그대로 적용되어,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결제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머천트 단말(200)은 POS, 카드 결제기, 카드리더기와 연결된 스마트폰 등 카드 리딩 기능이 있는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머천트 단말(200)은 카드 리더기(210)를 통해 읽어 들인 카드 디바이스(100)의 마그네틱 띠(120)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기관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주문한 주문 정보(주문 품목, 결제 금액)을 서버(4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서 서버(400)는 결제 기관 정보 및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URL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휴대 단말(300)에게 해당 주문 정보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이러한 서버(400)는 결제서비스 사업자 서버, 금융사 서버에 해당되는 것으로, 금융사는 은행계좌, 신용카드, 체크카드, 기프트카드, 선불카드, 전자화폐, 비트코인 등 각종 가상 화폐, 멤버십 포인트 등 모든 금전적 계좌를 관리하는 모든 금융서비스 제공사에 해당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300) 내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100)의 결제 기관 정보에 대응되어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한 품목 및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 내에 주된 결제 수단 및 부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 은행 계좌, 상품권, 포인트 사용 등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블루투스 모드 또는 NFC 모드를 활성화하여 현존하는 카드리더기가 아닌 추가적으로 새로이 배치되는 점포 내의 특정 단말과 접촉하여 결제 요청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불편한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지 아니하고도, 어떠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결제를 하겠다는 의사만을 점원에게 전달함으로써, 그에 따라 자동 생성/제공되는 URL등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편리한 결제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술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점포(A 커피 전문점의 서울시 서초역 지점)에 방문하여 주문(카페라떼 1잔)을 하며, 특정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한다.
점원이 머천트 단말(200)에서 주문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거래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점원은 해당 특정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결제 기관 정보가 마그네틱 띠 정보로 포함된 카드 디바이스(100)의 태그(110)에 대한 버튼 누름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300)과 연동 시키고, 카드 디바이스(100)의 마그네틱 띠(120)의 정보를 카드 리더기(210)에 입력시킨다.
카드 디바이스(100)의 태그(110)에 대한 버튼 누름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브로드캐스트되는 비콘 메시지는 해당 주문을 한 사용자의 단말(300)로 전송된다.
이 때, RSSI 등 전계 강도의 강약을 통해 해당 주문을 한 사용자 단말(300)을 판별하여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비콘 메시지의 전송 거리가 일정 거리(예: 30 내지 50 센티미터) 이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300)에 연결되도록 설정되며, 이로써 기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경우, 통달 거리 내에 전자장치가 여러 개가 되어 일대일 연결을 위한 별도 절차가 필요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카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카드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통달 거리는 카드 디바이스(100) 각각이 이용되는 복수의 머천트 단말 사이 거리의 1/2보다 작도록 설정되어(전술한 바와 같이 30 내지 50 센티미터 이내의 통달 거리를 가짐으로써), 주문 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사용자 단말, 300)만이 해당 인터넷 버튼 카드 디바이스(1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3자(해당 사용자의 뒤에 서 있는 주문 대기자)의 단말과는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머천트 단말(200)은 거래 정보(카페라떼 1잔, 5000원) 및 마그네틱 리딩을 통한 결제 기관 정보 및 머천트 ID(A커피 전문점, 서울시 서초역 지점, 1번 단말)를 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버(400)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300)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주문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를 밝히는 것과 자신이 익숙한 결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거래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대한 결제 요청(카드 비밀번호 입력, 지문 입력 등)을 수행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것으로, 그 외 별도의 능동적인 절차(예컨대 사용자의 단말을 별도 구비된 가맹점의 포스에 가까이 갖다 대는 등의 능동적인 행위)를 수행하지 아니하여도 되어 결제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가맹점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결제 인프라를 추가로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종래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휴대 단말 내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를 요구하는 고객의 응대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어, 비용 관리적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2는 POS 테이블, 식당 테이블에 구비되는 BLE 버튼(510)을 이용한 결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OS 테이블 또는 식당 테이블에 구비되는 BLE 버튼(510)은 테이블 번호와 매칭되어 있으며,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사용자 단말, 300)을 이용하여, 주문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BLE 버튼(510)은 사용자가 식당 테이블에서 식사를 마친 후 직접 누르는 것, 점원이 POS에서 계산을 받기 위해 누르는 것 등 다양한 양태에 의해 동작되고, 사용자 단말(300)은 주문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머천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머천트 단말이 서버로 업로드한 주문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E 버튼(510)이 눌러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BLE 버튼, 머천트 단말과 연결되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정보 및 결제 대상 금액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에 기설치된 결제 앱을 이용하여 도 2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좌이체, 카드결제, 포인트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BLE 버튼(510)은 스티커의 일부에 배치되어, 터치하도록 하는 안내문구를 포함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BLE 버튼(510)이 눌러짐에 따라 그 수신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300)로 주문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가 보내지게 되는데, 이러한 주문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는 미리 결제권자로 지정된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거나, 해당 테이블의 모든 사용자의 단말이 공유하도록 송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주문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단말은, 제3자(함께 서비스를 이용한 동석자, 또는 현장에 함께 하지 않으나 결제를 수행할 당사자- 예컨대 서비스는 미성년자가 이용하고 그 결제는 부모님이 하는 경우 등)에게 결제 요청을 하거나, 결제에 대한 더치 페이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콘 메시지의 전송 거리(태그 정보의 통달 거리, 태그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거리)는 거래 환경에 따라 설정된다.
즉, 1:1 거래 환경에서는 태그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30 내지 30 센티미터 이내)가 되고, 이와 달리 1:N 거래 환경(더치페이, 교회에서의 헌금, 공연장에서의 기부 등 판매자와 수금자가 1:1이 아닌 1: 다수인 환경)에서는 해당 거래 환경에 맞게 그 통신 거리가 조정된다.
1:1 거래 환경에서는 태그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의 혼선을 방지하여야 하여 전술한 예에 따른 통신 거리가 설정되는 것이고, 1:N 거래 환경에서는 예컨대 식당에서의 더치페이의 경우 테이블과 테이블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다른 테이블의 주문 정보가 공유되지 않고, 해당 테이블의 주문 정보만 공유되도록 하는 통신 거리가 설정되거나, 교회나 공연장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모두 수용하여야 하는 환경에서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통달 거리, 예컨대 BLE 태그의 통신 가능 최대 거리(예: 50미터)가 통신 거리로서 설정된다.
결제 비밀번호는 PIN 번호의 형태로, 또는 생체정보(지문, 홍채 등) 인식을 통해 입력되며, 승인이 완료되는 경우 도 2의 (e)와 같은 결제 완료 화면과, 도 2의 (f)와 같은 스마트 계산서 화면이 사용자 단말(300)에 표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카드 결제기가 없는 영세가게, 카드 결제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배달원 등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결제는 사용자가 제공 받는 재화나 서비스 그 자체에 대한 결제일 수도 있고, 배달원 또는 서비스종사자에게 팁을 제공하는 경우 등, 정해진 금액이 아니라 협의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인 것이 모두 포함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점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자판기, ATM, 주차장 결제 시스템, 구세군 자선 냄비, 길거리에서 도네이션을 받는 단체 등 다양한 양태에 따라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결제 역시 신용카드 결제, 포인트 결제, 현금 계좌 이체 등 다양한 결제 방식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드결제기가 없는 가게, 노상의 판매원 등으로부터 재화/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기부를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300)에서 앱을 실행시키고, 상점, 배달원 등이 구비하고 있는 BLE 태그(520)에 대한 누름 동작이 수행된다.
BLE 태그(520)와 사용자 단말의 앱(310)은 연동되어 가게의 ID를 인식하고,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액이 정해져 있는 재화/물품에 대한 결제 금액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결제 승인 요청을 서버의 결제 플랫폼(420)으로 전송한다.
서버는 직불결제은행, 선불결제사, 신용카드사 등 모든 결제 기관의 서버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 계좌와 가게 주인 계좌를 연결하여, 대금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310)을 통해 결제 요청이 전송되고, 결제 플랫폼(420)에서 승인이 완료되면, 그 결제 승인 결과는 사용자 단말의 앱(310)과 상점 앱(220)으로 전송되며, 가게 주인이 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 등의 방식으로 결제 승인 결과가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결제기가 없는 경우에도 직불, 선불, 신용, 체크카드 결제, 포인트 결제, 가상코인 결제 등이 가능하며, 사용자 계좌로부터 가게 주인계좌로 직불이 이루어지는 경우 가맹점 수수료 없이 결제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의 가게의 양태가 주차장인 경우,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과금을 수행한다.
이 때, 사용자가 주차장의 일정 구역에 배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면, 통신 거리 내의 사용자 단말(300)은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주차장의 ID를 인식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310)을 통해 해당 주차장 결제 요청 화면이 보여진다.
사용자는 앱(310)에 기등록된 차량 번호, 또는 주차비를 결제하고자 하는 주차 차량의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주차요금 계산 관리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차량 번호에 대한 주차요금을 확인하고,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이러한 주차요금 확인 및 결제 승인 요청은 출차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나, 일주차와 같이 출차 전에 미리 주차 요금을 확인하고 출차 전 선결제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결제의 경우, 주차요금 계산 관리 서버는 선결제 승인 결과와 해당 차량 번호를 저장하여, 해당 차량의 출차 시 주차 요금 지급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게이트를 오픈시킨다.
또한, 길거리 주차장(노상 주차장)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주차장 일정구역에 설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면(이러한 BLE 태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구역의 표지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노상 주차장 관리 요원이 소지하고 다닐 수도 있음), 사용자 단말(300)은 주차관리 회사 또는 해당 기관(예: 구청)의 서버에 접속하여, 주차시간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주차시간 결제 화면을 통해, 기등록된 차량 번호 또는 다른 신규한 차량 번호 및 주차 시간을 정해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주차 시간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거나, 길거리 주차장에 대한 주차, 출차에 대한 인식(예: 카메라) 수단을 통해 설정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주차 시간이 입력되는 경우로서, 결제 시점으로부터 2시간의 사용 시간이 입력되어 결제가 완료된 경우, 2시간의 사용 시간 경과가 임박하거나(예: 사용시간 경과 20분 전), 사용 시간이 경과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경고(예: 경고음, 경고 메시지, 진동 등)가 제공되고, 추가 시간 결제 여부에 대한 메시지가 표출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이미 해당 길거리 주차장의 BLE 태그(520)와 연동되었으므로, 주차장으로부터 떨어진 지역에 사용자가 있어 BLE 태그(520)에 대한 터치를 재수행하지 않더라도, 해당 차량의 주차 시간 연장 요청 및 그에 대한 결제 요청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자동판매기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자판기에 설치되거나 부착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여, 해당 자판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불러 들인다.
자동판매기에 대한 물품 선택은 기존의 방식과 같이 자동판매기에 배치된 선택 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해당 자판기 정보를 불러들인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자동판매기에서 구매 품목이 선택되어, 구매 금액이 결정되거나, 사용자 단말(300)에서 구매 품목 선택 및 구매 금액이 결정된다.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310)을 통해 결제 플랫폼(420)으로 결제 승인 요청이 전송되고, 결제 플랫폼은 결제 승인 결과를 자동판매기로 전송하여 자동판매기가 구매 금액 결제 완료에 따른 구매 품목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며, 이러한 결제는 승인 한도 내에서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승인 한도에 대한 확인이 결제 플랫폼(420)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택시 이용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승객은 탑승한 택시의 일정 부분(예컨대 조수석 앞, 또는 뒷자리에서 터치 가능한 앞좌석의 헤드레스트 부분)에 배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310)을 통해 택시 요금 결제 요청을 수행한다.
이 때, 앱(310)을 통해서는 택시 정보(택시 회사, 택시 차량 번호, 기사 정보 등)이 표출되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택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수행한다.
택시 요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 결제 플랫폼(42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내려받기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BLE 태그(520)를 터치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300)을 연동시키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 결정된 택시 요금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BLE 태그(520) 터치 시, 탑승 정보(택시 차량 번호, 탑승 지역, 탑승 시간)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고, 이는 보호자의 단말로 공유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BLE 태그(520) 터치로부터 택시 요금에 대한 결제뿐 아니라, 귀가 정보를 보호자와 공유함으로써,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납치 등의 사고로부터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BLE 태그(520) 터치 시 연동된 사용자 단말의 정보(전화 번호 등)가 택시회사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이로부터 도착 후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도망가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 역시 기대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대중 교통 이용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의 앱에서 대중교통 모드를 설정하고, 버스 내부 또는 지하철의 게이트에 설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함으로써 대중 교통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즉, 현금이나 카드를 모두 소지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 내의 교통카드 기능 역시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이용이 불가능할 경우(예컨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티머니 카드가 원인불명으로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티머니 카드의 선불 잔액이 부족한 경우, 또는 NFC 모드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 BLE 태그 터치를 통해 대중 교통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가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철도, 항공 이용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에서 철도, 항공 승차권을 구매하고, 승차 확인 모드가 설정되면, 게이트에 설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여 승차권에 대한 확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주야간 순찰, 경비 근무 등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BLE 태그(520)의 이용은 비단 상거래 뿐 아니라, 순찰, 경비 또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출입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주야간 근무 또는 순찰의 경우, 근무자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여, 자신의 단말과 연동시키고, 이로부터 사용자 단말은 근무 또는 순찰 관리 서버로 BLE 태그와의 연동 내역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순찰 여부, 순찰 시간 정보 등 근무/순찰 내역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다.
이를 응용하면, 군 부대에서 병사들이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휴대하여, 근무지에 설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하여 연동시키고, 이로부터 각각의 병사들에 대한 인원 파악(도착 여부 파악), 근무 완료 보고, 야간 순찰 등의 업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비단 사용자의 휴대폰뿐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 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든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BLE 태그(520)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출입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가정의 출입문에 가까이 왔을 경우, 출입문 열림 준비를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310)을 통해 수행하고, 출입문 도어에 설치된 BLE 태그(520)를 터치함으로써 출입문 오픈을 할 수 있다.
이 때, 제3자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승인요청 및 승인 결과 송수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카드 결제기를 구비한 상점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앱(310)을 실행시키고, 상점에 구비된 BLE 태그(520,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는 것)에 대한 누름 동작이 수행된다.
BLE 태그(520)와 사용자 단말의 앱(310)은 연동되어 상점의 ID를 인식하고, 상점 주인은 카드결제기(240)에 상점주 화이트카드(230)를 리딩시키고, 금액을 입력한다.
결제기 설치 밴사(430)와 결제 플랫폼(420)을 거쳐,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310)으로 결제 청구 금액이 전송되는데, 이 때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은 결제 플랫폼 클라우드에서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가져온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은 BLE 태그(520)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한 가맹점 ID와, 터미널 ID 및 결제 시간 등의 정보를 결제 플랫폼(420)으로 전송하고, 결제 플랫폼(420) 서버에서는 결제기 설치 밴사(43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를 매칭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 결제 확인을 요청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에서 금액을 확인하고, 비밀번호 입력 등을 통해 신용, 체크, 직불, 선불 결제 등에 대한 승인 요청을 전송한다.
결제 플랫폼(420)에서는 승인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제 승인 결과를 사용자 휴대 단말의 앱(310)과 결제기 설치 밴사(430)로 전달하며, 이는 결제기 설치 밴사(430)를 통해 상점의 카드결제기(240)로 전달된다.
결제 승인에 따라 사용자 휴대 단말의 앱(310)에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점의 카드결제기(240)에 전표 출력이 통지된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결제는 카드사에서 직접 대금을 지급하고, 직불/선불 결제는 계좌송금 방식으로 사용자 계좌로부터 상점 계좌로 대금이 지급된다.
이는 현존하는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신용카드 결제기로도 직불/선불결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BLE 태그(520)에 의한 비콘 메시지의 전송 거리는 일정 거리(예: 30 내지 50 센티미터) 이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300)에 연결되도록 설정되며, 이로써 기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경우, 통달 거리 내에 전자장치가 여러 개가 되어 일대일 연결을 위한 별도 절차가 필요한 불편함을 해결한다.
즉, BLE 태그(52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통달 거리는 기설정 거리 내로 설정되어(전술한 바와 같이 30 내지 50 센티미터 이내의 통달 거리를 가짐으로써), 주문 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사용자 단말, 300)만이 해당 BLE 태그(52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3자(해당 사용자의 뒤에 서 있는 결제 대기자)의 단말과는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결제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상점의 POS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300)에서 앱(310)이 실행되고, 상점에 비치된 BLE 태그(520)에 대한 누름 동작이 수행되면, BLE 버튼과 사용자 단말의 앱은 연동되어 상점의 ID를 인식한다.
BLE 태그는 POS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POS와 별도의 구성으로 상점(예컨대, 식당)의 테이블 등에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BLE 태그가 POS에 내장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점 직원은 POS(250)에 상점주 화이트카드(230)를 리딩시키고, 금액을 입력하며, 결제 청구를 수행한다.
결제 플랫폼(420)을 거쳐,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 결제 청구 내역이 전송되는데, 이 때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은 결제 플랫폼 클라우드에서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가져오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은 BLE 태그(520)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한 가맹점 ID와, 터미널 ID 및 결제 시간 등의 정보를 결제 플랫폼(420)으로 전송하고, 결제 플랫폼(420) 서버에서는 POS(25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를 매칭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 결제 확인을 요청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에서 금액을 확인하고, 비밀번호 입력 등을 통해 신용, 체크, 직불, 선불 결제 등에 대한 승인 요청을 전송한다.
결제 플랫폼(420)에서는 승인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제 승인 결과를 사용자 휴대 단말의 앱(310)과 상점의 POS(250)로 전송한다.
결제 승인에 따라 사용자 휴대 단말 앱(310)으로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점의 POS(250)에 결제 승인 메시지가 전송된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결제는 카드사에서 직접 대금을 지급하고, 직불/선불 결제는 계좌송금 방식으로 사용자 계좌로부터 상점 계좌로 대금이 지급된다.
상점은 자신의 POS에 별도의 결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구매내역 확인이 가능하고, 신용/체크/직불/선불/포인트 결제 등 모든 형태로 결제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결제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점의 POS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프로그램이 상점의 POS(250)에 설치되므로, 전술한 상점주 화이트카드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사용자 단말에서 앱(310)이 실행되고, 상점에 비치된 BLE 태그(520)에 대한 누름 동작이 수행되면, BLE 태그(520) 사용자 단말의 앱(310)은 연동되어 상점의 ID를 인식한다.
상점의 POS(250)는 구매내역을 확인하여 결제 청구를 전송하고, 이는 결제 플랫폼(420)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앱(310)으로 전송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은 BLE 태그(520)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한 가맹점 ID와, 터미널 ID 및 결제 시간 등의 정보를 결제 플랫폼(420)으로 전송하고, 결제 플랫폼(420) 서버에서는 POS(25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를 매칭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310)으로 결제 확인을 요청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앱(310)에서 구매 내역과 금액을 확인하고, PIN 입력, 생체정보 입력 등을 통해 승인 요청을 전송하면, 결제 플랫폼(420)에서는 승인 여부를 확인하여 승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과 상점의 POS(250)로 전송한다.
결제 승인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앱(310)을 통해 통보되고, 상점의 POS(250)에서는 전표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결제는 카드사에서 직접 대금을 지급하고, 직불/선불 결제는 계좌송금 방식으로 사용자 계좌로부터 상점 계좌로 대금이 지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되는 모든 형태의 결제, 즉, 신용/체크/직불/선불/복합/O2O 결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BLE 태그가 별도로 배치되는 예을 서술한 것인데, 변형된 실시예로서 BLE 태그(520)가 POS(250)에 포함되어, POS(250)를 통해 BLE 태그(520)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BLE 태그(520)가 식당 테이블에 설치되거나, 카드결제기(240), POS(25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되는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300)에서 앱 모듈이 구동되면, 앱유효성 체크가 수행된다.
이는 단말, 앱을 인증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과 앱이 실제로 본인 휴대폰에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별도의 로그인이 필요없도록 하는 유효성 체크이다.
BLE 태그(520)에 대한 작동, 예컨대 버튼 형태로 구비되는 BLE 태그(520)에 대한 누름 동작이 수행되면, BLE 태그 ID가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300)은 BLE 유효성 체크를 수행한다.
BLE 태그(52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통달 거리는 예컨대 30 내지 50 센티미터 이내의 통달 거리를 가짐으로써, 주문 거래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사용자 단말, 300)만이 해당 BLE 태그(3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3자(해당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과는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POS(250) 또는 카드 결제기(240)로부터 거래 관리 서버(4410)로, POS(250) 또는 카드 결제기(240)의 ID, 위치, 테이블 번호, 구매 내역 등 결제요청 정보가 전송된다.
거래관리 서버(441)는 POS(250) 또는 카드 결제기(240)의 ID, 위치, 테이블 번호, 구매 내역 등 결제요청 정보와 거래일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BLE 태그의 ID, POS 또는 카드결제기의 ID와 위치, 테이블 번호 등에 대한 일치 확인을 수행하며, 거래일시 정보 매칭 조회, 구매 내역 송수신, 결제요청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BLE 태그의 ID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결제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급 관리된 것인지 유효성이 체크되어, 부정 사용이 방지된다.
또한, 결제 금액 수신자(수금자), 수금자의 POS 도는 카드결제기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이 인식하여 연동되는 BLE 태그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결제가 수행되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 기반의 인증은 전술한 PIN, 생체 정보와 복합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300)에서 구매 내역을 확인하여, 결제 승인요청을 결제 승인 서버(442)로 전송하면, 결제 승인 서버(442)는 승인 전문을 생성하고, 승인요청 전문을 금융사 서버(450)로 전송한다.
금융사 서버(450)에서 승인처리가완료되면, 승인 결과는 결제 승인 서버(442), 거래관리 서버(441), POS(250) 또는 카드결제기(240),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고, 결제 승인 서버(442)는 승인을 등록/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BLE 태그(520)가 카드결제기(240), POS(25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예: USB로 연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300)에서 앱 모듈이 구동되면, 거래관리 서버(441)와의 앱유효성 체크가 수행된다.
BLE 태그(520)에 대한 작동, 예컨대 POS(250) 를 통해 클릭이 수행되면, BLE 태그 ID가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300)은 BLE 유효성 체크를 수행한다.
POS(250) 또는 카드 결제기(240)는 거래관리 서버(441)로, POS(250) 또는 카드 결제기(240)의 ID, 위치, 테이블 번호, 구매 내역 등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거래관리 서버(4410)는 POS 또는 카드 결제기의 ID, 위치, 테이블 번호, 구매 내역 등 결제요청 정보와 거래일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BLE 태그의 ID, POS 또는 카드결제기의 ID와 위치, 테이블 번호 등에 대한 일치 확인을 수행하며, 거래일시 정보 매칭 조회, 구매 내역 송수신, 결제요청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결제하고자 하는 상점의 정보, 주문 내역, 거래일시 등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300)에서 구매 내역을 확인하여, 결제 승인요청을 결제 승인 서버(442)로 전송하면, 결제 승인 서버(442)는 승인 전문을 생성하고, 승인요청 전문을 금융사 서버(450)로 전송한다.
금융사 서버(450)에서 승인처리가 완료되면, 승인 결과는 결제 승인 서버(442), 거래관리 서버(441), POS(250) 또는 카드결제기(240),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며, 결제 승인 서버(442)는 승인을 등록/저장하여 관리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인터넷 버튼 카드 디바이스 110: 태그
120: 마그네틱 띠 200: 머천트 단말
210: 카드리더기 220: 상점 앱
230: 화이트카드 240: 카드 결제기
250: POS 300: 사용자 단말
310: 앱 400: 서버
420: 결제 플랫폼 440: 결제 서버
441: 거래관리 서버 442: 결제 승인 서버
450: 금융사 서버

Claims (9)

  1. 결제 금액 수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상기 태그와 연동되어 결제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및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거리는 거래 환경에 따라 설정되는 블루투스 태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거리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제한되어, 상기 블루투스 태그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혼선을 방지하고, 상기 태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1:1 매칭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거리는 상기 태그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1:N 매칭되도록 기설정된 영역 내의 통신 가능 거리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결제 금액 수신자의 테이블, POS, 또는 카드 결제기에 배치되어, 실행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결제 금액 수신자의 단말에 내장되어, 연동 개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태그가 일면에 부착된 상기 카드 디바이스의 마그네틱 띠 정보 리딩에 따라 결제 기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태그와 연동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대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화이트카드 인식에 따라 생성된 거래 대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태그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거래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결제 금액 수신자의 단말로부터 결제 대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금액 수신자의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제 대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KR1020200052940A 2020-04-29 2020-04-29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KR20200052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940A KR20200052259A (ko) 2020-04-29 2020-04-29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940A KR20200052259A (ko) 2020-04-29 2020-04-29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534A Division KR20180073510A (ko) 2016-12-22 2017-12-22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259A true KR20200052259A (ko) 2020-05-14

Family

ID=7073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940A KR20200052259A (ko) 2020-04-29 2020-04-29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342A1 (ko)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342A1 (ko)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56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initiated payment transaction using customer's mobile device and card
KR101078173B1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 및 그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결제방법
US9286606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or for contactless payment on account read from removable card
US7552094B2 (en) Optical payment transcei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0878416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us rapid transit ticketing and the like
GB2605892A (en) A payment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storage
EP2372628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purchaser to direct payment approval, settlement, and membership subscrip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791128B2 (ja) 位置を利用した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
KR20140047248A (ko) 차량용 요금결제 시스템 및 방법
CA294936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tlement to a merchant's card account using an on-line bill payment platform
EP3631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initiated payment transaction
JP2014513825A5 (ko)
KR101245272B1 (ko)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쿠폰 실시간 인증 결제방법 및 장치
SG179320A1 (en) Ussd wallet and payment system
KR20200052259A (ko)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KR101681002B1 (ko)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5305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KR20180024596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KR20180073510A (ko)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KR102572349B1 (ko) 가상계좌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925788B1 (ko) 결제 중계 장치 및 결제 중계 시스템
KR101757762B1 (ko) 적립 수행서버 및 적립 수행서버를 이용한 잔금 적립 서비스 방법
KR20040083817A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8599A (ko) 토큰 결제용 블록체인 결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결제 시스템
KR20180088782A (ko) 자율적 현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